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기준) 설계품질검토용 건축법 및 관련법규 - KBIMCode (문장단위)
      KBIMCode - KBimAssess Python Code     KBIMCode - 체크리스트 단위     KBIMCode - 조항단위
    1      
1 / 1 page Total 2500 / 4000 records
Select
ALL
None
#
Law
Jo
JO Name
HANG
HO
MOK
Text
Search!
1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9조 3호

3. 높이 31미터를 넘는 층수가 4개층이하로서 당해 각층의 바닥면적의 합계 200제곱미터(벽 및 반자가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을 불연재료로 한 경우에는 500제곱미터)이내마다 방화구획으로 구획한 건축물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9조 (비상용승강기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건축물) 3호

Check(RFB_9_0_3){

    KS

}



KS{

    getBuildingHeight()>31 m

    getBuildingStoriesCount()<=4

    IF isObjectProperty(Wall.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isObjectProperty(CeilingCovering.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THEN isFirePartition(Floor, a,500)=TRUE 

    ELSE THEN isFirePartition(Floor, a,200)=TRUE 

    END IF

} 




Python Code 변환 예정



2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0조 3호 가 목

가. 승강로는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할 것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0조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3호 가목
Check(RFB_10_0_3_가){
	KS
}
KS{
	Elevator myElevator{
		isObjectProperty(Elevator.isEmergency)=TRUE
	}

	isObjectProperty(myElevator.ElevatorShaft.isFirePartition)=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3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4조 1 항 1호

1. 영 제46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에 방화구획이 설치된 경우에는 그 구획마다 1개소 이상의 배연창을 설치하되, 배연창의 상변과 천장 또는 반자로부터 수직거리가 0.9미터 이내일 것. 다만, 반자높이가 바닥으로부터 3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배연창의 하변이 바닥으로부터 2.1미터 이상의 위치에 놓이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4조 (배연설비) 1항 1호

Check(RFB_14_1_1){

	IF (CS) THEN KS1 AND KS2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FirePartition) = TRUE

	}





CS{

	isObjectProperty(Building.isFirePartition) = TRUE

}



KS1{

	

	hasSpace(myZone, SmokeVentilator) = TRUE

	

	getObjectVerticalDistance(SmokeVentilator, Ceiling) < 0.9 m

	OR getObjectVerticalDistance(SmokeVentilator, CeilingCovering) < 0.9 m

}



KS2{	

	IF{

		getSpaceHeight(myZone, b) >= 3 m

	}



	THEN{

		getObjectVerticalDistance(SmokeVentilator, FloorSlab) >= 2.1 m 

	}

} 




Python Code 변환 예정



4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4조 1 항 2호

2. 배연창의 유효면적은 별표 2의 산정기준에 의하여 산정된 면적이 1제곱미터 이상으로서 그 면적의 합계가 당해 건축물의 바닥면적(영 제46조제1항 또는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방화구획이 설치된 경우에는 그 구획된 부분의 바닥면적을 말한다)의 100분의 1이상일 것. 이 경우 바닥면적의 산정에 있어서 거실바닥면적의 20분의 1 이상으로 환기창을 설치한 거실의 면적은 이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4조 (배연설비) 1항 2호
Check(RFB_14_1_2){
	IF (CS) THEN (KS1 OR KS2)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FirePartition) = TRUE
}

Space mySpace{
	getSpaceUsage(Space) = "Room"
	getTotalElementArea(Ventilator) >= getFloorArea(Space)*0.05
}

Space mySpace2{
	hasSpace(Space, myZone) = TRUE
	getResult(EDBA_46_1) = TRUE 
	getREsult(EDBA_46_3) = TRUE
}

CS{
	getElementArea(SmokeVentilator) >= 1 m2
	getResult(RFB_*_2) = TRUE
}

KS1{
	getTotalElementArea(Ventilator) >= (getBuildingArea()-getFloorArea(mySpace))*0.01
}

KS2{
	getTotalElementArea(Ventilator) >= (getFloorArea(myZone)-getFloorArea(mySpace))*0.01
} 




Python Code 변환 예정



5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1호

11. 전기설비부문





//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 4조 (전원 및 콘센트 등) 1항 3호 라목

Check(NFSC504_4_1_3_4){

	KS

}



KS{

	Room myRoom{

		isInstalled(EmergencyPower, Room) = TRUE

	}



	isFirePartitioned(myRoom)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6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7조 3호 라 목

라. 건물의 창 및 문은 가능한 작게 설계하고, 특히 열손실이 많은 북측 거실의 창 및 문의 면적은 최소화한다.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2조 (전원) 3항 4호
Check(NFSC103_12_3_4){
	KS
}

KS{
	Space mySpace{
		isInstalled(EmergencyPower, Space) = TRUE
	}

	isFirePartitioned(mySpace)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4조의2조 2호

2. 공동주택등(당해 공동주택등에 출입하는 통로를 포함한다)과 위락시설등(당해 위락시설등에 출입하는 통로를 포함한다)은 내화구조로 된 바닥 및 벽으로 구획하여 서로 차단할 것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의 2 (복합건축물의 피난시설 등) 2호

Check(REFB_14-2_0_2){
    KS
}

KS{
  Space mySpace{
  Space.usage="MultiUnitHouse"  
  OR Space.usage="MedicalFacility"
  OR Space.usage="ChildrenRelatedFacility"
  OR Space.usage="WelfareFacilityForTheAged"
  }
 
 Space mySpace2{
 Space.usage="AmusementFacility"  
 OR Space.usage="FacilityForStorageAndTreatmentOfDangerousSubstance"
 OR Space.usage="Factory"
 OR Space.usage="AutomobileRepairShop"
 }

 Passage myPassage{
    isAccessible(Passage, mySpace)=True
    OR isAccessible(Passage, mySpace2)=True
 }


 isFirePartition(mySpace)=True
 isFirePartition(mySpace2)=True
 isFirePartition(myPassage)=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8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4조 1 항 1호

1. 10층 이하의 층은 바닥면적 1천제곱미터(스프링클러 기타 이와 유사한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바닥면적 3천제곱미터)이내마다 구획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방화구획의 설치) 1항1호



check(REFB_14_1_1){KS

}



KS{

	Floor myFloor{

		Floor.number>=10

	}



	IF (


        isExist(SprinklerSystem)=TRUE 
isObjectProperty(ExtinguishingSystem.isAutomatic) = TRUE


        ) 

	(

        isFirePartition(myFloor, 3000)=TRUE

        OR isFirePartition(myFloor, a, 1000)=TRUE

        )

	

} 




Python Code 변환 예정



9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4조 1 항 2호

2. 3층 이상의 층과 지하층은 층마다 구획할 것. 다만, 지하 1층에서 지상으로 직접 연결하는 경사로 부위는 제외한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방화구획의 설치) 1항2호

check(REFB_14_1_2){
IF CS THEN KS
}

KS{
  Floor myFloor { 
         Floor.number>=3
         AND Floor.number<0
         }
  isObjectProperty(myFloor.isFirePartition)=TRUE
}



CS{
  Ramp myRamp{
         isGoThrough(getFloor(Floor.number=-1),Ramp,Ground)=TRUE
         }
         isObjectProperty(myRamp.isFirePartition)=FALSE  
}


 




Python Code 변환 예정



1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4조 1 항 3호

3. 11층 이상의 층은 바닥면적 200제곱미터(스프링클러 기타 이와 유사한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600제곱미터)이내마다 구획할 것. 다만, 벽 및 반자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을 불연재료로 한 경우에는 바닥면적 500제곱미터(스프링클러 기타 이와 유사한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1천500제곱미터)이내마다 구획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방화구획의설치) 1항3호





check(REFB_14_1_3){

KS2 AND IF CS THEN KS

}



  

Floor myFloor {

		getFloorNumebr()>= 11

              } 





KS2{

     isFirepartition(myFloor,200)=TRUE 

     OR 

     ((isExist(SprinklerSystem) = TRUE 

      OR isObjectProperty(ExtinguishingSystem.isAutomatic) = TRUE)

      AND isFirepartition(myFloor,600)=TRUE)

}



CS1 {

     isObjectProperty(Space.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



KS1 {

     isFirepartition(myFloor,500)=TRUE

     OR

      ((isExist(SprinklerSystem) = TRUE 

      OR isObjectProperty(ExtinguishingSystem.isAutomatic) = TRUE)

      AND isFirepartition(myFloor,1500)=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11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5조 1 항 2호

2. 바닥면적이 1천제곱미터이상인 층에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을 영 제46조의 규정에 의한 방화구획으로 구획되는 각 부분마다 1개소 이상 설치하되, 이를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의 구조로 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1항 2호

check(REFB_25_1_2){

	IF CS THEN KS

}



CS{

	getTotalFloorArea(Floor) >= 1000 m2

}



KS{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isDirectlyAccessible(Stair, Ground) = TRUE

		OR isDirectlyAccessible(Stair, myFloor) = TRUE)



		(isObjectProperty(Stair.isEscape) = TRUE

		OR isObjectProperty(Stair.isSpecialEscape) = TRUE)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FirePartition) = TRUE

	}



	hasSpace(myZone, myStair)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12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3조 3 항 3호

3. 출입구·창문을 제외한 부분은 해당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의 바닥 및 벽으로 구획할 것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3조 (헬리포트 및 구조공간 설치 기준) 3항 3호



Check(REFB_13_3_3){

     KS

}







KS{ 

Space mySpace{
isObjectProperty(Space.isEscape) = TRUE
}

   isFirePartition(mySpace)=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13
건축법 시행령 제 61조 1 항

①법 제52조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용도 및 규모의 건축물"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건축물을 말한다. 다만, 그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되어 있고 그 거실의 바닥면적(스프링클러나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바닥면적을 뺀 면적으로 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200제곱미터 이내마다 방화구획이 되어 있는 건축물은 제외한다. <개정 2009.7.16, 2010.2.18, 2010.12.13, 2013.3.23, 2014.3.24, 2014.8.27, 2014.10.14, 2015.9.22, 2017.2.3>





//건축법 시행령 61조 (건축물의 마감재료) 1항

Check(EDBA_61_1){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MainStructuralPart.isFireResistantStructure)=TRUE

 OR isObjectProperty(MainStructuralPart.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isFirePartition(Room.Floor, a, 200)=TRUE



 

}



KS{

    getResult(EDBA_61_1_1)=TRUE

    OR getResult(EDBA_61_1_2)=TRUE

    OR getResult(EDBA_61_1_3)=TRUE

    OR getResult(EDBA_61_1_4)=TRUE

    OR getResult(EDBA_61_1_5)=TRUE

    OR getResult(EDBA_61_1_6)=TRUE

    OR getResult(EDBA_61_1_7)=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14
건축법 시행령 제 46조 4 항 2호

2. 대피공간은 실내의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으로 구획될 것





//건축법 시행령 46조 (방화구획의 설치) 4항 2호

check(EDBA_46_4_2){

KS

}



KS{
Space mySpace{
isObjectProperty(Space.isEscape) = TRUE
}
isObjectProperty(mySpace.isFirePartition)=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15
건축법 시행령 제 35조 1 항 2호

2. 5층 이상인 층의 바닥면적 200제곱미터 이내마다 방화구획이 되어 있는 경우





//건축법 시행령 35조(피난계단의 설치) 1항2호

Check(EDBA_35_1_2){

	KS

}



KS { 

	Floor myFloor { 

	 	Floor.number >= 5 

	} 



	isFirePartition(myFloor, a, 200)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16
건축법 시행령 제 44조

제44조 (피난 규정의 적용례) 건축물이 창문, 출입구, 그 밖의 개구부(開口部)(이하 "창문등"이라 한다)가 없는 내화구조의 바닥 또는 벽으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구획된 각 부분을 각각 별개의 건축물로 보아 제34조부터 제41조까지를 적용한다.





//건축법 시행령 44조 (피난 규정의 적용례)



Check(EDBA_44){

   IF CS THEN KS

}



CS{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True

   }



   Object  myElement {

        getObject(Window)

        getObject(Opening)

        getObject(myDoor)

   }

   

   FloorSlab myFloorSlab{



        getObjectProperty(FloorSlab.isFireResistantStructure)=True

   }



     Wall myWall{

        getObjectProperty(FloorSlab.isFireResistantStructure)=True

        hasObject(Wall, myElement) =False

   }



   isFirePartition(Building, myFloorSlab)=True

   OR  isFirePartition(Building, myWall)=True

   



}



KS{

   getResult(EDBA_34)=True

   getResult(EDBA_35)=True

   getResult(EDBA_36)=True

   getResult(EDBA_37)=True

   getResult(EDBA_38)=True

   getResult(EDBA_39)=True

   getResult(EDBA_40)=True

   getResult(EDBA_41)=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17
건축법 시행령 제 46조 1 항

① 법 제49조제2항에 따라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로서 연면적이 1천 제곱미터를 넘는 것은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내화구조로 된 바닥·벽 및 제64조에 따른 갑종 방화문(국토해양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자동방화셔텨를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으로 구획(이하 "방화구획"이라 한다)하여야 한다. 다만, 「원자력법」 제2조에 따른 원자로 및 관계시설은 「원자력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건축법 시행령 46조 (방화구획의 설치) 1항

Check(EDBA_46_1){

   IF (!CS1 AND CS2) THEN KS

}





CS1{

  getBuildingUsage()="NuclearReactorAndRelatedFacility"

}



CS2{

  (isObjectProperty(MainStructuralPart.isFireResistantStructure)=TRUE

  OR isObjectProperty(MainStructuralPart.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AND Building.grossFloorArea>1000 m2

}



KS{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Slab.isFireResistantStructure)=TRUE

  }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FireResistantStructure)=TRUE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StrictFireproofDoor)=TRUE

  }



  isFirePartition(Building, myFloor)=TRUE

  AND  isFirePartition(Building, myWall)=TRUE

  AND  isFirePatrition(Building, myDoor)=TRUE



  AND getResult(REFB_14_1)=TRUE

  AND getResult(REFB_14_2)=TRUE

  AND getResult(REFB_14_3)=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18
건축법 시행령 제 46조 2 항 3호

3. 계단실부분·복도 또는 승강기의 승강로 부분(해당 승강기의 승강을 위한 승강로비 부분을 포함한다)으로서 그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으로 구획된 부분





//건축법 시행령 46조 (방화구획의 설치) 2항 3호

check(EDBA_46_2_3){

KS

}



KS{

 isObjectProperty(Stair.Space.isFirePartition)=TRUE

 OR isObjectProperty(Passage.isFirePartition)=TRUE

 OR isObjectProperty(ElevatorShaft.isFirePartition)=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19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 제 4조 1 항 4호 나 목

나. 특정소방대상물의 각층이 2 이상의 거실로 구획된 경우에는 가목의 규정에 따라 각 층마다 설치하는 것 외에 바닥면적이 33㎡ 이상으로 구획된 각 거실(아파트의 경우에는 각 세대를 말한다)에도 배치할 것<개정 2012.6.11>





//소화기구 및 자동 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 4조 (설치기준) 1항 3호 나목

Check(NFSC101_4_1_3_나){
    IF CS THEN KS
}

CS{
    isFirePartitioned(Floor.One, Room.Two, SpecificFireFightingBuilding)=True
}

KS{
   Room myRoom{
         isFirePartion(Room, a, 33)=True
   }
   isInstalled(FireExtinguishingEquipment, myRoom)=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20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제 7조 5 항 6호

6. 파이프덕트 등 그 밖의 이와 비슷한 것으로서 2개층 마다 방화구획된 것이나 수평단면적이 5㎡ 이하인 것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7조 (감지기) 5항 6호

Check(NFSC203_7_5_6){
	IF CS THEN KS
}
CS{
	Duct myDuct{
	isObjectProperty(Duct.isPipeDuct) = TRUE
	}
	isFirePartition(myDuct, 2층) = TRUE
	OR isObjectProperty(Duct.horizontalSectionalArea) <= 5m2
KS{
	isInstalled(Sensor) = FALSE
}
 




Python Code 변환 예정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