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품질검토 대상법규   |   조항단위 법규   |   문장단위 법규   |   KBimCode-Assess 연동모듈   |   KBimCode DB   |   주어부 - 객체,속성 DB   |   서술부 - 함수 DB   |   관계부 - 문장관계   |   룰셋생성모듈   |  
( 기준) 국가법령정보센터의 대한민국 전체 법규 목록
    1      
1 / 1 page Total 1 records   
Select
ALL
None
#
ID
법규 및 조항 KBimCode 변환
1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5 조
제25조(지하층의 구조) ①법 제53조에 따라 건축물에 설치하는 지하층의 구조 및 설비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2003.1.6., 2005.7.22., 2006.6.29., 2010.4.7., 2010.12.30.>
1의2. 제2종근린생활시설 중 공연장ㆍ단란주점ㆍ당구장ㆍ노래연습장, 문화 및 집회시설중 예식장ㆍ공연장, 수련시설 중 생활권수련시설ㆍ자연권수련시설, 숙박시설중 여관ㆍ여인숙, 위락시설중 단란주점ㆍ유흥주점 또는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2조에 따른 다중이용업의 용도에 쓰이는 층으로서 그 층의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50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에는 직통계단을 2개소 이상 설치할 것
②제1항제1호에 따른 지하층의 비상탈출구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다만, 주택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00.6.3., 2010.4.7.>
제25조(지하층의 구조)
①「건축법」 제53조에 따라 건축물에 설치하는 지하층의 구조 및 설비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2003.1.6, 2005.7.22, 2006.6.29, 2010.4.7>
1. 거실의 바닥면적이 50제곱미터 이상인 층에는 직통계단외에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비상탈출구 및 환기통을 설치할 것. 다만, 직통계단이 2개소 이상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의2. 제2종근린생활시설 중 공연장·단란주점·당구장·노래연습장, 문화 및 집회시설중 예식장·공연장, 수련시설 중 생활권수련시설·자연권수련시설, 숙박시설중 여관·여인숙, 위락시설중 단란주점·유흥주점 또는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2조에 따른 다중이용업의 용도에 쓰이는 층으로서 그 층의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50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에는 직통계단을 2개소 이상 설치할 것
2. 바닥면적이 1천제곱미터이상인 층에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을 영 제46조의 규정에 의한 방화구획으로 구획되는 각 부분마다 1개소 이상 설치하되, 이를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의 구조로 할 것
3.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천제곱미터 이상인 층에는 환기설비를 설치할 것
4. 지하층의 바닥면적이 300제곱미터 이상인 층에는 식수공급을 위한 급수전을 1개소이상 설치할 것
②제1항제1호에 따른 지하층의 비상탈출구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다만, 주택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00.6.3, 2010.4.7>
1. 비상탈출구의 유효너비는 0.75미터 이상으로 하고, 유효높이는 1.5미터 이상으로 할 것
2. 비상탈출구의 문은 피난방향으로 열리도록 하고, 실내에서 항상 열 수 있는 구조로 하여야 하며, 내부 및 외부에는 비상탈출구의 표시를 할 것
3. 비상탈출구는 출입구로부터 3미터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할 것
4. 지하층의 바닥으로부터 비상탈출구의 아랫부분까지의 높이가 1.2미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벽체에 발판의 너비가 20센티미터 이상인 사다리를 설치할 것
5. 비상탈출구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복도나 직통계단에 직접 접하거나 통로 등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복도나 직통계단까지 이르는 피난통로의 유효너비는 0.75미터 이상으로 하고, 피난통로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과 그 바탕은 불연재료로 할 것
6. 비상탈출구의 진입부분 및 피난통로에는 통행에 지장이 있는 물건을 방치하거나 시설물을 설치하지 아니할 것
7. 비상탈출구의 유도등과 피난통로의 비상조명등의 설치는 소방법령이 정하는 바에 의할 것
①법 제53조에 따라 건축물에 설치하는 지하층의 구조 및 설비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2003.1.6, 2005.7.22, 2006.6.29, 2010.4.7, 2010.12.3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1항 1호

check(REFB_25_1_1){

     IF !(CS) THEN KS

}



KS{

     Floor myFloor1{

          hasSpace(Floor,Room) = TRUE

          getTotalArea(Room) >= 50 m2

     }



     Floor myFloor2{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functionType) = "Emergency"

          (isDirectlyAccessible(Door, myFloor2) = TRUE

          OR isDirectlyAccessible(Door, Ground) = TRUE)

     }

     

     hasSpace(myFloor1, myDoor)

     OR (hasSpace(myFloor1, VentilatorPipe) = TRUE

     (isDirectlyAccessible(VentilatorPipe, myFloor2) = TRUE

     OR isDirectlyAccessible(VentilatorPipe, Ground) = TRUE))

}



CS{

     Floor myFloor1{

          hasSpace(Floor,Room) = TRUE

          getTotalArea(Room) >= 50 m2

     }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hasSpace(myFloor1, Stair) = TRUE

     }



     getObjectCount(myStair) >= 2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1항 1의2호
check(REFB_25_1_1-2){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PerformanceHall"
     OR getBuildingUsag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Pubs"
     OR getBuildingUsag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BilliardRoom"
     OR getBuildingUsag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Karaoke"
     OR getBuildingUsage() = "CulturalAndAssemblyFacility.WeddingHall"
     OR getBuildingUsage() = "CulturalAndAssemblyFacility.PerformanceHall"
     OR getBuildingUsage() = "TrainingFacility.TrainingFacilityInLivingZone"
     OR getBuildingUsage() = "TrainingFacility.??LivingZone"
     OR getBuildingUsage() = "LodgingFacility.Inn"
     OR getBuildingUsage() = "AmusementFacility.Pubs"
     OR getBuildingUsage() = "AmusementFacility.Tavern"
     OR getResult(ERSASP_2) = TRUE)

     getTotalFloorArea(Room) >= 50 m2
}

KS{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

     getObjectCount(myStair) >= 2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1항 2호 check(REFB_25_1_2){      IF CS THEN KS } CS{      getTotalFloorArea(Floor) >= 1000 m2 } KS{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isDirectlyAccessible(Stair, Ground) = TRUE           OR isDirectlyAccessible(Stair, myFloor) = TRUE)           (isObjectProperty(Stair.isEscape) = TRUE           OR isObjectProperty(Stair.isSpecialEscape) = TRUE)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FirePartition) = TRUE      }      hasSpace(myZone, myStair) = TRU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1항 3호
check(REFB_25_1_3){
     getTotalFloorArea(Room) >= 1000 m2
     isExist(VentilationSystem) = TRU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1항 4호 check(REFB_25_1_4){ Floor myFloor{ Floor.number < 0 }      getTotalFloorArea(myFloor) >= 300 m2      getObjectCount(Hydrant) >= 1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2항
check(REFB_25_2){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 "House"
}

KS{
     getResult(REFB_25_2_1) = TRUE
     getResult(REFB_25_2_2) = TRUE
     getResult(REFB_25_2_3) = TRUE
     getResult(REFB_25_2_4) = TRUE
     getResult(REFB_25_2_5) = TRUE
     getResult(REFB_25_2_7) = TRU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2항 1호

check(REFB_25_2_1){

Door myDoor{
Door.functionType = "Emergency"
Door.Floor.number < 0
}
     getObjectWidth(myDoor, a) >= 0.75 m

     getObjectHeight(myDoor) >= 1.5 m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2항 2호 Check(REFB_25_2_2){ Door myDoor{ Door.functionType = "Emergency" < 0 }      isEgressDirection(myDoor) = TRU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2항 3호 check(REFB_25_2_3){ Door myDoor{ Door.functionType = "Emergency" Door.Floor.number < 0 }      getSpaceDistance(myDoor, Door) >= 3 m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2항 4호 check(REFB_25_2_4){      IF CS THEN KS } CS{ Door myDoor{ Door.functionType = "Emergency" Door.Floor.number < 0 } Floor myFloor{ Floor.number < 0 }      getObjectVerticalDistance(myFloor, myDoor) >= 1.2 m } KS{      isConnectedTo(Wall, Ladder) = TRUE      getObjectProperty(Ladder.footholdWidth) >= 20 cm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2항 5호 check(REFB_25_2_5){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isDirectlyAccessible(Stair, Ground) = TRUE           OR isDirectlyAccessible(Stair, myFloor) = TRUE)      }      Corridor myCorridor{           isDirectlyAccessible(Corridor, myFloor) = TRUE           OR isDirectlyAccessible(Corridor, Ground) = TRUE      } Door myDoor{ Door.functionType = "Emergency" Door.Floor.number < 0 }      (isDirectlyAccessible(myDoor, myStair) = TRUE      OR isDirectlyAccessible(myDoor, myCorridor) = TRUE      OR isGoThrough(myDoor, Corridor, myStair) = TRUE      OR isGoThrough(myDoor, Corridor, myCorridor) = TRUE) Passage myPassage{ isObjectProperty(Passage.isEscape) = TRUE }      getSpaceWidth(myPassage) >= 0.75 m      isObjectProperty(myPassage.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2항 7호 check(REFB_25_2_7){      Door myDoor{ Door.functionType = "Emergency" Door.Floor.number < 0 } Light myLight{ isObjectProperty(Light.isEmergency) = TRUE } Passage myPassage{ isObjectProperty(Passage.isEscape) = TRUE }      hasElement(myDoor, LeadingLight) = TRUE      hasElement(myPassage, myLight) = TRU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1항
check(REFB_25_1){
KS
}


KS{
     getResult(REFB_25_1_1) = TRUE
     AND getResult(REFB_25_1_1-2) = TRUE
     AND getResult(REFB_25_1_2) = TRUE
     AND getResult(REFB_25_1_3) = TRUE
     AND getResult(REFB_25_1_4) = TRUE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