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7조의2조 1 항 1호
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7조제1항제5호에 따른 방재지구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7조의2 (차수설비) 1항 1호
Check(RFB_17-2_1_1){
KS
}
KS{
getResult(LPUA_37_1_5)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2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7조의2조 1 항 2호
2. 「자연재해대책법」 제12조제1항에 따른 자연재해위험지구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7조의2 (차수설비) 1항 1호
Check(RFB_17-2_1_2){
KS
}
KS{
getResult(Unimplemented_CNDA_12_1)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3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23조 3 항 1호
1. 배기구는 도로면으로부터 2미터 이상의 높이에 설치할 것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23조 (건축물의 냉방설비) 3항 1호
Check(RFB_23_3_1){
KS
}
KS{
getObjectVerticalLocation(AirOutlet, RoadSurface) >= 2m
}
Python Code 변환 예정
4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9조
제9조(비상용승강기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건축물) 법 제64조제2항 단서에서 "국토교통부령이 정하는 건축물"이라 함은 다음 각 호의 건축물을 말한다. <개정 1996.2.9, 1999.5.11, 2006.5.12, 2008.3.14, 2008.7.10, 2013.3.23>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9조 (비상용승강기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건축물)
Check(RFB_9){
KS
}
KS{
getResult(RFB_9_0_1)=TRUE
OR getResult(RFB_9_0_2)=TRUE
OR getResult(RFB_9_0_3)=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5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5조
제5조(승용승강기의 설치기준) 「건축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64조제1항에 따라 건축물에 설치하는 승용승강기의 설치기준은 별표 1의2와 같다. 다만, 승용승강기가 설치되어 있는 건축물에 1개층을 증축하는 경우에는 승용승강기의 승강로를 연장하여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개정 2001.1.17, 2006.2.13, 2008.7.10, 2015.7.9>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5조 (승용승강기의 설치기준)
Check(RFB_5){
IF !(CS) THEN KS1
}
CS{
getObjectProperty(Elevator.usage) = "PassengerElevator"
isExist(Elevator) = TRUE
}
KS1{
getResult(RFB_*_1-2) = TRUE
}
def Check(RFB_5):
CS
myobject = getobject(PassengerElevator)
if isExist(myobject) = True:
else:
getObjectProperty(Elevator, usage) = "PassengerElevator"
is
def getobjectproperty(str objname, str propname):
myobj = root.select(objname)
myprop = myobj.select(propname)
return myprop
6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0조
제10조(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법 제64조제2항에 따른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1996.2.9, 1999.5.11, 2002.8.31, 2006.2.13, 2008.7.10>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0조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Check(RFB_10){
getResult(RFB_10_2) = TRUE
getResult(RFB_10_3)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7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4조 1 항
①영 제51조제2항에 따라 6층 이상의 건축물로서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의료시설, 교육연구시설 중 연구소, 노유자시설 중 아동관련시설·노인복지시설, 수련시설 중 유스호스텔, 운동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위락시설, 관광휴게시설 및 장례식장의 거실에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하게 배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피난층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1996.2.9,1999.5.11, 2002.8.31, 2009.12.31>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4조 (배연설비) 1항
Check(RFB_14_1){
IF (CS) THEN KS
}
CS {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FALSE
}
KS {
isExist(SmokeExhaustionSystem)=TRUE
getResult(RFB_14_1_1) = TRUE
AND getResult(RFB_14_1_2)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8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4조 1 항 1호
1. 영 제46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에 방화구획이 설치된 경우에는 그 구획마다 1개소 이상의 배연창을 설치하되, 배연창의 상변과 천장 또는 반자로부터 수직거리가 0.9미터 이내일 것. 다만, 반자높이가 바닥으로부터 3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배연창의 하변이 바닥으로부터 2.1미터 이상의 위치에 놓이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4조 (배연설비) 1항 1호
Check(RFB_14_1_1){
IF (CS) THEN KS1 AND KS2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FirePartition) = TRUE
}
CS{
isObjectProperty(Building.isFirePartition) = TRUE
}
KS1{
hasSpace(myZone, SmokeVentilator) = TRUE
getObjectVerticalDistance(SmokeVentilator, Ceiling) < 0.9 m
OR getObjectVerticalDistance(SmokeVentilator, CeilingCovering) < 0.9 m
}
KS2{
IF{
getSpaceHeight(myZone, b) >= 3 m
}
THEN{
getObjectVerticalDistance(SmokeVentilator, FloorSlab) >= 2.1 m
}
}
Python Code 변환 예정
9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4조 1 항 2호
2. 배연창의 유효면적은 별표 2의 산정기준에 의하여 산정된 면적이 1제곱미터 이상으로서 그 면적의 합계가 당해 건축물의 바닥면적(영 제46조제1항 또는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방화구획이 설치된 경우에는 그 구획된 부분의 바닥면적을 말한다)의 100분의 1이상일 것. 이 경우 바닥면적의 산정에 있어서 거실바닥면적의 20분의 1 이상으로 환기창을 설치한 거실의 면적은 이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4조 (배연설비) 1항 2호
Check(RFB_14_1_2){
IF (CS) THEN (KS1 OR KS2)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FirePartition) = TRUE
}
Space mySpace{
getSpaceUsage(Space) = "Room"
getTotalElementArea(Ventilator) >= getFloorArea(Space)*0.05
}
Space mySpace2{
hasSpace(Space, myZone) = TRUE
getResult(EDBA_46_1) = TRUE
getREsult(EDBA_46_3) = TRUE
}
CS{
getElementArea(SmokeVentilator) >= 1 m2
getResult(RFB_*_2) = TRUE
}
KS1{
getTotalElementArea(Ventilator) >= (getBuildingArea()-getFloorArea(mySpace))*0.01
}
KS2{
getTotalElementArea(Ventilator) >= (getFloorArea(myZone)-getFloorArea(mySpace))*0.01
}
Python Code 변환 예정
10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4조 2 항
②특별피난계단 및 영 제90조제3항의 규정에 의한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에 설치하는 배연설비의 구조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1996.2.9, 1999.5.11>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4조 (배연설비) 2항
Check(RFB_14_2){
IF CS THEN KS
}
CS {
isObjectProperty(Stair.isSpecialEscape)=TRUE
OR isObjectProperty(Elevator.isEmergency)=TRUE
}
KS {
getResult(RFB_14_2_1) = TRUE
getResult(RFB_14_2_4)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11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4조 2 항 1호
1. 배연구 및 배연풍도는 불연재료로 하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 원활하게 배연시킬 수 있는 규모로서 외기 또는 평상시에 사용하지 아니하는 굴뚝에 연결할 것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4조 (배연설비) 2항1호
Check(RFB_14_2_1){
Duct myDuct{
getObjectProperty(Duct.functionType) = "Exhaust"
}
isObjectProperty(SmokeExhaustionOpening.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isObjectProperty(myDuct.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isConnectedToExternal(SmokeExhaustionOpening) = TRUE
isConnectedToExternal(myDuct) = TRUE)
OR( isConnectedTo(SmokeExhaustionOpening,Chimney) = TRUE
isConnectedTo(myDuct,Chimney)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12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4조 2 항 4호
4. 배연구가 외기에 접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배연기를 설치할 것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4조 (배연설비) 2항4호
Check(RFB_14_2_4){
IF isConnectedToExternal(SmokeExhaustionOpening) = FALSE
THEN isExist(SmokeExtractor)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13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23조 3 항
③상업지역 및 주거지역에서 법 제2조제1항제11호의 규정에 의한 도로(막다른 도로로서 그 길이가 10미터 미만인 경우를 제외한다)에 접한 대지의 건축물에 설치하는 냉방시설 및 환기시설의 배기구는 도로면으로부터 2미터 이상의 높이에 설치하거나 배기장치의 열기가 보행자에게 직접 닿지 아니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신설 2002.8.31>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23조 (건축물의 냉방설비) 3항
Check(RFB_23_3){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 "ResidentialArea"
OR getBuildingUsage() = "CommercialArea"
}
KS{
getResult(RFB_23_3_1)
}
Python Code 변환 예정
14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0호 나 목
나. "효율”이라 함은 설비기기에 공급된 에너지에 대하여 출력된 유효에너지의 비를 말한다.
// 비상경보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 201) 4조 (비상벨설비 또는 자동식사이렌설비) 2항
Check(NFSC201_4_2){
KS
}
KS{
Floor myFloor{
hasSpace(Floor, SpecificFireFightingBuilding) = TRUE
}
AcousticSystem myAcousticSystem{
isObjectProperty(AcousticSystem.isForPublic) = TRUE
}
isInstalled(myAcousticSystem, myFloor) = TRUE
(getObjectDistance(myAcousticSystem, Wall.Structure.) <= 25m
Python Code 변환 예정
15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0호 다 목
다. "열원설비”라 함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설비를 말한다.
// 비상경보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1) 4조 (전원 및 콘센트 등 ) 5항
Check(NFSC201_4_5){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Floor.number) < 0
}
KS{
getResult(NFSC201_4_5_1) = TRUE
getResult(NFSC201_4_5_2)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16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0호 라 목
라. "대수분할운전”이라 함은 기기를 여러 대 설치하여 부하상태에 따라 최적 운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기를 조합하여 운전하는 방식을 말한다.
// 비상경보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1) 4조 (비상벨설비 또는 자동식사이렌설비) 5항 1호
Check(NFSC201_4_5_1){
KS
}
KS{
Switch mySwitch{
isObjectProperty(Switch.ControlSwitch) = TRUE
isInstalled(Transmitter, Switch) = TRUE
}
getObjectVerticalLocation(FloorSlab, mySwitch) <= 1.5m
getObjectVerticalLocation(FloorSlab, mySwitch) >= 0.8m
}
Python Code 변환 예정
17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0호 마 목
마. "비례제어운전”이라 함은 기기의 출력값과 목표값의 편차에 비례하여 입력량을 조절하여 최적운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운전하는 방식을 말한다.
//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4조 (비상벨설비 또는 자동식사이렌설비) 5항 2호
Check(NFSC201_4_5_1){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CS1{
getObjectDistance(Corridor | Space, Transmitter) < 40m
}
KS1{
isInstalled(Transmitter, SpecificFireFightingBuilding.Floor.One) = TRUE
getOjectCount(Transmitter) = 1
getElementDistance(SpecificFireFightingBuilding.Wall | SpecificFireFightingBuilding.Column, Transmitter) <= 25m
}
CS2{
getObjectDistance(Corridor | Space, Transmitter) >= 40m
}
KS2{
isInstalled(Transmitter, SpecificFireFightingBuilding.Floor.One) = TRUE
getOjectCount(Transmitter) >= 2
getElementDistance(SpecificFireFightingBuilding.Wall | SpecificFireFightingBuilding.Column, Transmitter) <= 25m
}
Python Code 변환 예정
18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0호 바 목
바. "고효율가스보일러”라 함은 가스를 열원으로 이용하는 보일러로서 고효율인증제품과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효율관리기자재 운용규정」에 따른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제품 또는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가진 것을 말한다.
// 비상경보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1) 5조 (단독경보형감지기)
Check(NFSC201_5){
KS
}
KS{
getResult(NFSC201_5_1) = TRUE
getResult(NFSC201_5_2) = TRUE
getResult(NFSC201_5_4)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19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0호 사 목
사. "고효율원심식냉동기”라 함은 원심식냉동기 중 고효율인증제품 또는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가진 것을 말한다.
// 비상경보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1) 5조 (단독경보형감지기) 1호
Check(NFSC201_5_0_1){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Room myRoom{
getFloorArea(Room) <= 150m2
}
Room myRoom2{
isAdjacent(myRoom, Room) = TRUE
}
getFloorArea(myRoom2) <= 30m2
}
KS1{
Room myRoom{
getFloorArea(Room) <= 150m2
}
Room myRoom2{
isAdjacent(myRoom, Room) = TRUE
}
SelfcontainedTypeFireAlarmDevice mySelfcontainedTypeFireAlarmDevice{
hasSpace(myRoom, SelfcontainedTypeFireAlarmDevice) = TRUE
}
isExist(mySelfcontainedTypeFireAlarmDevice) = TRUE
}
CS2{
Room myRoom{
getFloorArea(Room) > 150m2
}
Room myRoom2{
isAdjacent(myRoom, Room) = TRUE
}
getFloorArea(myRoom2) <= 30m2
}
KS2{
Room myRoom{
getFloorArea(Room) > 150m2
}
Room myRoom2{
isAdjacent(myRoom, Room) = TRUE
}
Sensor mySensor{
isObjectProperty(Sensor.isSelfcontainedTypeFireAlarmDevice) = TRUE
hasSpace(myRoom, Sensor ) = TRUE
}
isInstalled(myRoom, mySelfcontainedTypeFireAlarmDevice, c, 150m2)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20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0호 아 목
아. "심야전기를 이용한 축열·축냉시스템”이라 함은 심야시간에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저장하였다가 이를 난방, 온수, 냉방 등의 용도로 이용하는 설비로서 한국전력공사에서 심야전력기기로 인정한 것을 말한다.
// 비상경보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1) 5조 (단독경보형감지기) 2호
Check(NFSC201_5_0_2){
KS
}
KS{
Ceiling myCeiling{
hasSpace(Building.TopFloor.Stair.Space, Ceiling) = TRUE
}
Sensor mySensor{
isObjectProperty(Sensor.isSelfcontainedTypeFireAlarmDevice) = TRUE
}
isInstalled(myCeiling, mySensor)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21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0호 자 목
자. "폐열회수형환기장치”라 함은 난방 또는 냉방을 하는 장소의 환기장치로 실내의 공기를 배출할 때 급기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구조를 가진 것으로서 고효율인증제품 또는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가진 것을 말한다.
//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 4조 (전원 및 콘센트 등) 1항
Check(NFSC504_4_1){
KS
}
KS{
getResult(NFSC504_4_1_2) = TRUE
getResult(NFSC504_4_1_3)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22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0호 차 목
차. "이코노마이저시스템”이라 함은 중간기 또는 동계에 발생하는 냉방부하를 실내 엔탈피 보다 낮은 도입 외기에 의하여 제거 또는 감소시키는 시스템을 말한다.
//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 4조 (전원 및 콘센트 등) 1항 2호
Check(NFSC504_4_1_2){
IF CS THEN KS
}
Floor myFloor{
getFloorNumber < 0
hasSpace(Floor, SpecificFireFightingBuilding) = TRUE
}
Floor myFloor2{
getFloorNumber >= 0
hasSpace(Floor, SpecificFireFightingBuilding) = TRUE
}
CS{
(getBuildingStoriesCount() >= 7
getGrossFloorArea(myFloor2) >= 2000m2)
OR getTotalFloorArea(myFloor) >= 3000m2
}
KS{
isInstalled(EmergencyPower, EmergencyPowerOutletSystem) = TRUE
getObjectProperty(EmergencyPowerReceivingSystem.type) = "InhousePowerGenerationSystem"
OR getObjectProperty(EmergencyPowerReceivingSystem.type) = "EmergencyPowerReceivingSystem"
}
Python Code 변환 예정
23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0호 카 목
카. "중앙집중식 냉·난방설비”라 함은 건축물의 전부 또는 냉난방 면적의 60% 이상을 냉방 또는 난방함에 있어 해당 공간에 순환펌프, 증기난방설비 등을 이용하여 열원 등을 공급하는 설비를 말한다. 단,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효율관리기자재 운용규정」에서 정한 가정용 가스보일러는 개별 난방설비로 간주한다.
//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 4조 (전원 및 콘센트 등) 1항 3호
Check(NFSC504_4_1_3){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getObjectProperty(EmergencyPowerReceivingSystem.type) = "InhousePowerGenerationSystem"
}
KS1{
getResult(NFSC504_4_1_3_4) = TRUE
}
CS2{
getObjectProperty(EmergencyPowerReceivingSystem.type) = "EmergencyPowerReceivingSystem"
}
KS2{
getResult(Unimplemented_NFSC_602)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24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1호
11. 전기설비부문
//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 4조 (전원 및 콘센트 등) 1항 3호 라목
Check(NFSC504_4_1_3_4){
KS
}
KS{
Room myRoom{
isInstalled(EmergencyPower, Room) = TRUE
}
isFirePartitioned(myRoom)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25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1호 가 목
가. "고효율변압기”라 함은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효율관리기자재 운용규정」에서 정한 고효율 변압기로 정의하는 제품을 말한다.
//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 4조 (전원 및 콘센트 등) 5항
Check(NFSC504_4_5){
KS
}
KS{
getResult(NFSC504_4_5_2) = TRUE
getResult(NFSC504_4_5_3)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26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1호 가 목
거. "창문 연계 냉난방설비 자동 제어시스템”이라 함은 창문 개방시 센서가 이를 감지해 자동으로 해당 실의 냉난방 공급을 차단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 4조 (전원 및 콘센트 등) 5항 2호
Check(NFSC504_4_5_2){
KS
}
KS{
getObjectVerticalLocation(FloorSlab, EmergencyPowerOutlet) >= 0.8m
getObjectVerticalLocation(FloorSlab, EmergencyPowerOutlet) <= 1.5m
}
Python Code 변환 예정
27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1호 나 목
나. "역률개선용콘덴서”라 함은 역률을 개선하기 위하여 변압기 또는 전동기 등에 병렬로 설치하는 콘덴서를 말한다.
//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 4조 (전원 및 콘센트 등) 5항 3호
Check(NFSC504_4_5_3){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ApartmentHouse"
}
Floor myFloor{
getFloorArea(Floor) < 1000m2
}
Floor myFloor2{
hasSpace(myBuilding, Floor) = TRUE
}
isExist(myFloor) = TRUE
OR isExist(myFloor2) = TRUE
}
KS1{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
getObjectDistance(myDoor.Stair.Space, EmergencyPowerOutlet) < 5m
OR getObjectDistance(myDoor.Stair.AncillaryRoom, EmergencyPowerOutlet) < 5m
}
CS2{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ApartmentHouse"
}
Floor myFloor{
getFloorArea(Floor) >= 1000m2
hasSpace(myBuilding, Floor) = FALSE
}
isExist(myFloor) = TRUE
}
KS2{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
getObjectDistance(myDoor.Stair.Space, EmergencyPowerOutlet) < 5m
OR getObjectDistance(myDoor.Stair.AncillaryRoom, EmergencyPowerOutlet) < 5m
}
Python Code 변환 예정
28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1호 다 목
다. "전압강하”라 함은 인입전압(또는 변압기 2차전압)과 부하측전압과의 차를 말하며 저항이나 인덕턴스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강하하는 전압을 말한다.
//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 4조 (전원 및 콘센트 등) 5항 3호 가목
Check(NFSC504_4_5_3_1){
IF CS THEN KS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
Floor myFloor{
getFloorNumber(Floor) < 0
}
CS{
getFloorArea(myFloor) >= 3000m2
}
KS{
getObjectDistance(myDoor.Stair.Space, EmergencyPowerOutlet) > 25m
OR getObjectDistance(myDoor.Stair.AncillaryRoom, EmergencyPowerOutlet) > 25m
}
Python Code 변환 예정
29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1호 라 목
라. "고효율조명기기”라 함은 광원, 안정기, 기타 조명기기로서 고효율인증제품 또는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효율관리기자재 운용규정」에서 고효율조명기기로 정의하는 제품을 말한다.
//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 4조 (전원 및 콘센트 등) 5항 3호 나목
Check(NFSC504_4_5_3_2){
IF CS THEN KS
}
CS{
getResult(NFSC504_4_5_3_1) = FALSE
}
KS{
getObjectDistance(myDoor.Stair.Space, EmergencyPowerOutlet) > 25m
OR getObjectDistance(myDoor.Stair.AncillaryRoom, EmergencyPowerOutlet) > 25m
}
Python Code 변환 예정
30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1호 마 목
마. "조도자동조절조명기구”라 함은 인체 또는 주위 밝기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조명등을 점멸하거나 조도를 자동 조절할 수 있는 센서장치 또는 그 센서를 부착한 등기구로서 고효율인증제품 또는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가진 것을 말하며, LED센서등을 포함한다. 단, 백열전구를 사용하는 조도자동조절조명기구는 제외한다.
//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 5조 (보호함)
Check(NFSC504_5){
KS
}
KS{
getResult(NFSC504_5_0_1) = TRUE
getResult(NFSC504_5_0_3)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31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1호 바 목
바. "수용률”이라 함은 부하설비 용량 합계에 대한 최대 수용전력의 백분율을 말한다.
//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 5조 (보호함) 1호
Check(NFSC504_5_0_1){
KS
}
KS{
isInstalled(Door, EmergencyPowerOutletProtectiveBox)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32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1호 사 목
사. "최대수요전력”이라 함은 수용가에서 일정 기간 중 사용한 전력의 최대치를 말하며, "최대수요전력제어설비”라 함은 수용가에서 피크전력의 억제, 전력 부하의 평준화 등을 위하여 최대수요전력을 자동제어할 수 있는 설비를 말한다.
//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 5조 (보호함) 3호
Check(NFSC504_5_0_3){
KS
}
KS{
isInstalled(IndicatingLamp, EmergencyPowerOutletProtectiveBox, a, Top)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33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1호 아 목
아. "가변속제어기(인버터)”라 함은 정지형 전력변환기로서 전동기의 가변속운전을 위하여 설치하는 설비로서 고효율인증제품 또는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가진 것을 말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1항
Check(NFSC102_6_1){
KS
}
KS{
getResult(NFSC102_6_1_1) = TRUE
getResult(NFSC102_6_1_2)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34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2호 가 목
가. "신·재생에너지”라 함은「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촉진법」에서 규정하는 것을 말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2항 3호
Check(NFSC102_6_2_3){
KS
}
KS{
SprinklerSystem mySprinklerSystem{
isObjectProperty(SprinklerSystem.type) = "WetPipeSprinklerSystem"
}
(isObjectProperty(Ceiling.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OR isObjectProperty(Ceiling.Material.quasiNonCombustibility)=TRUE)
(isObjectProperty(CeilingCovering.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OR isObjectProperty(CeilingCovering.Material.quasiNonCombustibility)=TRUE)
isInstalled(mySprinklerSystem, Ceiling)=TRUE
isInstalled(mySprinklerSystem, CeilingCovering)=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35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3호
13. "공공기관”이라 함은 산업통상자원부고시 「공공기관 에너지이용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에서 정한 기관을 말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2항 3호
Check(NFSC102_6_2_3){
KS
}
KS{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usage) = "WaterSupplyPipe"
}
isObjectProperty(Pipe.isShared) = FALSE
}
Python Code 변환 예정
36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2호
2. "권장사항”이라 함은 건축물을 건축하는 건축주와 설계자 등이 건축물의 설계 시 선택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사항을 말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5항
Check(NFSC102_6_5){
IF CS THEN KS
}
CS{
isInstalled(Pump.Inlet, Pipe) = TRUE
}
KS{
getResult(NFSC503A_8_4_1) = TRUE
getResult(NFSC503A_8_4_2)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37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5호
5. "고효율에너지기자재인증제품”(이하 "고효율인증제품”이라 한다)이라 함은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보급촉진에 관한규정」(이하 "고효율인증규정”이라 한다)에서 정한 기준을 만족하여 에너지관리공단에서 인증서를 교부받은 제품을 말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6항
Check(NFSC102_6_6){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OR (CS3 THEN KS3) OR (CS4 THEN KS4)
}
Port myPort{
Port.typeForWater = "IndoorFireHydrantDischarge"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isConnectedTo(Pipe, myPort) = TRUE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Riser) = TRUE
}
CS1{
getObjectProperty(myPipe.systemType) = "HoseReelHydrantSystem"
}
KS1{
getObjectProperty(myPipe.diameter) >= 25mm
}
CS2{
getObjectProperty(myPipe.systemType) != "HoseReelHydrantSystem"
}
KS2{
getObjectProperty(myPipe.diameter) >= 40mm
}
CS3{
getObjectProperty(myPipe2.systemType) = "HoseReelHydrantSystem"
}
KS3{
getObjectProperty(myPipe2.diameter) >= 32mm
}
CS4{
getObjectProperty(myPipe2.systemType) != "HoseReelHydrantSystem"
}
KS4{
getObjectProperty(myPipe2.diameter) >= 50mm
}
Python Code 변환 예정
38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6호
6. "완화기준”이라 함은 「건축법」,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및 「지방자치단체 조례」등에서 정하는 조경설치면적, 건축물의 용적률 및 높이제한 기준을 적용함에 있어 완화 적용할 수 있는 비율을 정한 기준을 말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7항
Check(NFSC503A_6_7){
IF CS THEN KS
}
CS{
Pipe.isShared(SimpleSprinklersystem.Pipe, 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Pipe) = TRUE
}
KS{
Pipe myPipe1{
isObjectProperty(Pipe.isRiser) = TRUE
}
Port myPort{
getObjectProperty(Port.typeForWater) = "Delivery"
Pipe myPipe2{
isConnectedTo(Pipe, myPort) = TRUE
}
isObjectProperty(myPipe1.diameter) >= 100 mm
getObjectProperty(myPipe2.diameter) >= 65 mm
}
Python Code 변환 예정
39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7호
7. "예비인증”이라 함은 건축물의 완공 전에 설계도서 등으로 인증기관에서 건축물 에너지 효율등급 인증, 녹색건축인증 또는 신·재생에너지 이용 건축물 인증을 받는 것을 말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8항
Check(NFSC102_6_8){
KS
}
KS{
getResult(NFSC102_6_8_1) = TRUE
OR getResult(NFSC102_6_8_2)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40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가 목
가. "거실”이라 함은 건축물 안에서 거주(단위 세대 내 욕실·화장실·현관을 포함한다)·집무·작업·집회·오락 기타 이와 유사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되는 방을 말하나, 특별히 이 기준에서는 거실이 아닌 냉·난방공간 또한 거실에 포함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9항
Check(NFSC503A_6_9){
KS
}
KS{
Valve myValve1{
isObjectProperty(Valve.isCheckValve) = TRUE
}
PP = getObjectProperty(Pump.shutoffPressure)
Valve myValve2{
isObjectProperty(Valve.isReliefVavle) = TRUE
isObjectProperty(Valve.reliefPressure) < PP
}
isInstalledInOrder(myValve1, Pipe, Pump) = TRUE
isObjectProperty(Pipe.diameter) >= 20mm
isInstalled(myValve2, Pipe)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41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거 목
거. "투광부"라 함은 창, 문면적의 50% 이상이 투과체로 구성된 문, 유리블럭, 플라스틱패널 등과 같이 투과재료로 구성되며, 외기에 접하여 채광이 가능한 부위를 말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11항
Check(NFSC503A_6_11){
IF CS THEN KS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usage) = "WaterSupplyPipe"
}
Valve myValve1{
isObjectProperty(Valve.isShutoffValve) = TRUE
}
S{
isInstalled(myValve1,myPipe) = TRUE
isInstalled(myValve1,myPort) = FALSE
}
KS{
isObjectProperty(myValve1.isIndicatingValve) = TRUE
Valve myValve2{
isInstalled(Valve, Pump.Inlet) = TRUE
}
isObjectProperty(myValve2.isIndicatingValve) = TRUE
isObjectProperty(myValve2.isButterflyValve) = FALSE
}
Python Code 변환 예정
42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나 목
나. "외피”라 함은 거실 또는 거실 외 공간을 둘러싸고 있는 벽·지붕·바닥·창 및 문 등으로서 외기에 직접 면하는 부위를 말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13항
Check(NFSC503A_6_13){
KS
}
KS{
getResult(NFSC503A_8_13_2) = TRUE
getResult(NFSC503A_8_13_3) = TRUE
getResult(NFSC503A_8_13_4)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43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너 목
너. "태양열취득률(SHGC)"이라 함은 입사된 태양열에 대하여 실내로 유입된 태양열취득의 비율을 말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13항 2호
Check(NFSC503A_6_13_2){
IF !CS THEN KS
}
CS{
isShared(HookingUpSprinklerSystem.Pipe, SprinklerSystem.Pipe, WaterSprayExtingushingSystem.Pipe, FoamExtinguishingSystem.Pipe) = TRUE
OR isShared(HookingUpSprinklerSystem.Pipe, 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Pipe) = TRUE
}
KS{
Port myPort{
getObjectProperty(HookingUpSprinklerSystem.Port.typeForWater) = "FireDepartmentConnection"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Riser)=TRUE
}
Vavle myValve{
isObjectProperty(Valve.isShutoffValve)= TRUE
}
isConnectedTo(myPort, Pipe) = TRUE
isConnectedTo(Pipe, myPipe) = TRUE
isInstalled(myValve, myPipe) = FALSE
}
Python Code 변환 예정
44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다 목
다. "거실의 외벽”이라 함은 거실의 벽 중 외기에 직접 또는 간접 면하는 부위를 말한다. 다만, 복합용도의 건축물인 경우에는 해당 용도로 사용하는 공간이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공간과 접하는 부위를 외벽으로 볼 수 있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13항 3호
Check(NFSC503A_6_13_3){
KS
}
KS{
Port myPort{
getObjectProperty(IndoorFireHydrantSystem.Port.typeForWater) = "FireDepartmentConnection"
}
getObjectVerticalDistance(Ground, myPort) >= 0.5m
getObjectVerticalDistance(Ground, myPort) <= 1m
}
Python Code 변환 예정
45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더 목
더. "차양장치"라 함은 태양열의 실내 유입을 저감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하는 장치로서 설치위치에 따라 외부 차양과 내부 차양 그리고 유리간 사이 차양으로 구분된다. 가동 유무에 따라 고정식과 가변식으로 나눌 수 있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13항 4호
Check(NFSC503A_6_13_4){
KS{
Port myPort{
isObjectProperty(Port.typeForWater) = "FireDepartmentConnection"
}
(isObjectProperty(myPort.shapeType)="DoubleType"
isObjectProperty(myPort.diameter) = 65mm)
OR isObjectProperty(myPort.shapeType) = "SingleType"
}
Python Code 변환 예정
46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라 목
라. "최하층에 있는 거실의 바닥”이라 함은 최하층(지하층을 포함한다)으로서 거실인 경우의 바닥과 기타 층으로서 거실의 바닥 부위가 외기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면한 부위를 말한다. 다만, 복합용도의 건축물인 경우에는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공간과 접하는 부위를 최하층에 있는 거실의 바닥으로 볼 수 있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7조 (함 및 방수구 등) 2항
Check(NFSC503A_7_2){
getResult(NFSC503A_7_2_1) = TRUE
getResult(NFSC503A_7_2_2) = TRUE
getResult(NFSC503A_7_2_3)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47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러 목
러. "일사조절장치"라 함은 태양열의 실내 유입을 조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하는 장치를 말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7조 (함 및 방수구 등) 2항 1호
Check(NFSC503A_7_2_1){
KS2 AND IF CS THEN KS1
}
KS2{
isInstalled(옥내소화전방수구, SpecificFireFightingBuilding.Floor.One) = TRUE
getElementDistance(SpecificFireFightingBuilding.Wall|SpecificFireFightingBuilding.Column, 옥내소화전방수구.One) <= 25m
}
CS{
getBuildingUsage() = "MultiUnitHouse"
}
KS2{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
Floor myFloor{
isInstalled(myDoor, Floor) = TRUE
}
Port myPort{
Port.typeForWater="IndoorFireHydrantDischarge"
}
isInstalled(myPort, myFloor.One)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48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마 목
마. "최상층에 있는 거실의 반자 또는 지붕”이라 함은 최상층으로서 거실인 경우의 반자 또는 지붕을 말하며, 기타 층으로서 거실의 반자 또는 지붕 부위가 외기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면한 부위를 포함한다. 다만, 복합용도의 건축물인 경우에는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공간과 접하는 부위를 최상층에 있는 거실의 반자 또는 지붕으로 볼 수 있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7조 (함 및 방수구 등) 2항 2호
Check(NFSC503A_7_2_2){
KS
}
KS{
Port myPort{
Port.typeForWater="IndoorFireHydrantDischarge"
}
getObjectVerticalLocation(myPort, FloorSlab) > 0
getObjectVerticalDistance(FloorSlab, myPort) <= 1.5m
}
Python Code 변환 예정
49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바 목
바. "외기에 직접 면하는 부위”라 함은 바깥쪽이 외기이거나 외기가 직접 통하는 공간에 면한 부위를 말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7조 (함 및 방수구 등) 2항 3호
Check(NFSC503A_7_2_3){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 HoseReelIndoorFireHydrantSystem
}
KS2{
isObjectPropertyt(Hose.diameter) >= 40mm
}
CS1{
HoseReelIndoorFireHydrantSystem
}
KS2{
isObjectPropertyt(Hose.diameter) >= 25mm
}
Python Code 변환 예정
50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사 목
사. "외기에 간접 면하는 부위”라 함은 외기가 직접 통하지 아니하는 비난방 공간(지붕 또는 반자, 벽체, 바닥 구조의 일부로 구성되는 내부 공기층은 제외한다)에 접한 부위, 외기가 직접 통하는 구조이나 실내공기의 배기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샤프트 등에 면한 부위, 지면 또는 토양에 면한 부위를 말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7조 (함 및 방수구 등) 3항
Check(NFSC503A_7_3){
getResult(NFSC503A_7_3_1)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51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아 목
아. "방풍구조”라 함은 출입구에서 실내외 공기 교환에 의한 열출입을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방풍실 또는 회전문 등을 설치한 방식을 말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7조 (함 및 방수구 등) 3항 1호
Check(NFSC503A_7_3_1){
KS
}
KS{
IndicatingLamp myIndicatingLamp{
isObjectProerpty(IndicatingLamp.systemType) = "IndoorFireHydrantSystem"
}
isInstalled(myIndicatingLamp, IndoorFireHydrantSystemCabinet.TopSurface)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52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자 목
자. "기밀성 창”, "기밀성 문”이라 함은 창 및 문으로서 한국산업규격(KS) F 2292 규정에 의하여 기밀성 등급에 따른 기밀성이 1∼5등급(통기량 5㎥/h·㎡ 미만)인 것을 말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7조 (함 및 방수구 등) 3항 2호
Check(NFSC102_7_3_2){
KS
}
KS{
isInstalled(IndicatingLamp, IndoorFireHydrantSystemCabinet, a, Top)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53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차 목
차. "외단열”이라 함은 건축물 각 부위의 단열에서 단열재를 구조체의 외기측에 설치하는 단열방법으로서 모서리 부위를 포함하여 시공하는 등 열교를 차단한 경우를 말하며, 외단열 설치비율은 외기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면하는 부위로서 단열시공이 되는 외벽면적(창 및 문 제외)에 대한 외단열 시공 면적비율을 말한다. 단, 외기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면하는 부위로서 단열시공이 되는 외벽면적(창 및 문 포함)에 대한 창 및 문의 면적비가 50% 미만일 경우에 한하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4조 (수원) 1항
Check(NFSC103_4_1){
KS
}
KS{
getResult(NFSC103_4_1_1) = TRUE
getResult(NFSC103_4_1_2)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54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카 목
카. "방습층”이라 함은 습한 공기가 구조체에 침투하여 결로발생의 위험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투습도가 24시간당 30g/㎡ 이하 또는 투습계수 0.28g/㎡·h·㎜Hg 이하의 투습저항을 가진 층을 말한다.(시험방법은 한국산업규격 KS T 1305 방습포장재료의 투습도 시험방법 또는 KS F 2607 건축 재료의 투습성 측정 방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다만, 단열재 또는 단열재의 내측에 사용되는 마감재가 방습층으로서 요구되는 성능을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4조 (수원) 5항
Check(NFSC103_4_5){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Tank.isWaterSource) = TRUE
(getResult(NFSC103_4_5_1) = FALSE
OR getResult(NFSC103_4_5_2) = FALSE)
}
KS{
isObjectProperty(Tank.isShared) = FALSE
}
Python Code 변환 예정
55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타 목
타. "야간단열장치”라 함은 창의 야간 열손실을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단열셔터, 단열덧문으로서 총열관류저항(열관류율의 역수)이 0.4㎡·K/W 이상인 것을 말한다.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4조 (수원) 5항 1호
Check(NFSC103_4_5_1){
KS
}
Pump myPump{
isInstalled(Pump, SprinklerSystem) = TRUE
}
Valve myValve{
isObjectProperty(Valve.isFootValve) = TRUE
isInstalled(Valve, myPump) = TRUE
}
Valve myValve2{
isObjectProperty(Valve.isFootValve) = TRUE
Valve != myValve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ObsorptionPipe) = TRUE
}
Obsorption myObsorptionOpening{
isInstalled(ObsorptionOpening, myPipe) = TRUE
}
Obsorption myObsorptionOpening2{
ObsorptionOpening != myObsorptionOpening
}
KS{
getObjectVerticalLocation(myValve, myValve2) < 0
OR getObjectVerticalLocation(myObsorptionOpening, myOpsorptionOpening2) < 0
}
Python Code 변환 예정
56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파 목
파. "평균 열관류율”이라 함은 지붕(천창 등 투명 외피부위를 포함하지 않는다), 바닥, 외벽(창 및 문을 포함한다) 등의 열관류율 계산에 있어 세부 부위별로 열관류율값이 다를 경우 이를 면적으로 가중평균하여 나타낸 것을 말한다. 단, 평균열관류율은 중심선 치수를 기준으로 계산한다.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4조 (수원) 5항 2호
Check(NFSC103_4_5_2){
KS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Riser) = TRUE
isInstalled(Pipe, SprinklerSystem) = TRUE
}
Tank myTank{
getObjectProperty(Tank.operationType) = "ElevatedWaterTank"
}
WaterSupplyOpening myWaterSupplyOpening{
isConnectedTo(WaterSupplyOpening, myPipe) = TRUE
}
WaterSupplyOpening myWaterSupplyOpening2{
WaterSupplyOpening != myWaterSupplyOpening
}
KS{
getObjectVerticalLocation(myWaterSupplyOpening, myWaterSupplyOpening2) < 0
}
Python Code 변환 예정
57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하 목
하. 별표1의 창 및 문의 열관류율 값은 유리와 창틀(또는 문틀)을 포함한 평균 열관류율을 말한다.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 103) 4조 (수원) 7항
Check(NFSC103A_4_7){
KS
}
KS{
getResult(NFSC103_4_7_3) = TRUE
getResult(NFSC103_4_7_4) = TRUE
getResult(NFSC103_4_7_5) = TRUE
getResult(NFSC103_4_7_6)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58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제6조(건축부문의 의무사항) 제2조에 따른 열손실방지 조치 대상 건축물의 건축주와 설계자 등은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건축부문의 설계기준을 따라야 한다.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6조 (폐쇄형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유수검지장치)
Check(NFSC103_6){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SprinklerSystem.Head.openAndCloseType)="EnclosedType"
}
KS{
getResult(NFSC103_6_0_1)=True
getResult(NFSC103_6_0_2)=True
getResult(NFSC103_6_0_3)=True
getResult(NFSC103_6_0_4)=True
getResult(NFSC103_6_0_7)=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59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1호
1. 단열조치 일반사항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6조 (폐쇄형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유수검지장치) 1호
Check(NFSC103_6_0_1){
KS
}
KS{
getFloorArea(SprinklerSystme.ProtectionZone.One)<=3000 m2
}
Python Code 변환 예정
60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1호 가 목
가. 외기에 직접 또는 간접 면하는 거실의 각 부위에는 제2조에 따라 건축물의 열손실방지 조치를 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부위에 대해서는 그러하지 아니할 수 있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6조 (폐쇄형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유수검지장치) 2호
Check(NFSC103_6_0_2){
KS
}
KS{
getObjectCount(SprinklerSystem.ProtectionZonme.One.WaterflowIndicator)>=1
}
Python Code 변환 예정
61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1호 가 1) 목
1) 지표면 아래 2미터를 초과하여 위치한 지하 부위(공동주택의 거실 부위는 제외)로서 이중벽의 설치 등 하계 표면결로 방지 조치를 한 경우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6조 (폐쇄형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유수검지장치) 3호
Check(NFSC103_6_0_3){
IF CS THEN KS1 ELSE KS2
}
CS{
Building myBuilding{
Building.usage = "MultiUnitHouse"
}
getObjectCount(Floor.One, SprinklerHead)<=10
OR isObjectProperty(myBuilding.isDuplexType)=True
}
KS1{
getObjectCount(SprinklerSystem.ProtectionZone.One.Floor )<=3
}
KS2{
getObjectCount(SprinklerSystem.ProtectionZone.One.Floor )<2
}
Python Code 변환 예정
62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1호 가 2) 목
2) 지면 및 토양에 접한 바닥 부위로서 난방공간의 외벽 내표면까지의 모든 수평거리가 10미터를 초과하는 바닥부위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6조 (폐쇄형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유수검지장치) 4호
Check(NFSC103_6_4){
KS
}
KS{
Material myMaterial{
getObjectProperty(Object.Material)="ProtectiveWireMesh"
}
isExternal(WaterflowIndicator)=FALSE
OR isPartitioned(WaterflowIndicator, , myMaterial) = TRUE
getObjectVerticalDistance(FloorSlab, WaterflowIndicator, a)0.8m >=
getObjectVerticalDistance(FloorSlab, WaterflowIndicator, a)0.8m <= 1.5m
Door myDoor{
getObjectProperty(Door.width) >= 0.5m
getObjectProperty(Door.height) >= 1m
}
hasObject(WaterflowIndicator.Space,myDoor)=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63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1호 가 3) 목
3) 외기에 간접 면하는 부위로서 당해 부위가 면한 비난방공간의 외피를 별표1에 준하여 단열조치하는 경우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6조 (폐쇄형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유수검지장치) 7호
Check(NFSC103_6_0_7){
IF CS THEN KS
}
CS{
SprinklerHead mySprinklerHead{
getObjectProperty(SprinklerHead.responseType)="QuickResponseType"
}
isExist(mySprinklerHead)=True
}
KS{
WaterflowIndicator myWaterflowIndicator{
getObjectProperty(WaterflowIndicator.type)="WetWaterflowIndicator"
}
SprinklerSystem mySprinklerSystem{
getObjectProperty(SprinklerSystem.type)="VacuumSprinklerExtinguishingSystem"
}
isExist(myWaterflowIndicator)=True
OR isExist(mySprinklerSystem)=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64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1호 가 4) 목
4) 공동주택의 층간바닥(최하층 제외) 중 바닥난방을 하지 않는 현관 및 욕실의 바닥부위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7조 (개방형스프링클러설비의 방수구역 및 일제개방밸브)
Check(NFSC103_7){
KS
}
KS{
getResult(NFSC103_7_0_1)=True
getResult(NFSC103_7_0_2)=True
getResult(NFSC103_7_0_3)=True
getResult(NFSC103_7_0_4)=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65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1호 가 5) 목
5) 제5조제9호아목에 따른 방풍구조(외벽제외) 또는 바닥면적 150제곱미터 이하의 개별 점포의 출입문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7조 (개방형스프링클러설비의 방수구역 및 일제개방밸브) 1호
Check(NFSC103_7_0_1){
KS
}
KS{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WaterProofingZone)=True
}
getObjectCount(myZonme.One.Floor)<2
}
Python Code 변환 예정
66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1호 나 목
나. 단열조치를 하여야 하는 부위의 열관류율이 위치 또는 구조상의 특성에 의하여 일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부위의 평균 열관류율값을 면적가중 계산에 의하여 구한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7조 (개방형스프링클러설비의 방수구역 및 일제개방밸브) 2호
Check(NFSC103_7_0_2){
KS
}
KS{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WaterProofingZone)=True
}
Valve myValve{
isObjectProperty(Valve.isDelugeValve)=True
}
getObjectCount(myValve,myZone)>=1
}
Python Code 변환 예정
67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1호 다 목
다. 단열조치를 하여야 하는 부위에 대하여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방법에 따라 단열기준에 적합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7조 (개방형스프링클러설비의 방수구역 및 일제개방밸브) 3호
NFSC103_7_0_3{
IF CS THEN KS1 ELSE KS2
}
CS{
getObjectCount(myZone)>=2
}
KS1{
getObjectCount(SprinklerSystem.Head, myZone.One)>=25
}
KS2{
getObjectCount(SprinklerSystem.Head, myZone.One)<=50
}
Python Code 변환 예정
68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1호 다 1) 목
1) 이 기준 별표3의 지역별·부위별·단열재 등급별 허용 두께 이상으로 설치하는 경우(단열재의 등급 분류는 별표2에 따름) 적합한 것으로 본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7조 (개방형스프링클러설비의 방수구역 및 일제개방밸브) 4호
Check(NFSC103_7_0_4){
KS
}
KS{
getResult(NFSC103_6_0_4)=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69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1호 다 2) 목
2) 해당 벽·바닥·지붕 등의 부위별 전체 구성재료와 동일한 시료에 대하여 KS F2277(건축용 구성재의 단열성 측정방법)에 의한 열저항 또는 열관류율 측정값이 별표1의 부위별 열관류율에 만족하는 경우에는 적합한 것으로 보며, 시료의 공기층(단열재 내부의 공기층 포함) 두께와 동일하면서 기타 구성재료의 두께가 시료보다 증가한 경우와 공기층을 제외한 시료에 대한 측정값이 기준에 만족하고 시료 내부에 공기층을 추가하는 경우에도 적합한 것으로 본다. 단,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9조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1항
Check(NFSC103_9_1){
KS
}
KS{
getResult(NFSC103_9_1_3) = TRUE
getResult(NFSC103_9_1_4)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70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1호 다 3) 목
3) 구성재료의 열전도율 값으로 열관류율을 계산한 결과가 별표1의 부위별 열관류율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적합한 것으로 본다.(단, 각 재료의 열전도율 값은 한국산업규격 또는 국가공인시험기관의 KOLAS 인정마크가 표시된 시험성적서의 값을 사용하고, 표면열전달저항 및 중공층의 열저항은 이 기준 별표5 및 별표6에서 제시하는 값을 사용)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9조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1항 3호
Check(NFSC103_9_1_3){
KS
}
KS{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ProtectionZone) = TRUE
}
isInstalled(AcousticSystem, myZone) = TRUE
getElementDistance(myZone.Wall|myZone.Column, AcousticSystem.One) <= 25m
}
Python Code 변환 예정
71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1호 다 4) 목
4) 창 및 문의 경우 KS F 2278(창호의 단열성 시험 방법)에 의한 국가공인시험기관의 KOLAS 인정마크가 표시된 시험성적서 또는 별표4에 의한 열관류율값 또는 산업통상자원부고시 「효율관리기자재 운용규정」에 따른 창 세트의 열관류율 표시값이 별표1의 열관류율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적합한 것으로 본다.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9조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1항 4호
Check(NFSC103_9_1_4){
KS
}
KS{
isInstalled(Alarm, SprinklerSystem) = TRUE
OR isInstalled(Siren, SprinklerSystem)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72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1호 다 5) 목
5) 열관류율 또는 열관류저항의 계산결과는 소수점 3자리로 맺음을 하여 적합 여부를 판정한다.(소수점 4째 자리에서 반올림)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9조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1항 5호
Check(NFSC103_9_1_5){
KS
}
KS{
isInstalled(AcousticSystem, Receiver, a, In)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73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1호 라 목
라. 별표1 건축물부위의 열관류율 산정을 위한 단열재의 열전도율 값은 한국산업규격 KS L 9016 보온재의 열전도율 측정방법에 따른 국가공인시험기관의 KOLAS 인정마크가 표시된 시험성적서에 의한 값을 사용하되 열전도율 시험을 위한 시료의 평균온도는 20±5℃로 한다.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9조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3항
Check(NFSC103_9_3){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WaterflowIndicator.type) = "PreactionWaterflowIndicator"
OR isObjectProperty(Valve.isDelugeValve) = TRUE
}
KS{
getResult(NFSC103_9_0_5)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74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1호 마 목
마. 수평면과 이루는 각이 70도를 초과하는 경사지붕은 별표1에 따른 외벽의 열관류율을 적용할 수 있다.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9조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3항 2호 나목
Check(NFSC103_9_3_2_2){
KS
}
KS{
getResult(NFSC203_7_1_1) = TRUE
OR getResult(NFSC203_7_1_2) = TRUE
OR getResult(NFSC203_7_1_3) = TRUE
OR getResult(NFSC203_7_1_4) = TRUE
OR getResult(NFSC203_7_1_5) = TRUE
OR getResult(NFSC203_7_1_6) = TRUE
OR getResult(NFSC203_7_1_7) = TRUE
OR getResult(NFSC203_7_1_8)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75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1호 바 목
바. 바닥난방을 하는 공간의 하부가 바닥난방을 하지 않는 공간일 경우에는 당해 바닥난방을 하는 바닥부위는 별표1의 최하층에 있는 거실의 바닥으로 보며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의 열관류율 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9조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3항 5호
Check(NFSC103_9_3_5){
IF (!CS1 AND CS2) THEN KS
}
CS1{
isInstalled(Transmitter, Building) = TRUE
isObjectProperty(Transmitter.systemType) = "자동화재탐지설비"
}
CS2{
isInstalled(Transmitter, FireDetector.Circuit) = TRUE
}
KS{
getResult(NFSC103_9_3_5_가) = TRUE
getResult(NFSC103_9_3_5_나)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76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2호
2. 에너지절약계획서 및 설계 검토서 제출대상 건축물은 별지 제1호 서식의 에너지 성능지표의 건축부문 1번 항목 배점을 0.6점 이상 획득하여야 한다.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9조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3항 5호 가목
Check(NFSC103_9_3_5_가){
KS
}
KS{
isInstalled(Transmitter, Switch) = TRUE
getObjectVerticalDistance(Switch, FloorSlab) >= 0.8m
getObjectVerticalDistance(Switch, FloorSlab) <= 1.5m
}
Python Code 변환 예정
77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3호
3. 바닥난방에서 단열재의 설치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9조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3항 5호 나목
Check(NFSC103_9_3_5_나){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CS1{
getObjectDistance(Corridor | Space, Transmitter) < 40m
}
KS1{
isInstalled(Transmitter, SpecificFireFightingBuilding.Floor.One) = TRUE
getOjectCount(Transmitter) = 1
getElementDistance(SpecificFireFightingBuilding.Wall | SpecificFireFightingBuilding.Column, Transmitter) <= 25m
}
CS2{
getObjectDistance(Corridor | Space, Transmitter) >= 40m
}
KS2{
isInstalled(Transmitter, SpecificFireFightingBuilding.Floor.One) = TRUE
getOjectCount(Transmitter) >= 2
getElementDistance(SpecificFireFightingBuilding.Wall | SpecificFireFightingBuilding.Column, Transmitter) <= 25m
}
Python Code 변환 예정
78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3호 가 목
가. 바닥난방 부위에 설치되는 단열재는 바닥난방의 열이 슬래브 하부 및 측벽으로 손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온수배관(전기난방인 경우는 발열선) 하부와 슬래브 사이에 설치하고, 온수배관(전기난방인 경우는 발열선) 하부와 슬래브 사이에 설치되는 구성 재료의 열저항의 합계는 층간 바닥인 경우에는 해당 바닥에 요구되는 총열관류저항(별표1에서 제시되는 열관류율의 역수)의 60% 이상, 최하층 바닥인 경우에는 70% 이상이 되어야 한다. 다만, 바닥난방을 하는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헤드) 1항
Check(NFSC_10_1){
KS2 AND IF CS THEN KS1
KS2{
Space mySpace1{
천장과반자사이
}
hasElement(SpecificFireFightingBuilding.Ceiling,SprinklerHead)= TRUE
hasElement(SpecificFireFightingBuilding.CeilingCovering,SprinklerHead)= TRUE
hasElement(SpecificFireFightingBuilding.mySpace1,SprinklerHead)= TRUE
hasElement(SpecificFireFightingBuilding.Duct,SprinklerHead)= TRUE
hasElement(SpecificFireFightingBuilding.Shelf,SprinklerHead)= TRUE
}
CS{
Space mySpace2{
isExternal(Space)= FALSE
}
getSpaceWidth(Building.mySpace)<= 9m
}
KS1{
Wall myWall{
Wall.isSideWall=TRUE
}
hasElement(myWall,SprinklerSystem.Head)=TRUE
hasElement(myWall,SprinklerSystem.Head)=FALSE
}
Python Code 변환 예정
79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4호
4. 기밀 및 결로방지 등을 위한 조치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2항
Check(NFSC103_10_2){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Space.usage = "RackWarehouse"
isObjectProperty(Space.hasSpecialCombustible) = TRUE
}
KS1{
getObjectHeight(Rack) / 4 = RH
(RH-1) <= getObjectCount(SprinklerHead) < RH
getObjectInterval(SprinklerHead) = 4m
}
CS2{
Space.usage = "RackWarehouse"
isObjectProperty(Space.hasSpecialCombustible) != TRUE
}
KS2{
getObjectHeight(Rack) / 6 = RH
(RH-1) <= getObjectCount(SprinklerHead) < RH
getObjectInterval(SprinklerHead) = 6m
}
Python Code 변환 예정
80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4호 가 목
가. 벽체 내표면 및 내부에서의 결로를 방지하고 단열재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2조에 의하여 단열조치를 하여야 하는 부위(창 및 문과 난방공간 사이의 층간 바닥 제외)에는 제5조제9호카목에 따른 방습층을 단열재의 실내측에 설치하여야 한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3항
check(NFSC103_10_3){
getResult(NFSC103_10_3_1) = TRUE
getResult(NFSC103_10_3_2) = TRUE
getResult(NFSC103_10_3_3) = TRUE
getResult(NFSC103_10_3_4)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81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4호 나 목
나. 방습층 및 단열재가 이어지는 부위 및 단부는 이음 및 단부를 통한 투습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조치하여야 한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3항 1호
check(NFSC103_10_3_1){
IF CS THEN KS
}
Space mySpace1{
Space.usage="StagePart"
OR isObjectProperty(Space.hasSpecialCombustible)=TRUE
}
CS{
isExist(PlenumSpace)=TRUE
}
KS{
getHorizontalDistance(Ceiling | CeilingCovering | mySpace2 | Duct | Shelf,SprinklerSystem.Head)<=1.7m
}
Python Code 변환 예정
82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4호 나 1) 목
1) 단열재의 이음부는 최대한 밀착하여 시공하거나, 2장을 엇갈리게 시공하여 이음부를 통한 단열성능 저하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조치할 것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3항 2호
check(NFSC103_10_3_2){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Space mySpace1{
Space.usage="RackWarehouse"
Space mySpace2{
Space.usage="RackWarehouse"
isObjectProperty(Space.hasSpecialCombustible)=TRUE
}
CS1{
isExist(mySpace1)=TRUE
}
KS1{
getHorizontalDistance(Ceiling|CeilingCovering|PlenumSpace|Duct|Shelf,SprinklerHead)<=2.5m
}
CS2{
isExist(mySpace2)=TRUE
}
KS2{
getHorizontalDistance(Ceiling|CeilingCovering|PlenumSpace|Duct|Shelf,SprinklerHead)<=1.7m
}
Python Code 변환 예정
83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4호 나 2) 목
2) 방습층으로 알루미늄박 또는 플라스틱계 필름 등을 사용할 경우의 이음부는 100 ㎜ 이상 중첩하고 내습성 테이프, 접착제 등으로 기밀하게 마감할 것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3항 3호
check(NFSC103_10_3_3){
IF (CS) THEN KS ENDIF
}
CS{
getBuildingUsage() = "MultiUnitHouse"
}
KS{
Space mySpace = getObject(Roo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Ceiling, SprinklerHead) <= 3.2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CeilingCover, SprinklerHead) <= 3.2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Duct, SprinklerHead) <= 3.2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Shelf, SprinklerHead) <= 3.2m
}
Python Code 변환 예정
84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4호 나 3) 목
3) 단열부위가 만나는 모서리 부위는 방습층 및 단열재가 이어짐이 없이 시공하거나 이어질 경우 이음부를 통한 단열성능 저하가 최소화되도록 하며, 알루미늄박 또는 플라스틱계 필름 등을 사용할 경우의 모서리 이음부는 150㎜이상 중첩되게 시공하고 내습성 테이프, 접착제 등으로 기밀하게 마감할 것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3항 4호
check(NFSC103_10_3_4){
IF CS1 THEN IF (CS2) THEN KS ELSE KS2 ENDIF ENDIF
}
CS1{
Space mySpace = getObject(특정소방대상물)
getResult(_1) = False
getResult(_2) = False
getResult(_3) = False
}
CS2{
isFireResistanceStructure(mySpace) = TRUE
}
KS1{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Ceiling, SprinklerHead) <= 2,3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CeilingCover, SprinklerHead) <= 2.3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Duct, SprinklerHead) <= 2.3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Shelf, SprinklerHead) <= 2.3m
}
KS2{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Ceiling, SprinklerHead) <= 2,1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CeilingCover, SprinklerHead) <= 2.1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Duct, SprinklerHead) <= 2.1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Shelf, SprinklerHead) <= 2.1m
}
Python Code 변환 예정
85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4호 나 4) 목
4) 방습층의 단부는 단부를 통한 투습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습성 테이프, 접착제 등으로 기밀하게 마감할 것
Check(NFCS103_10_5){
IF CS THEN KS
}
CS{
getResult(NFCS103_10_5_1)
OR getResult(NFCS103_10_5_2)
}
KS{
Head myHead{
getObjectProperty(SprinklerSystem.Head.responseType)=QuickResponseType
}
isInstalled(myHead)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86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4호 다 목
다. 건축물 외피 단열부위의 접합부, 틈 등은 밀폐될 수 있도록 코킹과 가스켓 등을 사용하여 기밀하게 처리하여야 한다.
Check(NFCS103_10_5_1_1){
KS
}
KS{
getSpaceUsage()= "MultiUnitHouse.LivingRoom"
OR getSpaceUsage()="FacilitiesForTheAgedAndChildren.LivingRoom"
}
Python Code 변환 예정
87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4호 라 목
라. 외기에 직접 면하고 1층 또는 지상으로 연결된 출입문은 제5조제9호아목에 따른 방풍구조로 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않을 수 있다.
Check(NFCS103){
KS
}
KS{
getSpaceUsage()="Officetels.BedRoom"
OR getSpaceUsage()="LodgingFacility.BedRoom"
OR getSpaceUsage()="Hospital.HospitalRoom"
}
Python Code 변환 예정
88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4호 라 1) 목
1) 바닥면적 3백 제곱미터 이하의 개별 점포의 출입문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7호
check(NFSC103_10_7){
getResult(NFSC103_10_7_1) = TRUE
getResult(NFSC103_10_7_2) = TRUE
getResult(NFSC103_10_7_3) = TRUE
getResult(NFSC103_10_7_4) = TRUE
getResult(NFSC103_10_7_5) = TRUE
getResult(NFSC103_10_7_6) = TRUE
getResult(NFSC103_10_7_7) = TRUE
getResult(NFSC103_10_7_8)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89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4호 라 2) 목
2) 주택의 출입문(단, 기숙사는 제외)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7호 1항
check(NFSC103_10_7_1){
KS
}
KS{
getObjectDistance(Wall, SprinklerHead) >= 10cm
isVacant(SprinklerHead,a, 60)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90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4호 라 3) 목
3) 사람의 통행을 주목적으로 하지 않는 출입문
Check(NFCS103){
KS}
KS{
getObjectDistance(SprinklerHead,Ceiling,a)<=30CM
}
Python Code 변환 예정
91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4호 라 4) 목
4) 너비 1.2미터 이하의 출입문
Check(NFCS103_10_7_3){
IF !CS THEN KS
}
objectDistance myObjectDistance1{
getObjectDistance(SprinklerHead,Obstacle,a)
}
objectDistance myObjectDistance2{
getObjectDistance(SprinklerHead,Ceiling,a)
}
CS{
getObjectWidth(Obstacle)<="myObjectDistance"
KS{
getObjectDistance(Pipe,Ceiling,a)<"myObjectDistance"
OR getObjectDistance(Pipe,Hanger,a)<"myObjectDistance"
OR getObjectDistance(Pipe,LightingFixture,a)<"myObjectDistance"
}
Python Code 변환 예정
92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4호 마 목
마. 방풍구조를 설치하여야 하는 출입문에서 회전문과 일반문이 같이 설치되어진 경우, 일반문 부위는 방풍실 구조의 이중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헤드) 7항4호
Check(NFSC103_10_7_4){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SprinklerHead.shapeType)="SideWallType"
OR getResult(NFSC203_10_7_6)=TRUE
}
KS{ isParallel(SprinklerHead.Deflector,Deflector.AttachingToSurface)=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93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4호 바 목
바. 건축물의 거실의 창이 외기에 직접 면하는 부위인 경우에는 제5조제9호자목에 따른 기밀성 창을 설치하여야 한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헤드) 7항5호
Check(NFSC103_10_7_5){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Ceiling.gradient)>1/10
}
KS{
isParallel(BranchPipe, Ceiling.Top)=TRUE
getResult(NFSC103_10_7_5_1)=TRUE
OR getResult(NFSC103_10_7_5_2)=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94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5호 나 목
나. 「건축법 시행령」별표1 제14호에 따른 연면적의 합계가 3,000제곱미터 이상인 업무시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헤드) 7항 6호
Check(NFSC103_10_7_6){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isObjectProperty(Opening.isFireSpreading)=TRUE
getObjectWidth(Opening, a) > 2.5m
}
KS2{
isInstalled(Opening, Sprinkler.Head, 2.5m) = TRUE
getElementDistance(Opening.InsideSurface, Sprinkler.Head) <= 15cm
}
CS2{
isObjectProperty(Opening.isFireSpreading)=TRUE
getObjectWidth(Opening, Sprinkler.Head, a) <= 2.5m
}
KS2{
isInstalled(Opening, Sprinkler.Head, center) = TRUE
getElementDistance(Opening.InsideSurface, Sprinkler.Head) <= 15cm
}
Python Code 변환 예정
95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7조
제7조(건축부문의 권장사항) 에너지절약계획서 제출대상 건축물의 건축주와 설계자 등은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사항을 제13조의 규정에 적합하도록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7항 7호
check(NFSC103_10_7_7){
IF !CS THEN KS
}
CS{
getResult(NFSC103_10_7_7_가)=TRUE
OR getResult(NFSC103_10_7_7_나)=TRUE
}
KS{
SprinklerHead mySprinklerHead{
SprinklerHead.installationDirectionType="BottomUpType"
}
SprinklerSystem mySprinklerSystem1{
SprinklerSystem.type = "VacuumSprinklerExtinguishingSystem"
}
SprinklerSystem mySprinklerSystem2{
SprinklerSystem.type = "WetPipeSprinklerSystem"
}
hasElement(mySprinklerSystem1, mySprinklerHead)=TRUE
hasElement(mySprinklerSystem2, mySprinklerHead)=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96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7조 1호 나 목
나. 공동주택은 인동간격을 넓게 하여 저층부의 일사 수열량을 증대시킨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10조 (헤드) 7항 8호
check(NFSC103_10_7_8){
IF CS THEN KS
}
SprinklerHead mySprinklerHead{
getObjectProperty(SprinklerHead.shapeType) = "SideWallType"
}
CS{
isExist(mySprinklerHead) = TRUE
}
KS{
isInstalled(mySprinklerHead, c)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97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7조 2호
2. 평면계획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10조 (헤드) 8항
check(NFSC103_10_8){
(IF !(CS1) THEN KS1) or (IF CS1 THEN KS2)
}
KS1{
Beam myBeam{
hasObject(SpecificFireFightingBuilding, Beam) = TRUE
}
getElementDistance(myBeam, SprinklerHead, 1) = TRUE
//Table
getElementDistance(SprinklerHead.Deflector, Beam, a) + getObjectWidth(SprinklerHead.Deflector)*0.5 = SBD
getObjectVerticalDistance(SprinklerHead.Deflector, Beam.BottomSurface, a) = SHD
IF SBD < 0.75 m
THEN SHD < getObjectHeight(Beam.BottomSurface)
IF 0.75 m <= SBD < 1 m
THEN SHD < 0.1 m
IF 1 m <= SBD < 1.5 m
THEN SHD < 0.15 m
IF SBD >= 1.5 m
THEN SHD < 0.3 m
}
CS1{
getObjectDistance(Ceiling.Surface, Beam.BottomSurface) > 55 cm
getObjectDistance(Beam.BottomSideSurface, SprinklerHead) = OD
OD <= getElementDistance(SprinklerHead, c)*0.5
}
KS2{
getObjectDistance(SprinklerHead, SprinklerHead.AttachingToSurface) <= 55 cm
}
Python Code 변환 예정
98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7조 2호 가 목
가. 거실의 층고 및 반자 높이는 실의 용도와 기능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낮게 한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11조 (송수구)
check(NFSC103_11){
getResult(NFSC103_11_0_2)=TRUE
getResult(NFSC103_11_0_3)=TRUE
getResult(NFSC103_11_0_5)=TRUE
getResult(NFSC103_11_0_6)=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99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7조 2호 나 목
나. 건축물의 체적에 대한 외피면적의 비 또는 연면적에 대한 외피면적의 비는 가능한 작게 한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1조 (송수구) 2호
Check(NFSC103_11_0_2){
IF CS THEN KS
}
CS{
Port myPort{
isObjectProperty(Port.typeForWater) = "FireDepartmentConnection"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Riser)=TRUE
}
Valve myValve{
isObjectProperty(Valve.isShutoffValve)=TRUE
}
isConnectedTo(myPort,Pipe)=TRUE
isConnectedTo(Pipe,myPipe)=TRUE
isInstalled(Pipe, myValve) = TRUE
}
KS{
Space mySpace{
isObjectProperty(Space.usage) = "MachineRoom"
}
isExternal(myValve)=TRUE
OR hasSpace(mySpace,myValve)=TRUE
Python Code 변환 예정
100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7조 2호 다 목
다. 실의 용도 및 기능에 따라 수평, 수직으로 조닝계획을 한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11조 (송수구) 3호
check(NFSC103_11_0_3){
KS
}
KS{
isObjectProperty(Port.typeForWater) = "FireDepartmentConnection"
isObjectProperty(Port.shapeType)="DoubleType"
isObjectProperty(Port.diameter) = 65mm
}
Python Code 변환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