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BIM based Technological Environment for Building Design Quality Enhancement
1-2. 설계품질검증 자동화를 위한 각종 법규 및 제기준의 체계화된 논리규칙 데이터베이스 구축
- 건축물 설계품질 혁신을 위한 개방형 BIM 기술 환경 구축 | 국토교통부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2조 (내력벽의 두께) 2항
Check(RSSB_32_2){
getResult(RSSB_32_7) = TRUE AND getResult(RSSB_32_3) = TRUE AND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 THEN KS
}
CS {
getResult(RSSB_33_3)=True
}
KS{
//HW means Height of wall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LoadBearingWall) = TRUE
}
HW=getObjectHeight(myWall)
IF isObjectProperty(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TRUE
IF getBuildingHeight()<5 m
IF getFloorNumber(myWall)=1
IF getObjectLength(myWall)<8 m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 150 mm
ELSE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 190 mm
END IF
END IF
ELSE IF getBuildingHeight()>=5 m
getBuildingHeight()<11 m
getFloorNumber(myWall)=1
OR getFloorNumber(myWall)=2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 190 mm
ELSE IF getBuildingHeight()>=11 m
IF getObjectLength(myWall)<8 m
getFloorNumber(myWall)=1
OR getFloorNumber(myWall)=2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190 mm
ELSE IF getFloorNumber(myWall)=1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290 mm
ELSE IF getFloorNumber(myWall)=2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190 mm
END IF
END IF
IF getObjectMaterial(myWall)="벽돌"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 HW/20
ELSE IF getObjectMaterial(myWall)="Block"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 HW/16
END IF
END IF
}
⑦조적식구조인 내력벽을 이중벽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1항 내지 제6항의 규정은 당해 이중벽중 하나의 내력벽에 대하여 적용한다. 다만, 건축물의 최상층(1층인 건축물의 경우에는 1층을 말한다)에 위치하고 그 높이가 3미터를 넘지 아니하는 이중벽인 내력벽으로서 그 각벽 상호간에 가로·세로 각각 400밀리미터 이내의 간격으로 보강한 내력벽에 있어서는 그 각벽의 두께의 합계를 당해 내력벽의 두께로 본다.
②조적식구조인 칸막이벽의 바로 윗층에 조적식구조인 칸막이벽이나 주요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당해 칸막이벽의 두께는 190밀리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제34조의 규정에 의한 테두리보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3조 (칸막이벽 등의 두께) 2항
Check(RSSB_33_2){
getResult(RSSB_28_3) = TRUE AND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1 AND CS2) THEN KS
}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PartitionWall)=True
isObjectProperty(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True
}
CS1{
getResult(RSSB_34)=True
}
CS2{
FN=getFloorNumber(myWall) //FN means myWall's floor number
Floor myFloor{
Floor.number=FN+1
}
isInstalled(myFloor, myWall)= True
OR isInstalled (myFloor, MainStructure)=True
}
KS{
getObjectThickness(myWall)>=190 mm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3조 (칸막이벽 등의 두께) 3항
Check(RSSB_33_3){
getResult(RSSB_28_3) = TRUE AND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KS
}
KS{
isObjectProperty(Wall.isPartitionWall)=True
isObjectProperty(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True
}
제34조(테두리보) 건축물의 각층의 조적식구조인 내력벽 위에는 그 춤이 벽두께의 1.5배 이상인 철골구조 또는 철근콘크리트구조의 테두리보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1층인 건축물로서 벽두께가 벽의 높이의 16분의 1이상이거나 벽길이가 5미터 이하인 경우에는 목조의 테두리보를 설치할 수 있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4조 (테두리보)
Check(RSSB_34){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 THEN KS
}
C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LoadBearingWall)=True
}
isObjectProperty(my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 True
}
KS{
WD=getObjectProperty(myWall.depth)
WH=getObjectProperty(myWall.height)
WallGirder myWallGirder{
getObjectProperty(WallGirder.height)>=1.5*WD
}
isInstalled(myWallGrider, myWall, Top)=True
IF getBuildingStoriesCount()=1
(WD>=WH/16
OR getObjectProperty(myWall.length)<=5 m
)
THEN getObjectProperty(myWallGrider.Structure.materialType)="Timber"
ELSE THEN getObjectProperty(myWallGrider.Structure.materialType)="SteelFrame"
OR getObjectProperty(myWallGrider.Structure.materialType)="ReinforcedConcrete"
END IF
}
제36조(벽의 홈) 조적식구조인 벽에 그 층의 높이의 4분의 3이상인 연속한 세로홈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홈의 깊이는 벽의 두께의 3분의 1이하로 하고, 가로홈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홈의 깊이는 벽의 두께의 3분의 1이하로 하되, 길이는 3미터 이하로 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6조 (벽의 홈)
Check(RSSB_36){
getResult(RSSB_28_2) = TRUE AND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 THEN KS
}
C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True
}
isInstalled(Channel, myWall)=True
}
KS{
WD=getObjectProperty(myWall.depth)
IF getObjectProperty(Channel.shapeType)="VerticleChannel"
FH=getObjectHeight(Floor.Space)
getObjectProperty(Channel.length)>=FH*3/4
THEN getObjectProperty(Channel.depth)<= WD/3
ELSE IF getObjectProperty(Channel.shapeType)="HorizontalChannel"
THEN getObjectProperty(Channel.depth)<= WD/3
getObjectProperty(Channel.length)<= 3 m
END IF
}
3. 담의 길이 2미터 이내마다 담의 벽면으로부터 그 부분의 담의 두께 이상 튀어나온 버팀벽을 설치하거나, 담의 길이 4미터 이내마다 담의 벽면으로부터 그 부분의 담의 두께의 1.5배 이상 튀어나온 버팀벽을 설치할 것. 다만, 각 부분의 담의 두께가 제2호의 규정에 의한 담의 두께의 1.5배 이상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9조 (조적식구조인 담) 3호
Check(RSSB_39_0_3){
IF !CS THEN KS
}
CS{
}
KS{
FD = getObjectProperty(Fence.depth)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SupportingWall) = TRUE
}
(isInstalled(myWall, Fence, b, 2) = TRUE
getObjectProperty(Wall.depth) >= FD)
OR (isInstalled(myWall, Fence, b, 4) = TRUE
getObjectProperty(Wall.depth) >= 1.5* 2호 규정에 의한 담의 두께)
}
제43조(내력벽) ①건축물의 각층에 있어서 건축물의 길이방향 또는 너비방향의 보강블록구조인 내력벽의 길이(대린벽의 경우에는 그 접합된 부분의 각 중심을 이은 선의 길이를 말한다. 이하 이 절에서 같다)는 각각 그 방향의 내력벽의 길이의 합계가 그 층의 바닥면적 1제곱미터에 대하여 0.15미터 이상이 되도록 하되, 그 내력벽으로 둘러쌓인 부분의 바닥면적은 80제곱미터를 넘을 수 없다.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43조 (내력벽) 1항
Check(RSSB_43_1){
getResult(RSSB_41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KS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LoadBearingWall) = TRUE
getObjectProperty(Wall.Structure.materialType) = "SteelReinforcedConcreteBlock"
}
FA =getObjectArea(Floor.One)
getObjectProperty(myWall.Length)>= FA*0.15 m
getObjectProperty(myWall.width)>= FA*0.15 m
Space mySpace{
isSurrounded(Space, myWall)=True
}
getFloorArea(mySpace)<=80 m2
}
제52조(보의 구조) 구조부재인 보는 복근(複筋)으로 배근하되, 주근(主筋)은 직경 12밀리미터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늑근(肋筋)은 직경 6밀리미터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그 배치간격은 보춤의 4분의 3이하 또는 450밀리미터 이하이어야 한다. <개정 2009.12.31.>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52조 (보의 구조)
Check(RSSB_52){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Beam.isStructuralMember)=True
}
KS{
getObjectProperty(Beam.MainReinforcement.diameter)>=12 mm
getObjectProperty(Beam."늑근".diameter
1. 내력벽의 최소두께는 벽의 최상단에서 4.5미터까지는 150밀리미터 이상이어야 하며, 각 3미터 내려감에 따라 10밀리미터씩의 비율로 증가시켜야 한다. 다만, 두께가 120밀리미터 이상의 경우로서 구조계산에 의하여 안전하다고 확인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54조 (내력벽의 구조) 1호
Check(RSSB_54_0_1){
IF !CS THEN KS
}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LoadBearingWall)=True
}
CS{
getWallThickness(myWall)>=120 mmm
}
KS{
H1=getObjectHeight(myWall)
H2= H1-4.5 m
getWallThickness(myWall,H2,H1)>=150 mm
H3=getFloorElevationHeight(myWall.Floor)
getWallThickness(myWall,H3,H2,3 m, a)>=150+10*a
}
2. 내력벽의 배근은 9밀리미터 이상의 것을 450밀리미터 이하의 간격으로 하고, 벽두께의 3배 이하이어야 한다. 이 경우 벽의 두께가 200밀리미터 이상일 때에는 벽 양면에 복근으로 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54조 (내력벽의 구조) 2호
Check(RSSB_54_02){
KS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LoadBearingWall)=True
}
Reinforcement myReinforcement{
getObjectProperty(Reinforcement.diameter)>=9 mm
}
isInstalled(myReinforcement, myWall, 450 mm)=True
//벽두께의 3배 이하이어야 한다.
IF getObjectProperty(myWall.depth)>=200 mm
THEN isInstalled(DoubleReinforcement, myWall, myWall.BothSides)=True
END IF
}
//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8조 (방화벽의 설치기준) 3호
Check(NFSC506_8_0_3){
KS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FireProofWall)=True
}
IF isInstalled(Wire, myWall)=True
THEN isObjectProperty(Wire.Finish.Material.isFireStop)= TRUE
END IF
IF isInstalled(Cable, myWall)=True
THEN isObjectProperty(Cable.Finish.Material.isFireStop)= TRUE
END IF
}
제15조(승강기등) ①6층 이상인 공동주택에는 국토교통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대당 6인승 이상인 승용승강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건축법 시행령」 제89조의 규정에 해당하는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1992.5.30., 1994.12.23., 1994.12.30., 1999.9.29., 2005.6.30., 2008.2.29., 2013.3.23.>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15조 (승강기등) 1항
Check(RHC_15_1){
getResult(RHC_15_5) = TRUE AND IF (CS1 AND !CS2) THEN KS
}
CS1{
getBuildingUsage() = "MultiUnitHouse"
getBuildingStoriesCount() >= 6
}
CS2{
getBuildingStoriesCount = 6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
getFloorArea() = FA
FA / 300 = FA2
getIntegeralNumber(FA2) = FA3
getObjectCount(myStair) >= FA3
}
KS{
Elevator myElevator{
getObjectProperty(Elevator.occupancy) >= 6
}
isExist(myElevator) = TRUE
}
//주차장법 시행규칙 6조 (노외주차장의 구조·설비기준) 1항 3호 나목
Check(ERPA_6_1_3_나){
IF CS THEN KS
}
CS{
getSpaceUsage()="ParkingLot"
isObjectProperty(ParkingLot.isOffStreetParking)=True
getObjectProperty(ParkingLot.parkingUseType)!="TwowheeledVehicle"
}
KS{
IF getObjectProperty(ParkingUnit.parkingType)="ParallelParking"
IF getObjectCount(Opening)>=2
THEN ParkingLot.Driveway.width>=3.3 m
ELSE IF getObjectCount(Opening)=1
THEN ParkingLot.Driveway.width>=5.0 m
END IF
ELSE IF getObjectProperty(ParkingUnit.parkingType)="RightAngleParking"
IF getObjectCount(Opening)>=2
THEN ParkingLot.Driveway.width>=6.0 m
ELSE IF getObjectCount(Opening)=1
THEN ParkingLot.Driveway.width>=6.0 m
END IF
ELSE IF getObjectProperty(ParkingUnit.parkingType)="60AngleParking"
IF getObjectCount(Opening)>=2
THEN ParkingLot.Driveway.width>=4.5 m
ELSE IF getObjectCount(Opening)=1
THEN ParkingLot.Driveway.width>=5.5 m
END IF
ELSE IF getObjectProperty(ParkingUnit.parkingType)="45AngleParking"
IF getObjectCount(Opening)>=2
THEN ParkingLot.Driveway.width>=3.5 m
ELSE IF getObjectCount(Opening)=1
THEN ParkingLot.Driveway.width>=5.0 m
END IF
getObjectProperty(ParkingUnit.parkingType)="CrossParking"
IF getObjectCount(Opening)>=2
THEN ParkingLot.Driveway.width>=3.5 m
ELSE IF getObjectCount(Opening)=1
THEN ParkingLot.Driveway.width>=5.0 m
END IF
END IF
}
6. 자동차용 승강기로 운반된 자동차가 주차구획까지 자주식으로 들어가는 노외주차장의 경우에는 주차대수 30대마다 1대의 자동차용 승강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 경우 제16조의2제1호 및 제3호를 준용하되, 자동차용 승강기의 출구와 입구가 따로 설치되어 있거나 주차장의 내부에서 자동차가 방향전환을 할 수 있을 때에는 제16조의2제3호에 따른 진입로를 설치하고 제16조의2제1호에 따른 전면공지 또는 방향전환장치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주차장법 시행규칙 6조 (노외주차장의 구조·설비기준) 1항 6호
Check(ERPA_6_1_6){
IF (!CS1 AND CS2) THEN (KS1 AND KS2)
}
CS1{
Elevator myElevator{
getObjectProperty(Elevator.usage) = "AutomobileElevator"
}
Opening myOpening1{
isObjectProperty(Elevator.Opening.isEntrance)=TRUE
}
Opening myOpening2{
isObjectProperty(Elevator.Opening.isExit)=TRUE
}
myOpening1 != myOpening2
isExist(myOpening1)=TRUE
isExist(myOpening2)=TRUE
}
CS2{
getObjectProperty(ParkingLot.operationType) = "DriveInParking"
isObjectProperty(ParkingLot.isOffStreetParking)=TRUE
}
KS1{
}
KS2{
getResult(ERPA_16-2_1)=TRUE
getResult(ERPA_16-2_3)=TRUE
}
④ 노외주차장에 설치할 수 있는 부대시설은 다음 각 호와 같다. 다만, 그 설치하는 부대시설의 총면적은 주차장 총시설면적(주차장으로 사용되는 면적과 주차장 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면적을 합한 면적을 말한다. 이하 같다)의 20퍼센트를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개정 2010.10.29., 2012.7.2.>
⑤ 법 제20조제2항 또는 제3항에 따른 노외주차장에 설치할 수 있는 부대시설의 종류 및 주차장 총시설면적 중 부대시설이 차지하는 비율에 대해서는 제4항에도 불구하고 특별시·광역시, 시·군 또는 구의 조례로 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부대시설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은 주차장 총시설면적의 40퍼센트를 초과할 수 없다. <개정 2010.10.29.>
⑥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이 노외주차장 안에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제7호의 도시·군계획시설을 부대시설로서 중복하여 설치하려는 경우에는 노외주차장 외의 용도로 사용하려는 도시·군계획시설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은 부대시설을 포함하여 주차장 총시설면적의 40퍼센트를 초과할 수 없다. <개정 2010.10.29., 2012.4.13.>
②지구음향장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음향장치까지의 수평거리가 25m 이하가 되도록 하고, 해당층의 각 부분에 유효하게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2)」에 적합한 방송설비를 비상벨설비 또는 자동식사이렌설비와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설치한 경우에는 지구음향장치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개정 2008.12.15, 2012.8.20>
3. 비상콘센트의 배치는 아파트 또는 바닥면적이 1,000㎡ 미만인 층은 계단의 출입구(계단의 부속실을 포함하며 계단이 2 이상 있는 경우에는 그중 1개의 계단을 말한다)로부터 5m이내에, 바닥면적 1,000㎡ 이상인 층(아파트를 제외한다)은 각 계단의 출입구 또는 계단부속실의 출입구(계단의 부속실을 포함하며 계단이 3 이상 있는 층의 경우에는 그중 2개의 계단을 말한다)로부터 5m이내에 설치하되, 그 비상콘센트로부터 그 층의 각 부분까지의 거리가 다음 각 목의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기준 이하가 되도록 비상콘센트를 추가하여 설치할 것<개정 2012.8.20>
//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 4조 (전원 및 콘센트 등) 5항 3호
Check(NFSC504_4_5_3){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ApartmentHouse"
}
Floor myFloor{
getFloorArea(Floor) < 1000m2
}
Floor myFloor2{
hasSpace(myBuilding, Floor) = TRUE
}
isExist(myFloor) = TRUE
OR isExist(myFloor2) = TRUE
}
KS1{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
getObjectDistance(myDoor.Stair.Space, EmergencyPowerOutlet) < 5m
OR getObjectDistance(myDoor.Stair.AncillaryRoom, EmergencyPowerOutlet) < 5m
}
CS2{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ApartmentHouse"
}
Floor myFloor{
getFloorArea(Floor) >= 1000m2
hasSpace(myBuilding, Floor) = FALSE
}
isExist(myFloor) = TRUE
}
KS2{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
getObjectDistance(myDoor.Stair.Space, EmergencyPowerOutlet) < 5m
OR getObjectDistance(myDoor.Stair.AncillaryRoom, EmergencyPowerOutlet) < 5m
}
⑥ 펌프의 토출 측 주배관의 구경은 유속이 4㎧ 이하가 될 수 있는 크기 이상으로 하여야 하고, 옥내소화전방수구와 연결되는 가지배관의 구경은 40㎜(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의 경우에는 25㎜) 이상으로 하여야 하며, 주배관중 수직배관의 구경은 50㎜(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의 경우에는 32㎜)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개정 2008.12.15.>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6항
Check(NFSC102_6_6){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OR (CS3 THEN KS3) OR (CS4 THEN KS4)
}
Port myPort{
Port.typeForWater = "IndoorFireHydrantDischarge"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isConnectedTo(Pipe, myPort) = TRUE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Riser) = TRUE
}
CS1{
getObjectProperty(myPipe.systemType) = "HoseReelHydrantSystem"
}
KS1{
getObjectProperty(myPipe.diameter) >= 25mm
}
CS2{
getObjectProperty(myPipe.systemType) != "HoseReelHydrantSystem"
}
KS2{
getObjectProperty(myPipe.diameter) >= 40mm
}
CS3{
getObjectProperty(myPipe2.systemType) = "HoseReelHydrantSystem"
}
KS3{
getObjectProperty(myPipe2.diameter) >= 32mm
}
CS4{
getObjectProperty(myPipe2.systemType) != "HoseReelHydrantSystem"
}
KS4{
getObjectProperty(myPipe2.diameter) >= 50mm
}
1.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옥내소화전방수구까지의 수평거리가 25m(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를 포함한다) 이하가 되도록 할 것. 다만, 복층형 구조의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세대의 출입구가 설치된 층에만 설치할 수 있다.<개정 2008.12.15, 2009.10.22>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7조 (함 및 방수구 등) 2항 1호
Check(NFSC503A_7_2_1){
KS2 AND IF CS THEN KS1
}
KS2{
isInstalled(옥내소화전방수구, SpecificFireFightingBuilding.Floor.One) = TRUE
getElementDistance(SpecificFireFightingBuilding.Wall|SpecificFireFightingBuilding.Column, 옥내소화전방수구.One) <= 25m
}
CS{
getBuildingUsage() = "MultiUnitHouse"
}
KS2{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
Floor myFloor{
isInstalled(myDoor, Floor) = TRUE
}
Port myPort{
Port.typeForWater="IndoorFireHydrantDischarge"
}
isInstalled(myPort, myFloor.One) = TRUE
}
② 랙크식창고의 경우로서「소방기본법시행령」별표 2의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것에 있어서는 랙크높이 4m 이하마다, 그 밖의 것을 취급하는 것에 있어서는 랙크높이 6m 이하마다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랙크식창고의 천장높이가 13.7m 이하로서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B)」에 따라 설치하는 경우에는 천장에만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할 수 있다.<개정 2013.6.10>
6.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에는 그 상하좌우에 2.5m 간격으로(개구부의 폭이 2.5m 이하인 경우에는 그 중앙에)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되, 스프링클러헤드와 개구부의 내측 면으로부터 직선거리는 15㎝ 이하가 되도록 할 것. 이 경우 사람이 상시 출입하는 개구부로서 통행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개구부의 상부 또는 측면(개구부의 폭이 9m 이하인 경우에 한한다)에 설치하되, 헤드 상호간의 간격은 1.2m 이하로 설치하여야 한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헤드) 7항 6호
Check(NFSC103_10_7_6){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isObjectProperty(Opening.isFireSpreading)=TRUE
getObjectWidth(Opening, a) > 2.5m
}
KS2{
isInstalled(Opening, Sprinkler.Head, 2.5m) = TRUE
getElementDistance(Opening.InsideSurface, Sprinkler.Head) <= 15cm
}
CS2{
isObjectProperty(Opening.isFireSpreading)=TRUE
getObjectWidth(Opening, Sprinkler.Head, a) <= 2.5m
}
KS2{
isInstalled(Opening, Sprinkler.Head, center) = TRUE
getElementDistance(Opening.InsideSurface, Sprinkler.Head) <= 15c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