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국, Ph.D., Professor

 

공간및디자인IT연구실 | BIM연구실 |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133-791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연세대학교 삼성관 522

02-2123-3134 | leejinkook@yonsei.ac.kr | leejinkook@gmail.com | www.designitlab.kr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부교수로 재직중인 이진국은주거환경학/실내건축/건축공학/디지털디자인/디자인컴퓨팅 등 유관전공의 연구 개발 및 실무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이공/인문/예술의 융복합을 통해 궁극적으로 ‘보다 머무르기 좋은 공간’이라는 기본적인 목표를 추구한다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학사 및 석사 (구 주거환경학과지도교수 이현수취득 후 박사학위는 미국 조지아텍 건축대학에서 취득하였으며 (지도교수 척이스트만), 조지아텍 디지털빌딩연구소와 오토데스크사 등에서 연구 및 실무를 수행하였고, 한양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조교수를 역임하였다.

전공분야는 컴퓨터와 인간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공간을 디자인하고 구현하는 모든 관련 컴퓨팅 기술을 그 대상으로 하는 디자인컴퓨팅이며, 특히 건물정보모델링 (BIM)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디자인에 대한 공간 프로그램 분석 및 평가 자동화, 동선그래프 시각화, 건물 디자인 리뷰 소프트웨어 개발 및 컴퓨터언어 구현, 건물 에너지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등에 대한 과제를 수행하였다. BIM 응용프로그램개발 등에 관한 연구로 국내외 저널 및 학술대회 논문을 게재/발표하였으며, 공역서로 ‘BIM핸드북이 있다.

BK21, LG연암재단, 조지아텍 Research Assistantship 등의 수혜를 입었으며, 조지아텍 졸업 시 최우수 박사논문상을 수상하였다. 미국 산업체 콘소시움 FIATECH으로부터 기술혁신상, 미국 건축가협회 AIA로부터 BIM어워드를 공동 수상하였고, 국제디지털건축공모전 FEIDAD 등에 입상한바 있다.

 

 

■ 연구 및 관심분야

- 건축계획 분야: 건물 공간계획, 건축프로그램, 동선 등에 대한 정량적 분석 및 평가

- 디지털디자인 분야: CAAD, Computational Design, 디자인 인포그래픽스 등 디지털디자인

- 건물정보모델링(BIM) 분야: BIM Application 연구 및 소프트웨어개발 - IFC기반 건물설계 분석, BIM기반 건물설계, 설계품질검토 자동화, BIM기반 건물에너지분석 등

- 디자인컴퓨팅 제반 분야: 호환성 및 협업, 스마트공간, /앱 개발, 디자인미디어 등

- 학부 및 대학원 담당 교과목: 캐드및그래픽스, 디지털디자인, 디지털사고와 디자인, 디지털디자인과 시각화, 디자인컴퓨팅, 디자인IT, 건물정보모델링(BIM)

 

 

■ 학력

2010 | 박사 (PhD), Major in Architecture & Design Computing at College of Architecture; Minor in Databases at College of Computing,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2003 | 석사 (MS),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2000 | 학사 (BS),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구 주거환경학과)

 

 

■ 경력

2018 ~ |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부교수

2012 ~ 2018 | 한양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조교수

2011 | 오토데스크 IDEA Studio 연구원, 샌프란시스코

2010 ~ 2012 | 조지아텍 디지털빌딩연구소 연구원, 아틀란타

2009 | 조지아텍 빌딩테크놀러지 프로그램 (part-time) 박사과정 연구원

2005 ~ 2010 | 조지아텍 디자인컴퓨팅 프로그램 박사과정 연구원

 

 

■ 수행 및 참여중인 연구개발과제

- 고령친화환경 조성기술 융복합 콘텐츠 연구개발 및 AI지원 시스템 구축,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 PI: 연세대 이진국, 2024.10..01~

- 인공지능 생성모델 기반 대화형 공간디자인 접근방법, PI: 연세대 이진국, 한국연구재단, 2023 ~ 2026

- 융합학문기반 고령친화주거디자인 AI지원시스템, PI: 연세대 이연숙, 한국연구재단, 2022 ~ 2025

- 지능형 실내공간 시각정보 데이터구축 및 실감미디어연계 공간계획, PI: 연세대 이진국, 한국연구재단, 2022 ~ 2026

- 인공지능 기반의 건축설계 자동화 기술개발, PI: 경북대 추승연, 국토교통부, 2021 ~ 2025

- BK21+ Co-space 4.0: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공간복지 혁신인재양성 교육연구단, PI: 연세대 전정윤, 교육부, 2020 ~ 2027.

 

 

■ 완료된 수행 및 참여 연구개발과제

- 근현대 건축문화재 보존/활용 리트로핏 기술 연구실, PI: 연세대 김수민, 한국연구재단, 2021 ~ 2024

- 실내이미지의 객체 및 스타일 기계학습을 통한 인공지능 학습모델 개발과 실내디자인 활용 PI: 이진국, 한국연구재단, 2019 ~ 2022.

- 건물정보모델링기반 설계자동화 및 검토지능화를 위한 인공지능과 실감미디어연계 설계기술 개발 Pl: 이진국, 한국연구재단, 2019 ~ 2022.

- BIM과 딥러닝 활용 디지털융합디자인연구 Pl: 이진국, 연세대, 2018 ~2021.

- 개방형BIM 기반의 건축설계 자동화지원 기술 및 첨단 유지관리 기반기술 개발, PI: 경희대 김인한, 국토교통부, 2017 ~ 2021.

- 인공지능 기반의 건축설계 자동화기술개발, PI 경북대 추승연, 국토교통부, 2018 ~ 2019.

- BIM기반 건축디자인 자동검토를 위한 각종 품질항목의 논리규칙 체계화 및 비주얼랭귀지 개발, PI: 이진국, 한국연구재단, 2015 ~ 2018.

- BK21+ 사업팀 디자인영상분야, 미래기후 및 인구변화 대응형 건물재생디자인 창의인재양성팀 (한양대 실내건축디자인학과), PI: 한양대 남경숙, 교육부, 2013 ~ 2018.

- 건물 리모델링 프로젝트를 위한 건물정보모델링(BIM) 기반 디지털 실내건축디자인 응용기술에 관한 연구, PI: 이진국, 한국연구재단, 2013 ~ 2016.

- 주거복지 구현을 위한 정책기반 구축 및 주거환경 개선 기술개발, 주거복지 테스트베드 구현을 위한 BIM 활용기술 연구팀, PI: 연세대 이연숙, 국토교통부, 2013 ~ 2016.

- 건축물 설계품질 혁신을 위한 개방형BIM 기술 환경 구축, 설계품질검증 자동화를 위한 논리규칙체계 구현 연구팀, PI: 경희대 김인한, 국토교통부, 2013 ~ 2016.

- TOD도시 환경/에너지 부하 평가기술 개발 및 제도화 방안 프로젝트, 도시 에너지소비 및 환경부하 모형 및 소프트웨어 개발관련 하위세부, PI: 제주대 전규엽, 교육과학기술부, 2012 ~ 2014.

- WBS (World Best Software) 프로젝트, K-BIM개발관련 하위세부, PI: 연세대 이강, 지식경제부, 2012 ~ 2013.

- 건물 실내공간디자인 정량평가를 위한 건물정보모델링(BIM) 응용 방법에 관한 연구 - 건축 프로그램 및 동선분석을 중심으로, PI: 이진국, 한국연구재단, 2012 ~ 2013

- 건물정보모델링을 기반으로 한 건물 실내 환경 디자인 분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PI: 이진국, 한양대, 2012 ~ 2013

- 오토데스크사 IDEA Studio 과제: 오토데스크 레빗에 BERA랭귀지 적용 연구, PI: 이진국, Autodesk at San Francisco, 2011

- NEP 소프트웨어: 노마티브계산법 및 네트워크 기반 건물 군에 대한 에너지 성능평가 소프트웨어 개발, 이상훈 박사논문개발, Georgia Tech College of Architecture, 2011

- BIM기반 건설안전 연구: Skanska지원, Tekla 응용 작업자 안전설비 자동화 연구 및 개발, 박사후연구원으로 참여, 2011

- GSA 프로젝트: 미국 연방정부 GSA지원, BIM기반 미국 법원건물 설계 법규 및 지침분석 소프트웨어 개발과제, 박사과정연구원(GRA)으로 참여, 2006 ~ 2010

- BIM리소스@조지아텍: BIM기초연구 및 관련자료 웹 DB 구현, 박사과정연구원(GRA)으로 참여, 2006

- 카타르 에너지표준 과제: 펜실베니아대학 공동연구, 카타르정부의 건물에너지 성능평가 표준을 위한 웹기반 에너지분석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참여, 2009

- 솔라디캐슬론2007: 미국 DOE지원, 조지아텍 솔라디캐슬론 태양에너지주택 초기 BIM적용 연구 및 개발, 박사과정연구원(GRA)으로 참여, 2006

- 이시대의 좋은 디자인 유니버설디자인 전시회 (예술의 전당): 문광부 및 밀레니엄환경디자인연구소, 사용자 설문조사 웹 및 KIOSK용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참여, 2004

- 디지털 직지: 한국유네스코 및 미디어아트연구소, 문화유산 직지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및 개발자로 참여, 2004

- 지식기반 사이버주거: BK21과제 석사과정연구원으로 참여, 2001

 

 

■ 수상

- 한국 CDE 학회 하계학술대회 우수포스터상, 김영채, 채수민, 이진국, GRADIO 기반 360 파노라마 이미지 처리 시스템: 슬라이싱 동영상 생성 인터페이스, 2024.8.22

- 34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이진국, 과학기술인총연합회, 2024.07.11

- 한국 주거학회 춘계, 우수발표논문상, 김보민, 채수민, 김영채, 이진국, 초기 기획단계에서 업무공간 재설계를 위한 평면도 자동 생성, 2024.06.01

- 한국 CDE학회 CDE DX Awards 은상, 이진국, 김구택, 유영진, 김보민, 조하영, 채수민, 정현, 김영채, AI 투시도 생성, 2024.01.30.

- 한국 CDE학회 우수 논문상, 정현, 이진국, 이미지 생성 AI 파인튜닝과 활용 사례실내 공간 상세 스타일 키워드를 중심으로 -, 2024.01.30

- 한국 BIM학회 BIM COMPETITION 우수상, BIM기반 건물 외관 디자인 이미지 생성. 2023.12.01

- 한국 BIM학회 BIM COMPETITION 장려상, BIM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신체노화특성 반영 공간이미지 생성. 2023.12.01

- 한국주거학회 우수발표 논문상, 정현, 이진국, 실내건축공간 디자인 스타일 기반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 활용도 조사, 2023.04.14

- 한국 CDE 학회 우수논문상 학술발표상, 최수형, 조하영, 김영채, 이진국, BIM 기반 소형주택 기준층 모델링 자동화 접근방법, 2023.02.23

- 한국 CDE 학회 우수논문상 학술발표상, 채수민, 송수림, 김보민, 이진국, 신체특성기반 욕실공간객체 상세모델링 자동화, 2023.02.23

- 한국 CDE 학회 우수논문상 학술발표상, 송수림, 채수민, 김보민, 이진국, 고령자 주택 내 사용자 특성별 안전 객체 배치, 2023.02.23

- 공로상, 이진국, 2023.01.14.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분과이사 공로상

- 한국주거학회 우수발표논문상, 최수형, 이진국, 주거 유닛 기반 공간계획 자동화 접근방법 소형 주거 유닛 객체 자동배치 모듈 구현 사례 -, 2022.11.26

- 대한건축학회 우수발표논문상, 이진국, 최수형, BIM 객체 자동생성활용 공간객체기반 설계 접근방법, 2021.04.22

- 대한건축학회 우수졸업논문 장려상, 이상훈, 이진국, Augmented Virtual Reality and 360 Spatial Visualization-based Approach to Supporting Interior Design Decision, 2021.04.21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우수논문상, 딥러닝 기반 실내디자인 스타일 학습모델 구현 및 활용, 2020.12

-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이진국, “설계품질 자동검토 도구를 위한 시각지능기반 BIM객체 인식 구현”,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020.07.03.

- 학술발표상 우수포스터상, 신은서, 김진성, 이상훈, 이진국, “설계품질 자동검토 도구를 위한 시각지능 기반 BIM 객체 인식 구현”, 2020 한국CDE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 2020.03.

- 우수 논문상, 김진성, 이진국, “설계품질 자동검토 도구를 위한 시각지능 기반 BIM 객체 인식 구현”, 한국CDE학회, 2020.02.07

- 최우수 논문상, 김진성, 송재열, 김하얀, 이진국, “딥러닝 기반 이미지 자동인식 기술을 활용한 사무집기 자동인식과 정보관리 시스템과의 연동방안”, 2017년도 하반기 최우수논문상, 2018 FM학회 심포지움, 2018.11.08

- 우수논문발표상, 송재열, 이진국. “BIM기반 공간객체와 속성정보를 이용한 천장 조명객체 자동배치 구현”, 2018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8.10.27

- The Best BIM Innovative Enterprise Award, Inhan Kim, Jungsik Choi, Gutaek Kim, Jin-Kook Lee, "Automated Building Code Checking in Korea” International BIM Award 2017, 2017.11.21

- 우수논문상, 송재열, 이진국. 딥러닝기반 자연어처리기술의 건축 규정 분석 활용 - 건축법규 문장 단어유사도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 buildSMART CONFERENCE 2017 - 한국CDE학회 건축/건설IT 부문 학술대회. pp.21-pp.22

- 학술발표상 우수포스터상, 수도권 지하철역 인근 건물 용도별 에너지사용량 웹기반 시각화 도구 개발”, 2017 한국CDE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

- Best Paper (Top 13 out of 110), “An Approach to Translate Korea Building Act into Computer-readable Form for Automated Design Assessment”, ISARC2015, Selected Top 13 and invited to an SCIE Journal Publication, 2015.06

- 우수발표논문상, 박서경, 이진국, "인허가 관련 건축법규 자동검토를 위한 구현 함수의 정의,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 of High-level Rule Checking Methods for BIM-enabled Building Permit System", 2015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5 1(통권 63), pp.89-90

- 우수논문상, 박서경, 남경숙, 이진국,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한 호텔시설 계획안, A Design Proposal for a Hotel Facility using Voronoi Diagram Applied Design Elements", 2014 20 국제심포지엄 학술대회,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 학회

- 우수논문상, 김지수, 이현수, 신민규, 이상익, 김인한, 이진국, "설계품질검토 자동화를 위한 건축법규 논리규칙 구현 접근방법", BIM Forum&Academic Conference 2014, ()한국건설IT융합학회, 2014.04

- 우수논문상, 신민규, 이현수, 김지수, 김인한, 이진국, "BIM기반 동선관련 법규검토 자동화를 위한 공간객체 관련함수", BIM Forum&Academic Conference 2014, ()한국건설IT융합학회, 2014.04

- LG Global Challenger, Advisor, “Senior Collective House”, 2015 Merit Winner

- 논문포스터 우수상, 2014 FM학회 심포지움,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 2014

- Best Integrated BIM Solution to Enhance Safety (Educational), BIM Safety Competition at the CIB W099 (International Council for Building Research and Innovation in Building and Construc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in Singapore, Participated in Georgia Tech’s project as a Post-Doc, 2012

- 최우수 박사논문상 (Best Doctoral Dissertation Award), 조지아텍 건축대학, 2011

- CETI Award 2011 “GSA - BIM Program - Automated Circulation and Security Analysis” CETI (Celebration of Engineering & Technology Innovation) 기술혁신상, 미국 산업체 컨소시움 FIATECH, 2011

- BIM Award Citation at 2008 AIA TAP BIM Award “Automated Circulation Validation using BIM” Support for Human Use and Innovative Program Requirements Using BIM, 미국 건축가협회 (AIA), 2008

- 조지아텍 박사과정 전액연구장학생, Graduate Research Assistantship, 2005 ~ 2010

- Award Winners at FEIDAD 2003 (Design Merit Award) “Blurring Space”, 2003 FEIDAD 국제 디지털건축 공모전, 대만 Far Eastern Group, 2003

- 석사과정 전액장학생, LG연암재단, 2001 ~ 2003

- 특선 “Cyber Town”, 2002 대한건축학회 건축디지털컨텐츠공모전, 2002

- 입선 “Digital Architecture Press”, 2001 대한건축학회 건축디지털컨텐츠공모전, 2001

 

 

SCI(E), SSCI, A&HCI 등 저널페이퍼

33. Lee, J. K., Chae, S., Yang, E., & Hong, S. W. (2024). BIM and individual physical needs-trained model-enabled approach to spatial redesign and visualization.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1-18. https://doi.org/10.1080/13467581.2024.2389163

32. Lee, J. K., Jeong, H., Kim, Y., & Cha, S. H. (2024). Creating spatial visualizations using fine-tuned interior design style models informed by user preferences. Advanced Engineering Informatics, 62, 102686. https://doi.org/10.1016/j.aei.2024.102686

31. Lee, Y. S., Kang, H. C., Cho, S. Y., Kim, J. U., & Lee, J. K. (2024). A Study on the Effects of Fall Education Using Rotoscoping on Awareness About Accidental Falls Involving the Eld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Asia Digital Art and Design, 28(2), 18-32

30. Lee, J. K., Yoo, Y., Cha, S. (2024). Generative Early Architectural Visualizations: Incorporating Architect's Style-trained Models.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11(5), 40-59. https://doi.org/10.1093/jcde/qwae065

29. Hong, S. W., Lee, J., & Lee, J. K. (2024). Human behaviour simulation for promoting usefulness and user-centric values in parametric design. Automation in Construction, 162, 105386. https://doi.org/10.1016/j.autcon.2024.105386

28. Jo, H., Lee, J.K., Lee, Y.C., Choo, S. (2024), Generative AI and Building Design: Early Photorealistic Render Visualization of Façades using Local Identity-trained Models,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11(2), 85-105. http://doi.org/10.1093/jcde/qwae017

27. Lee, J. K., Cho, K., Choi, H., Choi, S., Kim, S., & Cha, S. H. (2023). High-level implementable methods for automated building code compliance checking. Developments in the Built Environment, 100174

26. Jin-Kook Lee, Young-chae Kim, Sanghoon Lee, Sumin Kim, Seung-Wan Hong, Augmented virtual reality and 360 spatial visualization for supporting user-engaged design,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2023;, qwad035, https://doi.org/10.1093/jcde/qwad035

25. Ma, J. H., Lee, J. K., & Cha, S. H. (2022). “Effects of lighting CCT and illuminance on visual perception and task performance in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Building and Environment, 209, 108678.

24. Kim, J., & Lee, J. K. (2020). “Stochastic Detection of Interior Design Styles Using a Deep-Learning Model for Reference Images.” Applied Sciences, 10(20), 7299.

23. Song. J. Y, Lee, J.K, Choi, J. S. and Kim I. H. "Deep learning-based extraction of predicate-argument structure (PAS) in building design rule sentences"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in press

22. Yong-Cheol Lee, Moeid Shariatfar, Pedram Ghannad, Jiansong Zhang and Jin-Kook Lee, “Generation of Entity-based Integrated Model View Definition Modules for the Development of New BIM Data Exchange Standards”,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Vol 34, Issue 3, 04020011, 2020. 05

21. Shin, J. Y., and Lee, J. K. (2019). "Indoor Walkability Index: BIM-enabled approach to Quantifying building circulation." Automation in Construction, 106, 102845

20. Jeon, G. Y., Na, W. J., Hong, W. H., and Lee, J. K. (2019). "Influence of design and installation of emergency exit signs on evacuation speed."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18(2), 104-111

19. Jinsung Kim, Jungsik Choi and Jin-Kook Lee, “Approach to Design Reference Management using Auto-Recognition System of Room and Design Style”,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 Technology, 8 (1.4), pp.56-64, doi: 10.14419/ijet.v8i1.4.25133, 2019

18. Hayan Kim, Jin-Kook, Jaeyoung Shin and Jungsik Choi, “Visual language approach to representing KBimCode-based Korea building code sentences for automated rule checking”,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doi: https://doi.org/10.1016/j.jcde.2018.08.002, 2018.08

17. Jungsik Choi, Jin-Kook Lee and Jaeho Cho, "Suggestion of the Core Element Technology to Improve BIM Data Interoperability Based on the Energy Performance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Grid and Distributed Computing, Vol 11, No 4, pp.157-168, doi: https://doi.org/10.14257/ijgdc.2018.11.4.14, 2018

16. Jin-Kook Lee, Jaeyoung Shin and Yeunsook Lee, "Circulation analysis of design alternatives for elderly housing unit allocation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enabled indoor walkability index" ,Indoor and Built Environment, 0(0) pp.1–17, doi: https://doi.org/10.1177/1420326X18763892, 2018.03

15. Park S, Lee Y-C, Lee J-K, "Definition of a domain-specific language for Korean building act sentences as an explicit computable form",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Construction (ITcon), 21(CIB W78 Special Track), pp 422-433, http://www.itcon.org/2016/26, 2016.

14. Hyunsoo Lee, Jin-Kook Lee, “BIM-enabled Definition of a Path Object and its Properties to Evaluate Building Circulation using Numerical Data”,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15 (3), pp 425-432, doi: doi.org/10.3130/jaabe.15.425, 2016.

13. Hyunsoo Lee, Jin-Kook Lee, S Park, I Kim, “Translating building legislation into a computer-executable format for evaluating building permit requirements”, Automation in Construction, 71 (2016), pp 49-61,  doi: dx.doi.org/10.1016/j.autcon.2016.04.008, 2016.

12. Yong-Cheol Lee, Charles M. Eastman, Jin-Kook Lee, “Validations for Ensuring the Interoperability of Data Exchange of a Building Information Model”, Automation in Construction, 58 (2015), pp 176-179,  doi:10.1016/j.autcon.2015.07.010, 2015.

11. Miyoung Uhm, Ghang Lee, Younghyn Park, Sanghun Kim, Jiwon Jung, Jin-kook Lee, “Requirements for computational rule checking of requests for proposals (RFPs) for building designs in South Korea”, Advanced Engineering Informatics, 29 (2015), pp 602-615, doi: dx.doi.org/10.1016/j.aei.2015.05.006, 2015.

10. Shin M, Lee S, Lee H, and Lee J-K, “Sensing the room: an integrated implementation process to visualize indoor temperature data on floor plans”, Visualization in Engineering, 2014, 2:10, doi: 10.1186/s40327-014-0010-2, 2014.

9. Lee J-K, Eastman C M, Lee Y C, “Implementation of a BIM Domain-specific Language for the Building Environment Rule and Analysis”, Journal of Intelligent & Robotic Systems, 24 (2012), pp 203-212, doi 10.1007/s10846-014-0117-7, 2014.

8. Lee J-K, Kim M J, “BIM-enabled Conceptual Modelling and Representation of Building Circ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Robotic Systems, 2014, 11:127, doi: 10.5772/58440, 2014.

7. Lee SH, Augenbroe G, Lee J-K, Zhao F, “A design methodology for energy infrastructures at the campus scale”, Computer-Aided Civil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28 (2013), pp 753–768, 2013.

6. Zhang S, Teizer J, Lee J-K, Eastman C M, Venugopal 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nd Safety: Automatic Safety Checking of Construction Models and Schedules”, Automation in Construction, 29 (2013), pp 183–195, 2013.

5. Lee J-K, Lee J, Jeong Y-s, Sheward H, Sanguinetti P, Abdelmohsen S, Eastman C M, “Development of Space Database for Automated Building Design Review Systems”, Automation in Construction, 24 (2012), pp 203-212, 2012.

4. Sanguinetti P, Abdelmohsen S, Lee J, Lee J-K, Sheward H, Eastman C M, “General System Architecture For BIM: An Integrated Approach For Design And Analysis”, Advanced Engineering Informatics, 26 (2), pp 317-333, 2012.

3. Lee J-K, Eastman C M, Lee J, Kannala M, and Jeong Y-s, “Computing Walking Distances within Buildings based on the Universal Circulation Network”,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37 (4), pp 628-645, 2010.

2. Eastman C M, Lee J, Jeong Y-s, and Lee J-K, “Automatic Rule-Based Checking of Building Designs”, Automation In Construction, 18 (8), pp 1011-1033, 2009.

1. Eastman C M, Lee J-K, Sheward H, Sanguinetti P, Jeong Y-s, Lee J, and Abdelmohsen S, “Automated Assessment of Early Concept Designs”, Architectural Design, 79 (2), pp 52-57, 2009.

 

 

■ 국내 학술지논문

50. 유영진, 조하영, 이진국. (2024). 지역 아이덴티티 추가학습모델 활용 건물 파사드 조감도 자동 생성 도구. 한국 CDE학회 논문집, 29(4), p미정

49. 채수민, & 이진국. (2024). 사용자 중심 공간개선을 위한 지능형 공간 시각화 - 고령자 신체특성기반 주택 내 주방공간 생성 AI 활용 사례 -.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35(5), p미정

48. 압둘라예바 루자헌, 김영채 & 이진국 (2024). 온라인 VR 스토어 이용자의 체험요소 연구 - 체험마케팅 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9(5), 25-34.

47. 유영진, 이진국. (2024). 생성형 AI 기반 초기설계단계 외관디자인 시각화 접근방안 - 건축가 스타일 추가학습 모델 활용을 바탕으로 -. 한국BIM학회논문집. 14(2), 13-24. 10.13161/kibim.2024.14.2.013

46. 신재영, 이진국, (2023) 공간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초기 공간 디자인 시각화 접근 방법 -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공간 아이덴티티 시각화 모델 학습 및 활용 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32(6),

45. 최수형, & 이진국. (2023). Generative AI 기반 도시형 생활주택 평면도 생성 자동화. 한국 CDE 학회 논문집, 28(4), 514-523.

44. 유영진, & 이진국. (2023). 단독 주택 외관 시각화를 위한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건축가 스타일 추가학습 모델 구축 및 활용 방안. 디자인융복합학회 논문집, 22(6), 103-116.

43. 채수민, & 이진국. (2023). BIM 기반 공간객체 상세모델링 및 시각화.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34(5), 073-080.

42. 채수민, & 이진국. (2023).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의 사용자신체특성 반영공간 실내 이미지시각화 - 고령자 신체노화특성 반영과 추가학습 모델구축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32(6), 62-69.

41. 최수형, 남태식, & 이진국. (2023). Gen AI 기반 3D 렌더링 그래픽 평면도 자동 생성.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8(7), 263-271.

40. 조하영, & 이진국, (2023).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지역 아이덴티티 반영 건물 파사드 디자인 방안 - 서울 성수동 지역의 상업가로를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8(7), 361-370.

39. 정현, & 이진국. (2023). 이미지 생성 AI 파인튜닝과 활용 사례-실내 공간 상세 스타일 키워드를 중T심으로. 한국 CDE 학회 논문집, 28(4), 524-536.

38. 정현, & 이진국. (2023). 이미지 생성 AI 기반 디자인 스타일 조합을 통한 실내 공간 디자인 시각화의 새로운 접근 방법 제안.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34(6), 27-34.

37. 조하영, & 이진국. (2023). 딥러닝 기반 지역 상업가로의 파사드 디자인 아이덴티티 구별 - 서울 성수동 등 상업가로 로드뷰 이미지데이터 학습모델을 기반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8(3).

36. 최수형, & 이진국. (2023). 주거 유닛 기반 공동주택 공간계획 자동화 구현 - 소형 주거 유닛 자동배치 모듈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CDE학회 논문집, 28(1), p.41-49.

35. 송수림, 김영채, & 이진국. (2022).파노라마 실사이미지기반 실내공간 이미지 정보 구축 및 활용.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7(8), 379-386.

34. 조하영, 이진국. (2022). 공간 설계지원 및 시각화 웹 앱 분석과 지능형 기술 활용성 고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연구논문집, 17(7), pp. 293-303. 2022.10

33. 신은서, 이진국. (2021) . 360 파노라마 실내공간 사진 기반 지능형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 구축.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7(1)

32. 신은서, 이진국. (2021) .360 파노라마 이미지 기반 건물시각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지, 16(1), pp.23-30. 2021.06

31. 조단규, 이진국. (2021). 평면 스케치 딥러닝 학습모델 구축과 공간디자인 활용 - 평면 스케치 인식 기반 설계초기 BIM 모델 자동생성 모듈 개발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6(3), pp.365-374. 2021.03

30. 김진성, 송재열, 이진국. (2020). 기계학습활용 건축설계지침 문장 내 논리규칙 구성요소 자동추출과 설계품질 검토도구 연계방안. 한국 CDE학회 논문집, 25(4), pp.425-433. 2020.12

29. 김진성, & 이진국. (2020). 딥러닝 기반 실내디자인 스타일 학습모델 구현 및 활용.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9(5), 96-104. 2020.10

28. 송재열, 이진국 공간정보 학습모델기반 지능형 실내 설계 자동화 접근방법 인공지능기술 활용 천장 조명객체 자동생성 플러그인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한국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9(2), pp 12-20. 2020.04

27. 이상훈, 김진성, 송재열, 이진국 디자인 초기 현장 시각화를 위한 증강현실기반 접근 방법 대학교학술정보관 공간개선 디자인 안 예시를 중심으로한국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9(1), pp. 97-104. 2020.02

26. 김진성, 이진국설계품질 자동검토 도구를 위한 시각지능 기반 BIM 객체 인식 구현한국 CDE학회

논문집, 24(4), pp. 452-461. 2019.12

25. 송재열, 이진국 "BIM기반 설계품질 자동검토를 위한 워드임베딩 활용 의미분석 접근방법 -건축법규 문장 의미유사도 분석 및 결과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한국CDE학회 논문집, 23(4), pp.384-393.2018.12

24. 김진성, 이진국. (2018). 지능형 디자인 레퍼런스 관리를 위한 실내이미지 자동인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7(5), pp.13-20. 2018.10

23. 김하얀, 이진국. 건축물 설계품질검토 자동화를 위한 인허가 관련 건축법규문장의 논리 및 규칙 체계 개발. 한국CDE학회 논문집, 23(2), pp.127-136. 2018.06

22. 김진성, 송재열, 이진국, 딥러닝 기반 이미지 자동인식 기술을 활용한 사무집기 자동인식과 정보관리 시스템과의 연동방안,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 논문집, Vol. 12, No.2, 73-80, 2017.12

21. Jinhua Huang, Jin-kook Lee, and Gyu-Yeob Jeon, "웹 및 건물정보모델기반 실내 환경 디지털 시각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7, No.2, pp. 327-336, 2017.02

20. Jinhua Huang, Seokyung Park and Jin-kook Lee, ". 중 건축법규 비교분석을 통한 KBimCode 의 확대 적용가능성 고찰-피난 및 방화와 관련된 법규항목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연구, Vol. 15, No. 6, pp. 73-92, 2016.12

19. Hayan Kim, Jin-kook Lee, "객체 및 속성정보 제어를 이용한 BIM 기반 파라메트릭 인테리어 패널 디자인 접근방법",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ol. 25, No. 6, pp. 70-78, 2016.12

18. HyunJung Kim, Jin-Kook Lee, "인허가관련 설계품질검토 자동화를 위한 건축법규 문장 관계논리에 관한 연구", 한국CDE학회 논문집, Vol. 21, No.4, pp. 433-442, 2016.12

17. Jinhua Huang, Hayan Kim and Jin-kook Lee, "BIM 기반 설계를 지원하는 인테리어 패널 자동배치 도구 프로토타입 구현-비트맵 이미지 픽셀 패턴의 추출과 패널 표현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연구, Vol. 15, No.5, pp. 71-83, 2016.10 

16. Seokyung Park, Jin-Kook Lee, Inhan Kim, "서술부의 함수체계화를 통한 인허가관련 건축법규의 자동검토 응용방안(Development of High-level Method for Representing Explicit Verb Phrases of Building Code Sentences for the Automated Building Permit System of Korea)", 한국CDE학회 논문집, Vol. 21, No. 3, pp. 314-324, 2016.09

15. Jaeyoung Shin, Jin-Kook Lee, "BIM기반 설계 품질검토 자동화를 위한 건축 관련 법규문장의 객체 및 속성 표현에 대한 체계화 접근방법(Application of Classification of Object-property Represented in Korea Building Act Sentences for BIM-enabled Automated Code Compliance Checking)", 한국CDE학회 논문집, Vol. 21, No. 3, pp. 325-333, 2016.09

14. Jaeyoung Shin, Jin-Kook Lee, "설계초기 동선 분석을 위한 BIM기반 정량 평가지표 및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BIM-enabled Quantitative Indicators for Analyzing Building Circulation in Early Phase of Design)",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5 4호 통권117, pp. 147-155, 2016.08

13. 김하얀, 이진국, "서울남부터미널 리모델링 설계 제안 - 축대의 재활용을 통한 담과 길의 상징적 조형물화 -,  A Design Proposal for the Rehabilitation of Seoul Nambu Terminal",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논문집, ISSN1229-2230, Vol10, No.2,pp 23-29, 2015.11

12. 김현정, 이진국, “A Case Study on BIM-enabled Evaluation of Design Alternatives for an Actual Remodeling Project in Korea – Focusing on the Spatial Program Review in Early Phase of Desig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24권 제 5 p117-127, 2015.10.

11. 김지수, 이진국, “BIM과 그래프를 기반으로 한 건물 동선의 표현과 분석 접근방법- UCN의 확장형인 MRP 그래프의 제안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6권 제5 p3-11, 2015.09.

10. 이상익, 이진국, “실내 공간별 미세먼지농도 비교 데이터의 시각화”, 한국주거학회논문집, Vol. 26, No. 4, 5562, 2015, http://dx.doi.org/10.6107/JKHA.2015.26.4.055.

9. 장수정, 이현수, 이진국, “디지털 디자인 및 패브리케이션 프로세스의 합리화 과정에 관한 연구 - 인테리어 패널 디자인 및 제작 사례를 기반으로”,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Vol. 16, No. 2, pp. 307-316, 2015. 04

8. 신재영, 이진국, “동선관련 정성적 요구사항 평가를 위한 가중치를 적용한 BIM기반 정량데이터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Vol. 16, No. 2, pp. 335-343, 2015. 04

7. 이현수, 박서경, 김인한, 이진국, “BIM기반 설계품질 자동검토 구현을 위한 건축법규 문장의 논리규칙 체계화 접근방법”, 디자인지식저널, Vol. 34, pp. 101-110, 2015. 06

6. 박서경, 이진국, “실내건축과 건물정보모델링(BIM)의 기술 연계 및 활용 방안에 관한 고찰-공간객체와 관련 속성정보 활용을 중심으로”, 디자인지식저널, Vol. 34, pp. 35-44, 2015. 06

5. 이현수, 이진국, “건축설계지원 모바일 웹과 앱의 분석을 통한 건물정보모델링(BIM) 활용 가능성 고찰”, 디자인지식저널, 2015

4. 신재영, 김혜인, 남경숙, 이진국, "북정마을의 지형적 특성을 반영한 복합문화시설 제안, A Design Proposition for Multipurpose Cultural Facility Reflecting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Bukjeong District",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논문집, ISSN1229-2230, Vol.9, No.2,pp 43-51

3. 이현수, 이진국, "동선데이터 정량화를 통한 BIM기반 설계품질검토 접근방법", 디자인융복합학회 논문집 Vol13. No.5, pp. 49-66, 2014

2. 신민규, 이진국, "실내 환경데이터 시각화의 통합적 접근방법 구현, 온도변화에 대한 평면도상 3차원 시각화", 디자인융복합학회 논문집, Vol13. No.4, pp. 106-117, 2014

1. 이진국, 정연석, 이재민, “건물정보모델링을 기반으로 한 건물 설계 및 유니버설디자인 평가 사례”, 인포디자인이슈 Vol. 13, No.7, (1) pp. 17-29, 2008

 

 

■ 국제 컨퍼런스페이퍼

68. Hong, C., Gochuico Y., Shin, J., Ha, C., Marquez, L., Yoo, Y., & Lee, J.K. (2024, October) Improving Architect-Specific Building Image Generation using Reinforced Data Processing. In IEEE MIT Undergraduate Research Technology Conference 2024 (IEEE MIT URTC 2024)

67. Youngjin Yoo, Bomin Kim, Youngchae Kim, SeongHyun Cha, and Jin-Kook Lee, Approach to Image-to-3D Modeling for Utilizing AI-Generated Pattern Images within BIM, In 28th Conference of the Ibero-American Society of Digital Graphics (SIGraDi 2024)

66. Bomin Kim, Youngjin Yoo, Sumin Chae, Taesik Nam, and Jin-Kook Lee, Visualization of Building Circulation Prediction on top of Floor Plans, In 28th Conference of the Ibero-American Society of Digital Graphics (SIGraDi 2024)

65. Taesik Nam, Youngchae Kim, Sumin Chae, Youngjin Yoo, and Jin-Kook Lee, Training and Generating Apartment Plan Graphic Images for Commercial Uses, In 41st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ISARC 2024)

64. Sumin Chae, Hayoung Jo, Bomin Kim and Jin-Kook Lee, Reflecting Users’ Physical & Medical Characteristics on Spatial Remodel Design Visualizationin Spatial Remodel Design and Visualization, In 2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Applications of Virtual Reality (CONVR 2023) 10.36253/979-12-215-0289-3.94

63. Hayoung Jo, Sumin Chae, Su Hyung Choi and Jin-Kook Lee, Planning Alternative Building façade Designs using Image Generative AI and Local Identity, In 2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Applications of Virtual Reality (CONVR 2023) 10.36253/979-12-215-0289-3.91

62. Bomin Kim, Sumin Chae, Youngjin Yoo, and Jin-Kook Lee. Early Visualization Approach to the Generative AI using Light Analysis Images, In 2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Applications of Virtual Reality (CONVR 2023). 10.36253/979-12-215-0289-3.96

61. Hyun Jeong, Youngchae Kim, Youngjin Yoo, and Jin-Kook Lee. Gen AI and Interior Design Representation: Applying Design Styles Using Fine-tuned Models. In 2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Applications of Virtual Reality (CONVR 2023) pp. 955-962. 10.36253/979-12-215-0289-3.95

60. Youngjin Yoo, Hyun Jeong, Youngchae Kim, and Jin-Kook Lee. Generative Design Intuition from the Fine-tuned Models of Named Architects' Style. In 2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Applications of Virtual Reality (CONVR 2023) pp. 922-930. 10.36253/979-12-215-0289-3.91

59. Hyun Jeong, Suhyung Choi, Hayoung Jo, Sumin Chae, Youngjin Yoo, Youngchae Kim and Jin-Kook Lee, Applying Spatial Design Styles using Fine-tuned Models, International Technial Conference (ITC 2023), Seoul, South Korea, August 2023, pp.206-208

58. Eunseo Shin and Jin-Kook Lee, “Intelligent Archiving of Interior Design Images using Panorama Picture Sources, 38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ISARC 2021), Dubai, United Arab Emirates, November 2021, pp.365-371

57. Sanghoon Lee, Jinsung Kim, Dahngyu Cho and Jin-Kook Lee, AR-based and User-Centered Approach to the On-site Design Decision Support for Building Remodel Projects, 2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Applications of Virtual Reality (CONVR 2020), September 2020, pp.56-63

56. Dahngyu Cho, Jinsung Kim, Eunseo Shin, Jungsik Choi and Jin-Kook Lee, Recognizing Architectural Objects In Floor Plan Drawings Using Deep-Learning Style-Transfer Algorithms, Proceedings of the 25th Annu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Research in Asia (CAADRIA 2020), pp. 717-725

55. Sanghoon Lee, Jinsung Kim, Jaeyeol Song and Jin-Kook Lee, "Auto-update of Building Code Changes Using Legal Information OpenAPI for Building Code Checking Systems",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gress and Conferences on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i3CDE 2019), Penang, Malaysia, July 2019, pp.142-143

54. Jaeyeol Song, Jinsung Kim, Sanghoon Lee and Jin-Kook Lee, "Preliminary Test to Translate KBimCode Statements into Executable Code for Automated Rule Checking",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gress and Conferences on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i3CDE 2019), Penang, Malaysia, July 2019, pp. 140-141

53. Jinsung Kim, Jaeyeol Song, Sanghoon Lee and Jin-Kook Lee, "Recognizing BIM Room Type of Residential Building: Preliminary Test of CNN-based Deep Learning Model",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gress and Conferences on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i3CDE 2019), Penang, Malaysia, July 2019, pp. 111-112

52. Kim J., Song J., Lee JK. (2019) Recognizing and Classifying Unknown Object in BIM Using 2D CNN. In: Lee JH. (eds)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Hello, Culture". CAAD Futures 2019. Communications in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vol 1028. Springer, Singapore

51. Jaeyeol Song, Jinsung Kim, and Jin-Kook Lee, "Spatial Information Enrichment using NLP-based Classification of Space Objects for School Bldgs. in Korea" 36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ISARC 2019), Banff, Canada, May 2019

50. Jinsung Kim, Jaeyeol Song and Jin-Kook Lee, "Inference of Relevant BIM Objects using CNN for Visual-input based Auto-Modeling" 36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ISARC 2019), Banff, Canada, May 2019

49. Jaeyeol Song, Jinsung Kim and Jin-Kook Lee, "Converting Kbimcode into an Executable Code for The Automated Design Rule Checking System", Proceedings of the 24th Annu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Research in Asia (CAADRIA 2019), Volume 1, pp. 795-804

48. Jinsung Kim, Jaeyeol Song and Jin-Kook Lee, "Approach to Auto-Recognition of Design Elements for the Intelligent Management of Interior Pictures", Proceedings of the 24th Annu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Research in Asia (CAADRIA 2019), Volume 2, pp. 785-794

47. Jaeyeol Song, Jinsung Kim, and Jin-Kook Lee, "NLP and Deep Learning-based Analysis of Building Regulations to support Automated Rule Checking System", 35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ISARC 2018), 2018

46. Jinsung Kim and Jin-Kook Lee, "Auto-Classification of Interior Design Styles for Managing Reference Images",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ST 2018, pp16-19, 2018.06

45. Hayan Kim, Jinsung Kim, Jaeyeol Song and Jin-Kook Lee, "Demonstration of Visual Language-based Representation of Korea Fire Code Regulations", Proceeding of International conference AST 2018, Vol.150 , pp.170-173, 2018.01

44. Jaeyeol Song, Jinsung Kim, and Jin-Kook Lee, "Approcah to capturing design requirements from the existing architectural document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 Proceedings of the 2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Research in Asia (CAADRIA) 2018, pp. 831-839

43. Jinsung Kim, Jaeyeol Song, and Jin-Kook Lee, "Approcah to the extraction of design features of interior design elements using image recognition technique", Proceedings of the 2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Research in Asia (CAADRIA) 2018, pp. 873-88

42. Jinsung Kim, Jin-Kook Lee, Jaeyeol Song and Hayan Kim.Approach to the Deep Learning-based Architectural Design using Recognition and Decomposition of Design Element.  Proceeding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putational Design and Engeneering (ISCDE 2017). pp.113-pp.114, 2017.12

41. Jinsung Kim, Jin-Kook Lee, Jaeyoung Shin and Hayan Kim “Classification of objects and their properties defined in Korea Building Act to translate into KBimCode and their application” 34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ISARC 2017), pp. 148-155,  2017.06

40. Hayan Kim, Jin-Kook Lee, Jaeyoung Shin and Jinsung Kim “Visual Language-based approach for the Definition of Building Permit related rules” 34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ISARC 2017), pp. 423-429, 2017.06

39. Hayan Kim, Jin-Kook Lee, Jaeyoung Shin and Jungsik Choi, “BIM-Supported Visual Language to Define Building Design Regulations” Proceedings of the 2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Research in Asia (CAADRIA), pp.603-612, 2017.04

38. Seokyung Park, Jin-Kook Lee, "KBimCode-based Applications for the Representation, Definition and Evaluation of Building Permit Rules", 3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ISARC 2016), 2016.07

37. Jaeyoung Shin, Jin-Kook Lee, Jinhua Huang, "Development of the Scenario-based Evaluation of Indoor Circulation using BIM-enabled Parameters", 3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ISARC 2016), 2016.07

36. HaYan Kim, JinHua Huang, Jin-Kook Lee, "A Case Study: Projecting Images for Designing Interior Panels using Parametric Modeling Tool", 3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ISARC 2016), 2016.07

35. Hyunjung Kim, Jinhua Huang, Yeon-Sook Hwang, Jin-Kook Lee, "Auto-layout of Lighting Objects to Support Lighting Design in the Early Phase of Design", 3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ISARC 2016), 2016.07

34. Seokyung Park, Jin-Kook Lee, "Definition of a Domain-specific Language to Represent Korea Building Act Sentences as an Explicit Computable Form", Proceedings of the 2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Research in Asia CAADRIA 2016, pp. 73–82, 2016.04

33. Hyunjung Kim, Jin-Kook Lee, Seokyung Park, Jaeyoung Shin, Jinhua Huang, 2016, Analysis of Natural Language Sentence Relation for the Automated Design Assessment based on Korea Building Act, CAADRIA 2016 poster session, 2016.04

32. HaYan Kim, Jin-Kook Lee, 2016, A Case Study: Projecting 2D Text Images for Designing Interior Panels using Dynamo-based Parametric Modeling, CAADRIA 2016 poster session, 2016.04

31. Sangik Lee, Hyunsoo Lee, Seokyung park, Jaeyoung Shin, Hyunjung Kim and Jin-Kook Lee, "SENSING THE INDOOR DUST CONCENTRATION AND VISUALIZING DATA ON THE FLOOR PLAN", Proceeding of the 2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Research in Asia (CAADRIA 2015), The Association for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Research in Asia, pp. 857-858, 2015.05

30. Seokyung Park, Hyunsoo Lee, Sangik Lee, Jaeyoung Shin, Jinhwa Hwang and Jin-Kook Lee, "Object's Property and Relation-Based Rule Methods for Representing KBIM Logic", Proceeding of the 2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Research in Asia (CAADRIA 2015), The Association for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Research in Asia, pp. 859-860, 2015.05

29. Jaeyoung Shin, Hyunsoo Lee, Sangik Lee, Seokyung Park, Hyunjung Kim and Jin-Kook Lee, "Rapid Prototyping of Interior Surface Panels Using Various Alternative Designs and Materials", Proceeding of the 2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Research in Asia (CAADRIA 2015), The Association for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Research in Asia, pp. 855-856, 2015.05

28. Hyunsoo Lee, Soojung Jang and Jin-Kook Lee, "A Demonstration of the Image-Based Re-Construction and Its Design Applications", Proceeding of the 2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Research in Asia (CAADRIA 2015), The Association for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Research in Asia, pp. 853-854, 2015.05

27. Sangik Lee, SeoKyung Park, Jaeyoung Shin, Hyunsoo Lee, Jin-Kook Lee, Hyunjung Kim, "Visualization of the Airborne Dust Concentration on the Building Floor Plans", Proceedings of the 32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and Minings, ISARC, p 516-521, 2015.06

26. SeoKyung Park, Sang-Ik Lee, Hyunsoo Lee, Jaeyoung Shin, Jin-Kook Lee, "Rule Checking Method-centered Approach to Represent Building Permit Requirements", Proceedings of the 32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and Minings, ISARC, p 378-385, 2015.06

25. Jaeyoung Shin, Hyunsoo Lee, Sangik Lee, Seokyung Park, Hyunjung Kim, Jin-Kook Lee, "An Approach to the BIM-enabled Assessment of Building Circulation Using Quantitative Data and Its Weight", Proceedings of the 32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and Minings, ISARC, p 831-837, 2015.06

24. Hyunsoo Lee, Sangik Lee, Seokyung Park and Jin-Kook Lee, "An Approach to Translate Korea Building Act into Computer-readable Form for Automated Design Assessment", Proceedings of the 32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and Minings, ISARC, p 251-258, 2015.06

23. Hyunjung Kim, Hyunsoo Lee, Seokyung Park, Sang-ik Lee, Jaeyoung Shin, Jin-kook Lee, BIM-enabled Spatial Program Review in the Early Phase of Remodeling Project for an Old Apartment Case in Korea, 2015 APNHR CONFRERENCE BOOK, Housing 2.0: Search for New Paradigm for Collaborative Housing, p.237

22. Jaeyoung Shin, Sang-Ik Lee, Hyunsoo Lee, Hyunjung Kim, Seokyung Park, Jin-Kook Lee, An Approach to Development of a Framework for Design Assessment using Circulation Data of Apartments, 2015 APNHR CONFRERENCE BOOK, Housing 2.0: Search for New Paradigm for Collaborative Housing, p.236

21. Hyunsoo Lee, Youngtaek Jeong, Seokyung Park, Sangik Lee, Jin-Kook Lee, BIM-enabled Housing Design Approaches using Mobile Web/App, 2015 APNHR CONFRERENCE BOOK, Housing 2.0: Search for New Paradigm for Collaborative Housing, p.28

20. Jisoo Kim, Hyunsoo Lee, Minkyu Shin, Jin Won Choi and Jin-Kook Lee, "The most-Remote Points and Virtual Space Objects for Extending Universal Circulation Network",  Re-Designing Buildings, Innovative Solutions for Population and Climate Change, Proceesings of International Invited Syposium 2014, ISBN 978-89-7218-450-8 (93610), pp.334

19. MINKYU SHIN, SANG-IK LEE, JISOO KIM, HYUNSOO LEE and JIN-KOOK LEE, "Sensing the Room: Visualizing Indoor Temperature Data",  Re-Designing Buildings, Innovative Solutions for Population and Climate Change, Proceesings of International Invited Syposium 2014, ISBN 978-89-7218-450-8 (93610), pp.333

18. Hyunsoo Lee, Jisoo Kim, MinKYU SHIN and JIN-KOOK, "BIM-enabled Building Circulation Analysis using Quantitative Data of Path Properties", Re-Designing Buildings, Innovative Solutions for Population and Climate Change, Proceesings of International Invited Syposium 2014, ISBN 978-89-7218-450-8 (93610), pp.332

17.  Jin-kook Lee, "Non-simulation based Building Energy Calculations and BIM-enabled Application", Re-Designing Buildings, Innovative Solutions for Population and Climate Change, Proceesings of International Invited Syposium 2014, ISBN 978-89-7218-450-8 (93610), pp.215-228

16. Hyunsoo Lee, Jisoo Kim, Minkyu Shin, Jin-Kook Lee and Inhan Kim, “A Demonstration of BIM-enabled Indoor Spatial Analysis for Design Decisions using BERA Language”, ISARC 2014 : The 31st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and Mining, 2014

15. Jisoo Kim, Hyunsoo Lee, Minkyu Shin, and Jin-Kook Lee, “Graph-based Representation of Building Circulation With the Most-Remote Points and Virtual Space Objects”, ISARC 2014 : The 31st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and Mining, 2014

14. Minkyu Shin, Sang-ik Lee, Jisoo Kim, Hyunsoo Lee, and Jin-Kook Lee,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 Visualization of Indoor Temperature Changes on the Floor Plans” ISARC 2014 : The 31st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and Mining, 2014

13. Hyunsoo Lee, Jisoo Kim, Minkyu Shin, Jin-Kook Lee, “Comparison Between Design Alternatives using BIM-enabled Circulation Analysis”, The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of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Research in Asia, CAADRIA, 2014

12. Minkyu Shin, Sang-ik Lee, Jisoo Kim, Hyunsoo Lee, and Jin-Kook Lee, “Demonstration of an Integrated Approach for Visualizing Indoor Sensor Data”, The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of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Research in Asia, CAADRIA, 2014

11. Jin-Kook Lee, Minkyu Shin, Jisoo Kim, Hyunsoo Lee and Gyuyeob Jeon, “Visualization of Building Energy Consumption Data Near Subway Stations - Using Web Mapping APIs for the Transit-oriented Development”, The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of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Research in Asia, CAADRIA, 2014

10. Lee J-K and Kim MJ, “BIM-enabled Conceptual Modeling and Representation of Circulation within Buildings”, Proceeding of ITC 2012 (Australasian Conference on Innovative Technologies in Construction) Conference at Wuhan, China (Huazh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Dec 5-8, 2012

9. Zhang S, Lee J-K, Venugopal M, Teizer J, Eastman C M, “A Framework for Automatic Safety Checking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s (BIM)”, Proceeding of CRC 2012 (Construction Research Congress) Conference at West Lafayette, IN (Purdue Univ), May 21-23, 2012

8. Zhang S, Lee J-K, Venugopal M, Teizer J, Eastman C M, “Integrating BIM and Safety: An Automated Rule-Based Checking System for Safety Planning and Simulation”, Proceeding of CIB W099 (International Council for Building Research and Innovation in Building and Construction) Conference at Washington DC, Aug 2011

7. Abdelmohsen S, Lee J-K, Eastman C M, “Automated Cost Analysis of Concept Design BIM Models”, Proceeding of the CAAD (Computer Aided Architectural Design) Futures 2011 Conference at Liege, Belgium, July 2011

6. Zhang S, Lee J-K, Venugopal M, Teizer J, Eastman C M, “Automated Rule-based Checking System for Safety Planning, Simulation, and Monitoring”, Poster presentation in CII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Conference at Chicago, IL, USA. July 25-27, 2011

5. Lee J-K, Eastman C M, Lee J, Jeong Y-s, and Kannala M, “Accessible Distance Measurement using the GT Metric Graph”, Proceeding of CIB W084 (International Council for Building Research and Innovation, Working Commission 084: Building Comfortable Environments for All) Conference at Georgia Tech, Atlanta, GA, U.S.A, May 15-16, 2008

4. Lee J-K, Eastman C M, and Lee G, “An Office Layout Design Process Model Developed with GTPPM”, Abstract Proceeding of EDRA (Environmental Design Research Association) 37 Conference at Atlanta, GA, U.S.A. May 3-7, 2006. (& student volunteer)
3. Lee J-K, and Lee H, “HCIS: The Housing Context Inference System Model for Smart Space”, Proceeding of CAADRIA (Computer Aided Architectural Design in Asia) Conference at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April 28-30, 2004

2. Lee J-K, Lee H, and Kim M-j, “Digital Muryangsujun”, Poster presentation in CAAD (Computer Aided Architectural Design) Futures Conference at Eindhoven University of Technology, Eindhoven, Netherlands. July 8-11, 2001

1. Lee H, Jung S, Oh S, Ko K, and Lee J-K, “Interior Design Information System”, Poster presentation in IDEC (Interior Design Educators Council) Conference at Chicago, IL, USA. 2001

 

 

■ 국내 학술대회발표논문

102. 김영채, 채수민, & 이진국. 2024. GRADIO 기반 360도 파노라마 이미지 처리 시스템: 슬라이싱 및 동영상 생성 인터페이스, 한국 CDE 학회, 2024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pp. 313-315

101. 남태식, & 이진국. 2024. 한국 전원주택 BIM 모델 데이터베이스 지능형 검색도구, 한국 CDE 학회, 2024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pp. 227-229

100. 김보민, 유영진, & 이진국. 2024. 개방형 및 독립형 오피스 평면도 자동 생성 기법 및 응용, 한국 CDE 학회, 2024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pp. 224-226

99. 김보민, 채수민, 김영채, & 이진국. 2024. 초기 기획단계에서 업무공간 재설계를 위한 평면도 자동 생성, 한국주거학회, 2024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36(1), p241-242

98. 유영진, 정현, 남태식, & 이진국. (2024). 추가학습 모델 기반 LoD에 따른 건물 실내 및 외관 렌더링 이미지 생성 및 활용. 2024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6(1), 243-244

97. 남태식, 채수민, 김보민, & 이진국. 2024. 이미지생성모델 기반 한국형 아파트 평면도 인식 및 3D 평면도 그래픽 이미지 자동 생성, 한국 CDE 학회, 2024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96. 김영채, 조하영, 정현, & 이진국. 2024. Fine-tuned 모델 기반 360도 파노라마 실내 이미지 생성, 한국 CDE 학회, 2024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95. 권예원, 유영진, & 이진국. 2024. 임차인 맞춤형 사무공간 디자인을 위한 BIM 및 데이터 그라운딩, 한국 CDE 학회, 2024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94. 조하영, 채수민, 정현, 유영진, 김영채, & 이진국. 2023. 지역 아이덴티티 기반 상업건물 파사드 초기 디자인 대안 생성, 한국 CDE 학회, 2023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93. 유영진, & 이진국. 2023. 유명 건축가 스타일 기반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 활용도 조사, 한국주거학회, 2023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92. 정현, & 이진국. 2023. 실내건축공간 디자인 스타일 기반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 활용도 조사. 2023 한국주거학회, 2023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91. 최수형, 조하영, 김영채, 이진국. 2023. BIM 기반 소형주택 기준층 모델링 자동화 접근방법. 한국 CDE 학회, 2023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90. 송수림, 채수민, 김보민, 이진국. 2023. 고령자 주택 내 사용자 특성별 안전 객체 배치. 한국 CDE 학회, 2023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89. 채수민, 송수림, 김보민, 이진국. 2023. 신체특성기반 욕실공간객체 상세모델링 자동화. 한국 CDE 학회, 2023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88. 조하영, 최수형, 김영채, 이진국. 2023. 로드뷰 데이터 활용 상업건물 파사드의 지역별 아이덴티티 이미지 학습모델 구축. 한국 CDE 학회, 2023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87. 최수형, 이진국. 2022. 주거 유닛 기반 공간계획 자동화 접근방법 소형 주거 유닛 객체 자동배치 모듈 구현 사례 -. 2022 주거학회 추계학술대회, pp. 235-236.

86. 조하영, 이진국. 2022. 주거 분야 지능형 플랫폼 활용 국내 연구 및 개발 동향분석. 2022 주거학회 추계학술대회, pp. 249-250.

85. 송수림, 이진국. 2022. 고령자 주택 재실 안전도모를 위한 핸드레일 컴포넌트 라이브러리 구축 및 설계 적용. 2022 주거학회 추계학술대회, pp. 343-344.

84. 채수민, 이진국. 2022. 고령친화 안전 주거환경을 위한 BIM기반 욕실 모델링 및 라이브러리 구축. 2022 주거학회 추계학술대회, pp. 347-348.

83. 이진국, 신은서, 송수림, 전아름, 조하영, 김보민. 2022. 설계 자동화를 위한 설계지식 데이터베이스 구축 접근방안. 2022 한국CDE 학회 하계학술대회, pp. 109.

82. 송수림, 이진국. 2022. 다양한 설계 대안 생성을 위한 통합모델링 기초연구. 한국 CDE 학회 2022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81. 조하영, 이진국. 2022. 딥러닝 모델을 활용한 성수동 상업시설의 파사드 디자인 스타일 인식. 2022 한국CDE 학회 하계학술대회, pp. 171-172.

80. 전아름, 이진국.2022.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지능형 실내 유닛 자동배치 모듈 구현, 2022년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79, 조하영, 이진국. 2022. 지능형 공간 설계 지원도구로써의 웹 앱 분석 및 평가: 웹 앱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2022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78. 이진국, 신은서, 송수림. 2022. 계획 및 초기설계 단계 활용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활용 및 구축. 2022 한국CDE 학회 동계학술대회, pp. 35.

77. 신은서, 송수림, 이진국. 2022. BIM 저작도구 기반 건축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위한 지능형 기술 활용가능성. 2022 한국CDE 학회 동계학술대회, pp. 343-344.

76. 신은서, 이진국. 2022. 건물의 에너지 성능 개선 시뮬레이션을 위한 BIM모델링 접근방법, 2022 CDE 동계학술발표대회

75. 이진국, 신은서, 조은솔, 장진, 김다영, 김민경. 2021. 지능형 건축계획 및 설계를 위한 설계지식 구축과 활용. 2021 한국CDE 학회 하계학술대회, PP. 9.

74. 신은서, 이진국. 2021. BIM 저작도구기반 지능형 설계 자동화 접근방법. 대한건축학회 추계학발표대회논문집41권 제2, pp.145-146.

73. 신은서, 이진국, 2021, 실내건축디자인 웹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접근방법 , 2021 한국CDE 학회 하계학술대회, pp. 467-468.

72. 최수형, 신은서, 이현규, 조은솔, 이진국. 2021. BIM 객체 자동생성활용 공간객체기반 설계 접근방법 - 빌딩코어 공간객체 자동생성 플러그인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1권 제1, pp.605-606.

71. 신은서, 이현규, 최수형, 조은솔, 이진국. 2021. 360 이미지기반 건축공간 시각정보데이터 구축 접근방법.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1권 제1, pp.617-618.

70. 이현규, 신은서, 최수형, 조은솔, 이진국. 2021. BIM 저작도구기반 동선분석 및 설계 활용가능성 - Path of Travel’ 객체 및 기능을 활용하여 -.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1권 제1, pp.619-620.

69. 신은서, 조단규, 최수형, 이진국, 2020, 설계활용을 위한 360 실내파노라마 이미지 후처리 접근방법, 대한건축학회 추계학발표대회논문집 제40권 제 2, pp. 661-662.

68. 조단규, 신은서, 최수형, 이진국, 2020, BIM 복합객체 기반 실내공간 모델링 접근방법, 2020년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40권 제 2, pp. 225-226

67. 이진국, 김진성, 조단규, 이현규, 신은서, 최수형, IFC기반 규칙검토 자동화를 위한 지능형 응용체계 개발 및 적용 방안, 2020 한국CDE 학회 동계학술대회, pp. 146

66. 신은서, 이현규, 이진국, 2020, BIM 360 파노라마 이미지기반 디자인 시각화 생성 접근방법 , 2020 한국CDE 학회 동계학술대회, pp. 358-359.

65. 조단규, 최수형, 이진국, 2020, BIM 복합객체 기반 설계초기단계 주거공간 모델링 접근방법, 2020 한국CDE학회 동계학술대회, pp. 356-357.

64. 이진국, 김진성, 이상훈, 조단규, 신은서, 최수형, 제법규 논리규칙 DB 및 지능형 BIM기반 규칙검토 자동화 체계 확장 개발, 2020 한국CDE학회 하계학술대회, 2020.08.18

63. 조단규, 이진국, 건축 평면도를 활용한 기존 건축물에 대한 BIM 모델 생성자동화, 2020 한국CDE학회 하계학술대회, 2020.08.18

62. 신은서, 이진국, 실내디자인 레퍼런스를 위한 360 이미지 DB 구축 및 활용, 2020 한국CDE학회 하계학술대회, 2020.08.18

61. 이상훈, 이진국, BIM기반 건축 인허가 관련 설계품질검토 룰셋 제작을 위한 비주얼 룰셋 매니저 프로토타입, 2020 한국CDE학회 하계학술대회, 2020.08.18

60. 조단규, 송재열, 이진국, 2020, Style-Transfer 기반 건축물 도면 인식 접근 방법 2020 한국CDE학회 동계학술대회, pp.227-229, 2020.02.12

59. 이상훈, 나성화, 이진국, 2020, 증강현실 HMD 활용 현장기반 설계대안 시각화, 2020 한국CDE학회 동계학술대회, pp.365-367, 2020.02.12

58. 신은서, 김진성, 이상훈, 이진국, 2020, 공간디자인 활용을 위한 360도 실내 이미지 기계학습, 2020 한국CDE학회 동계학술대회, pp.300-301, 2020.02.12

57. 이진국, 김진성, 송재열, 나성화, 이상훈, 조단규, 신은서, 2020, 지능형 BIM 활용을 위한 제법규 논리규칙 DB 및 분야/용도/단계별 규칙검토 자동화 모듈 확장개발, 2020 한국CDE학회 동계학술대회, pp.47-49

56. 조단규, 송재열, 신은서, 이진국, “건축물 평면도 이미지 기계학습 접근방법”, 2019 CDE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120-122

55. 이상훈, 김진성, 김민경, 이진국, “딥러닝 활용 2D 건축도면 상 가구 객체 인식”, 2019 CDE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123-124

54. 이상훈, 김진성, 송재열, 이진국, “법령 제개정 분류에 따른 인허가 관련 건축법규 논리규칙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 제안”, 2019 CDE학회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436-438

53. 송재열, 이진국, “토픽모델링을 이용한 건축물 법규 자동검토 관련 함수의 구현 우선순위 도출 접근방안”, 2019 CDE학회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440-442

52. 김진성, 이진국, “2D-CNN 기반 미인식 건축객체 유행정보 추론 접근방법”, 2019 CDE학회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428-430

51. 김진성, 이진국, "실내이미지 자동인식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디자인 사례 관리", 2018 실내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72-75. 2018.10

50. 송재열, 이진국, "BIM기반 공간객체와 속성정보를 이용한 천장 조명객체 자동배치 구현", 2018 실내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37-40. 2018.10

49. 송재열, 김진성, 이진국, “지능형 BIM 기반 설계품질검토 자동화를 위한 문장 내 대상 객체 및 속성정보 인식모델 구현 접근방안”, 2018 CDE학회 하계학술대회, pp.191-192, 2018.08

48. 김진성, 송재열, 이진국, “딥러닝 기반 국내 아파트 실내사진 자동분류”,  2018 CDE학회 하계학술대회, pp.280-281, 2018.08

47. 김하얀, 이진국. “BIM 기반 건축설계 규칙 표현 및 생성을 위한 비주얼랭귀지 개발 접근방법”, 2018 CDE학회 동계학술대회, pp.469-.471, 2018.02

46. 송재열, 김진성, 이진국. “딥러닝 기반 자연어처리 기술을 이용한 건축법규 문장간 유사도 측정과 활용방안”, 2018 CDE학회 동계학술대회, pp.472-474, 2018.02

45. 송재열, 이진국. 딥러닝기반 자연어처리기술의 건축 규정 분석 활용 - 건축법규 문장 내 단어유사도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 buildSMART CONFERENCE 2017 - 한국CDE학회 건축/건설IT 부문 학술대회. pp.21-pp.22, 2017.11

44. 김진성, 김하얀, 이진국. (2017). 딥러닝기반 실내이미지 디자인스타일 자동분류.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9(3), 95-98. 2017.10

43. Jinsung Kim, Jin-Kook Lee, Hayan Kim, Jaeyeol Song, "건축물 설계품질 검토규칙의 KBimCode 변환을 지원하는 웹 기반 데이터베이스 응용 방안 제안(A Suggestion for Web-based Database Application Supporting Translation of Building Rule into the KBimCode)", 2017년도 한국CDE학회 하계학술대회 Proceedings, pp. 37-39, 2017.08

42. Hayan Kim, Jin-Kook Lee, "KBimCode 시각언어를 활용한 건축법규문장의 명시적 표현을 위한 접근방법(An Approach to the Explicit Representation of Building Code Sentences using KBimCode Visual Language)", 2017년도 한국CDE학회 하계학술대회 Proceedings, pp. 34-36, 2017.08

41. 김진성, 이진국, 김하얀, "명시적 논리규칙 체계화를 통한 건축물 인허가관련 규칙 문장의 표현 및 정의 접근방법". 2017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37(1) pp. 937-938

40. 김진성, 이진국, 김하얀 명시적 논리규칙 체계화를 통한 건축물 인허가관련 규칙 문장의 표현 및 정의 접근방법”,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 37, No. 1, pp. 937-938, 2017.04

39. 김하얀, 이진국, "의사결정 지원도구로써의 BIM 기반 리모델링 설계 접근방법 매뉴얼 개발 및 실증사례”,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 37, No. 1, pp. 261-264, 2017.04

38. 하재현, 이호준, 이수기, 이진국, “실시간 스마트카드 자료를 이용한 서울시 대중교통 효율성 분석 및 평가를 위한 인터페이스 구현”, 2017 한국CDE학회 동계학술대회, pp. 776, 2017.02

37. 박철영, 박근덕, 이수기, 이진국, “양육부모들을 위한 육아관련 시설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2017 한국CDE학회 동계학술대회, pp. 733-738, 2017.02  

36. 이진국, 김진성, 김하얀, 신재영, “수도권 지하철역 인근 건물 용도별 에너지사용량 웹 기반 시각화 도구 개발”, 2017 한국CDE학회 동계학술대회, pp. 638-640, 2017.02

35. 신재영, 이진국, 김하얀, 김진성, “BIM기반 실내동선 보행친화성 지표를 활용한 설계대안 평가 사례 연구”, 2017 한국CDE학회 동계학술대회, pp. 635-637     , 2017.02

34. 김하얀, 이진국, 신재영, 김진성, “Visual Language 기반 파라메트릭 모델링을 활용한 BIM 실내건축 객체 속성 정보 활용 사례 연구”, 2017 한국CDE학회 동계학술대회, pp. 632-634, 2017.02

33. 김하얀, 이진국, 신재영, “설계품질검토 자동화를 위한 인허가 관련 건축법규문장의 논리규칙화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181-183, 2016-11

32. 신재영, 이진국, “고령자 주거 공간 배치 계획을 위한 BIM기반 정량지표를 활용한 실내동선의 보행친화성 검토 사례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 18, No. 2, pp. 305-308, 2016.10

31. 김하얀, 이진국, “Visual Language 기반 파라메트릭 모델링을 활용한 BIM 실내건축 객체 속성정보 활용 사례 연구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 18, No. 2, pp. 273-276, 2016.10

30. Jaeyoung Shin, Jin-Kook Lee, "리모델링 주거 설계 지원을 위한 BIM기반 대안분석 접근방법(BIM-Enabled Analysis Approach to Design Alternatives in Design Phase for Remodeling Project)",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8 1호 통권39, pp. 106-109, 2016.05

29. Ha-Yan Kim, Jin-Kook Lee, "BIM과 파라메트릭 도구를 이용한 이미지 기반 인테리어 패널 패턴 자동생성에 관한 연구(BIM-enabled Automated Generation of Interior Panel Patterns Using the Bitmap Image and Parametric Tools)",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8 1호 통권39, pp. 41-44, 2016.05

28. SeoKyung Park, Jin-Kook Lee, Inhan Kim, "Development of High level Methods for Representing Explicit Building Act Sentences in the Automated Building Permit System of Korea", Proceedings of the Society of CAD/CAM Engineers Conference, pp. 523-527,2016.01

27. Jaeyoung Shin, Jin-Kook Lee, "Development of the Object-Property Database from Korea Building Act Sentences for the Automated Code Compliance Checking", Proceedings of the Society of CAD/CAM Engineers Conference, pp. 374-379, 2016.01

26. HyunJung Kim,  Jin-Kook Lee, SeoKyung Park, Jaeyoung Shin, JinHua Huang, "Definition of Relation Types between Atomic Sentences in Korea Building Code for the Automated Design Assessment Tools", Proceedings of the Society of CAD/CAM Engineers Conference, pp. 367-374, 2016.01

25. JinHua Huang, SeoKyung Park, Jin-Kook Lee, “웹기반 3D건물모델상 실내 환경정보 시각화 - 실내 온습도 변화 데이터를 중심으로 –“, 2016 CAD/CAM 동계학술대회, pp.754-pp.756, 2016.01

24. 이진국, 김현정, 이연숙, 안창헌, “영월군 취약계층 지원주택을 위한 BIM기반 리모델링 설계지원(BIM-enabled Remodeling Design of a Supportive Housing for the Vulnerables in Youngwol Country, Korea)”,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 15권 제2 p153, 2015.11

23. 김현정, 이진국, “건물 리모델링 초기 설계단계의 BIM기반 대안 평가 -영월시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례를 바탕으로-(BIM-Enabled Evaluation of Design Alternatives in Design Phase for Remodeling Project -Based on an actual apartment case in Yeongwol, South Korea-)”,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7 3 p327-328, 2015.10

22. 김하얀, 최동성, 이은영, 박인학, 이진국, "서울남부터미널 리모델링 설계 제안 -축대의 재활용을 통한 담과 길의 상징적 조형물화-, A Design Proposal for the Rehabilitation of Seoul Nambu Terminal", 2015년 제 21회 국제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 학회, 2015.11

21. 박서경, 이진국, "인허가 관련 건축법규 자동검토를 위한 구현 함수의 정의,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 of High-level Rule Checking Methods for BIM-enabled Building Permit System", 2015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35권 제1(통권 제63), pp.89-90

20. 이현수, 이상익, 정영택, 이진국, "실내공기 미세먼지농도의 시각화를 위한 통합적 구현방법, An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System for Visualization of Indoor Dust Density", 2015 한국CAD/CAM학회 동계학술대회논문집, Proceedings of the Society of CAD/CAM Conference, pp.711-713

19. 이현수, 박서경, 이상익, 신재영, 김현정, 이진국 "BIM 기반설계 자동검토를 위한 건축법규문장 스크립트언어 변환프로세스, An Approach to translate Korea Architecture Code Sentences into Script

Language Forms for BIM-enabled Automated Design Review", 2015 한국CAD/CAM학회 동계학술대회논문집, Proceedings of the Society of CAD/CAM Conference, pp. 722-724

18. 이진국, 이현수, 박서경, 이상익, 신재영, 김현정, "BIM 기반 설계품질검토 자동화 구현을 위한 건축법규 문장 논리규칙 체계화 접근방법, An Approach to the Computer-readable Sentences of Korea Architecture Code for the BIM-enabled Automated Design Assessment Systems", 2015 한국CAD/CAM학회 동계학술대회논문집, Proceedings of the Society of CAD/CAM Conference, pp. 725-727

17. 이현수, 이진국, 이상익, 박서경, 신재영, "거주자참여형 설계지원기술로써의 모바일 웹과 앱의 사용성과 BIM 응용 가능성 고찰, A Study of Usability and BIM Application im Mobile Architectural Design Tools", 한국주거학회 2014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6권 제 2, p107

16. 이현수, 이진국, 이상익, 박서경, 신재영,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설계 효율화 및 대안비교를 위한 BIM 모델링 접근방법, BIM-enabled Modeling for the Efficiency and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Old-house Remodeling Design", 한국주거학회 2014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5. 이상익, 이진국, 이현수, 박서경, 신재영, "수도권 지하철역 인근 주거용 건물 에너지사용량 시각화 도구 개발, An implementation for Visualization of Energy Consumption of Residential Buildings Surrounding Seoul Metropolitan Subway Stations", 한국주거학회 2014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4. 박서경, 남경숙, 이진국,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한 호텔시설 계획안, A Design Proposal for a Hotel Facility using Voronoi Diagram Applied Design Elements", 2014년 제 20회 국제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 학회

13. 신재영, 김혜인, 남경숙, 이진국, "북정마을의 지형적 특성을 반영한 복합문화시설 제안, A Design Proposition for Multipurpose Cultural Facility Reflecting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Bukjeong District", 2014년 제 20회 국제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

12. 이현수, 이상익, 박서경, 신재영, 이진국, "디지털 패브리케이션 기법을 적용한 패널디자인 구현사례, Case Study: Digital Design & Fabrication for the Interior Surface Panels", 2014년 제 20회 국제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 학회

11. 이진국, 이현수, 김지수, 신민규, 김인한, “스크립트언어기반 건축설계 초기 품질검토 응용 - 건축프로그램 및 동선분석방법을 중심으로, A Demonstration of Script Language-based Analysis for the Early Spatial Programming and Building Circulation”, 사단법인 한국 CAD/CAM 학회,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14.2

10. 김지수, 이현수, 신민규, 김인한, 이진국, BIM기반 건축법 자동검토 – 보행거리관련 법규를 중심으로, Automated BIM Quality Check based on Building Act Focused on Walking Distances, BIM FORUM &

Academic Conference, 한국건설IT융합학회, 2014

9. 신민규, 이현수, 김지수, 김인한, 이진국, “BIM기반 동선관련 법규검토 자동화를 위한 공간객체 및 관련 함수, Space Objects, Properties and Associated Libraries for Assessing Spatial Program and Circulation-related Design Rules”, BIM FORUM & Academic Conference, 한국건설IT융합학회, 2014

8. 김지수, 이현수, 신민규, 이상익, 김인한, 이진국, “설계품질검토 자동화를 위한 건축법규 논리규칙 구현 접근방법, Logic and Rule Processing Approaches for BIM-enabled Building Design Quality Assurance”, BIM FORUM & Academic Conference, 한국건설IT융합학회, 2014

7. 신민규, 이상익, 김지수, 이현수, 이진국, “실내 온도데이터 수집 및 평면상 시각화 -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실내 환경 데이터 수집 및 시각화 시스템 개발, Data collection and visualization of indoor temperature data - for developing an integrated system of environmental data collection and visualizatio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2014

6. 신민규, 유병규, 김정임, 이진국, "오프대학로 활성화를 위한 랜드마크적 복합문화시설 제안", 19회 국제심포지엄& 학술대회 논문포스터,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논문집, ISSN 1229-2230, p 97-100, 2013.11

5. 이현수, 김지수, 장순각, 이진국, “정형 매스에 비정형 실내건축요소를 적용한 대학생 단기 거주 및 복합문화시설 계획안, A Design Proposition for Undergraduates’ Short-term Residential and Multipurpose Cultural Facility using Uniform Cubic Masses and Non-uniform Architecture Elements”,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 19회 국제심포지엄 & 학술대회 논문 포스터, ISSN 1229-2230, 2013

4. 이진국, 이윤길, 박소영, 최진원, 이현수, “블러링스페이스: 유비쿼터스, 디지털미디어 시대의 건축공간 개념모델” Proceeding of HCI 2004 (Korea Human-Computer Interac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Feb 9-12, 2004

3. 정선영, 이진국, 이현수, “디지털 건축공간의 형태 생성방법에 관한 연구”, Proceeding of HCI 2003 Conference, Feb 10-13, 2003

2. 이진국, 김주연, 장성주, 이현수, “웹문서의 자동 생성기능을 기반으로 한 디자인 정보관리 시스템”, 2002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Apr 2002

1. 이진국, 이현정, 정선영, 이현수, 최진원, “인테리어 디자인 프로세스의 정보위계에 기초한 웹 기반 프로젝트 정보관리 시스템”, Proceeding of HCI 2002 Conference, Feb 10-13, 2002

 

 

국내 학회지 기타

3. 이진국, 생성AI와 건축설계 시각화, 건축, 67(11), pp. 36-39, 대한건축학회, 2023.11

2. 이현수, 이진국, 빌딩스마트 국제회의 - 인허가 관련 설계품질검토 자동화의 국제현황 및 영국 BRE의 연구프로젝트 사례, 한국주거학회지, 한국주거학회, 2015.06

1. 이진국, 이현수, 디지털 디자인 및 패브리케이션 통합 스튜디오 교육사례 소개 - 조지아텍 디지털빌딩랩에서의 인테리어 패널 제작, 한국 CADCAM 학회 학회지 제 21 1, 2015.03

 

 

■ 도서

8. Jin-Kook Lee, Hyun Jeong, Youngchae Kim, Suhyung Choi, Hayoung Jo, Sumin Chae, Youngjin Yoo. (2023) “How to Enhance Architectural Visualization Using Image Gen AI”, Book Chapter, Multimodality in Architecture - Collaboration,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Springer Nature. https://doi.org/10.1007/978-3-031-49511-3_9

7. [저서 준비중] Lee J-K et al. AI & Design (2022).

6. Lee G, Moon H, Kwon S, Lee J, Lee  J-K, and Kim J, BIM Handbook: A Guide to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Owners, Designers, Engineers, Contractors, and Facility Managers (2020), Original edition by Charles M. Eastman, Paul Teicholz, Rafael Sacks, Kathleen Liston, John Wiley & Sons Inc. 2018.

5. Lee J-K, Eastman C M, (2019). Demonstration of BERA language-based approach to offsite construction design analysis, Book Chapter 7, Offsite Production and Manufacturing for Innovative Construction: People, Process and Technology, Routledge, 129-162.

4. Kim H, Shin J, Lee J-K, (2018). Kim H, Shin J, Lee J-K, "How Can Computers Learn Building Design Rules?", Book Chapter 7, Computational Studies on Cultural Variation and Heredity, KAIST Research Series, Springer, pp. 83-93.

3. 이지현, 이진국 외 23, “Morphological Analysis of Cultural DNA”, Springer, ISBN: 978-981-10-2328-6, 2016.10, 240.

2. 이진국 외 6, “건설 및 유지관리 산업에서의 정보호환 표준: IFC KS X ISO 167392013(E)”,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2015.11, 284.

1. 이강, 문현준, 권순욱, 이재민, 이진국, 김준하, “BIM 핸드북건축주 건축가 엔지니어 그리고 건설인을 위한 BIM 가이드시공문화사. ISBN 9788955921205. 2009.04.03. 503. Original edition by Charles M. Eastman, Paul Teicholz, Rafael Sacks, Kathleen Liston, John Wiley & Sons Inc. ISBN: 978-0-470-18528-5, 2008

 

 

■ 특허

6. 건축물 외관 시각정보기반 디자인 정량화 시스템 및 방법 (BUILDING EXTERIOR VISUAL INFORMATION-BASED DESIGN QUA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출원번호:

5. 주택 설계 분석과 평가를 위한 인간객체 및 BIM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자동화 설계 시뮬레이터 시스템 (Automated Simulator Based on Human Objects and BIM Database for Analysis and Evaluation of Housing Designs), 출원번호: 10-2023-0177013, 2023.12.07

4. 건축물 설계초기 매스 이미지 및 텍스트를 이용한 준공 조감도 이미지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eroview Image by Using Mass Image in Early Design Phase and Text Based Realistic Images), 출원번호: 10-2023-0189340, 2023.12.22

3. 증강 가상 현실 및 360도 공간 시각화 기반 실내건축 설계안 프리젠테이션 영상 제작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resentation Image of Interior Architecture Design based on Augmented Virtual Reality and 360Degree Spatial Visualization), 출원번호: 10-2022-0071863, 2022.06.14

2.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건축 정보 모델의 객체 유형 정보 인식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Object Type Inform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 출원번호: 10-2019-0125987, 2019.10.11

1. 건축물의 법규 충족 판단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Building Meets The Regulations), 출원번호 10-2016-0088847, 2016. 등록번호 10-1796767, 2017.11.06

 

 

■ 등록소프트웨어

16. 오피스 최적화 이미지 자동생성 프로그램, 등록번호:

15. 사용자 신체특성기반 실내공간 설계 자동화 프로그램, 등록번호:

14. 360도 파노라마 실내공간 이미지 기반 자동분할 및 영상콘텐츠 생성 프로그램, 등록번호:

13. 사용자 신체특성기반 안전공간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 등록번호 : C-2023-058809, PI: 연세대 이진국,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2023.12.11.

12. 인공지능기반 건물 투시도 이미지 자동 생성 프로그램, 등록번호 : C-2023-058808, PI: 연세대 이진국, 한국연구재단, 2023.12.11.

11. 360도 파노라마 실내이미지 저작 및 자동분할 프로그램, 등록번호 : C-2022-044873, PI: 연세대 이진국,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2022.11.14.

10. 증강가상현실 및 360 공간 시각화 기반 실내 설계안 프레젠테이션 영상 제작 프로그램, 등록번호 : C-2021-003847, PI: 연세대 이진국, 한국연구재단, 2021.01.22.

9. 딥러닝 기반 실내이미지 디자인 자동분류 프로그램, 등록번호: C-2019-035593, PI: 연세대 이진국, 한국연구재단, 2019.11.25

8. 딥러닝 기반 BIM 모델의 미분류 객체 유형 정보 인식 프로그램, 등록번호: C-2019-026692, PI: 경희대 김인한, 국토교통부, 2019.09.27

7. 지능형 BIM기반 설계품질 검토기술 개발을 위한 공간객체 속성정보 추론 프로그램, 등록번호: C-2019-026693, PI: 경희대 김인한, 국토교통부, 2019.09.27

6. 주민참여 주거설계를 위한 BIM기반 건축 객체 자동생성프로그램 (천장 조명설치 자동화 프로그램), 등록번호 C-2018-029898, 수요자 맞춤형 주거계획 기술개발, PI: 연세대 이연숙, 국토교통부, 2018.11.01

5. KBimCode(논리규칙)의 규칙검토 실행코드 변환을 위한 웹 인터페이스, 등록번호 C-2018-029897 개방형BIM 기반의 건축설계 자동화지원 기술 및 첨단 유지관리 기반기술 개발, PI: 경희대 김인한, 국토교통부, 2018.11.01

4. KBimCode(논리규칙) 데이터베이스 웹 기반 활용 프로그램, 등록번호 C-2016-024769, 건축물 설계품질 혁신을 위한 개방형 BIM 기술환경구축, PI: 경희대 김인한, 국토교통부, 2016.10.20

3. KBimLogic(케이빔 로직) 응용프로그램 Editor(저작도구), Composer(생성도구) Meta database(메타데이터베이스), 등록번호 C-2016-024770, 건축물 설계품질 혁신을 위한 개방형 BIM 기술환경구축, PI: 경희대 김인한, 국토교통부, 2016.10.20

2. KBimLogic(케이빔로직)을 위한 논리규칙화 데이터베이스 및 웹 인터페이스, 등록번호 C-2015-010898, 건축물 설계품질 혁신을 위한 개방형 BIM 기술환경구축, PI: 경희대 김인한, 국토교통부, 2015.05.07

1. Lee J-K, Eastman C M. “BERA (Building Environment Rule & Analysis) Language – A domain-specific computer programming language for evaluating building designs”, Identification Number 5317, Office of Technology Licensing,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Jun. 2010

 

 

■ 보고서

- 미국 GSA BIM 컨퍼런스 및 과제 결과물 교육, 콜로라도 덴버 GSA빌딩, 2010

- 미국 GSA BIM 컨퍼런스 및 과제 보고회, 워싱턴DC GSA본부, 2009

- 미국 GSA 과제 보고서 3, 2008; 미국 GSA 과제 보고서 4, 2007

 

 

■ 개발소프트웨어 &

- Building Environment Rule and Analysis (BERA) Language Tool”

A domain-specific programming language “BERA” and its tool. Partially for the PhD dissertation. bim.arch.gatech.`edu/bera.

- Space Program Review Module for the U.S. Courthouses” (PI: Prof. Charles M. Eastman)

SMC (Solibri Model Checker)-based module development for the U.S. Courthouses’ spatial validation. Currently used by Chief Architects/Reviewers in the US GSA.

- EPSCT – Energy Performance Standard Calculation Toolkit” (PI: Prof. Godfried Augenbroe), Web-based building energy calculation system (based on the normative calculation methods), www.epsct.org. Integrated into the super class system and currently used by Qatar government.

- Spatial Database System for the U.S. Courthouses” (PI: Prof. Charles M. Eastman)

Web DB system for managing the U.S. Courthouse space object semantics. dcom.arch.gatech.edu/gsa.

- GT Metric Graph Structure and its Algorithms” (PI: Prof. Charles M. Eastman)

SMC (Solibri Model Checker)-based development for the visualization/checking building circulation. Embedded into SMC, since version 6.0.

- International Conference ICOST2010 Website” (PI: Prof. Yeonsook Lee)

An official website for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ICO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mart Homes and Health Telematics) 2010 at Yonsei University. www.icost2010.org.

- AIDIA – Asia Interior Design Institute Association Website” (PI: Prof. Yeonsook Lee)

Web design and admin system development for the AIDIA (Asia Interior Design Institute Association). www.globalaidia.org.

- Samoo Architects and Engineers Website” (PI: Yong-eui Choi, Samoo AE Co, Ltd.)

Web recruitment system development for the Samoo Architects and Engineers Co, Ltd.

- Digital Jikji” (PI: Jungtaek Im, Director of Yonsei Institute of Media Art)

Multimedia (CD-ROM and Website) content development in seven languages for introducing the world’s oldest metal-printed book: Jikji - the ‘UNESCO Memory of the World’, Funded by UNESCO Korea. www.digitaljikji.net. CD-ROM distributed to the City Libraries in the world.

- Monthly Magazine: Architecture and Culture” (PI: A&C Publishing Co, Ltd.), www.ancbook.com, The monthly architectural magazine ‘Architecture and Culture’ website & online book store.

- Web-based Pseudo-3D (Isometric view) Furniture Layout Design Tool: My Room Designer”

Web application development (one of three). www.furninet.co.kr. (PI: Infobios Co, Ltd.)

 


 

 

이진국, Ph.D., Professor

 

공간및디자인IT연구실 | BIM연구실 |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133-791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연세대학교 삼성관 522

02-2123-314 | +82-10-6561-7202 | leejinkook@yonsei.ac.kr | leejinkook@gmail.com | www.designitlab.kr

 

End of docu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