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9 기준) 설계품질검토용 건축법 및 관련법규 - KBIMCode (문장단위)
      KBIMCode - KBimAssess Python Code     KBIMCode - 체크리스트 단위     KBIMCode - 조항단위
    1      
1 / 1 page Total 2500 / 4000 records
Select
ALL
None
#
Law
Jo
JO Name
HANG
HO
MOK
Text
Search!
1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2조 2 항

②조적식구조인 내력벽의 두께는 그 건축물의 층수·높이 및 벽의 길이에 따라 각각 다음 표의 두께 이상으로 하되, 조적재가 벽돌인 경우에는 당해 벽높이의 20분의 1이상, 블록인 경우에는 당해 벽높이의 16분의 1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 │건축물의 높이 │5미터 미만 │5미터 이상 11미터 미만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2조 (내력벽의 두께) 2항



Check(RSSB_32_2){

        getResult(RSSB_32_7) = TRUE AND getResult(RSSB_32_3) = TRUE AND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 THEN  KS

}

CS {

   getResult(RSSB_33_3)=True

}





KS{

     //HW means Height of wall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LoadBearingWall) = TRUE
}
       HW=getObjectHeight(myWall)



     IF isObjectProperty(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TRUE

 

    

         IF getBuildingHeight()<5 m

            IF getFloorNumber(myWall)=1

                 IF getObjectLength(myWall)<8 m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 150 mm

                 ELSE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 190 mm   

                 END IF 

            END IF 



         ELSE IF  getBuildingHeight()>=5 m  

                  getBuildingHeight()<11 m

                  getFloorNumber(myWall)=1

                  OR getFloorNumber(myWall)=2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 190 mm

         



         ELSE IF  getBuildingHeight()>=11 m  

                  IF getObjectLength(myWall)<8 m

                      getFloorNumber(myWall)=1

                      OR getFloorNumber(myWall)=2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190 mm

                  ELSE IF getFloorNumber(myWall)=1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290 mm

                  ELSE IF  getFloorNumber(myWall)=2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190 mm

                  END IF          

        END IF





             IF getObjectMaterial(myWall)="벽돌"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 HW/20



             ELSE IF getObjectMaterial(myWall)="Block"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 HW/16

              

             END IF







    END IF 

} 




Python Code 변환 예정



2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1조 2 항

②조적식구조인 내력벽의 길이[대린벽(對隣壁)의 경우에는 그 접합된 부분의 각 중심을 이은 선의 길이를 말한다. 이하 이 절에서 같다]는 10미터를 넘을 수 없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1조 (내력벽의 높이 및 길이) 2항
Check(RSSB_31_2){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 THEN KS
}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LoadBearingWall) = TRUE
	}
CS{	
	isObjectProperty(my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 = TRUE
}
KS{
	getObjectLength(myWall) < 10m
} 




Python Code 변환 예정



3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4조

제34조(테두리보) 건축물의 각층의 조적식구조인 내력벽 위에는 그 춤이 벽두께의 1.5배 이상인 철골구조 또는 철근콘크리트구조의 테두리보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1층인 건축물로서 벽두께가 벽의 높이의 16분의 1이상이거나 벽길이가 5미터 이하인 경우에는 목조의 테두리보를 설치할 수 있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4조 (테두리보)



Check(RSSB_34){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 THEN  KS

}



C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LoadBearingWall)=True

    }



    isObjectProperty(my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 True

}

   



KS{

  

    WD=getObjectProperty(myWall.depth)

    WH=getObjectProperty(myWall.height)

    WallGirder  myWallGirder{   

      getObjectProperty(WallGirder.height)>=1.5*WD

    }

   

    isInstalled(myWallGrider, myWall, Top)=True







   IF getBuildingStoriesCount()=1

     (WD>=WH/16

      OR getObjectProperty(myWall.length)<=5 m

      )

   THEN getObjectProperty(myWallGrider.Structure.materialType)="Timber"

   

   ELSE THEN   getObjectProperty(myWallGrider.Structure.materialType)="SteelFrame"

OR getObjectProperty(myWallGrider.Structure.materialType)="ReinforcedConcrete"



   END IF

} 




Python Code 변환 예정



4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6조

제36조(벽의 홈) 조적식구조인 벽에 그 층의 높이의 4분의 3이상인 연속한 세로홈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홈의 깊이는 벽의 두께의 3분의 1이하로 하고, 가로홈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홈의 깊이는 벽의 두께의 3분의 1이하로 하되, 길이는 3미터 이하로 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6조 (벽의 홈)



Check(RSSB_36){

   getResult(RSSB_28_2) = TRUE AND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 THEN KS 

}



C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True

   }

   

   isInstalled(Channel, myWall)=True

   

}

   

KS{

   WD=getObjectProperty(myWall.depth)



   IF getObjectProperty(Channel.shapeType)="VerticleChannel"

      FH=getObjectHeight(Floor.Space)

      getObjectProperty(Channel.length)>=FH*3/4

   

   THEN getObjectProperty(Channel.depth)<= WD/3



   ELSE IF getObjectProperty(Channel.shapeType)="HorizontalChannel"

  

   THEN getObjectProperty(Channel.depth)<= WD/3

        getObjectProperty(Channel.length)<= 3 m



   END IF 

} 




Python Code 변환 예정



5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43조 1 항

제43조(내력벽) ①건축물의 각층에 있어서 건축물의 길이방향 또는 너비방향의 보강블록구조인 내력벽의 길이(대린벽의 경우에는 그 접합된 부분의 각 중심을 이은 선의 길이를 말한다. 이하 이 절에서 같다)는 각각 그 방향의 내력벽의 길이의 합계가 그 층의 바닥면적 1제곱미터에 대하여 0.15미터 이상이 되도록 하되, 그 내력벽으로 둘러쌓인 부분의 바닥면적은 80제곱미터를 넘을 수 없다.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43조 (내력벽) 1항
Check(RSSB_43_1){
	getResult(RSSB_41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KS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LoadBearingWall) = TRUE
      getObjectProperty(Wall.Structure.materialType) = "SteelReinforcedConcreteBlock"
    }
  
        FA =getObjectArea(Floor.One)
	getObjectProperty(myWall.Length)>= FA*0.15 m
        getObjectProperty(myWall.width)>= FA*0.15 m

        Space mySpace{
            isSurrounded(Space, myWall)=True
        }

         getFloorArea(mySpace)<=80 m2
} 




Python Code 변환 예정



6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28조 1 항

제28조(제로에너지빌딩 지원센터) ① 국토교통부장관은 제로에너지빌딩 조기 활성화 업무 수행을 위하여 에너지관리공단과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을 제로에너지빌딩 지원센터로 지정하고,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7조 (감지기) 2항 1호
Check(NFSC203_7_2_1){
	KS
}

KS{
	Ramp myRamp{
		getObjectProperty(Ramp.length) >= 15m
	}

	isInstalled(SmokeSensor, Stair) = TRUE
	isInstalled(SmokeSensor, myRamp)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7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28조 1 항 1호

1. 제로에너지빌딩 시범사업 운영지원에 관한 업무





//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7조 (감지기) 2항 2호
Check(NFSC203_7_2_2){
	KS
}

KS{
	Corridor myCorridor{
		getObjectProperty(Corridor.length) >= 30m
	}

	isInstalled(SmokeSensor, myCorridor)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8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별표2조

단열재의 등급 분류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7조 (감지기) 3항 7호 가목
Check(NFSC203_7_3_7_가){
	KS
}
KS{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ForAir) = TRUE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DetectionZone) = TRUE
	}
	hasObject(myZone, myPipe) = TRUE
	getObjectLength(myZone.One.myPipe) >= 20m
}
 




Python Code 변환 예정



9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별표5조

열관류율 계산 시 적용되는 실내 및 실외측 표면 열전달저항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7조 (감지기) 3항 7호 라목
Check(NFSC203_7_3_7_라){
	KS
}
KS{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ForAir) = TRUE
	}
	isConnectedTo(myPipe, DetectingElement.One) = TRUE
	getObjectLength(myPipe) <= 100m
} 




Python Code 변환 예정



1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3조 1 항 1호

1. 헬리포트의 길이와 너비는 각각 22미터이상으로 할 것. 다만, 건축물의 옥상바닥의 길이와 너비가 각각 22미터이하인 경우에는 헬리포트의 길이와 너비를 각각 15미터까지 감축할 수 있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Check(REFB){
    IF CS THEN KS1 ELSE KS2
}

CS{
   getObjectLength(Building.RoofTop.FloorSlab)<=22 m
   getObjectWidth(Building.RoofTop.FloorSlab)<=22 m
}

KS1{
   getObjectLength(Heliport)>=15 m
   getObjectWidth(Heliport)>=15 m
}

KS2{
  getObjectLength(Heliport)>=22 m
   getObjectWidth(Heliport)>=22 m
} 




Python Code 변환 예정



11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5조 9 항 2호

2. 폐쇄형헤드를 사용하는 연결살수설비의 청소구는 주배관 또는 교차배관(교차배관을 설치하는 경우에 한한다) 끝에 40㎜ 이상 크기의 개폐밸브를 설치하고, 호스접결이 가능한 나사식 또는 고정배수 배관식으로 할 것. 이 경우 나사식의 개폐밸브는 옥내소화전 호스접결용의 것으로 하고, 나사보호용의 캡으로 마감하여야 한다.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5조 (배관 등) 9항 2호

Check(NFSC503_5_9_2){
	IF CS THEN KS
}
CS{
	Head myHead{
	isObjectProperty(Head.openAndCloseType)="EnclosedType"
	}
	isObjectProperty(myHead.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KS{
	Pipe myPipe1{
	isObjectProperty(Pipe.isRiser) = TRUE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CrossMains) = TRUE
	}
	Valve myValve{
	isObjectProperty(Valve.isShutoffValve) = TRUE
	getObjectLength(Valve) >= 40mm
	}
	getObjectProperty(myValve.Type) = "나사식" 
	getObjectProperty(myValve.usage) = "옥내소화전 호스접결용"
} 




Python Code 변환 예정



12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제 5조 3호

3. 살수구역은 환기구 등을 기준으로 지하구의 길이방향으로 350 m 이내마다 1개 이상 설치하되, 하나의 살수구역의 길이는 3m 이상으로 할 것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5조 (방수헤드) 3호
Check(NFSC506_5_0_3){
	 KS 
}


KS{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WateringZone)=True
  }

  Head myHead{
    isObjectProperty(Head.isDischargeHead)=True
  }
    
    isInstalled(myHead,Zone)=True 
    getObjectInterval(myHead)<=350 m
    getObjectLength(myZone)>=3 m
    
    
} 




Python Code 변환 예정



13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NFSC 303) 제 7조 2 항

②객석내의 통로가 경사로 또는 수평로로 되어 있는 부분은 다음의 식에 따라 산출한 수(소수점 이하의 수는 1로 본다)의 유도등을 설치하고, 그 조도는 통로바닥의 중심선 0.5m 높이에서 측정하여 0.2㏓ 이상이어야 한다. <개정 2012.8.20>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nfsc 303) 7조 (객석유도등 설치기준) 2항



Check(NFSC303_7_2){

            IF CS THEN KS

}



CS{

Space mySpace{
Space.usage = "Auditorium"
}
isInstalled(Passage, mySpace) = TRUE
isObjectProperty(Passage.isFlatWay) = TRUE
OR isObjectProperty(Passage.isSlopeWay) = TRUE


}





KS{

    LeadingLight myLeadingLight{

          isObjectProperty(LeadingLight.isForSeat)=True

    }



    isExist(myLeadingLight)=True



    //LAP means Length of Auditorium passage

    LAP= getObjectLength(AuditoriumPassage)

    getObjectCount(myLeadingLight)>= LAP/4-1

   // getSpaceIlluminance(AuditoriumPassage, "통로바닥의 중심선 0.5m 높이에서 측정")>0.2 lx , 측정 기준에 관한 파라미터 추가 필요 



} 




Python Code 변환 예정



14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 별표1조

1. 장애인등의 통행이 가능한 접근로 가. 유효폭 및 활동공간 (1) 휠체어사용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접근로의 유효폭은 1.2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휠체어사용자가 다른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과 교행할 수 있도록 50미터마다 1.5미터×1.5미터 이상의 교행구역을 설치할 수 있다. (3) 경사진 접근로가 연속될 경우에는 휠체어사용자가 휴식할 수 있도록 30미터마다 1.5미터×1.5미터 이상의 수평면으로 된 참을 설치할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편의시설의 구조·재질등에 관한 세부기준(제2조제1항관련)

Check(ERCDAPA_2_1_*_1_4_나_1){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ParkingUnit myParkingUnit{
		isObjectProperty(ParkingUnit.isParallelParking) = TRUE
	}

	CS1{
		isObjectProperty(ParkingUnit.isParallelParking) = TRUE
	}

	KS1{
		getObjectWidth(ParkingLotArea.isHandicapParking, a) >= 3.3 m
		getElementLength(ParkingLotArea.isHandicapParking) >= 5 m
	}

	CS2{
		isObjectProperty(ParkingLotArea.isParallelParking) = FALSE
	}

	KS2{
		getObjectWidth(ParkingLotArea.isHandicapParking, a) >= 2 m
		getElementLength(ParkingLotArea.isHandicapParking) >= 6 m
	}
}


check(ERCDAPA_2_1_*_1_4_나_2){
	getObjectGradient(ParkingSpace.Floor) <= 1/50
}


check(ERCDAPA_2_1_*_1_6_가_1){
	
	Door myDoor1{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

	Door myDoor2{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getObject(Door.isEntrance) != getObject(myDoor1)
	}

	getObjectWidth(Door.isEntrance) >= 0.8 m
	isEgressDirection(myDoor1) = isEgressDirection(myDoor2)
	getObjectDistance(myDoor1, myDoor2) >= 1.2 m
}


check(ERCDAPA_2_1_*_1_6_가_2){
	
	isObjectProperty(Door.isAutomatic) = FALSE
	isObjectProperty(Door.isSillFree) = TRUE
}

check(ERCDAPA_2_1_*_1_8_가_2){
	
	getObjectVerticalDistance(FloorSurface,Door.Bottom)
}

check(ERCDAPA_2_1_*_1_8_나){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Escape) = TRUE
		isObjectProperty(Stair.isOutdoor) = TRUE
	}

	getObjectWidth(myStair) >= 0.9 m 
	getObjectWidth(myStair.StairLanding) >= 0.9 m

	Stair myStair2{
		isObjectProperty(Stair.isEscape) = FALSE
		isObjectProperty(Stair.isOutdoor) = FALSE
	}

	getObjectWidth(myStair2) >= 1.2 m 
	getObjectWidth(myStair2.StairLanding) >= 1.2 m
}


check(ERCDAPA_2_1_*_1_8_다_1){
	
	hasObject(Stair, VerticalSurfaceStair) = TRUE
}

check(ERCDAPA_2_1_*_1_8_다_2){
	
	getObjectWidth(Stair.threadWidth) >= 0.28 m
	getObjectHeight(Stair.riserHeight) <= 0.18m
}

check(ERCDAPA_2_1_*_1_8_다_3){
	
	getObjectGradient(Stair.riserGradient) >= 60
	getObjectLength(Stair.nosingLength) < 3 cm
} 




Python Code 변환 예정



15
주차장법 시행규칙 제 16조의2조 1 항 1호 가 목

가. 중형 기계식주차장(길이 5.05미터 이하, 너비 1.9미터 이하, 높이 1.55미터 이하, 무게 1,850킬로그램 이하인 자동차를 주차할 수 있는 기계식주차장을 말한다. 이하 같다): 너비 8.1미터 이상, 길이 9.5미터 이상의 전면공지 또는 지름 4미터 이상의 방향전환장치와 그 방향전환장치에 접한 너비 1미터 이상의 여유 공지





//주차장법 시행규칙 16조의2 (기계식주차장의 설치기준) 1호 가목



Check(ERPA_16-2_0_1_가){

   IF CS THEN KS

}



CS{

ParkingLot myParkingLot{
	ParkingLot.operationType = "MechanicalParking"
}
   getObjectProperty(myParkingLot.scale)="MiddleSize"

}



KS{

   Space mySpace{

     getSpaceUsage()="FrontageSpace"

     Space.width>=8.1 m

     Space.length>9.5 m

   }

  

    isExist(mySpace)=True

    OR isExist(DirectionSwitchingEquipment)=True

       getObjectDiameter(DirectionSwitchingEquipment)>=4 m

       isExist(Space)=True

       isAdjacent(DirectionSwitchingEquipment, Space)=True

       Space.width>=1 m

} 




Python Code 변환 예정



16
주차장법 시행규칙 제 16조의2조 1 항 3호 가 목

가. 중형 기계식주차장: 길이 5.05미터 이상, 너비 1.9미터 이상





//주차장법 시행규칙 16조의2 (기계식주차장의 설치기준) 3호 가목



Check(ERPA_16-2_0_3_가){

   IF CS THEN KS

}



CS{
ParkingLot myParkingLot{
	ParkingLot.operationType = "MechanicalParking"
}
   getObjectProperty(myParkingLot.scale)="MiddleSize"


}



KS{

    myParking.length>=5.05 m

    myParking.width>1.85 m

} 




Python Code 변환 예정



17
주차장법 시행규칙 제 16조의2조 1 항 1호 나 목

나. 대형 기계식주차장(길이 5.75미터 이하, 너비 2.15미터 이하, 높이 1.85미터 이하, 무게 2,200킬로그램 이하인 자동차를 주차할 수 있는 기계식주차장을 말한다. 이하 같다): 너비 10미터 이상, 길이 11미터 이상의 전면공지 또는 지름 4.5미터 이상의 방향전환장치와 그 방향전환장치에 접한 너비 1미터 이상의 여유 공지





//주차장법 시행규칙 16조의2 (기계식주차장의 설치기준) 1호 나목



Check(ERPA_16-2_0_1_나){

   IF CS THEN KS      

}





CS{
ParkingLot myParkingLot{
	ParkingLot.operationType = "MechanicalParking"
}
   getObjectProperty(myParkingLot.scale)="LargeSize"

}



KS{

   Space mySpace{

     getSpaceUsage()="FrontageSpace"

     Space.width>=10 m

     Space.length>11 m

   }

  

    isExist(mySpace)=True

    OR isExist(DirectionSwitchingEquipment)=True

       getObjectDiameter(DirectionSwitchingEquipment)>=4.5 m

       isExist(Space)=True

       isAdjacent(DirectionSwitchingEquipment, Space)=True

       Space.width>=1 m

} 




Python Code 변환 예정



18
주차장법 시행규칙 제 16조의2조 1 항 3호 나 목

나. 대형 기계식주차장: 길이 5.3미터 이상, 너비 2.15미터 이상





//주차장법 시행규칙 16조의2 (기계식주차장의 설치기준) 3호 나목



Check(ERPA_16-2_0_3_나){

   IF CS THEN KS 

}



CS{
ParkingLot myParkingLot{
	ParkingLot.operationType = "MechanicalParking"
}
   getObjectProperty(myParkingLot.scale)="LargeSize"

}





KS{

   myParking.length>5.3 m

   myParking.width>2.15 m

} 




Python Code 변환 예정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