(2025-04-28 기준) 설계품질검토용 건축법 및 관련법규 - KBIMCode (문장단위)
      KBIMCode - KBimAssess Python Code     KBIMCode - 체크리스트 단위     KBIMCode - 조항단위
  ◁prev 1   2      
2 / 2 page Total 2500 / 4000 records
Select
ALL
None
#
Law
Jo
JO Name
HANG
HO
MOK
Text
Search!
1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제 5조 2 항 2호

2. 배관 내 사용압력이 1.2 ㎫ 이상일 경우에는 압력배관용탄소강관(KS D 3562)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내식성 및 내열성을 가진 것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5조 (배관) 2항 2호

Check(NFSC502_5_2_2){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Pipe.workingPressure)>=1.2 MPa 

}

KS{
  getObjectMaterial(Pipe)="KSD3562"
  
} 




Python Code 변환 예정



2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제 5조 3 항

③ 제2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장소에는 국민안전처장관이 정하여 고시한「소방용합성수지배관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한 소방용 합성수지배관으로 설치할 수 있다.<신설 2014.8.18., 개정 2015.1.6.>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5조 (배관) 3항

Check(NFSC502_5_3){
     IF CS THEN KS
}
CS{
    getResult(NFSC502_5_3_2)=True
    OR getResult(NFSC502_5_3_3)=True
}

KS{

isObejctProperty(Pipe.isSyntheticResinForfirefighting)=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3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제 5조 4 항

④ 연결송수관설비의 배관은 주배관의 구경이 100㎜ 이상인 옥내소화전설비·스프링클러설비 또는 물분무등소화설비의 배관과 겸용할 수 있다.[종전의 제2항에서 이동 2014.8.18]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5조 (배관) 4항

Check(NFSC502_5_4){
	IF CS THEN KS
}
CS2{
	isObjectProperty(Pipe.systemType) = "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
}
KS{
	Pipe myPipe1{
	isObjectProperty(Pipe.isRiser) = TRUE
	getObjectProperty(Pipe.diameter) >= 100mm
	isObjectProperty(Pipe.systemType) = "IndoorFireHydrantSystem"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Riser) = TRUE
	getObjectProperty(Pipe.diameter) >= 100mm
	isObjectProperty(Pipe.systemType) = "WaterSprayExtingushingSystem"
	}
	isShared(Pipe,myPipe1) = TRUE
	OR isShared(Pipe,myPipe2) = TRUE
	OR isShared(Pipe,myPipe1) != TRUE
	OR isShared(Pipe,myPipe2)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4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제 5조 3 항 2호

2.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된 덕트 또는 피트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5조 (배관) 3항 2호

Check(NFSC502_5_3_2){
     KS
}

KS{
  Duct myDuct{
       isFireResistantStructure(Duct)=True 
  }
  Pit myPit{
      isFireResistantStructure(Pit)=True 
  }

  isInstalled(Pipe, myDuct)=True
  OR isInstalled(Pipe, myPit)=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5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제 4조 1 항

제4조(배관) ①배관은 배관용탄소강관(KS D 3507) 또는 압력배관용탄소강관(KS D 3562)이나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내식성 및 내열성을 가진 것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장소에는 법 제39조에 따라 제품검사에 합격한 소방용 합성수지배관으로 설치할 수 있다.<개정 2012.8.20>





//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4조 (배관) 1항
Check(NFSC506_4_1){
	KS
}


KS{
    getObjectProperty(Pipe.Material)="KSD3507"
    OR getObjectProperty(Pipe.Material)="KSD3562"
} 




Python Code 변환 예정



6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제 4조 2 항

②급수배관(송수구로부터 연소방지설비방수구에 급수하는 배관을 말한다. 이하 같다)은 전용으로 하여야 한다.





//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4조 (배관) 2항
Check(NFSC506_4_2){
	KS
}

KS{
	Pipe myPipe{
		getObjectProperty(Pipe.usage) = "WaterSUpplyPipe"
	}

	isObjectProperty (myPipe.isShared) = FALSE
}
 




Python Code 변환 예정



7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제 4조 3 항

③급수배관에 설치되어 급수를 차단할 수 있는 개폐밸브는 개폐표시형으로 하여야 한다.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 기준(nfsc 506) 4조 (배관) 3항
Check(NFSC506_4_3){
	KS
}

KS{
	FeedWaterShutoffValve myFeedWaterShutoffValve{
		isObjectProperty(FeedWaterShutoffValve.isIndicatingValve) = TRUE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usage) = "WaterSupplyPipe"
	}

	hasObject(myPipe, myFeedWaterShutoffValve)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8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제 4조 4 항 1호

1. 연소방지설비전용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 표에 따른 구경 이상으로 할 것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 기준(nfsc 506) 4조 (배관) 4항 1호
Check(NFSC506_4_4_1){
	IF CS THEN KS
}

CS{
	isInstalled(CombustionProtectionSystem, ?) = TRUE
}

KS{
	Pipe myPipe{
		hasObject(CombustionProtectionSystem, Pipe) = TRUE
	}

	SprinklerHead mySprinklerHead{
		isInstalled(myPipe, SprinklerHead) = TRUE
	}

	(getObjectCount(mySprinklerHead) = 1 
	getObjectProperty(myPipe.Diameter) >= 32mm)
	OR(getObjectCount(mySprinklerHead) = 2 
	getObjectProperty(myPipe.Diameter) >= 40mm)
	OR(getObjectCount(mySprinklerHead) = 3
	getObjectProperty(myPipe.Diameter) >= 50mm)
	OR(getObjectCount(mySprinklerHead) = 4
	getObjectProperty(myPipe.Diameter) >= 65mm)
	OR(getObjectCount(mySprinklerHead) = 5
	getObjectProperty(myPipe.Diameter) >= 65mm)
	OR(getObjectCount(mySprinklerHead) >= 6
	getObjectProperty(myPipe.Diameter) >= 80mm)
} 




Python Code 변환 예정



9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제 4조 5 항

⑤연소방지설비에 있어서의 수평주행배관의 구경은 100㎜ 이상의 것으로 하되, 연소방지설비전용헤드 및 스프링클러헤드("방수헤드"라 한다. 이하 같다)를 향하여 상향으로 1,000분의 1 이상의 기울기로 설치하여야 한다.<개정 2012.8.20>





//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4조 (배관) 5항
Check(NFSC506_4_5){
	KS
}

KS{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FeedMains) = TRUE
	}

	isInstalled(myPipe, CombustionProtectionSystem) = TRUE
	getObjectProperty(myPipe.diameter) >= 100mm
} 




Python Code 변환 예정



10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제 4조 6 항 3호

3. 하향식헤드를 설치하는 경우에 가지배관으로부터 헤드에 이르는 헤드접속배관은 가지관상부에서 분기할 것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 기준(nfsc 506) 4조 (배관) 6항 3호
Check(NFSC506_4_6_3){
	IF CS THEN KS
}

CS{
	Pipe myPipe{
		hasObject(CombustionProtectionSystem, Pipe) = TRU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

	Head myHead{
		getObjectProperty(Head.installationDirectionType) = "TopDownType"
	}

	isInstalled(myPipe, myHead) = TRUE
}

KS{
	Pipe myPipe{
		hasObject(CombustionProtectionSystem, Pipe) = TRU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

	Head myHead{
		getObjectProperty(Head.installationDirectionType) = "TopDownType"
	}

	Pipe myPipe2{
		isConnectedTo(myPipe, Pipe) = TRUE
		isConnectedTo(myHead, Pipe) = TRUE
	}

	isDiverged(가지관 상부, myPipe2)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11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제 4조 7 항 1호

1. 가지배관에는 헤드의 설치지점 사이마다 1개 이상의 행가를 설치하되, 헤드간의 거리가 3.5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3.5m 이내마다 1개 이상 설치할 것. 이 경우 상향식헤드와 행가 사이에는 8㎝ 이상의 간격을 두어야 한다.





//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4조 (배관) 7항 1호

Check(NFSC506_4_7_1){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

	Head myHead{
		isInstalled(Head, myPipe) = TRUE
	}

	getObjectInterval(myHead) <= 3.5m
}

KS1{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

	Head myHead{
		isInstalled(Head, myPipe) = TRUE
	}

	getobjectCountInInterval(Hanger, myHead) >= 1
}

CS2{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

	Head myHead{
		isInstalled(Head, myPipe) = TRUE
	}

	getObjectInterval(myHead) > 3.5m
}

KS2{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

	Head myHead{
		isInstalled(Head, myPipe) = TRUE
	}

	getObjectInterval(myHead) = OIH
	OIH/3.5 = OIHH
	(OIHH-1) <= getObjectCountInInterval(Hanger, myHead) < OIHH
	getObjectInterval(Hanger) = 3.5m

	Head myHead2{
		getObjectProperty(Head.installationDirectionType) = "BottomUpType"
	}

	getObjectInterval(myHead2, Hanger) >= 8cm
} 




Python Code 변환 예정



12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제 4조 7 항 2호

2. 교차배관에는 가지배관과 가지배관 사이마다 1개 이상의 행가를 설치하되, 가지배관 사이의 거리가 4.5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4.5m 이내마다 1개 이상 설치할 것





//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4조 (배관) 7항 2호

Check(NFSC506_4_7_2){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getObjectInterval(Pipe) <= 4.5m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CrossMains) = TRUE
	}

	isConnectedTo(myPipe, myPipe2) = TRUE
}

KS1{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getObjectInterval(Pipe) <= 4.5m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CrossMains) = TRUE
	}

	Hanger myHanger{
		isInstalled(Hanger, myPipe2) = TRUE
	}

	getObjectCountInInterval(myHanger,myPipe) >=1
}

CS2{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getObjectInterval(Pipe) > 4.5m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CrossMains) = TRUE
	}

	isConnectedTo(myPipe, myPipe2) = TRUE
}

KS2{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getObjectInterval(Pipe) > 4.5m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CrossMains) = TRUE
	}

	Hanger myHanger{
		isInstalled(Hanger, myPipe2) = TRUE
	}

	getObjectCountInInterval(myHanger,myPipe) >=1
	getObjectInterval(myPipe) = OIP
	OIP/4.5 = OIPP
	(OIPP-1) <= getObjectCountInInterval(Hanger, myHead) < OIPP
	getObjectInterval(Hanger) = 4.5m
}
 




Python Code 변환 예정



13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제 4조 7 항 3호

3. 제1호와 제2호의 수평주행배관에는 4.5m 이내마다 1개 이상 설치할 것<개정 2012.8.20>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4조 (배관) 7항 3호 

Check(NFSC506_4_7_3){
        IF CS THEN KS 
}

CS{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

               isObjectProperty(myPipe.isFeedMains)=True

}

KS{
           isInstalled(Hanger, myPipe)=True
        getObjectInterval(Hanger)>4.5 m
}


 




Python Code 변환 예정



14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제 4조 8 항

⑧연소방지설비는 습식외의 방식으로 하여야 한다.





//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4조 (배관) 8항
Check(NFSC506_4_8){
	KS
}

KS{
	getObjectProperty(CombustionProtectionSystem.type) != "WetPipeCombustionProtectionSystem"
} 




Python Code 변환 예정



15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제 6조 6호

6. 송수구로부터 주배관에 이르는 연결배관에는 개폐밸브를 설치하지 아니할 것





//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6조 (송수구) 6호
Check(NFSC506_6_0_6){
	KS
}

KS{
	Port myPort{
		getObjectProperty(Port.typeForWater) = "FireDepartmentConnection"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Riser) = TRUE
	}


	Pipe myPipe{
		isConnectedTo(Pipe, myPort) = TRUE
		isConnectedTo(Pipe, myPipe2) = TRUE
	}

	Valve myValve{
		isObjectProperty(Valve.isShutoffValve) = TRUE
	}

	isInstalled(myValve, myPipe) = FALSE
} 




Python Code 변환 예정



16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 6조 1 항 1호

1. 배관 내 사용압력이 1.2 ㎫ 미만일 경우에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또는 동등 이상의 강도·내식성 및 내열성을 가진 것<신설 2013.6.10>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1항 1호

Check(NFSC102_6_1_1){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Pipe.workingPressure) < 1.2
}
KS{
	getResult(NFSC102_6_1_1_가)=TRUE
	getResult(NFSC102_6_1_1_나)=TRUE
	getResult(NFSC102_6_1_1_다)=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17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 6조 1 항 1호 가 목

가. 배관용 탄소강관(KS D 3507)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1항 1호 가목

Check(NFSC102_6_1_1_가){
	KS
}
KS{
	getObjectProperty(Pipe.Material) = "KS_D_3507"
} 




Python Code 변환 예정



18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 6조 1 항 1호 나 목

나. 이음매 없는 구리 및 구리합금관(KS D 5301). 다만, 습식의 배관에 한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1항 1호 나목

Check(NFSC102_6_1_1_나){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Pipe.systemType) = "WetPipeSprinklerSystem"
}
KS{
	getObjectProperty(Pipe.Material) = "KS_D_5301"
} 




Python Code 변환 예정



19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 6조 1 항 1호 다 목

다. 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KS D 3576) 또는 일반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KS D 3595)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1항 1호 다목

Check(NFSC102_6_1_1_다){
	KS
}
KS{
	getObjectProperty(Pipe.Material) = "KS_D_3576"
	OR getObjectProperty(Pipe.Material) = "KS_D_3595"
} 




Python Code 변환 예정



20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 6조 1 항 2호

2. 배관 내 사용압력이 1.2 ㎫ 이상일 경우에는 압력배관용탄소강관(KS D 3562)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내식성 및 내열성을 가진 것<신설 2013.6.10>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1항 2호

Check(NFSC102_6_1_2){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Pipe.workingPressure) >= 1.2
}
KS{
	getObjectProperty(Pipe.Material) = "KS D 3562"
} 




Python Code 변환 예정



21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 6조 2 항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장소에는 국민안전처장관이 정하여 고시한 「소방용합성수지배관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한 소방용 합성수지배관으로 설치할 수 있다.<개정 2013.6.10, 2015.1.23.>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2항 

Check(NFSC102_6_2){
	IF CS THEN KS1 OR KS2
}

CS{
	getResult(NFSC102_6_2_2) = TRUE
	OR getResult(NFSC102_6_2_3) = TRUE
}
KS1{
	getResult(NFSC102_6_1) = TRUE
}
KS2{
	isObjectProperty(Pipe.isSyntheticResinForfirefighting)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22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 6조 2 항 2호

2.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된 덕트 또는 피트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Check(NFSC102_6_2_2){
	KS
}
KS{
	Duct myDcut{
	isFireResistantStructure(Duct) = TRUE
	}
	isInstalled(Pipe, Duct) = TRUE
	OR isInstalled(Pipe, Pit.Inside)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23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 6조 5 항 1호

1. 공기고임이 생기지 아니하는 구조로 하고 여과장치를 설치할 것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5항 1호
Check(NFSC102_6_5_1){
	KS
}
KS{
	Pipe myPipe{
		isInstalled(Pump.Inlet, Pipe) = TRUE
	}
	isInstalled(myPipe,Filter)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24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 6조 5 항 2호

2. 수조가 펌프보다 낮게 설치된 경우에는 각 펌프(충압펌프를 포함한다)마다 수조로부터 별도로 설치할 것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5항 2호
Check(NFSC102_6_5_2){
	IF CS THEN KS
}
CS{
	getObjectVerticalLocation(Pump, Tank) < 0 
}
KS{
	Pipe myPipe{
		isInstalled(Pump.Inlet, Pipe) = TRUE
	}
	isInstalled(myPipe, Pump.One)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25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 6조 8 항 1호

1. 성능시험배관은 펌프의 토출측에 설치된 개폐밸브 이전에서 분기하여 설치하고, 유량측정장치를 기준으로 전단 직관부에 개폐밸브를 후단 직관부에는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할 것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8항 1호
Check(NFSC102_6_8_1){
	KS
}

KS{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ForPerformanceTest) = TRUE
	}

	Valve myValve{
		isObjectProperty(Valve.isShutoffValve) = TRUE
		isInstalled(Valve, Pump.Outlet) = TRUE
	}

	Valve myValve2{
		isObjectProperty(Valve.isShutoffValve) = TRUE
		isInstalled(Valve, Pump.Outlet) = FALSE
	}

	Valve myValve3{
		isObjectProperty(Valve.isFloatControlValve) = TRUE
	}

	isDiverged(Pump, myPipe) = TRUE
	getObjectDistance(Pump.StartPart, myPipe) < getObjectDistance(Pump.StartPart, myValve)

	isInstalled(myValve2, myPipe) = TRUE
	isInstalled(myValve3, myPipe)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26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 6조 8 항 2호

2. 유량측정장치는 성능시험배관의 직관부에 설치하되, 펌프의 정격토출량의 175% 이상 측정할 수 있는 성능이 있을 것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8항 2호
Check(NFSC102_6_8_2){
	KS
}

KS{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ForPerformanceTest) = TRUE
	}

	isInstalled(DischargeMeasuringEquipment, myPipe)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27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제 7조 5 항 6호

6. 파이프덕트 등 그 밖의 이와 비슷한 것으로서 2개층 마다 방화구획된 것이나 수평단면적이 5㎡ 이하인 것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7조 (감지기) 5항 6호

Check(NFSC203_7_5_6){
	IF CS THEN KS
}
CS{
	Duct myDuct{
	isObjectProperty(Duct.isPipeDuct) = TRUE
	}
	isFirePartition(myDuct, 2층) = TRUE
	OR isObjectProperty(Duct.horizontalSectionalArea) <= 5m2
KS{
	isInstalled(Sensor) = FALSE
}
 




Python Code 변환 예정



  ◁prev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