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istry of Land, Infrasrtucture and Transport |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 Space and Design IT Lab | Hanyang University
Open BIM based Technological Environment for Building Design Quality Enhancement
1-2. 설계품질검증 자동화를 위한 각종 법규 및 제기준의 체계화된 논리규칙 데이터베이스 구축 - 건축물 설계품질 혁신을 위한 개방형 BIM 기술 환경 구축 | 국토교통부
  Home Welcome to BIM Project Website - Hanyang University
PAGE MENU   MainPage
전체법규 - 법규데이터베이스
- 대한민국 전체 법규 목록
- 설계품질검토 대상 관련법규
대상법규 - 문장 논리규칙체계화
- 조항단위 논리규칙체계
- 문장단위 논리규칙체계
주어부 - 객체.속성 데이터베이스
- 법규로부터의 객체.속성 분류
- 명칭DB: 객체 | 객체및속성
서술부 - 함수 데이터베이스
- 논리규칙화 함수 분류
- 논리규칙화 함수 DB
관계부 - 문장 내.외 관계논리
- 문장 내.외 관계유형분류
- 법규조항관계도:
1차년도 | 2차년도 | 3차년도
- 문장 내.외관계 논리체계화
문장단위 | 체크리스트 단위
KBIMCode 데이터베이스
- KBIMCode Lang. Definition
- KBIMCode Editor
- KBimCode Database:
문장단위 | 조항단위
- KBimLogic Applications
 
     HOME
설계품질검토용 건축법 및 관련법규 - KBIMCode (문장단위)
    1   2   3   4   next▷  
1 / 4 page Total 1,131/ 1,131 records    신규입력 엑셀저장
Select
ALL
None
#
ID
Law
Jo
JO Name
HANG
HO
MOK
Text
Search!
1
1154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6조

제6조(승강기의 구조) 법 제64조에 따라 건축물에 설치하는 승강기·에스컬레이터 및 비상용승강기의 구조는 「승강기시설 안전관리법」이 정하는 바에 따른다. <개정 2006.2.13., 2008.7.10., 2010.11.5.>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6조 (승강기의 구조) 

Check(RFB_6){

	IF CS THEN KS
}
CS{	
	Elevator myElevator{
	isObjectProperty(Elevator.isEmergency) = TRUE
	}

	isInstalled(Elevator) = TRUE
	OR isInstalled(Escalator) = TRUE
	OR isInstalled(myElevator) = TRUE
}

KS{
           getResult(Unimplemented_EFSMA) = TRUE
} 














Modify
2
1161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9조 3호

3. 높이 31미터를 넘는 층수가 4개층이하로서 당해 각층의 바닥면적의 합계 200제곱미터(벽 및 반자가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을 불연재료로 한 경우에는 500제곱미터)이내마다 방화구획으로 구획한 건축물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9조 (비상용승강기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건축물) 3호

Check(RFB_9_0_3){

    KS

}



KS{

    getBuildingHeight()>31 m

    getBuildingStoriesCount()<=4

    IF isObjectProperty(Wall.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isObjectProperty(CeilingCovering.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THEN isFirePartition(Floor, a,500)=TRUE 

    ELSE THEN isFirePartition(Floor, a,200)=TRUE 

    END IF

} 














Modify
3
1166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0조 2호 나 목

나. 승강장은 각층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되, 그 출입구(승강로의 출입구를 제외한다)에는 갑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다만, 피난층에는 갑종방화문을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0조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2호 나목
Check(RFB_10_0_2_나){
	KS1 AND IF !(CS) THEN KS2
}
	Space mySpace{
	hasObject(Floor,Space)=TRUE
	isAccessible(Platform,Space) = TRUE
	}
KS1{
	isExist(mySpace)=TRUE
}
CS{
	isAccessible(Platform, myFloor) = TRUE
}
KS2{
	Door myDoor{
		hasSpace(Platform, Door) =TRUE
		hasSpace(mySpace, Door) =TRUE
		Door != ElevatorShaft.Opening
	}
	isObjectProperty(myDoor.isStrictFireproofDoor)= TRUE
}
 














Modify
4
1167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0조 2호 다 목

다. 노대 또는 외부를 향하여 열 수 있는 창문이나 제14조제2항의 규정에 의한 배연설비를 설치할 것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0조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2호 다목
Check(RFB_10_0_2_다){
	KS
}
KS{
	Elevator myElevator{
		isObjectProperty(Elevator.isEmergency)=TRUE
	}
	Window myWindow{
		isObjectProperty(Window.isExternalDirection)=TRUE
	}
	SmokeExhaustionSystem mySmokeExhaustionSystem{
		getResult(RFB_14_2) = TRUE
	}
	hasObject(myElevator.Platform,OpenFloorStructure) = TRUE
	hasObject(myElevator.Platform, myWindow) = TRUE
	isExist(mySmokeExhaustionSystem)=TRUE
	} 














Modify
5
1168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0조 2호 라 목

라. 벽 및 반자가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재료(마감을 위한 바탕을 포함한다)는 불연재료로 할 것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0조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2호 라목
Check(RFB_10_0_2_라){
	KS
}

KS{
	Elevator myElevator{
		isObjectProperty(Elevator.isEmergency)=TRUE
	}
	isObjectProperty(myElevator.Platform.Wall.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isObjectProperty(myElevator.Platform.CeilingCovering.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 














Modify
6
1170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0조 2호 바 목

바. 승강장의 바닥면적은 비상용승강기 1대에 대하여 6제곱미터 이상으로 할 것. 다만, 옥외에 승강장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0조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2호 바목
Check(RFB_10_0_2_바){
	IF !CS THEN KS
}

	Elevator myElevator{
		isObjectProperty(Elevator.isEmergency)=TRUE
	}

CS{
	isExternal(myElevator.Platform) = TRUE
}
KS{
	EN = getObjectProperty(Elevator.numberOf)
	getObjectProperty(myElevator.Platform.area) >= EN*6
} 














Modify
7
1174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0조 3호 가 목

가. 승강로는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할 것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0조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3호 가목
Check(RFB_10_0_3_가){
	KS
}
KS{
	Elevator myElevator{
		isObjectProperty(Elevator.isEmergency)=TRUE
	}

	isObjectProperty(myElevator.ElevatorShaft.isFirePartition)=TRUE
}
 














Modify
8
1175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0조 3호 나 목

나. 각층으로부터 피난층까지 이르는 승강로를 단일구조로 연결하여 설치할 것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0조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3호 나목

Check(RFB_10_0_3_나){

	KS

}



KS{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TRUE

	}
ElevatorShaft myElevatorShaft1{
	hasObject(Floor,ElevatorShaft)=TRUE
}
ElevatorShaft myElevatorShaft2{
	hasObject(myFloor,ElevatorShaft)=TRUE	
}
	isConnectedTo(myElevatorShaf1t, myElevatorShaft2, SingleStructure)=TRUE

} 














Modify
9
1193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3조 1 항 1호

1. 보일러는 거실외의 곳에 설치하되, 보일러를 설치하는 곳과 거실사이의 경계벽은 출입구를 제외하고는 내화구조의 벽으로 구획할 것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3조 (개별난방설비) 1항 1호
Check(RFB_13_1_1){
	KS
}

KS{
	hasSpace(Room, Boiler) = FALSE
	
	Room myRoom{
		hasSpace(Room, Boiler) = TRUE
	}

	Room myRoom2{
		hasAdjacent(myRoom, Room) = TRUE
	}

	Wall myWall{
		isPartitioned(myRoom, myRoom2, Wall) = TRUE
		hasObject(Wall, Door.isEntrance) = FALSE
		isObjectProperty(Wall.isfireResistantStructure) = TRUE
	}

	isExist(myWall) = TRUE
} 














Modify
10
1194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3조 1 항 2호

2. 보일러실의 윗부분에는 그 면적이 0.5제곱미터 이상인 환기창을 설치하고, 보일러실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에는 각각 지름 10센티미터 이상의 공기흡입구 및 배기구를 항상 열려있는 상태로 바깥공기에 접하도록 설치할 것. 다만, 전기보일러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3조 (개별난방설비) 1항 2호

Check(RFB_13_1_2){

	IF CS THEN KS

}



CS{

	isExist(Boiler) = TRUE
isObjectProperty(Boiler.isElectricBoiler) = FALSE
}



KS{

	Ventilator myVentilator{

		getObjectArea(Ventilator) >= 0.5cm2

	}


Space mySpace{
getSpaceUsage(Space) = "BoilerRoom"  
}
	isInstalled(myVentilator, mySpace, a, top) = TRUE



	AirInlet myAirInlet{

		getObjectDiameter(AirInlet, b) >= 10cm

	}



	AirOutlet myAirOutlet{

		getObjectDiameter(AirOutlet, b) >= 10cm

	}



	(isInstalled(myAirInlet, mySpace, a, top) = TRUE

	OR isInstalled(myAirOutlet, mySpace, a, top) = TRUE)



	(isInstalled(myAirInlet, mySpace, a, bottom) = TRUE

	OR isInstalled(myAirOutlet, mySpace, a, bottom) = TRUE)

} 














Modify
11
1197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3조 1 항 5호

5. 기름보일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기름저장소를 보일러실외의 다른 곳에 설치할 것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3조 (개별난방설비) 1항 5호

Check(RFB_13_1_5){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Boiler.isOilBoiler) = FALSE

}



KS{
Space mySpace1{
getSpaceUsage(Space) = "BoilerRoom"  
}

Space mySpace2{
getSpaceUsage(Space) = "OilStorageFacilities"
}
	hasSpace(mySpace1, mySpace2) = FALSE

} 














Modify
12
1198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3조 1 항 6호

6. 오피스텔의 경우에는 난방구획마다 내화구조로 된 벽·바닥과 갑종방화문으로 된 출입문으로 구획할 것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3조 (개별난방설비) 1항 6호

Check(RFB_13_1_6){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 "Officetel"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fireResistantStructure)

	}



	FloorSlab myFloorSlab{

		isObjectProperty(FloorSlab.isFireResistantStructure) = TRUE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StrictFireproofDoor) = TRUE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HeatingSection) = TRUE
}
	isPartitioned(myZone, myWall) = TRUE

	OR isPartitioned(myZone, myFloorSlab) = TRUE

	OR isPartitioned(myZone, myDoor) = TRUE

} 














Modify
13
1200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3조 2 항

②가스보일러에 의한 난방설비를 설치하고 가스를 중앙집중공급방식으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가스관계법령이 정하는 기준에 의하되, 오피스텔의 경우에는 난방구획마다 내화구조로 된 벽·바닥과 갑종방화문으로 된 출입문으로 구획하여야 한다. <신설 1999.5.11.>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3조 (개별난방설비) 2항

Check(RFB_13_2){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 "Officetel"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fireResistantStructure)

	}



	FloorSlab myFloorSlab{

		isObjectProperty(FloorSlab.isFireResistantStructure) = TRUE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StrictFireproofDoor) = TRUE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HeatingSection) = TRUE
}
	isPartitioned(myZone, myWall) = TRUE

	OR isPartitioned(myZone, myFloorSlab) = TRUE

	OR isPartitioned(myZone, myDoor) = TRUE

} 














Modify
14
1201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4조 1 항

제14조(배연설비) ①영 제51조제2항에 따라 배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건축물에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게 배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피난층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1996.2.9.,1999.5.11., 2002.8.31., 2009.12.31., 2010.11.5.>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4조 (배연설비) 1항 

Check(RFB_14_1){

IF (CS) THEN KS

}



CS {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FALSE

}



KS {

        isExist(SmokeExhaustionSystem)=TRUE

	getResult(RFB_14_1_1) = TRUE

	AND getResult(RFB_14_1_2) = TRUE

} 














Modify
15
1202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4조 1 항 1호

1. 영 제46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에 방화구획이 설치된 경우에는 그 구획마다 1개소 이상의 배연창을 설치하되, 배연창의 상변과 천장 또는 반자로부터 수직거리가 0.9미터 이내일 것. 다만, 반자높이가 바닥으로부터 3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배연창의 하변이 바닥으로부터 2.1미터 이상의 위치에 놓이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4조 (배연설비) 1항 1호

Check(RFB_14_1_1){

	IF (CS) THEN KS1 AND KS2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FirePartition) = TRUE

	}





CS{

	isObjectProperty(Building.isFirePartition) = TRUE

}



KS1{

	

	hasSpace(myZone, SmokeVentilator) = TRUE

	

	getObjectVerticalDistance(SmokeVentilator, Ceiling) < 0.9 m

	OR getObjectVerticalDistance(SmokeVentilator, CeilingCovering) < 0.9 m

}



KS2{	

	IF{

		getSpaceHeight(myZone, b) >= 3 m

	}



	THEN{

		getObjectVerticalDistance(SmokeVentilator, FloorSlab) >= 2.1 m 

	}

} 














Modify
16
1203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4조 1 항 2호

2. 배연창의 유효면적은 별표 2의 산정기준에 의하여 산정된 면적이 1제곱미터 이상으로서 그 면적의 합계가 당해 건축물의 바닥면적(영 제46조제1항 또는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방화구획이 설치된 경우에는 그 구획된 부분의 바닥면적을 말한다)의 100분의 1이상일 것. 이 경우 바닥면적의 산정에 있어서 거실바닥면적의 20분의 1 이상으로 환기창을 설치한 거실의 면적은 이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4조 (배연설비) 1항 2호
Check(RFB_14_1_2){
	IF (CS) THEN (KS1 OR KS2)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FirePartition) = TRUE
}

Space mySpace{
	getSpaceUsage(Space) = "Room"
	getTotalElementArea(Ventilator) >= getFloorArea(Space)*0.05
}

Space mySpace2{
	hasSpace(Space, myZone) = TRUE
	getResult(EDBA_46_1) = TRUE 
	getREsult(EDBA_46_3) = TRUE
}

CS{
	getElementArea(SmokeVentilator) >= 1 m2
	getResult(RFB_*_2) = TRUE
}

KS1{
	getTotalElementArea(Ventilator) >= (getBuildingArea()-getFloorArea(mySpace))*0.01
}

KS2{
	getTotalElementArea(Ventilator) >= (getFloorArea(myZone)-getFloorArea(mySpace))*0.01
} 














Modify
17
1207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4조 2 항

②특별피난계단 및 영 제90조제3항의 규정에 의한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에 설치하는 배연설비의 구조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1996.2.9., 1999.5.11.>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4조 (배연설비) 2항

Check(RFB_14_2){

IF CS THEN KS

}

CS {	

   

           isObjectProperty(Stair.isSpecialEscape)=TRUE



           OR isObjectProperty(Elevator.isEmergency)=TRUE   

}



KS {

	getResult(RFB_14_2_1) = TRUE

	getResult(RFB_14_2_4) = TRUE

} 














Modify
18
1208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4조 2 항 1호

1. 배연구 및 배연풍도는 불연재료로 하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 원활하게 배연시킬 수 있는 규모로서 외기 또는 평상시에 사용하지 아니하는 굴뚝에 연결할 것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4조 (배연설비) 2항1호



Check(RFB_14_2_1){
Duct myDuct{
getObjectProperty(Duct.functionType) = "Exhaust"
}
	isObjectProperty(SmokeExhaustionOpening.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isObjectProperty(myDuct.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isConnectedToExternal(SmokeExhaustionOpening) = TRUE

        isConnectedToExternal(myDuct) = TRUE)

	OR( isConnectedTo(SmokeExhaustionOpening,Chimney) = TRUE

            isConnectedTo(myDuct,Chimney) = TRUE)

} 














Modify
19
1292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3조 1호 다 목

다. 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ㆍ벽돌조 또는 석조로서 철재에 덮은 콘크리트블록등의 두께가 5센티미터 이상인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1호 다목

Check (REFB_3_0_1_다){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Wall.Structure.materialType) = "ConcreteBlock" OR "Brick" OR "Stone"
isObjectProperty(Structure.isReinforcedSteelStructure) = TRUE
}
KS{
getObjectThickness(Wall.Structure) >= 5cm
}	
 














Modify
20
1306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3조 4호 나 목

나. 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ㆍ벽돌조 또는 석조로서 철재에 덮은 콘크리트블록등의 두께가 5센티미터 이상인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1호 다목

Check (REFB_3_0_4_나){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FloorSlab.Structure.materialType) = "ConcreteBlock" OR "Brick" OR "Stone"
isObjectProperty(Structure.isReinforcedSteelStructure) = TRUE
}
KS{
getObjectThickness(FloorSlab.Structure) >= 5cm
}	
 














Modify
21
131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3조 6호 나 목

나. 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ㆍ벽돌조 또는 석조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6호 나목

Check (REFB_3_0_6_나){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Roof.Structure.materialType) = "ConcreteBlock" OR "Brick" OR "Stone"
isObjectProperty(Structure.isReinforcedSteelStructure) = TRUE
} 














Modify
22
131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3조 6호 다 목

다. 철재로 보강된 유리블록 또는 망입유리로 된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6호 다목

Check (REFB_3_0_6_다){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Roof.Structure.materialType) = "GlassBlock" OR "WiredSheetGlass"
isObjectProperty(Structure.isReinforcedSteelStructure) = TRUE
} 














Modify
23
1319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3조 7호 다 목

다. 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ㆍ벽돌조 또는 석조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7호 다목

Check (REFB_3_0_7_다){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Stair.Structure.materialType) = "ConcreteBlock" OR "Brick" OR "Stone"
isObjectProperty(Structure.isReinforcedSteelStructure) = TRUE
} 














Modify
24
1342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8조 1 항

제8조(직통계단의 설치기준) ①영 제34조에 따른 직통계단의 출입구는 피난에 지장이 없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어 설치하고, 각 직통계단 상호간에는 각각 거실과 연결된 복도등 통로를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10.4.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8조 (직통계단의 설치기준) 1항

Check(REFB_8_1){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TRUE  

        }



        Passage myPassage{

             isConnectedTo(Room, Passage)=TRUE

        }



	isExist(myPassage)=TRUE

        isConnectedTo(myStair,myPassage)=TRUE

} 














Modify
25
134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8조의2조 1 항

제8조의2(피난안전구역의 설치기준) ① 영 제34조제3항 및 제4항에 따라 설치하는 피난안전구역(이하 "피난안전구역"이라 한다)은 해당 건축물의 1개층을 대피공간으로 하며, 대피에 장애가 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기계실, 보일러실, 전기실 등 건축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과 같은 층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피난안전구역은 건축설비가 설치되는 공간과 내화구조로 구획하여야 한다. <개정 2012.1.6.>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8조의2 (피난안전구역의 설치기준) 1항
check(REFB_8-2_1){
	KS1 AND IF CS THEN KS2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EgressSafetyZone) = TRUE
	}

	Space mySpace{
		hasSpace(Space, FacilitiesOfABuilding)
	}

	Structure myStructure{
		isObjectProperty(Space.isfireResistantStructure) = TRUE
	}

KS1{
 	BSC = getBuildingStoriesCount()
	getFloorNumber(myZone) <= BSC
}

CS{
	getFloorNumber(mySpace) = getFloorNumber(myZone)
}

KS2{
	isPartitioned(myZone, myStructure, mySpace) = TRUE
}
 














Modify
26
134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8조의2조 2 항

② 피난안전구역에 연결되는 특별피난계단은 피난안전구역을 거쳐서 상ㆍ하층으로 갈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8조의2 (피난안전구역의 설치기준) 2항

Check(REFB_8-2_2){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EgressSafetyZone)=TRUE

   }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SpecialEscape)=TRUE

      isAccessible(myZone, Stair)=TRUE

   }

  Floor myFloor{

         Floor.number>getFloorNumber(myZone)

         OR Floor.number













Modify
27
1348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8조의2조 3 항 2호

2. 피난안전구역의 내부마감재료는 불연재료로 설치할 것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8조의2 (직통계단의 설치기준) 3항2호
check(REFB_8-2_3_2){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EgressSafetyZone)=TRUE
   }

    isObjectProperty(myZone.InteriorFinish.nonCombustibility)=TRUE
} 














Modify
28
1349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8조의2조 3 항 3호

3. 건축물의 내부에서 피난안전구역으로 통하는 계단은 특별피난계단의 구조로 설치할 것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8조의2 (직통계단의 설치기준) 3항3호
check(REFB_8-2_3_3){
   
  Stair myStair{
     isExternal(Stair)=FALSE
     isAccessible(myZone, Stair)=TRUE
  }
  isObjectProperty(Stair.isSpecialEscape)=TRUE
  
} 














Modify
29
135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8조의2조 3 항 4호

4. 비상용 승강기는 피난안전구역에서 승하차 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할 것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8조의2 (직통계단의 설치기준) 3항4호
check(REFB_8-2_3_4){
   
   Elevator  myElevator{
     isObjectProperty(Elevator.isEmergency)=TRUE
   }

   isDirectlyAccessible(myZone, myElevator)=TRUE
} 














Modify
30
1358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1 항

제9조(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①영 제35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의 5층 이상 또는 지하 2층 이하의 층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지하 1층인 건축물의 경우에는 5층 이상의 층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과 직접 연결된 지하 1층의 계단을 포함한다)은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1항

Check(REFB_9_1){

	IF (CS1) THEN KS1 ELSE IF (CS2) THEN KS2

CS1{

	Floor myFloor1 {

			Floor.number > 5

			OR Floor.number <= -2

			}

	Stair myStair1 {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

            Floor myFloor2 {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TRUE

            }



	isGoThrough(myFloor1, myStair1, myFloor2)= TRUE

	OR isGoThrough(myFloor1, myStair1, Ground) = TRUE

}



CS2{	

	Floor myFloor3 {

		Floor.number >= 5

	}

	

	Stair myStair3 {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isGoThrough(myFloor3, myFloor2, Stair) = TRUE

		OR isGoThrough(myFloor3, Ground, Stair) = TRUE)

		}

	Stair myStair2 {

		Stair.Floor.number = -1

		}



	isDirectlyAccessible(myStair2, myStair3)=TRUE

		

KS1 {	

	(isObjectProperty(myStair1.isEscape) = TRUE

	OR isObjectProperty(myStair1.isSpecialEscape) = TRUE)

     }

KS2{

       (isObjectProperty(myStair2.isEscape) = TRUE

	OR isObjectProperty(myStair2.isSpecialEscape) = TRUE)

        (isObjectProperty(myStair3.isEscape) = TRUE

	OR isObjectProperty(myStair3.isSpecialEscape) = TRUE)

} 














Modify
31
1361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2 항 1호 가 목

가. 계단실은 창문ㆍ출입구 기타 개구부(이하 "창문등"이라 한다)를 제외한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의 벽으로 구획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1호 가목
check(REFB_9_2_1_1){
     KS
}
KS{
Wall myWall{
	hasElement(Stair.Space, Wall) = TRUE
	hasElement(Wall, Window) = FALSE
	hasElement(Wall, Door) = FALSE
	hasElement(Wall, Opening) = FALSE
}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Escape)= TRUE
}

isFireResistantStructure(myWall)= TRUE
isPartitioned (myStair, 0, myWall) = TRUE
 	
}
 














Modify
32
1362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2 항 1호 나 목

나. 계단실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바닥 및 반자 등 실내에 면한 모든 부분을 말한다)의 마감(마감을 위한 바탕을 포함한다)은 불연재료로 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1호 나목

check(REFB_9_2_1_2){

     KS

}

KS{

    isObjectProperty(Stair.Space.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 














Modify
33
1366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2 항 1호 바 목

바. 건축물의 내부에서 계단실로 통하는 출입구의 유효너비는 0.9미터 이상으로 하고, 그 출입구에는 피난의 방향으로 열 수 있는 것으로서 언제나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화재로 인한 연기, 온도, 불꽃 등을 가장 신속하게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로 된 제26조에 따른 갑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1호 바목

Check(REFB_9_2_1_6){

     KS

}

KS {

	Door myDoor{

	isConnectedToExternal(Opening) = FALSE

}

	Space mySpace{

		isExternal(Space)=FALSE

}

	isGoThrough(mySpace,myDoor,Stair.Space.) = TRUE

	isObjectProperty(Door.effectiveWidth) >= 0.9m

	isEgressDirection(Door) = TRUE;



} 














Modify
34
136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2 항 1호 사 목

사. 계단은 내화구조로 하고 피난층 또는 지상까지 직접 연결되도록 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1호 사목
Check(REFB_9_2_1_7){
KS
}
KS {
Floor myFloor {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isFireResistantStructure(Stair) = TRUE
(isDirectlyAccessible(Stair,myFloor)= TRUE 
OR isDirectlyAccessible(Stair,Ground) = TRUE) 
 }



 














Modify
35
1368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2 항 2호

2. 건축물의 바깥쪽에 설치하는 피난계단의 구조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2호

Check(REFB_9_2_2){

    IF (CS) THEN KS 

}



CS{

isExternal(Stair) = TRUE

isObjectProperty(Stair.isEscape) = TRUE

}

KS{

	getResult(REFB_9_2_2_1)=TRUE

	getResult(REFB_9_2_2_2)=TRUE

	getResult(REFB_9_2_2_3)=TRUE

	getResult(REFB_9_2_2_4)=TRUE

} 














Modify
36
137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2 항 2호 나 목

나. 건축물의 내부에서 계단으로 통하는 출입구에는 제26조에 따른 갑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2호 나목
check(REFB_9_2_2_2){
	IF (CS) THEN KS     
}
CS {
	Space mySpace{
		isExternal(Space)=FALSE
}
	Door myDoor{
		isGoThrough(mySpace,Door,Stair) = TRUE
}
isExist(myDoor) = TRUE
}

KS {
	isObjectProperty(myDoor.strictFireproofDoor) = TRUE
	
}
 














Modify
37
1372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2 항 2호 라 목

라. 계단은 내화구조로 하고 지상까지 직접 연결되도록 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2호 라목

check(REFB_9_2_2_4){

	KS     

}

KS {

	isObjectProperty(Stair.isFireResistantStructure) = TRUE

	isAccessible(Stair, Ground)= TRUE

} 














Modify
38
137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2 항 3호

3.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3호
check (REFB_9_2_3){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Stair.isSpecialEscape) = TRUE
}
KS{
	getResult(REFB_9_2_3_1)=TRUE
	getResult(REFB_9_2_3_2)=TRUE
	getResult(REFB_9_2_3_3)=TRUE
	getResult(REFB_9_2_3_5)=TRUE
	getResult(REFB_9_2_3_6)=TRUE
	getResult(REFB_9_2_3_7)=TRUE
	getResult(REFB_9_2_3_8)=TRUE
	getResult(REFB_9_2_3_9)=TRUE
	getResult(REFB_9_2_3_10)=TRUE
	getResult(REFB_9_2_3_11)=TRUE
}
 














Modify
39
137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2 항 3호 가 목

가. 건축물의 내부와 계단실은 노대를 통하여 연결하거나 외부를 향하여 열 수 있는 면적 1제곱미터 이상인 창문(바닥으로부터 1미터 이상의 높이에 설치한 것에 한한다) 또는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14조의 규정에 적합한 구조의 배연설비가 있는 면적 3제곱미터 이상인 부속실을 통하여 연결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3호 가목

check (REFB_9_2_3_1){

CS THEN KS 

}

CS {

isExist(Stair.Space) = TRUE

}

KS {

	Window myWindow {

		getObjectProperty(Window.area)>= 1 m2

		isObjectProperty(Window.isExternalDirection) = TRUE

		 getElementDistance(Window, FloorSlab, a)>=1m



}

	SmokeExhaustionSystem mySmokeExhaustionSystem {

		getElement(SmokeExhaustionSystem)

		getResult(RFB_14)=TRUE

}



	Space mySpace1{

		getSpace(“Balcony”)

}

	Space mySpace2{

		isExternal(Space)=FALSE

}

	Space mySpace3{

		getSpace(“AncillaryRoom”)

		getFloorArea(Space.Floor, ) >= 3㎡

		hasElement(Space,mySmokeExhaustionSystem) = TRUE

		hasElement(Space,myWindow) = TRUE

}

isGoThrough(mySpace2,Stair.Space, ,mySpace1)

OR isGoThrough(mySpace2,Stair.Space, ,mySpace3) 














Modify
40
1382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2 항 3호 자 목

자. 건축물의 내부에서 노대 또는 부속실로 통하는 출입구에는 제26조에 따른 갑종방화문을 설치하고, 노대 또는 부속실로부터 계단실로 통하는 출입구에는 제26조에 따른 갑종방화문 또는 을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이 경우 갑종방화문 또는 을종방화문은 언제나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화재로 인한 연기, 온도, 불꽃 등을 가장 신속하게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3호 자목

check (REFB_9_2_3_9){

IF(CS1) THEN KS1 OR (CS2) TEHN KS2

}

Space mySpace1 {

	isExternal(Space)=FALSE

}

Space mySpace2 = getSpace(“Balcony”) + getSpace(“AncillaryRoom”)

CS1{

	

	isGoThrough(mySpace1,Door,mySpace2) = TRUE

}

KS1 {

	isObjectProperty(Door.isStrictFireproofDoor)= TRUE

}



CS2{

	isGoThrough(mySpace2,Door,Stair.Space) = TRUE

}

KS2{

	isObjectProperty(Door.isFireproofDoor)= TRUE

} 














Modify
41
138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2 항 3호 차 목

차. 계단은 내화구조로 하되, 피난층 또는 지상까지 직접 연결되도록 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3호 차목

check (REFB_9_2_3_10){

	KS

}

KS{

	Floor myFloor {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TRUE

	isObjectProperty(Stair.isFireResistantStructure) = TRUE

	isAccessible(Stair,myFloor)=TRUE

	OR isAccessible(Stair,Ground)=TRUE

} 














Modify
42
138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2 항 3호 카 목

카. 출입구의 유효너비는 0.9미터 이상으로 하고 피난의 방향으로 열 수 있을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3호 카목

check (REFB_9_2_3_카){
	KS
}

KS{
getObjectProperty(Door.effectiveWidth) >= 0.9m
isObjectProperty(Door.isEscapeDirection)=TRUE
} 














Modify
43
138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3 항

③영 제35조제1항에 따른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은 돌음계단으로 하여서는 아니되며, 영 제40조에 따라 옥상광장을 설치하여야 하는 건축물의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은 해당 건축물의 옥상으로 통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이 경우 옥상으로 통하는 출입문은 피난방향으로 열리는 구조로서 피난시 이용에 장애가 없어야 한다. <개정 2010.4.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3항

Check(REFB_9_3) {

	KS

}

KS {

	Stair myStair1{

		isObjectProperty(Stair.isEscape)=TRUE

		OR isObjectProperty(Stair.isSpecialEscape)=TRUE

}

	Space mySpace{

		getObjectProperty(Space.usage) = “RooftopPlaza”
}
		hasObject(Rooftop, mySpace)=TRUE



}

	Stair myStair2{

		hasObject(mySpace.Building,myStair1)=TRUE 

}	

	getObjectProperty(myStair.type)!= “WindingStair”

	isAccessible(myStair2,mySpace)=TRUE

	isEgressDirection(mySpace.Door) = TRUE

} 














Modify
44
138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0조 1 항

제10조(관람석등으로부터의 출구의 설치기준) ①영 제38조 각호의 1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관람석 또는 집회실로부터 바깥쪽으로의 출구로 쓰이는 문은 안여닫이로 하여서는 아니된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0조 (관람석등으로부터의 출구의 설치기준) 1항

check(REFB_10_1){

    Space mySpace = getSpace("Auditorium") + getSpace("AssemblyHal"l)



    Door myExit {

        isAccessible(mySpace, Door) = TRUE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

getObjectProperty(myExit.panelOperationType) != "OpeningInDoor"


} 














Modify
45
1389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0조 2 항 1호

1. 관람석별로 2개소 이상 설치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0조 (관람석등으로부터의 출구의 설치기준) 2항 1호

check(REFB_10_2_1){

    Door myExit {

        Door.Space.name = "individualSeats"

        getFloorArea(Door.Space) >= 300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



    getObjectCount(myExit) >= 2

} 














Modify
46
139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0조 2 항 2호

2. 각 출구의 유효너비는 1.5미터 이상일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0조 (관람석등으로부터의 출구의 설치기준) 2항 2호

check(REFB_10_2_2){

    Door myExit {

        Door.Space.name = "individualSeats"

        getFloorArea(Door.Space) >= 300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



    getObjectWidth(myExit) >= 1.5m

} 














Modify
47
1391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0조 2 항 3호

3. 개별 관람석 출구의 유효너비의 합계는 개별 관람석의 바닥면적 100제곱미터마다 0.6미터의 비율로 산정한 너비 이상으로 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0조 (관람석등으로부터의 출구의 설치기준) 2항 3호

check(REFB_10_2_3){

    Door myExit {

        Door.Space.name = "individualSeats"

        getFloorArea(Door.Space) >= 300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



    getTotalObjectWidth(myExit) >= getFloorArea(myExit.Space)/100*0.6

} 














Modify
48
1392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1조 1 항

제11조(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의 설치기준) ①영 제39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의 바깥쪽으로 나가는 출구를 설치하는 경우 피난층의 계단으로부터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에 이르는 보행거리(가장 가까운 출구와의 보행거리를 말한다. 이하 같다)는 영 제34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거리이하로 하여야 하며, 거실(피난에 지장이 없는 출입구가 있는 것을 제외한다)의 각 부분으로부터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에 이르는 보행거리는 영 제34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거리의 2배 이하로 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1조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의 설치기준) 1항

Check(REFB_11_1){     
IF CS THEN KS1 AND KS2
}

CS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TRUE
}
isExist(myDoor)
}

KS1 {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TRUE
}

getObjectDistance(myFloor.Stair, myDoor,a) <= EDBA_34_1.distance

}

KS2 {

getObjectDistance(Room, myDoor) <= (EDBA_34_1.distance)*2

}

 














Modify
49
139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1조 2 항

②영 제39조제1항에 따라 건축물의 바깥쪽으로 나가는 출구를 설치하는 건축물중 문화 및 집회시설(전시장 및 동ㆍ식물원을 제외한다), 종교시설, 장례식장 또는 위락시설의 용도에 쓰이는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로 쓰이는 문은 안여닫이로 하여서는 아니된다. <개정 2010.4.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1조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의 설치기준) 2항



Check(REFB_11_2){
     

IF CS1 AND CS2 THEN KS


}





CS1 {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CulturalAndAssemblyFacility”

OR getBuildingUsage() = “ReligiousFacility”

OR getBuildingUsage() = “AmusementFacility”

OR getBuildingUsage() = “FuneralParlor”

getBuildingUsage() != “ExhibitionHall”

getBuildingUsage() != “ZoologicalAndBotanicalGarden”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myBuilding.Door.isEntrance)=TRUE

}

isExist(myDoor) = TRUE

}



KS {

getObjectProperty(myDoor.panelOperationType) != “OpeningInDoor”



} 














Modify
50
139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1조 3 항

③영 제39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의 바깥쪽으로 나가는 출구를 설치하는 경우 관람석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제곱미터 이상인 집회장 또는 공연장에 있어서는 주된 출구외에 보조출구 또는 비상구를 2개소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1조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의 설치기준) 3항

Check(REFB_11_3){
     

IF CS1 AND CS2 THEN KS


}





CS1 {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AssemblyHall”

OR getBuildingUsage() = “PerformanceHall”

}



Space mySpace{

myBuilding.Space.name = “Auditorium”

Space.FloorSlab.area >= 300 m2

}



isExist(mySpace) = TRUE

}



CS2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TRUE

}

hasObject(myBuilding,myDoor) = TRUE

}



KS {

Door myDoor{

getObjectProperty(Door.functionType) = "Auxiliary"

OR getObjectProperty(Door.functionType) = "Emergency" 

}



getObjectCount(myDoor) >=2

} 














Modify
51
139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1조 4 항

④판매시설의 용도에 쓰이는 피난층에 설치하는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의 유효너비의 합계는 해당 용도에 쓰이는 바닥면적이 최대인 층에 있어서의 해당 용도의 바닥면적 100제곱미터마다 0.6미터의 비율로 산정한 너비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개정 2010.4.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1조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의 설치기준) 4항
Check(REFB_11_4){     
IF CS THEN KS
}

CS {
Floor myFloor{
getObjectUsage(Floor) = “CommercialFacility”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TRUE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TRUE
}

hasObject(myFloor,myDoor) = TRUE
}

KS{

myFloor.myDoor.effectiveWidth >= 

}
 














Modify
52
1396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1조 5 항

⑤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피난층 또는 피난층의 승강장으로부터 건축물의 바깥쪽에 이르는 통로에는 제15조제5항에 따른 경사로를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10.4.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1조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의 설치기준) 5항
Check(REFB_11_5){     
IF CS1 AND CS2 THEN KS
}

CS1 {
getResult(REFB_11_5_1)=TRUE
OR getResult(REFB_11_5_2)=TRUE
OR getResult(REFB_11_5_3)=TRUE
OR getResult(REFB_11_5_4)=TRUE
OR getResult(REFB_11_5_5)=TRUE
OR getResult(REFB_11_5_6)=TRUE
}

CS2{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TRUE
}

Passage myPassage{
isDirectlyAccessible(myFloor,Passage) = TRUE
OR isDirectlyAccessible(myFloor.Platform,Passage) = TRUE
isConnectedToExternal(Passage) = TRUE
}

isExist(myPassage)=TRUE
}

KS{
hasObject(myPassage,Ramp)=TRUE
getResult(REFB_15_5)=TRUE
}


 














Modify
53
140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1조 6 항

⑥법 제39조제1항에 따라 영 제39조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바깥쪽으로 나가는 출입문에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안전유리를 사용하여야 한다. <신설 2006.6.29.>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1조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의 설치기준) 6항
Check(REFB_11_6){  
   KS
}

KS{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TRUE
    }
    IF getObjectMaterial(myDoor)="Glass"
         THEN getObjectType(Glass)="Safety"  

} 














Modify
54
140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2조

제12조(회전문의 설치기준) 영 제39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의 출입구에 설치하는 회전문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2005.7.22.>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2조 (회전문의 설치기준)  
Check(REFB_12){     
IF CS THEN KS
}

CS {
Door myDoor {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Door.panelOperationType=“RevolvingDoor”
}
isExist(myDoor) = TRUE
}

KS {
getResult(REFB_12_1)=TRUE
}
 














Modify
55
142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3조 3 항 1호

1. 대피공간의 면적은 지붕 수평투영면적의 10분의 1 이상 일 것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3조 (헬리포트 및 구조공간 설치 기준) 3항 1호



Check (REFB_13_3_1){

      KS

}



KS{

Space mySpace{
isObjectProperty(Space.isEscape) = TRUE
}
  mySpace.area > Roof.horizontalProjectionArea*0.1

} 














Modify
56
1421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3조 3 항 2호

2. 특별피난계단 또는 피난계단과 연결되도록 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3조 (헬리포트 및 구조공간 설치 기준) 3항 2호



Check(REFB_13_3_2){

     KS

}



KS{



   Stair myStair {

    isObjectProperty(Stair.isEscape)=True   

   }



   Stair myStair2 {

    isObjectProperty(Stair.isSpecialEscape)=True   

   }

Space mySpace{
isObjectProperty(Space.isEscape) = TRUE
}

   isConnected(mySpace, myStair )=True 

   OR isConnected(mySpace, myStair2 )=True 

} 














Modify
57
1422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3조 3 항 3호

3. 출입구ㆍ창문을 제외한 부분은 해당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의 바닥 및 벽으로 구획할 것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3조 (헬리포트 및 구조공간 설치 기준) 3항 3호



Check(REFB_13_3_3){

     KS

}







KS{ 

Space mySpace{
isObjectProperty(Space.isEscape) = TRUE
}

   isFirePartition(mySpace)=True

} 














Modify
58
142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3조 3 항 4호

4. 출입구는 유효너비 0.9미터 이상으로 하고, 그 출입구에는 갑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3조 (헬리포트 및 구조공간 설치 기준) 3항 4호



Check(REFB_13_3_4){

  KS

}



KS{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True

  getObjectProperty( myDoor.effectiveWidth) > 0.9 m

   isObjectProperty(Door.isStrictFireproofDoor)=True 














Modify
59
142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3조 3 항 5호

5. 내부마감재료는 불연재료로 할 것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3조 (헬리포트 및 구조공간 설치 기준) 3항 5호



Check(REFB_13_3_5){

       KS

}





KS{

Space mySpace{
isObjectProperty(Space.isEscape) = TRUE
}

   isObjectProperty(mySpace.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 














Modify
60
1426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3조 3 항 7호

7. 관리사무소 등과 긴급 연락이 가능한 통신시설을 설치할 것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3조 (헬리포트 및 구조공간 설치 기준) 3항 7호

check(REFB_13_3_7){

     KS

}

KS{

	Space mySpace{

	isObjectProperty(Space.isEscape) = TRUE

	}

	hasObject(mySpace, WarningAndCommunicationFacility) = TRUE

} 














Modify
61
1429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4조 1 항 1호

1. 10층 이하의 층은 바닥면적 1천제곱미터(스프링클러 기타 이와 유사한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바닥면적 3천제곱미터)이내마다 구획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방화구획의 설치) 1항1호



check(REFB_14_1_1){KS

}



KS{

	Floor myFloor{

		Floor.number>=10

	}



	IF (


        isExist(SprinklerSystem)=TRUE 
isObjectProperty(ExtinguishingSystem.isAutomatic) = TRUE


        ) 

	(

        isFirePartition(myFloor, 3000)=TRUE

        OR isFirePartition(myFloor, a, 1000)=TRUE

        )

	

} 














Modify
62
143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4조 1 항 2호

2. 3층 이상의 층과 지하층은 층마다 구획할 것. 다만, 지하 1층에서 지상으로 직접 연결하는 경사로 부위는 제외한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방화구획의 설치) 1항2호

check(REFB_14_1_2){
IF CS THEN KS
}

KS{
  Floor myFloor { 
         Floor.number>=3
         AND Floor.number<0
         }
  isObjectProperty(myFloor.isFirePartition)=TRUE
}



CS{
  Ramp myRamp{
         isGoThrough(getFloor(Floor.number=-1),Ramp,Ground)=TRUE
         }
         isObjectProperty(myRamp.isFirePartition)=FALSE  
}


 














Modify
63
1431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4조 1 항 3호

3. 11층 이상의 층은 바닥면적 200제곱미터(스프링클러 기타 이와 유사한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600제곱미터)이내마다 구획할 것. 다만, 벽 및 반자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을 불연재료로 한 경우에는 바닥면적 500제곱미터(스프링클러 기타 이와 유사한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1천500제곱미터)이내마다 구획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방화구획의설치) 1항3호





check(REFB_14_1_3){

KS2 AND IF CS THEN KS

}



  

Floor myFloor {

		getFloorNumebr()>= 11

              } 





KS2{

     isFirepartition(myFloor,200)=TRUE 

     OR 

     ((isExist(SprinklerSystem) = TRUE 

      OR isObjectProperty(ExtinguishingSystem.isAutomatic) = TRUE)

      AND isFirepartition(myFloor,600)=TRUE)

}



CS1 {

     isObjectProperty(Space.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



KS1 {

     isFirepartition(myFloor,500)=TRUE

     OR

      ((isExist(SprinklerSystem) = TRUE 

      OR isObjectProperty(ExtinguishingSystem.isAutomatic) = TRUE)

      AND isFirepartition(myFloor,1500)=TRUE)

} 














Modify
64
144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4조 3 항 1호

1. 피난구의 덮개는 제26조에 따른 비차열 1시간 이상의 내화성능을 가져야 하며, 피난구의 유효 개구부 규격은 직경 60센티미터 이상일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방화구획의 설치기준) 3항 1호

Check(REFB_14_3_1){
   KS
}

KS{
  Opening myOpening {
       isObjectProperty(Opening.isEscape)=True
  }

  getObjectDiameter(myOpening)>60 cm  
} 














Modify
65
145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4조의2조 5호

5. 거실의 벽 및 반자가 실내에 면하는 부분(반자돌림대ㆍ창대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을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의 마감은 불연재료ㆍ준불연재료 또는 난연재료로 하고, 그 거실로부터 지상으로 통하는 주된 복도ㆍ계단 그밖에 통로의 벽 및 반자가 실내에 면하는 부분의 마감은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로 할 것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의2 (복합건축물의 피난시설 등) 5호



Check(REFB_14-2_0_5){

      KS

}



KS{



  Object myObject{

      getObject(Room.wall)

      getObject(Room.CeilingCovering)

  }

   



Corridor myCorridor{

   isGoThrough(Room, Corridor, Ground )=True

}



Stair myStair{

  isGoThrough(Room,Stair, Ground )=True

}



Passage myPassage{

  isGoThrough(Room,Passage, Ground )=True

}



Space mySpace{

   Space.usage==myCorridor.usage

   OR Space.usage==myStair.usage

   OR Space.usage=myPassage.usage



}





Object myObject2{

      getObject(mySpace.wall)

      getObject(mySpace.CeilingCovering)

  }



( isObjectProperty(myObject.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OR isObjectProperty(myObject.InteriorFinish.Material.quasiNonCombustibility)=True

 OR isObjectProperty(myObject.InteriorFinish.Material.flameResistance)= True
)



isObjectProperty(myObject2.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OR isObjectProperty(myObject2.InteriorFinish.Material.quasiNonCombustibility)=True





} 














Modify
66
1479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5조 7 항

⑦ 제1항 및 제2항에도 불구하고 영 제34조제4항 후단에 따라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을 설치하는 경우 계단 및 계단참의 너비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신설 2012.1.6.>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5조 (계단의 설치기준) 7항
check(REFP_15_7){
     IF CS THEN KS
}

CS{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TRUE
}
      isAccessible(Stair,myFloor) 
      OR isAccessible(Stair,Ground)
}

KS{
      getResult(REFP_15_7_1)
      OR getResult(REFP_15_7_2)
} 














Modify
67
149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6조 2 항

②문화 및 집회시설(전시장 및 동ㆍ식물원은 제외한다), 종교시설, 장례식장 또는 위락시설 중 유흥주점의 용도에 쓰이는 건축물의 관람석 또는 집회실로서 그 바닥면적이 200제곱미터 이상인 것의 반자의 높이는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4미터(노대의 아랫부분의 높이는 2.7미터)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기계환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0.4.7.>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6조 (거실의 반자높이) 2항

check(REFB_16_2){

IF (CS1 AND CS2) THEN KS

}



CS1{



VentilatorEquipment myVentilatorEquipemnt{

isObjectProperty(VentilatorEquipment.isMechanical)=TRUE

}

	isExist(myVentilatorEquipemn) = FALSE 

}



CS2{

	Space mySpace{

		getSpaceUsage(Space) = “Auditorium”

		OR getSpaceUsage(Space) = “AssemblyHall”

	}



	((getBuildingUsage() = “CulturalAndAssemblyFacilities.Tavern”

	getBuildingUsage() != “ExhibitionHalls.Tavern”

	getBuildingUsage() != “ZoologicalAndBotanicalGardens.Tavern”)

	OR getBuildingUsage() = "ReligiousFacilities.Tavern” 














Modify
68
1496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7조 2 항

②영 제51조의 규정에 의하여 환기를 위하여 거실에 설치하는 창문등의 면적은 그 거실의 바닥면적의 20분의 1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기계환기장치 및 중앙관리방식의 공기조화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7조 (채광 및 환기를 위한 창문등) 2항

check(REFB_17_2){

	IF !CS THEN KS

}



CS{

	AirConditioningSystem myAirConditioningSystem{

		isObjectProperty(AirConditioningSystem.isCentralControl)

	}



VentilatorEquipment myVentilatorEquipemnt{

isObjectProperty(VentilatorEquipment.isMechanical)=TRUE

}



	hasElement(Room, myVentilatorEquipemnt)= TRUE 

	OR hasElement(Room, myAirConditioningSystem) = TRUE

}



KS{

	Window myWindow{

		hasElement(Room, Window) = TRUE

	}

		getElementArea(myWindow) >= getFloorArea(Room)*0.05

} 














Modify
69
1499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8조 1 항

제18조(거실등의 방습) ①영 제52조의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의 최하층에 있는 거실바닥의 높이는 지표면으로부터 45센티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지표면을 콘크리트바닥으로 설치하는 등 방습을 위한 조치를 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8조 (거실등의 방습) 1항





Check(REFB_18_1){

IF !CS THEN KS}







KS{

 getObjectHeight(getFloor(BottomFloor))>=45CM

}





CS {

 isObjectProperty(Ground.Surface.isDampProof)=TRUE 

} 














Modify
70
150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9조 1 항

제19조(경계벽 등의 구조) ①법 제49조제3항에 따라 건축물에 설치하는 경계벽은 내화구조로 하고, 지붕밑 또는 바로 윗층의 바닥판까지 닿게 하여야 한다. <개정 2014.11.28.>





check(REFB_19_1){

     KS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PartitionWall) = TRUE
}
Floor myFloor{
hasObject(Floor, myWall)
}
   isFireResistantStructure(myWall)=TRUE
(isConnectedTo(myWall, Roof.BottomSurface) = TRUE
 OR isCOnnectedTo(myWall, myFloor.UpperFloor.FloorSlab) = TRUE)

} 














Modify
71
150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9조 2 항 1호

1. 철근콘크리트조ㆍ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서 두께가 10센티미터이상인 것





check(REFB_19_2_1){

     KS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PartitionWall) = TRUE
}
   getObjectProperty(myWall.Structure.materialType) = "ReinforcedConcrete" OR "SteelFramedReinforcedConcrete" 

   AND getObjectThickness(myWall) >= 10CM

} 














Modify
72
1506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9조 2 항 2호

2. 무근콘크리트조 또는 석조로서 두께가 10센티미터(시멘트모르타르ㆍ회반죽 또는 석고플라스터의 바름두께를 포함한다)이상인 것





check(REFB_19_2_2){

     KS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PartitionWall) = TRUE
}

   getObjectProperty(myWall.Structure.materialType) = "PlainConcrete" OR "Stone" 
 getObjectThickness(myWall) >= 10CM

} 














Modify
73
150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9조 2 항 3호

3. 콘크리트블록조 또는 벽돌조로서 두께가 19센티미터 이상인 것





check(REFB_19_2_3){

     KS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PartitionWall) = TRUE
}

   getObjectProperty(myWall.Structure.materialType) = "ConcreteBlock" OR "Brick" 
 getObjectThickness(myWall) >= 19CM

} 














Modify
74
1516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0조 3호

3. 금속제 굴뚝으로서 건축물의 지붕속ㆍ반자위 및 가장 아랫바닥밑에 있는 굴뚝의 부분은 금속외의 불연재료로 덮을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0조 (건축물에 설치하는 굴뚝) 3호
Check(REFB_20_0_3){
	IF CS THEN KS
}

CS{
	getObjectMaterial(Chimney.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

KS{
	Chimney myChimney{
		getObjectMaterial(Chimney.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

	isObjectProperty(A.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getObjectProperty(A.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 != 
	isObjectProperty(B.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getFloorNumber(myChimney) = LF
	getObjectMaterial(myChimney) != "Metal"
} 














Modify
75
151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0조 4호

4. 금속제 굴뚝은 목재 기타 가연재료로부터 15센티미터 이상 떨어져서 설치할 것. 다만, 두께 10센티미터 이상인 금속외의 불연재료로 덮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check(REFB_20_0_4){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Chimney.Material.nonCombustibility)= TRUE

     AND !(getObjectProperty(Chimney.Material)="Metal"))

     And getElementWidth(NoncombustibleMaterials)>=10

}



KS{

       getObjectDistance(Chimney, combustibleMaterials)>= 15CM

       AND getObjectProperty(Chimney.Material)="Metal")) 

} 














Modify
76
1521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1조 1 항 1호

1. 내화구조로서 홀로 설 수 있는 구조일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1조 (방화벽의 구조) 1항 1호

Check(REFB_21_1_1){
     KS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FireProofWall)=True
   }
   
   isObjectProperty(myWall.isfireResistantStructure)=True
}

 














Modify
77
1522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1조 1 항 2호

2. 방화벽의 양쪽 끝과 윗쪽 끝을 건축물의 외벽면 및 지붕면으로부터 0.5미터 이상 튀어 나오게 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1조 (방화벽의 구조) 1항 2호

Check(REFB_21_1_2){
     KS
}

KS{
   Object myObject{
      //방화벽의 양쪽 끝과 윗쪽 끝
   }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External)=True
   }

    getObjectDistance(myObject, myWall)>=0.5 m
    getObjectDistance(myObject, Roof)>=0.5 m
} 














Modify
78
152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1조 1 항 3호

3. 방화벽에 설치하는 출입문의 너비 및 높이는 각각 2.5미터 이하로 하고, 해당 출입문에는 제26조에 따른 갑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1조 (방화벽의 구조) 1항 3호

Check(REFB_21_1_3){
      KS
}

KS{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True
      isInstalled(Door, myWall)=True
    }

    getObjectWidth(myDoor)<=2.5 m
    getObjectHeight(myDoor)<=2.5 m
    isObjectProperty(myDoor.isStrictFireproofDoor)=True
  
} 














Modify
79
152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3조 1 항

제23조(방화지구안의 지붕ㆍ방화문 및 외벽등) ①「건축법」 (이하 "법"이라 한다) 제51조제3항에 따라 방화지구 내 건축물의 지붕으로서 내화구조가 아닌 것은 불연재료로 하여야 한다. <개정 2005.7.22., 2010.12.3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3조 (방화지구안의 지붕ㆍ방화문 및 외벽등) 1항

Check(REFB_23_1){

	IF CS THEN KS

}



CS{


	Building myBuilding{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District.type) = "FirePreventionDistrict"
	}



	Roof myRoof{

		hasObject(myBuilding, Roof) = TRUE

	}



	isObjectProperty(myRoof.isFireResistantStructure) != TRUE

}



KS{

	isObjectProperty(myRoof.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 














Modify
80
153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4조 2 항

②영 제61조제1항 각 호의 건축물 중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거실의 벽 및 반자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은 제1항에도 불구하고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로 하여야 한다. <개정 2003.1.6., 2005.7.22., 2006.6.29., 2010.4.7., 2010.12.3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4조 (건축물의 마감재료) 2항



check(REFB_24_2){

     IF CS THEN KS

}





CS{

    getResult(REFB_24_2_1)=TRUE

    OR getResult(REFB_24_2_2)=TRUE

}



KS{

  (isObjectProperty(CeilingCovering.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OR isObjectProperty(CeilingCovering.InteriorFinish.Material.quasiNonCombustibility)=TRUE )


(isObjectProperty(Room.Wall.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OR isObjectProperty(Room.Wall.InteriorFinish.Material.quasiNonCombustibility)=TRUE

)

} 














Modify
81
1538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4조 4 항

④영 제61조제1항제2호에 따른 공동주택에는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 제11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10조에 따라 환경부장관이 고시한 오염물질방출 건축자재를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신설 2006.6.29., 2010.12.30.>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4조 (건축물의 마감재료) 4항


Check(REFB_24_4){
IF CS THEN KS
}

Building myBuilding{
getResult(EDBA_61_1_2)=TRUE
}

CS{
isExist(myBuilding)=TRUE
}

KS{
isObjectProperty(myBuilding.Material.isEmittingPollutant)=FALSE
}
 














Modify
82
154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4조의2조 2 항

②영 제61조제1항제4호나목에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출구"란 건축물의 내부의 각 부분으로부터 출구(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출구를 말한다)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30미터 이하가 되도록 설치된 유효너비 1.5미터 이상의 출구를 말한다. <개정 2008.3.14., 2010.12.30., 2013.3.23.>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4조의2 (소규모 공장용도 건축물의 마감재료) 2항
check(REFB_24-2_2){
      KS
}
KS{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
	getObjectDistance(Building.IndoorElement, Door) <= 30
	isObjectProperty(Door.effectiveWidth) >= 1.5m
} 














Modify
83
155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5조 1 항 1호

1. 거실의 바닥면적이 50제곱미터 이상인 층에는 직통계단외에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비상탈출구 및 환기통을 설치할 것. 다만, 직통계단이 2개소 이상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1항 1호

check(REFB_25_1_1){

	IF !(CS) THEN KS

}



KS{

	Floor myFloor1{

		hasSpace(Floor,Room) = TRUE

		getTotalArea(Room) >= 50 m2

	}



	Floor myFloor2{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functionType) = "Emergency"

		(isDirectlyAccessible(Door, myFloor2) = TRUE

		OR isDirectlyAccessible(Door, Ground) = TRUE)

	}

	

	hasSpace(myFloor1, myDoor)

	OR (hasSpace(myFloor1, VentilatorPipe) = TRUE

	(isDirectlyAccessible(VentilatorPipe, myFloor2) = TRUE

	OR isDirectlyAccessible(VentilatorPipe, Ground) = TRUE))

}



CS{

	Floor myFloor1{

		hasSpace(Floor,Room) = TRUE

		getTotalArea(Room) >= 50 m2

	}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hasSpace(myFloor1, Stair) = TRUE

	}



	getObjectCount(myStair) >= 2

} 














Modify
84
155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5조 1 항 1의2호

1의2. 제2종근린생활시설 중 공연장ㆍ단란주점ㆍ당구장ㆍ노래연습장, 문화 및 집회시설중 예식장ㆍ공연장, 수련시설 중 생활권수련시설ㆍ자연권수련시설, 숙박시설중 여관ㆍ여인숙, 위락시설중 단란주점ㆍ유흥주점 또는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2조에 따른 다중이용업의 용도에 쓰이는 층으로서 그 층의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50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에는 직통계단을 2개소 이상 설치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1항 1의2호
check(REFB_25_1_1-2){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PerformanceHall"
	OR getBuildingUsag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Pubs"
	OR getBuildingUsag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BilliardRoom"
	OR getBuildingUsag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Karaoke"
	OR getBuildingUsage() = "CulturalAndAssemblyFacility.WeddingHall"
	OR getBuildingUsage() = "CulturalAndAssemblyFacility.PerformanceHall"
	OR getBuildingUsage() = "TrainingFacility.TrainingFacilityInLivingZone"
	OR getBuildingUsage() = "TrainingFacility.??LivingZone"
	OR getBuildingUsage() = "LodgingFacility.Inn"
	OR getBuildingUsage() = "AmusementFacility.Pubs"
	OR getBuildingUsage() = "AmusementFacility.Tavern"
	OR getResult(ERSASP_2) = TRUE)

	getTotalFloorArea(Room) >= 50 m2
}

KS{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

	getObjectCount(myStair) >= 2
} 














Modify
85
155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5조 1 항 2호

2. 바닥면적이 1천제곱미터이상인 층에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을 영 제46조의 규정에 의한 방화구획으로 구획되는 각 부분마다 1개소 이상 설치하되, 이를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의 구조로 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1항 2호

check(REFB_25_1_2){

	IF CS THEN KS

}



CS{

	getTotalFloorArea(Floor) >= 1000 m2

}



KS{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isDirectlyAccessible(Stair, Ground) = TRUE

		OR isDirectlyAccessible(Stair, myFloor) = TRUE)



		(isObjectProperty(Stair.isEscape) = TRUE

		OR isObjectProperty(Stair.isSpecialEscape) = TRUE)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FirePartition) = TRUE

	}



	hasSpace(myZone, myStair) = TRUE

} 














Modify
86
156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5조 2 항 5호

5. 비상탈출구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복도나 직통계단에 직접 접하거나 통로 등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복도나 직통계단까지 이르는 피난통로의 유효너비는 0.75미터 이상으로 하고, 피난통로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과 그 바탕은 불연재료로 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2항 5호

check(REFB_25_2_5){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isDirectlyAccessible(Stair, Ground) = TRUE

		OR isDirectlyAccessible(Stair, myFloor) = TRUE)

	}



	Corridor myCorridor{

		isDirectlyAccessible(Corridor, myFloor) = TRUE

		OR isDirectlyAccessible(Corridor, Ground) = TRUE

	}

Door myDoor{
Door.functionType = "Emergency"
Door.Floor.number < 0
}

	(isDirectlyAccessible(myDoor, myStair) = TRUE

	OR isDirectlyAccessible(myDoor, myCorridor) = TRUE

	OR isGoThrough(myDoor, Corridor, myStair) = TRUE

	OR isGoThrough(myDoor, Corridor, myCorridor) = TRUE)

Passage myPassage{
isObjectProperty(Passage.isEscape) = TRUE
}

	getSpaceWidth(myPassage) >= 0.75 m



	isObjectProperty(myPassage.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 














Modify
87
156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5조 2 항 7호

7. 비상탈출구의 유도등과 피난통로의 비상조명등의 설치는 소방법령이 정하는 바에 의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2항 7호

check(REFB_25_2_7){	
Door myDoor{
Door.functionType = "Emergency"
Door.Floor.number < 0
}

Light myLight{
isObjectProperty(Light.isEmergency) = TRUE
}

Passage myPassage{
isObjectProperty(Passage.isEscape) = TRUE
}

	hasElement(myDoor, LeadingLight) = TRUE

	hasElement(myPassage, myLight) = TRUE

} 














Modify
88
1576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9조 1 항

제29조(피난용승강기의 설치 및 구조) ① 고층건축물에는 법 제64조제1항에 따라 건축물에 설치하는 승용승강기 중 1대 이상을 제30조에 따른 피난용승강기의 설치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준초고층 건축물 중 공동주택은 제외한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9조 (피난용승강기의 설치 및 구조) 1항 



Check(REFB_29_1){

   IF (!CS1 AND CS2)THEN KS 

}



CS1{



   Building myBuilding{

         isObjectProperty(Building.isQuasiHighriseBuilding )=True

   }



    getBuildingUsage()="myBuilding.MultiUnitHouse"

}

CS2{

    isObjectProperty(Building.isHighBuilding) = TRUE

}

KS{

   getResult(REFB_30)=True

   getResult(REFB_29_2)=True

} 














Modify
89
1582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30조 1호 나 목

나. 승강장은 각 층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되, 그 출입구에는 갑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이 경우 방화문은 언제나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0조 (피난용승강기의 설치기준) 1호 나목
check(REFB_30_0_1_나){
      KS
}
KS{
	isConnectedTo(Platform, Floor.One.Space) = TRUE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isInstalled(Door, Floor.One) = TRUE
	}
	isObjectProperty(myDoor.isStrictFireproofDoor) = TRUE
} 














Modify
90
158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30조 1호 다 목

다. 실내에 접하는 부분(바닥 및 반자 등 실내에 면한 모든 부분을 말한다)의 마감(마감을 위한 바탕을 포함한다)은 불연재료로 할 것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0조 (피난용승강기의 설치기준) 1호 다목

check(REFB_30_0_1_다){

      KS

}

KS{

	isObjectProperty(Space.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 














Modify
91
1592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30조 2호 나 목

나. 각 층으로부터 피난층까지 이르는 승강로를 단일구조로 연결하여 설치할 것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0조 (피난용승강기의 설치기준) 2호 나목



Check(REFB_30_0_2_나){

      KS

}



KS{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True

   }

   

ElevatorShaft myElevatorShaft1{
	hasObject(Floor,ElevatorShaft)=TRUE
}
ElevatorShaft myElevatorShaft2{
	hasObject(myFloor,ElevatorShaft)=TRUE	


isConnectedTo(myElevatorShaf1t, myElevatorShaft2, SingleStructure)=TRUE


} 














Modify
92
159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30조 3호 가 목

가. 출입구를 제외한 부분은 해당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의 바닥 및 벽으로 구획할 것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0조 (피난용승강기의 설치기준) 3호 가목

check(REFB_30_0_3_가){

      KS

}

KS{

	FloorSlab myFloorSlab{

	isFireResistantStructure(FloorSlab) = TRUE

}

	Wall myWall{

	isFireResistantStructure(Wall) = TRUE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

	Object myElement{

		getObject(Space.Object) - getObject(myDoor)

	}

	isPartitioned(myElement, , myFloorSlab) = TRUE

	isPartitioned(myElement, , myWall) = TRUE

} 














Modify
93
1596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30조 3호 나 목

나. 출입구에는 갑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0조 (피난용승강기의 설치기준) 3호 나목
check(REFB_30_0_3_나){
      KS
}
KS{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
	isObjectProperty(myDoor.isStrictFireproofDoor) = TRUE
} 














Modify
94
2680 건축법 시행령 제 34조 1 항

제34조(직통계단의 설치) ① 건축물의 피난층(직접 지상으로 통하는 출입구가 있는 층 및 제3항과 제4항에 따른 피난안전구역을 말한다. 이하 같다) 외의 층에서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경사로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을 거실의 각 부분으로부터 계단(거실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계단을 말한다)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30미터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건축물(지하층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제곱미터 이상인 공연장ㆍ집회장ㆍ관람장 및 전시장은 제외한다)의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은 그 보행거리가 50미터(층수가 16층 이상인 공동주택은 40미터) 이하가 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자동화 생산시설에 스프링클러 등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공장으로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공장인 경우에는 그 보행거리가 75미터(무인화 공장인 경우에는 100미터) 이하가 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개정 2009.7.16., 2010.2.18., 2011.12.30., 2013.3.23.>





// 건축법 시행령 34조 (직통계단의 설치) 1항

Check(EDBA_34_1){
     KS
}

KS{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Space mySpace{
      getObjectProperty(Space.usage)="PerformanceHall"
      OR getObjectProperty(Space.usage)="AssemblyHall"
      OR getObjectProperty(Space.usage)="Auditorium"	
      OR getObjectProperty(Space.usage)="ExhibitionHall"
}

Door myDoor{
     isDirectlyAccessible(Door, Ground)=TRUE
}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TRUE
     isAccessible(Stair,myFloor)=TRUE
     OR isAccessible(Stair,Ground)=TRUE
}

Ramp myRamp{
     isAccessible(Ramp,myFloor)=TRUE
     OR isAccessible(Ramp,Ground)=TRUE
}

Floor myFloor2{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FALSE
     OR hasObject(Floor, myDoor)=FALSE
}

	Zone myZone{

		isDirectlyAccessible(myStair, Zone)=FALSE

	}

 

IF

	getFloorNumber(mySpace)>0

	getFloorArea(mySpace)<=300 m2

	isFireResistantStructure(MainStructuralPart)=TRUE

	OR isObjectProperty(MainStructuralPart.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THEN IF        getBuildingStoriesCount()>=16

	               getBuildingUsage()="MultiUnitHouse"

	          THEN ED= 40 

	ELSE THEN   ED=50               

	END IF



ELSE IF   

	getBuildingUsage() = "Factory" 

	isExist(ExtinguishingSystem)=TRUE 

	isObjectProperty(ExtinguishingSystem.isAutomatic)=TRUE

	getResult(REFB_8_2)=TRUE

	THEN IF   	getBuildingUsage() = "UnmannedFactory" 

			THEN ED=100

	ELSE THEN  ED=75

	END IF 



ELSE THEN ED=30

	END IF 



	(hasObject(myFloor,myStair)=TRUE

	hasObject(myZone, myStair)=TRUE

	getObjectDistance(Room,myStair, 1)<=ED)

	OR 

	(hasObject(myFloor,myRamp)=TRUE

	hasObject(myZone, myRamp)=TRUE

	getObjectDistance(Room,myRamp, 1)<=ED)

} 














Modify
95
2681 건축법 시행령 제 34조 2 항

② 법 제49조제1항에 따라 피난층 외의 층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용도 및 규모의 건축물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을 2개소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09.7.16., 2013.3.23., 2014.3.24.>





//건축법 시행령 34조 (직통계단의 설치) 2항

Check(EDBA_34_2){

   IF (CS1 AND CS2) THEN KS

}



CS1{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FALSE

}



CS2{

	getResult(EDBA_34_2_1)=TRUE

   	OR getResult(EDBA_34_2_2)=TRUE

   	OR getResult(EDBA_34_2_3)=TRUE  

   	OR getResult(EDBA_34_2_4)=TRUE

   	OR getResult(EDBA_34_2_5)=TRUE

}



KS{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TRUE

        }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isAccessible(myFloor, Stair)= TRUE

      		OR isAccessible(Ground,Stair) = TRUE

   	}



   	getObjectCount(myStair)>2 

   	getResult(REFB_8_1) = True

} 














Modify
96
2687 건축법 시행령 제 34조 3 항

③ 초고층 건축물에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과 직접 연결되는 피난안전구역(건축물의 피난ㆍ안전을 위하여 건축물 중간층에 설치하는 대피공간을 말한다. 이하 같다)을 지상층으로부터 최대 30개 층마다 1개소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신설 2009.7.16., 2011.12.30.>





// 건축법 시행령 제 34조 (직통계단의 설치) 3항

check(EDBA_34_3){

		IF CS THEN KS ENDIF

}



CS{

isObjectProperty(Building.isHighriseBuilding) = TRUE

}

KS{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EgressSafetyZone) = TRUE

		}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isGoThrough(myFloor, myZone, myStair) = TRUE

		OR isGoThrough(myFloor, Ground, myStair) = TRUE



		getObjectCount(myZone) >= getBuildingStoriesCount()/30

} 














Modify
97
2688 건축법 시행령 제 34조 4 항

④ 준초고층 건축물에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과 직접 연결되는 피난안전구역을 해당 건축물 전체 층수의 2분의 1에 해당하는 층으로부터 상하 5개층 이내에 1개소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신설 2011.12.30., 2013.3.23.>





// 건축법 시행령 34조 (직통계단의 설치) 4항

check(EDBA_34_4){

		IF !CS THEN KS ENDIF

}

CS{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isDirectlyAccessible(myStair, myFloor) = TRUE

		OR isDirectlyAccessible(myStair, Ground) = TRUE

}

				

KS{

		isObjectProperty(Building.isQuasiHighriseBuilding) = TRUE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EgressSafetyZone) = TRUE

		}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isGoThrough(myFloor, myZone, myStair) = TRUE

		OR isGoThrough(myFloor, Ground, myStair) = TRUE

		(getBuildingStoriesCount()/2)-5 < getFloorNumber(myZone)

                getFloorNumber(myZone) < (getBuildingStoriesCount()/2)+5

} 














Modify
98
2691 건축법 시행령 제 35조 1 항

제35조(피난계단의 설치) ① 법 제49조제1항에 따라 5층 이상 또는 지하 2층 이하인 층에 설치하는 직통계단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건축물의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되어 있는 경우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08.10.29., 2013.3.23.>





//건축법 시행령 35조(피난계단의 설치) 1항
Check(EDBA_35_1){
	IF (!CS1 AND !CS2 AND CS3) THEN KS
}

CS1 {
     isFireProofStructure(MainStructuralPart) = TRUE
     OR isObjectProperty(MainStructuralPart.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

CS2 {
     getResult(EDBA_35_1_1) = TRUE
     OR getResult(EDBA_35_1_2) = TRUE
}

CS3{
     Floor myFloor {
          Floor.number > 5
		OR Floor.number <= -2
	}

	Stair myStair {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

	hasElement(myFloor, myStair) = TRUE
}

KS {
	isObjectProperty(myStair.isEscape) = TRUE
	OR isObjectProperty(myStair.isSpecialEscape) = TRUE
} 














Modify
99
2694 건축법 시행령 제 35조 2 항

② 건축물(갓복도식 공동주택은 제외한다)의 11층(공동주택의 경우에는 16층) 이상인 층(바닥면적이 400제곱미터 미만인 층은 제외한다) 또는 지하 3층 이하인 층(바닥면적이 400제곱미터미만인 층은 제외한다)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은 제1항에도 불구하고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08.10.29.>





//건축법 시행령 35조 (피난계단의 설치) 2항
check(EDBA_35_2){
	IF (CS1 AND CS2) THEN KS
}

CS1{
	Building.usage != "MultiUnitHouse.SideCorridorTypeMultiUnitHouse"
}

CS2{
	Floor myFloor{
 		IF (Building.usage = "MultiUnitHouse“) 
			THEN getFloorNumber(Floor) >= 16
     		ELSE 		
			getFloorNumber(Floor) >= 11
     		ENDIF

 		OR getFloorNumber(Floor) < -3
		getFloorArea(Floor) >= 400m2
	}

	Stair myStair {
		(isAccessible(Stair, Floor.isEscape) = TRUE
		 OR isAccessible(Stair, Ground) = TRUE)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

	hasObject(myFloor, myStair) = TRUE
}

KS{
	isObjectProperty(myStair.isSpecialEscape) = TRUE
}
 














Modify
100
2695 건축법 시행령 제 35조 3 항

③ 제1항에서 판매시설의 용도로 쓰는 층으로부터의 직통계단은 그 중 1개소 이상을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08.10.29.>





//건축법 시행령 35조 (피난계단의 설치) 3항
check(EDBA_35_3){
	IF (CS) THEN KS
CS{
	getResult(EDBA_35_1) = TRUE

	Floor myFloor {
		Floor.usage = “CommercialFacility”
	}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

	isAccessible(myFloor, myStair) = TRUE
}

KS{
	isObjectProperty(one.myStair.isSpecialEscape) = TRUE
}
 














Modify
    1   2   3   4   next▷  
 
This is Design IT Lab server's restricted area. Authorized users could access this web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