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51조 2호 나 목
나. 보, 기둥 : 40밀리미터 이상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51조 (철근을 덮는 두께) 2호 나목
Check(RSSB_51_0_2_나){
KS
}
KS{
getObjectThickness(Beam)>=40 mm
getObjectThickness(Column )>=40 mm
}
Python Code 변환 예정
2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24조 2 항
②2층 이상인 건축물에 있어서는 모서리에 설치하는 기둥 또는 이에 준하는 기둥은 통재(通材)기둥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이은기둥의 경우 그 이은 부분을 통재기둥과 동등 이상의 내력을 가지도록 보강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24조 (압축재의 최소단면 및 모서리에 설치하는 기둥) 2항
Check(RSSB_24_2){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StoriesCount() >= 2
}
KS{
Column myColumn {
isInstalled(Column , Building.Edge) = TRUE
Python Code 변환 예정
3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25조 2 항
②압축력을 받는 가새는 두께 35밀리미터 이상이고 골조기둥의 3분의 1쪽에 해당하는 두께인 목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25조 (가새) 2항
Check(RSSB_25_2){
getResult(RSSB_3_3) = TRUE AND KS
}
KS{
Brace myBrace{
isObjectProperty(Brace.isCompressionBrace) = TRUE
}
Column myColumn {
isObjectProperty(Column .isFramedColumn ) = TRUE
}
CW = getObjectProperty(myColumn .width) * 1/3
getObjectProperty(Brace.depth) >= 35mm
getObjectMaterial(Brace) = "Timber"
getObjectProperty(Brace.Material.width) = CW
}
Python Code 변환 예정
4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0호 마 목
마. "비례제어운전”이라 함은 기기의 출력값과 목표값의 편차에 비례하여 입력량을 조절하여 최적운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운전하는 방식을 말한다.
//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4조 (비상벨설비 또는 자동식사이렌설비) 5항 2호
Check(NFSC201_4_5_1){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CS1{
getObjectDistance(Corridor | Space, Transmitter) < 40m
}
KS1{
isInstalled(Transmitter, SpecificFireFightingBuilding.Floor.One) = TRUE
getOjectCount(Transmitter) = 1
getElementDistance(SpecificFireFightingBuilding.Wall | SpecificFireFightingBuilding.Column , Transmitter) <= 25m
}
CS2{
getObjectDistance(Corridor | Space, Transmitter) >= 40m
}
KS2{
isInstalled(Transmitter, SpecificFireFightingBuilding.Floor.One) = TRUE
getOjectCount(Transmitter) >= 2
getElementDistance(SpecificFireFightingBuilding.Wall | SpecificFireFightingBuilding.Column , Transmitter) <= 25m
}
Python Code 변환 예정
5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러 목
러. "일사조절장치"라 함은 태양열의 실내 유입을 조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하는 장치를 말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7조 (함 및 방수구 등) 2항 1호
Check(NFSC503A_7_2_1){
KS2 AND IF CS THEN KS1
}
KS2{
isInstalled(옥내소화전방수구, SpecificFireFightingBuilding.Floor.One) = TRUE
getElementDistance(SpecificFireFightingBuilding.Wall|SpecificFireFightingBuilding.Column , 옥내소화전방수구.One) <= 25m
}
CS{
getBuildingUsage() = "MultiUnitHouse"
}
KS2{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
Floor myFloor{
isInstalled(myDoor, Floor) = TRUE
}
Port myPort{
Port.typeForWater="IndoorFireHydrantDischarge"
}
isInstalled(myPort, myFloor.One)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6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1호 다 3) 목
3) 구성재료의 열전도율 값으로 열관류율을 계산한 결과가 별표1의 부위별 열관류율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적합한 것으로 본다.(단, 각 재료의 열전도율 값은 한국산업규격 또는 국가공인시험기관의 KOLAS 인정마크가 표시된 시험성적서의 값을 사용하고, 표면열전달저항 및 중공층의 열저항은 이 기준 별표5 및 별표6에서 제시하는 값을 사용)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9조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1항 3호
Check(NFSC103_9_1_3){
KS
}
KS{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ProtectionZone) = TRUE
}
isInstalled(AcousticSystem, myZone) = TRUE
getElementDistance(myZone.Wall|myZone.Column , AcousticSystem.One) <= 25m
}
Python Code 변환 예정
7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3호
3. 바닥난방에서 단열재의 설치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9조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3항 5호 나목
Check(NFSC103_9_3_5_나){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CS1{
getObjectDistance(Corridor | Space, Transmitter) < 40m
}
KS1{
isInstalled(Transmitter, SpecificFireFightingBuilding.Floor.One) = TRUE
getOjectCount(Transmitter) = 1
getElementDistance(SpecificFireFightingBuilding.Wall | SpecificFireFightingBuilding.Column , Transmitter) <= 25m
}
CS2{
getObjectDistance(Corridor | Space, Transmitter) >= 40m
}
KS2{
isInstalled(Transmitter, SpecificFireFightingBuilding.Floor.One) = TRUE
getOjectCount(Transmitter) >= 2
getElementDistance(SpecificFireFightingBuilding.Wall | SpecificFireFightingBuilding.Column , Transmitter) <= 25m
}
Python Code 변환 예정
8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별표3조
단열재의 두께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7조 (감지기) 3항 7호 가목
Check(NFSC203_7_3_7_가){
KS3 AND IF !CS THEN KS1 ELSE KS2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ForAir) = TRUE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DetectionZone) = TRUE
}
KS3{
getElementDistance(myPipe, myZone.Wall) <= 1.5m
getElementDistance(myPipe, myZone.Column ) <= 1.5m
}
CS{
isFireResistantStructure(SpecificFireFightingBuilding.MainStructuralPart) = TRUE
}
KS1{
getObjectInterval(myPipe) <= 6m
}
KS2{
getObjectInterval(myPipe) <= 6m
}
Python Code 변환 예정
9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 제 4조 1 항 4호 가 목
가. 각층마다 설치하되,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1개의 소화기까지의 보행거리가 소형소화기의 경우에는 20m 이내, 대형소화기의 경우에는 30m 이내가 되도록 배치할 것. 다만, 가연성물질이 없는 작업장의 경우에는 작업장의 실정에 맞게 보행거리를 완화하여 배치할 수 있으며, 지하구의 경우에는 화재발생의 우려가 있거나 사람의 접근이 쉬운 장소에 한하여 설치할 수 있다<개정 2012.6.11>
//소화기구 및 자동 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 4조 (설치기준) 1항 4호 가목
Check(NFSC101_4_1_4){
KS
}
KS{
isInstalled(FireExtinguisher, Floor)=True
IF getObjectProperty(FireExtinguisher.sizeType)="SmallSize"
THEN getObjectDistance(SpecificFireFightingBuilding.Wall, FireExtinguisher.One)<=20 m
getObjectDistance(SpecificFireFightingBuilding.Column , FireExtinguisher.One)<=20 m
ELSE IF getObjectProperty(FireExtinguisher.sizeType)="LargeSize"
THEN getObjectDistance(SpecificFireFightingBuilding.Wall, FireExtinguisher.One)<=30 m
getObjectDistance(SpecificFireFightingBuilding.Column , FireExtinguisher.One)<=30 m
END IF
}
Python Code 변환 예정
10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제 6조 2호 가 목
가. 지하가(터널은 제외한다) 또는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 이상인 것은 수평거리 25m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6조 (방수구) 2호 가목
Check(NFSC502_6_0_2_가){
IF CS THEN KS1 ELSE KS2
}
CS{
Space mySpace{
getSpaceUsage()="UndergroundMarket"
OR getFloorNumber()<0
}
getFloorArea(mySpace)>3000 m2
}
KS1{
getElementDistance(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OutLet, Wall )<=25 m
getElementDistance(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OutLet, Column )<=25 m
}
KS2{
getResult(NFSC502_6_0_2_나)=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11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제 6조 2호 나 목
나. 가목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은 수평거리 50m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6조 (방수구) 2호 나목
Check(NFSC502_6_0_2_가){
KS
}
KS{
getElementDistance(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OutLet, Wall )<=50 m
getElementDistance(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OutLet, Column )<=50 m
}
Python Code 변환 예정
12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NFSC 303) 제 6조 1 항 2호 다 목
다. 바닥으로부터 높이 1.5m 이상의 위치에 설치할 것. 다만, 거실통로에 기둥이 설치된 경우에는 기둥부분의 바닥으로부터 높이 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개정 2008.12.15>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nfsc 303) 6조 (통로유도등 설치기준) 1항 2호 다목
Check(NFSC303_6_1_2_다){
KS
}
KS{
IF hasObject(Room.Passage, Column )=False
THEN getObjectVerticalDistance(FloorSlab,LeadingLightForLivingRoom )>=1.5
}
Python Code 변환 예정
13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NFSC 303) 제 8조 1 항 1호
1. 계단에 설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각층마다 복도 및 통로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유도표지까지의 보행거리가 15m 이하가 되는 곳과 구부러진 모퉁이의 벽에 설치할 것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nfsc 303) 8조 (유도표지 설치기준) 1항 1호
Check(NFSC303_8_1_1){
IF ! CS THEN KS
}
CS{
isInstalled(LeadingSign,Stair)=True
}
KS{
getObjectDistance(Floor.One.Corridor.Wall, LeadingSign)<=15 m
getObjectDistance(Floor.One.Corridor.Column , LeadingSign)<=15 m
getObjectDistance(Floor.One.Passage.Wall, LeadingSign)<=15 m
getObjectDistance(Floor.One.Passage.Column , LeadingSign)<=15 m
}
Python Code 변환 예정
14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제 7조 3 항 12호 라 목
라. 감지기와 감지구역의 각부분과의 수평거리가 내화구조의 경우 1종 4.5m 이하, 2종 3m 이하로 할 것. 기타 구조의 경우 1종 3m 이하, 2종 1m 이하로 할 것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7조 (감지기) 3항 12호 라목
Check(NFSC203_7_3_12_라){
IF (CS1 THEN KS1 AND KS2) OR (!CS1 THEN KS3 AND KS4)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DetectionZone) = TRUE
}
Sensor mySensor1{
getObjectProperty(Sensor.type) = "Type1"
}
Sensor mySensor2{
getObjectProperty(Sensor.type) = "Type2"
}
CS1{
isFireResistantStructure(myZone.Wall) = TRUE
isFireResistantStructure(myZone.Column ) = TRUE
}
KS1{
getElementDistance(mySensor1, myZone.Wall) <= 4.5m
getElementDistance(mySensor1, myZone.Column ) <= 4.5m
}
KS2{
getElementDistance(mySensor2, myZone.Wall) <= 3m
getElementDistance(mySensor2, myZone.Column ) <= 3m
}
KS3{
getElementDistance(mySensor1, myZone.Wall) <= 3m
getElementDistance(mySensor1, myZone.Column ) <= 3m
}
KS4{
getElementDistance(mySensor2, myZone.Wall) <= 1m
getElementDistance(mySensor2, myZone.Column ) <= 1m
}
Python Code 변환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