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4 조
①영 제46조제1항 본문에 따라 건축물에 설치하는 방화구획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해야 한다. <개정 2010.4.7, 2019.8.6> ②제1항에 따른 방화구획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해야 한다. <개정 2003.1.6, 2005.7.22, 2006.6.29, 2008.3.14, 2010.4.7, 2012.1.6, 2013.3.23, 2019.8.6> 가. 「산업표준화법」에 따른 한국산업표준에서 내화충전성능을 인정한 구조로 된 것 ③ 영 제46조제5항제3호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덮개, 사다리, 경보시스템을 포함한다)의 구조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해야 한다. <신설 2010.4.7, 2019.8.6> 3. 아래층에서는 바로 위층의 피난구를 열 수 없는 구조일 것 2. 외벽과 바닥 사이에 틈이 생긴 때나 급수관ㆍ배전관 그 밖의 관이 방화구획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관통하는 경우 그로 인하여 방화구획에 틈이 생긴 때에는 그 틈을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메울 것 3. 환기ㆍ난방 또는 냉방시설의 풍도가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그 관통부분 또는 이에 근접한 부분에 다음 각목의 기준에 적합한 댐퍼를 설치할 것. 다만, 반도체공장건축물로서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풍도의 주위에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14조(방화구획의 설치기준) ①영 제46조에 따라 건축물에 설치하는 방화구획은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2010.4.7.> ③ 영 제46조제5항제3호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덮개, 사다리, 경보시스템을 포함한다)의 구조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신설 2010.4.7.> 2. 상층ㆍ하층간 피난구의 설치위치는 수직방향 간격을 15센티미터 이상 띄어서 설치할 것 나.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이 국토해양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준에 따라 내화충전성능을 인정한 구조로 된 것 3. 환기·난방 또는 냉방시설의 풍도가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그 관통부분 또는 이에 근접한 부분에 다음 각목의 기준에 적합한 댐퍼를 설치할 것. 다만, 반도체공장건축물로서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풍도의 주위에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가. 철재로서 철판의 두께가 1.5밀리미터 이상일 것 나.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연기의 발생 또는 온도의 상승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닫힐 것 다. 닫힌 경우에는 방화에 지장이 있는 틈이 생기지 아니할 것 라. 「산업표준화법」에 의한 한국산업규격상의 방화댐퍼의 방연시험방법에 적합할 것 ③ 영 제46조제5항제3호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덮개, 사다리, 경보시스템을 포함한다)의 구조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신설 2010.4.7> 1. 피난구의 덮개는 제26조에 따른 비차열 1시간 이상의 내화성능을 가져야 하며, 피난구의 유효 개구부 규격은 직경 60센티미터 이상일 것 2. 상층·하층간 피난구의 설치위치는 수직방향 간격을 15센티미터 이상 띄어서 설치할 것 3. 아래층에서는 바로 윗층의 피난구를 열 수 없는 구조일 것 4. 사다리는 바로 아래층의 바닥면으로부터 50센터미터 이하까지 내려오는 길이로 할 것 5. 덮개가 개방될 경우에는 건축물관리시스템 등을 통하여 경보음이 울리는 구조일 것 6. 피난구가 있는 곳에는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를 설치할 것 ②제1항에 따른 방화구획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03.1.6, 2005.7.22, 2006.6.29, 2008.3.14, 2010.4.7, 2012.1.6> 2. 외벽과 바닥 사이에 틈이 생긴 때나 급수관·배전관 그 밖의 관이 방화구획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관통하는 경우 그로 인하여 방화구획에 틈이 생긴 때에는 그 틈을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메울 것 ④ 제2항제2호에 따른 건축물의 외벽과 바닥 사이의 내화충전방법에 필요한 사항은 국토해양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신설 2012.1.6> ②제1항에 따른 방화구획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03.1.6, 2005.7.22, 2006.6.29, 2008.3.14, 2010.4.7, 2012.1.6, 2013.3.23> 나.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이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준에 따라 내화충전성능을 인정한 구조로 된 것 ④ 제2항제2호에 따른 건축물의 외벽과 바닥 사이의 내화충전방법에 필요한 사항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신설 2012.1.6, 2013.3.23> 제14조(방화구획의 설치기준) ①영 제46조에 따라 건축물에 설치하는 방화구획은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2010.4.7> 1. 10층 이하의 층은 바닥면적 1천제곱미터(스프링클러 기타 이와 유사한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바닥면적 3천제곱미터)이내마다 구획할 것 2. 3층 이상의 층과 지하층은 층마다 구획할 것. 다만, 지하 1층에서 지상으로 직접 연결하는 경사로 부위는 제외한다. 3. 11층 이상의 층은 바닥면적 200제곱미터(스프링클러 기타 이와 유사한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600제곱미터)이내마다 구획할 것. 다만, 벽 및 반자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을 불연재료로 한 경우에는 바닥면적 500제곱미터(스프링클러 기타 이와 유사한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1천500제곱미터)이내마다 구획하여야 한다. ②제1항에 따른 방화구획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03.1.6, 2005.7.22, 2006.6.29, 2008.3.14, 2010.4.7> 1. 영 제46조의 규정에 의한 방화구획으로 사용하는 제26조에 따른 갑종방화문은 언제나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화재로 인한 연기, 온도, 불꽃 등을 가장 신속하게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로 할 것 2. 급수관·배전관 그 밖의 관이 방화구획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관통하는 경우 그로 인하여 방화구획에 틈이 생긴 때에는 그 틈을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메울 것 가. 「산업표준화법」에 따른 한국산업규격에서 내화충전성능을 인정한 구조로 된 것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방화구획의 설치) 1항
check(REFB_14_1){ KS }
KS{ getResult(REFB_14_1_1) = TRUE AND getResult(REFB_14_1_2) = TRUE AND getResult(REFB_14_1_3) = TRU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방화구획의 설치) 1항1호
check(REFB_14_1_1){KS
}
KS{
Floor myFloor{
Floor.number>=10
}
IF (
isExist(SprinklerSystem)=TRUE isObjectProperty(ExtinguishingSystem.isAutomatic) = TRUE
)
(
isFirePartition(myFloor, 3000)=TRUE
OR isFirePartition(myFloor, a, 1000)=TRUE
)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방화구획의 설치) 1항2호
check(REFB_14_1_2){ IF CS THEN KS }
KS{ Floor myFloor { Floor.number>=3 AND Floor.number<0 } isObjectProperty(myFloor.isFirePartition)=TRUE }
CS{ Ramp myRamp{ isGoThrough(getFloor(Floor.number=-1),Ramp,Ground)=TRUE } isObjectProperty(myRamp.isFirePartition)=FALS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방화구획의설치) 1항3호
check(REFB_14_1_3){
KS2 AND IF CS THEN KS
}
Floor myFloor {
getFloorNumebr()>= 11
}
KS2{
isFirepartition(myFloor,200)=TRUE
OR
((isExist(SprinklerSystem) = TRUE
OR isObjectProperty(ExtinguishingSystem.isAutomatic) = TRUE)
AND isFirepartition(myFloor,600)=TRUE)
}
CS1 {
isObjectProperty(Space.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
KS1 {
isFirepartition(myFloor,500)=TRUE
OR
((isExist(SprinklerSystem) = TRUE
OR isObjectProperty(ExtinguishingSystem.isAutomatic) = TRUE)
AND isFirepartition(myFloor,1500)=TRUE)
}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방화구획의 설치기준) 3항
Check(REFB_14_3){ KS }
KS{ getResult(REFB_14_3_1)=True getResult(REFB_14_3_2)=True getResult(REFB_14_3_3)=True getResult(REFB_14_3_4)=Tru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방화구획의 설치기준) 3항 1호
Check(REFB_14_3_1){ KS }
KS{ Opening myOpening { isObjectProperty(Opening.isEscape)=True }
getObjectDiameter(myOpening)>60 cm }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방화구획의 설치기준) 3항 2호
Check(REFB_14_3_2){ KS }
KS{ getObjectVerticalDistance(myOpening, myOpening)> 15 cm }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방화구획의 설치기준) 3항 4호
Check(REFB_14_3_4){
KS
}
KS{
getObjectVerticalDistance(Ladder, Floor.LowerFloor.FloorSlab.Surface, a)<= 50 cm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