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 설비 | 29 | 피난용승강기의 설치 및 구조 | 1 | 제29조(피난용승강기의 설치 및 구조) ① 고층건축물에는 법 제64조제1항에 따라 건축물에 설치하는 승용승강기 중 1대 이상을 제30조에 따른 피난용승강기의 설치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준초고층 건축물 중 공동주택은 제외한다. | 20140305 | 20140305 | |||
2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 피난시설 | 30 | 피난용승강기의 설치기준 | 4 | 나 | 나. 가목에 따른 예비전원은 초고층 건축물의 경우에는 2시간 이상, 준초고층 건축물의 경우에는 1시간 이상 작동이 가능한 용량일 것 | 20181018 | 20181018 | ||
3 |
건축법 시행령 | 대지 및 건축면적 | 119 | 면적 등의 산정방법 | 1 | 4 | 마 | 마. 제34조제3항 및 제4항에 따라 초고층 건축물과 준초고층 건축물에 설치하는 피난안전구역의 면적 | 20111230 | 20120317 | |
4 |
건축법 시행령 | 피난시설 | 34 | 직통계단의 설치 | 3 | ③ 초고층 건축물에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과 직접 연결되는 피난안전구역(건축물의 피난ㆍ안전을 위하여 건축물 중간층에 설치하는 대피공간을 말한다. 이하 같다)을 지상층으로부터 최대 30개 층마다 1개소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신설 2009.7.16., 2011.12.30.> | 20140429 | 20140429 | |||
5 |
건축법 시행령 | 피난시설 | 34 | 직통계단의 설치 | 4 | ④ 준초고층 건축물에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과 직접 연결되는 피난안전구역을 해당 건축물 전체 층수의 2분의 1에 해당하는 층으로부터 상하 5개층 이내에 1개소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신설 2011.12.30., 2013.3.23.> | 20140429 | 20140429 | |||
6 |
건축법 시행령 | 내화방화 | 47 | 방화에 장애가 되는 용도의 제한 | 1 | 3 | 3. 공동주택과 위락시설이 같은 초고층 건축물에 있는 경우. 다만, 사생활을 보호하고 방범ㆍ방화 등 주거 안전을 보장하며 소음ㆍ악취 등으로부터 주거환경을 보호할 수 있도록 주택의 출입구ㆍ계단 및 승강기 등을 주택 외의 시설과 분리된 구조로 하여야 한다. | 20130323 | 20130323 | ||
7 |
건축법 시행령 | 대지 및 건축면적 | 8 | 건축허가 | 1 | 3 | 3. 지방건축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건축물(특별시 또는 광역시의 건축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지방건축위원회의 심의사항으로 할 수 있는 건축물에 한정하며, 초고층 건축물은 제외한다) | 20190312 | 20190314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