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istry of Land, Infrasrtucture and Transport |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 Space and Design IT Lab | Hanyang University
Open BIM based Technological Environment for Building Design Quality Enhancement
1-2. 설계품질검증 자동화를 위한 각종 법규 및 제기준의 체계화된 논리규칙 데이터베이스 구축 - 건축물 설계품질 혁신을 위한 개방형 BIM 기술 환경 구축 | 국토교통부
  Home Welcome to BIM Project Website - Hanyang University
PAGE MENU   MainPage
전체법규 - 법규데이터베이스
- 대한민국 전체 법규 목록
- 설계품질검토 대상 관련법규
대상법규 - 문장 논리규칙체계화
- 조항단위 논리규칙체계
- 문장단위 논리규칙체계
주어부 - 객체.속성 데이터베이스
- 법규로부터의 객체.속성 분류
- 명칭DB: 객체 | 객체및속성
서술부 - 함수 데이터베이스
- 논리규칙화 함수 분류
- 논리규칙화 함수 DB
관계부 - 문장 내.외 관계논리
- 문장 내.외 관계유형분류
- 법규조항관계도:
1차년도 | 2차년도 | 3차년도
- 문장 내.외관계 논리체계화
문장단위 | 체크리스트 단위
KBIMCode 데이터베이스
- KBIMCode Lang. Definition
- KBIMCode Editor
- KBimCode Database:
문장단위 | 조항단위
- KBimLogic Applications
 
     HOME
설계품질검토용 건축법 및 관련법규 - KBIMCode (문장단위)
  ◁prev 1   2      
2 / 2 page Total 1,131/ 1,131 records    신규입력 엑셀저장
Select
ALL
None
#
ID
Law
Jo
JO Name
HANG
HO
MOK
Text
Search!
1
14927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8조 12 항 3호

3. 시험배관의 끝에는 물받이 통 및 배수관을 설치하여 시험 중 방사된 물이 바닥에 흘러내리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목욕실·화장실 또는 그 밖의 곳으로서 배수처리가 쉬운 장소에 시험배관을 설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8조 (배관 및 밸브) 12항 3호

Check(NFSC503A_8_12_3){
	KS
}
KS{
	Pipe myPipe1{
	isObjectProperty(Pipe.isForTest) = TRUE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usage) = "WaterDrainPipe"
	}
	isInstalled(myPipe2, myPipe1.End) = TRUE
} 














Modify
2
14929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8조 13 항 1호

1. 가지배관에는 간이헤드의 설치지점 사이마다 1개 이상의 행가를 설치하되, 간이헤드간의 거리가 3.5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3.5m 이내마다 1개 이상 설치할 것. 이 경우 상향식간이헤드와 행가 사이에는 8㎝ 이상의 간격을 두어야 한다.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8조 (배관 및 밸브) 13조 1호



Check(NFSC103A_8_13_1){

	IF(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

CS1{

	getObjectInterval(SimpleSprinkler.Head) <= 3.5m

}

KS1{

	getObjectCountInInterval(Hanger, SimpleSprinkler.Head) >= 1

	isInstalled(Hanger, myPipe) = TRUE

}



CS2{

	getObjectInterval(SimpleSprinkler.Head) > 3.5m

}

KS2{

	Head myHead{

	isObjectProperty(Head.installationDirectionType) = "BottomUpType"

	}

	isInstalled(Hanger, myPipe, b, 3.5) = TRUE

getObjectCountInInterval(Hanger, SimpleSprinkler.Head) >= 1

	getObjectDistance(myHead, Hanger) >= 8cm 



} 














Modify
3
14930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8조 13 항 2호

2. 교차배관에는 가지배관과 가지배관 사이마다 1개 이상의 행가를 설치하되, 가지배관 사이의 거리가 4.5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4.5m이내마다 1개 이상 설치할 것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8조 (배관 및 밸브) 13조 2

Check(NFSC103A_8_13_2){
	IF(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Pipe myPipe1{
	isObjectProperty(Pipe.isCrossMains) = TRUE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
CS1{
	getObjectInterval(myPipe2) <= 4.5m
}
KS1{
	getObjectCountInInterval(Hanger, myPipe2) >= 1
	isInstalled(Hanger, myPipe1) = TRUE
}

CS2{
	getObjectInterval(myPipe2) > 4.5m
}
KS2{
	isInstalled(Hanger, myPipe1, b, 4.5) = TRUE
getObjectCountInInterval(Hanger, myPipe2) >= 1
} 














Modify
4
14931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8조 13 항 3호

3. 제1호 및 제2호의 수평주행배관에는 4.5m 이내마다 1개 이상 설치할 것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8조 (배관 및 밸브) 13조 3호

Check(NFSC103A_8_13_3){
	KS
}
KS{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FeedMains) = TRUE
	}
	isInstalled(Hanger, myPipe, b, 4.5) = TRUE
	getObjectCountInInterval(Hanger, myPipe) >= 1
} 














Modify
5
14937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8조 15 항 1호

1.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배관을 수평으로 할 것. 다만, 배관의 구조상 소화수가 남아 있는 곳에는 배수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개정 2011.11.24>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8조 (배관 및 밸브) 15항 1호

Check(NFSC503A_8_15_1){
	KS
}
KS{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usage) = "WaterDrainPipe"
	}
	isParallel(FloorSlab, myPipe) = TRUE  
} 














Modify
6
14942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8조 16 항 1호 나 목

나.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이외의 배관에는 화재시 배관을 차단할 수 있는 급수차단장치를 설치할 것 <개정 2011.11.24>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8조 (배관 및 밸브) 16항 1호 나목

Check(NFSC503A_8_16_1_나){
	KS
}
KS{
	ShutdownEquipment myShutdownEquipment{
	isObjectProperty(ShutdownEquipment.type) = "Water"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systemType) != "SimpleSprinklerSystem" 
	}
	isInstalled(myShutdownEquipment, myPipe) = TRUE
} 














Modify
7
14943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8조 16 항 2호

2. 펌프 등의 가압송수장치를 이용하여 배관 및 밸브 등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원, 연성계 또는 진공계(수원이 펌프보다 높은 경우를 제외한다. 이하 같다), 펌프 또는 압력수조, 압력계, 체크밸브, 성능시험배관, 개폐표시형밸브, 유수검지장치, 시험밸브의 순으로 설치할 것 <개정 2011.11.24>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8조 (배관 및 밸브) 16항 2호



Check(NFSC503A_8_16_2){

	IF (!CS1 AND CS2) THEN KS

}

CS1{

	getObjectVerticalLocation(WaterSource, Pump) > 0

}

CS2{

	PressurizedWaterSupplySystem myPressurizedWaterSupplySystem{

	isObjectProperty(PressurizedWaterSupplySystem.supplyType) != "DirectCoupledType" OR "PressurizedTankType"

	}

	isInstalled(Pipe, myPressurizedWaterSupplySystem) = TRUE

	OR 	isInstalled(Valve, myPressurizedWaterSupplySystem) = TRUE

}

KS{

	Tank myTank{

	isObjectProperty(Tank.operationType) = "HydropneumaticTank"

	}

	Valve myValve1{

	isObjectProperty(Valve.isCheckValve) = TRUE

	}

	Valve myValve2{

	isObjectProperty(Valve.isIndicatingValve) = TRUE

	}

	Valve myValve3{

	isObjectProperty(Valve.isTestValve) = TRUE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ForTest) = TRUE

	}

	isInstalledInOrder(WaterSource,  CompoundGauge | VacuumGauge, Pump | myTank, PressureGauge, myValve1, myPipe, myValve2, WaterflowIndicator, myValve3) = TRUE

} 














Modify
8
14946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8조 16 항 3호

3. 가압수조를 가압송수장치로 이용하여 배관 및 밸브등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원, 가압수조, 압력계, 체크밸브, 성능시험배관, 개폐표시형밸브, 유수검지장치, 2개의 시험밸브의 순으로 설치할 것 <개정 2011.11.24>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8조 (배관 및 밸브) 16항 3호



Check(NFSC503A_8_16_3){

	IF CS THEN KS

}

CS{

	PressurizedWaterSupplySystem myPressurizedWaterSupplySystem{

	isObjectProperty(PressurizedWaterSupplySystem.supplyType) = "PressurizedTankType"

	}

	isInstalled(Pipe, myPressurizedWaterSupplySystem) = TRUE

	OR 	isInstalled(Valve, myPressurizedWaterSupplySystem) = TRUE

}

KS{

	Tank myTank{

	isObjectProperty(Tank.operationType) = "PressurizedTank"

	}

	Valve myValve1{

	isObjectProperty(Valve.isCheckValve) = TRUE

	}

	Valve myValve2{

	isObjectProperty(Valve.isIndicatingValve) = TRUE

	}

	Valve myValve3{

	isObjectProperty(Valve.isTestValve) = TRUE

	getObjectCount(Valve) = 2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ForTest) = TRUE

	}

	isInstalledInOrder(WaterSource,  myTank, PressureGauge, myValve1, myPipe, myValve2, WaterflowIndicator, myValve3) = TRUE

} 














Modify
9
14949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8조 16 항 4호

4. 캐비닛형의 가압송수장치에 배관 및 밸브 등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원, 연성계 또는 진공계(수원이 펌프보다 높은 경우를 제외한다. 이하 같다), 펌프 또는 압력수조, 압력계, 체크밸브, 개폐표시형밸브, 2개의 시험밸브의 순으로 설치할 것. 다만, 소화용수의 공급은 상수도와 직결된 바이패스관 또는 펌프에서 공급받아야 한다. <신설 2011.11.24, 개정 2013.6.10>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8조 (배관 및 밸브) 16항 4호



Check(NFSC503A_8_16_4){

	IF (!CS1 AND CS2) THEN KS

}

CS1{

	getObjectVerticalLocation(WaterSource, Pump) > 0

}

CS2{

	SimpleSprinklerSystem mySimpleSprinklerSystem{

	isObjectProperty(SimpleSprinklerSystem.isCabinetType) = TRUE

	}

	isInstalled(Pipe, mySimpleSprinklerSystem.PressurizedWaterSupplySystem) = TRUE

	OR 	isInstalled(Valve, mySimpleSprinklerSystem.PressurizedWaterSupplySystem) = TRUE

}

KS{

	Tank myTank{

	isObjectProperty(Tank.operationType) = "HydropneumaticTank"

	}

	Valve myValve1{

	isObjectProperty(Valve.isCheckValve) = TRUE

	}

	Valve myValve2{

	isObjectProperty(Valve.isIndicatingValve) = TRUE

	}

	Valve myValve3{

	isObjectProperty(Valve.isTestValve) = TRUE

	getObjectCount(Valve) = 2

	}



	isInstalledInOrder(WaterSource,  CompoundGauge | VacuumGauge, Pump | myTank, PressureGauge, myValve1, myPipe, myValve2, myValve3) = TRUE

} 














Modify
10
15002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별표1조

[별표 1] <개정 2015.1.23.> 간이헤드 수별 급수관의 구경(제8조제3항제3호관련)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별표1 (간이헤드 수별 급수관의 구경) 1항

Check(NFSC103A_*_1){

	getResult(NFSC103A_*_1_1) = TRUE

	getResult(NFSC103A_*_1_2) = TRUE

	getResult(NFSC103A_*_1_3) = TRUE

	getResult(NFSC103A_*_1_4) = TRUE

}

	

	Pipe myPipe{

	getObjectProperty(Pipe.usage) = "WaterSupplyPipe"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

	PD = getObjectProperty(Pipe.diameter)

	SSHN = getObjectCount(SimpleSprinkler.Head.)



Check(NFSC103A_*_1_2){

	IF CS THEN KS

}

CS{

	Head myHead{

	getObjectProperty(SimpleSprinkler.Head.openAndCloseType) = "EnclosedType"

	}

	isInstalled(myHead) = TRUE

}

KS{

	IF PD = 25 THEN SSHN = 2

	OR IF PD = 32 THEN SSHN = 3

	OR IF PD = 40 THEN SSHN = 5

	OR IF PD = 50 THEN SSHN = 10

	OR IF PD = 65 THEN SSHN = 30

	OR IF PD = 80 THEN SSHN = 60

	OR IF PD = 100 THEN SSHN = 100

	OR IF PD = 125 THEN SSHN = 160

	OR IF PD = 150 THEN SSHN >= 161

}

Check(NFSC103A_*_1_3){

	IF CS THEN KS

}

CS{

	Head myHead1{

	getObjectProperty(SimpleSprinkler.Head.openAndCloseType) = "EnclosedType"

	}

	isInstalled(myHead1) = TRUE

	Head myHead2{

	getObjectVerticalLocation(Head, CeilingCovering, )  <  0
	}

	Head myHead3{

	isInstalled(Head, CeilingCovering.Inside) = TRUE

	}

	isInstalled(myHead2, myPipe2) = TRUE

	isInstalled(myHead3, myPipe2) = TRUE

}

KS{

	IF PD = 25 THEN SSHN = 2

	OR IF PD = 32 THEN SSHN = 4

	OR IF PD = 40 THEN SSHN = 7

	OR IF PD = 50 THEN SSHN = 15

	OR IF PD = 65 THEN SSHN = 30

	OR IF PD = 80 THEN SSHN = 60

	OR IF PD = 100 THEN SSHN = 100

	OR IF PD = 125 THEN SSHN = 160

	OR IF PD = 150 THEN SSHN >= 161

} 














Modify
11
15362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제 7조 2 항 3호

3. 엘리베이터권상기실·린넨슈트·파이프 피트 및 덕트 기타 이와 유사한 장소<개정 2008.12.15>





//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7조 (감지기) 2항 2호
Check(NFSC203_7_2_3){
	IF CS THEN KS
}
CS{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t.isPipePit) = TRUE
	}
	Space mySace{
	getSpaceUsage(Space) = "ElevatorTractionMachineRoom"
	OR isInstalled(LinenChute,Space) = TRUE
	OR isInstalled(myPipe,Space) = TRUE
	OR isInstalled(Duct,Space) = TRUE
	}
}
KS{
	isInstalled(SmokeSensor,mySpace) = TRUE
}
 














Modify
12
15373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제 7조 3 항 7호 가 목

가. 공기관의 노출부분은 감지구역마다 20m 이상이 되도록 할 것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7조 (감지기) 3항 7호 가목
Check(NFSC203_7_3_7_가){
	KS
}
KS{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ForAir) = TRUE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DetectionZone) = TRUE
	}
	hasObject(myZone, myPipe) = TRUE
	getObjectLength(myZone.One.myPipe) >= 20m
}
 














Modify
13
15374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제 7조 3 항 7호 나 목

나. 공기관과 감지구역의 각 변과의 수평거리는 1.5m 이하가 되도록 하고, 공기관 상호간의 거리는 6m(주요 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한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에 있어서는 9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7조 (감지기) 3항 7호 가목
Check(NFSC203_7_3_7_가){
	KS3 AND IF !CS THEN KS1 ELSE KS2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ForAir) = TRUE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DetectionZone) = TRUE
	}
KS3{
	getElementDistance(myPipe, myZone.Wall) <= 1.5m
	getElementDistance(myPipe, myZone.Column) <= 1.5m
}
CS{
	isFireResistantStructure(SpecificFireFightingBuilding.MainStructuralPart) = TRUE
	
}
KS1{
	getObjectInterval(myPipe) <= 6m
}
KS2{
	getObjectInterval(myPipe) <= 6m
} 














Modify
14
15375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제 7조 3 항 7호 다 목

다. 공기관은 도중에서 분기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7조 (감지기) 3항 7호 다목

Check(NFSC203_7_3_7_다){

	KS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ForAir) = TRUE

	}

	isObjectProperty(myPipe.isDiverged) = FALSE 














Modify
15
15376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제 7조 3 항 7호 라 목

라. 하나의 검출부분에 접속하는 공기관의 길이는 100m 이하로 할 것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7조 (감지기) 3항 7호 라목
Check(NFSC203_7_3_7_라){
	KS
}
KS{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ForAir) = TRUE
	}
	isConnectedTo(myPipe, DetectingElement.One) = TRUE
	getObjectLength(myPipe) <= 100m
} 














Modify
16
15427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제 7조 5 항 6호

6. 파이프덕트 등 그 밖의 이와 비슷한 것으로서 2개층 마다 방화구획된 것이나 수평단면적이 5㎡ 이하인 것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7조 (감지기) 5항 6호

Check(NFSC203_7_5_6){
	IF CS THEN KS
}
CS{
	Duct myDuct{
	isObjectProperty(Duct.isPipeDuct) = TRUE
	}
	isFirePartition(myDuct, 2층) = TRUE
	OR isObjectProperty(Duct.horizontalSectionalArea) <= 5m2
KS{
	isInstalled(Sensor) = FALSE
}
 














Modify
17
15496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제 4조 4호

4. 송수구로부터 연결송수관설비의 주배관에 이르는 연결배관에 개폐밸브를 설치한 때에는 그 개폐상태를 쉽게 확인 및 조작할 수 있는 옥외 또는 기계실 등의 장소에 설치할 것. 이 경우 개폐밸브에는 그 밸브의 개폐상태를 감시제어반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급수개폐밸브 작동표시 스위치를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14.8.18>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4조 (송수구) 4호



Check(NFSC502_4_0_4){

      IF CS THEN KS 

}



CS{

    Pipe  myPipe1{
Pipe.systemType = "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
Pipe.isRiser = TRUE
}

    Pipe  myPipe2{

         isConnectedTo(FireDepartmentConnection, Pipe)=True

         isConnectedTo(myPipe1, Pipe)=True

    }

  

   Valve myValve{

     isObjectProperty(Valve.isShutoffValve)=True  

   }





    hasObject(myConnectionPipe, myValve)=True

}



KS{

    isExternal(myValve)=True

    OR (hasObject(Space, myValve)=True   
getSpaceUsage(Space) = "MachinRoom"


} 














Modify
18
15502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제 4조 7호

7. 송수구는 연결송수관의 수직배관마다 1개 이상을 설치할 것. 다만, 하나의 건축물에 설치된 각 수직배관이 중간에 개폐밸브가 설치되지 아니한 배관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건축물마다 1개씩 설치할 수 있다.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4조 (송수구) 7호



Check(NFSC502_4_0_7){

    IF CS THEN KS1 ELSE KS2

}



CS{
Port myPort{
Port.typeForWater = "FireDepartmentConnection"
}

    Pipe myPipe{
Pipe.systemType = "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
         isObjectProperty(Pipe.isRiser)=True

   }



   Pipe myPipe2{

       isInstalled( myValve, Pipe)=False

   }

   

   Valve myValve{

      isObjectProperty(Valve.isShutOffValve)=True

   }



   

   isConnectedTo(myPipe, myPipe2)=True

}



KS1{

    isInstalled(myPort)=True

}



KS2{

    getObjectCount(myPort,myPipe )>=1

} 














Modify
19
15509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제 5조 1 항 1호

1. 주배관의 구경은 100㎜ 이상의 것으로 할 것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5조 (배관) 1항 1호



Check(NFSC502_5_1_1){

        KS

}



KS{
Pipe myPipe{
	Pipe.isRiser = TRUE
Pipe.systemType = "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
}
   getObjectDiameter(myPipe)>=100 mm

} 














Modify
20
15512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제 5조 2 항 1호

1. 배관 내 사용압력이 1.2 ㎫ 미만일 경우에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또는 동등 이상의 강도·내식성 및 내열성을 가진 것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5조 (배관) 2항 1호

Check(NFSC502_5_2_1){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Pipe.workingPressure)<1.2 MPa 

}

KS{
     getResult(NFSC502_5_2_1_가)=True
     OR getResult(NFSC502_5_2_1_나)=True
     OR getResult(NFSC502_5_2_1_다)=True
} 














Modify
21
15513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제 5조 2 항 1호 가 목

가. 배관용 탄소강관(KS D 3507)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5조 (배관) 2항 1호 가목

Check(NFSC502_5_2_1_가){
        KS
}

KS{
     getObjectMaterial(Pipe)="KSD3507"
} 














Modify
22
15514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제 5조 2 항 1호 나 목

나. 이음매 없는 구리 및 구리합금관(KS D 5301). 다만, 습식의 배관에 한한다.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5조 (배관) 2항 1호 나목 

Check(NFSC502_5_2_1_나){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Pipe.type)="WetPipe"
}

KS{
   getObjectMaterial(Pipe)="KSD5301"
} 














Modify
23
15515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제 5조 2 항 1호 다 목

다. 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KS D 3576) 또는 일반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KS D 3595)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5조 (배관) 2항 1호 다목

Check(NFSC502_5_2_1){
     KS
}


KS{
  getObjectMaterial(Pipe)="KSD3576"
  OR getObjectMateral(Pipe)="KSD3595"

} 














Modify
24
15516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제 5조 2 항 2호

2. 배관 내 사용압력이 1.2 ㎫ 이상일 경우에는 압력배관용탄소강관(KS D 3562)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내식성 및 내열성을 가진 것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5조 (배관) 2항 2호

Check(NFSC502_5_2_2){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Pipe.workingPressure)>=1.2 MPa 

}

KS{
  getObjectMaterial(Pipe)="KSD3562"
  
} 














Modify
25
15517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제 5조 3 항

③ 제2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장소에는 국민안전처장관이 정하여 고시한「소방용합성수지배관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한 소방용 합성수지배관으로 설치할 수 있다.<신설 2014.8.18., 개정 2015.1.6.>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5조 (배관) 3항

Check(NFSC502_5_3){
     IF CS THEN KS
}
CS{
    getResult(NFSC502_5_3_2)=True
    OR getResult(NFSC502_5_3_3)=True
}

KS{

isObejctProperty(Pipe.isSyntheticResinForfirefighting)=True

} 














Modify
26
15519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제 5조 3 항 2호

2.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된 덕트 또는 피트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5조 (배관) 3항 2호

Check(NFSC502_5_3_2){
     KS
}

KS{
  Duct myDuct{
       isFireResistantStructure(Duct)=True 
  }
  Pit myPit{
      isFireResistantStructure(Pit)=True 
  }

  isInstalled(Pipe, myDuct)=True
  OR isInstalled(Pipe, myPit)=True
  
} 














Modify
27
15521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제 5조 4 항

④ 연결송수관설비의 배관은 주배관의 구경이 100㎜ 이상인 옥내소화전설비·스프링클러설비 또는 물분무등소화설비의 배관과 겸용할 수 있다.[종전의 제2항에서 이동 2014.8.18]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5조 (배관) 4항

Check(NFSC502_5_4){
	IF CS THEN KS
}
CS2{
	isObjectProperty(Pipe.systemType) = "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
}
KS{
	Pipe myPipe1{
	isObjectProperty(Pipe.isRiser) = TRUE
	getObjectProperty(Pipe.diameter) >= 100mm
	isObjectProperty(Pipe.systemType) = "IndoorFireHydrantSystem"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Riser) = TRUE
	getObjectProperty(Pipe.diameter) >= 100mm
	isObjectProperty(Pipe.systemType) = "WaterSprayExtingushingSystem"
	}
	isShared(Pipe,myPipe1) = TRUE
	OR isShared(Pipe,myPipe2) = TRUE
	OR isShared(Pipe,myPipe1) != TRUE
	OR isShared(Pipe,myPipe2) != TRUE
} 














Modify
  ◁prev 1   2      
 
This is Design IT Lab server's restricted area. Authorized users could access this web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