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istry of Land, Infrasrtucture and Transport |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 Space and Design IT Lab | Hanyang University
Open BIM based Technological Environment for Building Design Quality Enhancement
1-2. 설계품질검증 자동화를 위한 각종 법규 및 제기준의 체계화된 논리규칙 데이터베이스 구축 - 건축물 설계품질 혁신을 위한 개방형 BIM 기술 환경 구축 | 국토교통부
  Home Welcome to BIM Project Website - Hanyang University
PAGE MENU   MainPage
전체법규 - 법규데이터베이스
- 대한민국 전체 법규 목록
- 설계품질검토 대상 관련법규
대상법규 - 문장 논리규칙체계화
- 조항단위 논리규칙체계
- 문장단위 논리규칙체계
주어부 - 객체.속성 데이터베이스
- 법규로부터의 객체.속성 분류
- 명칭DB: 객체 | 객체및속성
서술부 - 함수 데이터베이스
- 논리규칙화 함수 분류
- 논리규칙화 함수 DB
관계부 - 문장 내.외 관계논리
- 문장 내.외 관계유형분류
- 법규조항관계도:
1차년도 | 2차년도 | 3차년도
- 문장 내.외관계 논리체계화
문장단위 | 체크리스트 단위
KBIMCode 데이터베이스
- KBIMCode Lang. Definition
- KBIMCode Editor
- KBimCode Database:
문장단위 | 조항단위
- KBimLogic Applications
 
     HOME
설계품질검토용 건축법 및 관련법규 - KBIMCode (문장단위)
    1   2   3   4   next▷  
1 / 4 page Total 1,131/ 1,131 records    신규입력 엑셀저장
Select
ALL
None
#
ID
Law
Jo
JO Name
HANG
HO
MOK
Text
Search!
1
1160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9조 2호

2. 높이 31미터를 넘는 각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제곱미터 이하인 건축물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9조 (비상용승강기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건축물) 2호

Check(RFB_9_0_2){

   KS

}



KS{

    getBuildingHeight()>31 m

    getTotalFloorArea()<=500 m2

} 














Modify
2
1161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9조 3호

3. 높이 31미터를 넘는 층수가 4개층이하로서 당해 각층의 바닥면적의 합계 200제곱미터(벽 및 반자가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을 불연재료로 한 경우에는 500제곱미터)이내마다 방화구획으로 구획한 건축물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9조 (비상용승강기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건축물) 3호

Check(RFB_9_0_3){

    KS

}



KS{

    getBuildingHeight()>31 m

    getBuildingStoriesCount()<=4

    IF isObjectProperty(Wall.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isObjectProperty(CeilingCovering.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THEN isFirePartition(Floor, a,500)=TRUE 

    ELSE THEN isFirePartition(Floor, a,200)=TRUE 

    END IF

} 














Modify
3
1192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3조 1 항

제13조(개별난방설비) ①영 제87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공동주택과 오피스텔의 난방설비를 개별난방방식으로 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1996.2.9., 1999.5.11., 2001.1.17.>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3조 (개별난방설비) 1항
Check(RFB_13_1){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 "DetachedHouse"
	OR getBuildingUsage() = "MultiUnitHouse"
}

KS{
	getResult(RFB_13_1_1) = TRUE
	getResult(RFB_13_1_2) = TRUE
	getResult(RFB_13_1_5) = TRUE
	getResult(RFB_13_1_6) = TRUE
	getResult(RFB_13_1_7) = TRUE
} 














Modify
4
1198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3조 1 항 6호

6. 오피스텔의 경우에는 난방구획마다 내화구조로 된 벽·바닥과 갑종방화문으로 된 출입문으로 구획할 것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3조 (개별난방설비) 1항 6호

Check(RFB_13_1_6){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 "Officetel"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fireResistantStructure)

	}



	FloorSlab myFloorSlab{

		isObjectProperty(FloorSlab.isFireResistantStructure) = TRUE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StrictFireproofDoor) = TRUE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HeatingSection) = TRUE
}
	isPartitioned(myZone, myWall) = TRUE

	OR isPartitioned(myZone, myFloorSlab) = TRUE

	OR isPartitioned(myZone, myDoor) = TRUE

} 














Modify
5
1200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3조 2 항

②가스보일러에 의한 난방설비를 설치하고 가스를 중앙집중공급방식으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가스관계법령이 정하는 기준에 의하되, 오피스텔의 경우에는 난방구획마다 내화구조로 된 벽·바닥과 갑종방화문으로 된 출입문으로 구획하여야 한다. <신설 1999.5.11.>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3조 (개별난방설비) 2항

Check(RFB_13_2){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 "Officetel"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fireResistantStructure)

	}



	FloorSlab myFloorSlab{

		isObjectProperty(FloorSlab.isFireResistantStructure) = TRUE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StrictFireproofDoor) = TRUE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HeatingSection) = TRUE
}
	isPartitioned(myZone, myWall) = TRUE

	OR isPartitioned(myZone, myFloorSlab) = TRUE

	OR isPartitioned(myZone, myDoor) = TRUE

} 














Modify
6
1202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4조 1 항 1호

1. 영 제46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에 방화구획이 설치된 경우에는 그 구획마다 1개소 이상의 배연창을 설치하되, 배연창의 상변과 천장 또는 반자로부터 수직거리가 0.9미터 이내일 것. 다만, 반자높이가 바닥으로부터 3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배연창의 하변이 바닥으로부터 2.1미터 이상의 위치에 놓이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4조 (배연설비) 1항 1호

Check(RFB_14_1_1){

	IF (CS) THEN KS1 AND KS2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FirePartition) = TRUE

	}





CS{

	isObjectProperty(Building.isFirePartition) = TRUE

}



KS1{

	

	hasSpace(myZone, SmokeVentilator) = TRUE

	

	getObjectVerticalDistance(SmokeVentilator, Ceiling) < 0.9 m

	OR getObjectVerticalDistance(SmokeVentilator, CeilingCovering) < 0.9 m

}



KS2{	

	IF{

		getSpaceHeight(myZone, b) >= 3 m

	}



	THEN{

		getObjectVerticalDistance(SmokeVentilator, FloorSlab) >= 2.1 m 

	}

} 














Modify
7
1203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4조 1 항 2호

2. 배연창의 유효면적은 별표 2의 산정기준에 의하여 산정된 면적이 1제곱미터 이상으로서 그 면적의 합계가 당해 건축물의 바닥면적(영 제46조제1항 또는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방화구획이 설치된 경우에는 그 구획된 부분의 바닥면적을 말한다)의 100분의 1이상일 것. 이 경우 바닥면적의 산정에 있어서 거실바닥면적의 20분의 1 이상으로 환기창을 설치한 거실의 면적은 이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4조 (배연설비) 1항 2호
Check(RFB_14_1_2){
	IF (CS) THEN (KS1 OR KS2)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FirePartition) = TRUE
}

Space mySpace{
	getSpaceUsage(Space) = "Room"
	getTotalElementArea(Ventilator) >= getFloorArea(Space)*0.05
}

Space mySpace2{
	hasSpace(Space, myZone) = TRUE
	getResult(EDBA_46_1) = TRUE 
	getREsult(EDBA_46_3) = TRUE
}

CS{
	getElementArea(SmokeVentilator) >= 1 m2
	getResult(RFB_*_2) = TRUE
}

KS1{
	getTotalElementArea(Ventilator) >= (getBuildingArea()-getFloorArea(mySpace))*0.01
}

KS2{
	getTotalElementArea(Ventilator) >= (getFloorArea(myZone)-getFloorArea(mySpace))*0.01
} 














Modify
8
1251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20조 5호

5. 측면 낙뢰를 방지하기 위하여 높이가 60미터를 초과하는 건축물 등에는 지면에서 건축물 높이의 5분의 4가 되는 지점부터 최상단부분까지의 측면에 수뢰부를 설치하여야 하며, 지표레벨에서 최상단부의 높이가 150미터를 초과하는 건축물은 120미터 지점부터 최상단부분까지의 측면에 수뢰부를 설치할 것. 다만, 건축물의 외벽이 금속부재(部材)로 마감되고, 금속부재 상호간에 제4호 후단에 적합한 전기적 연속성이 보장되며 피뢰시스템레벨 등급에 적합하게 설치하여 인하도선에 연결한 경우에는 측면 수뢰부가 설치된 것으로 본다.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20 (피뢰설비) 5호

Check(RFB_20_0_5){

   IF(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getBuildingHeight() > 60m

}

KS1{

	BH1 = getBuildingHeight()

	isInstalled(Terminal, Building, a, side) = TRUE

	getObjectVerticalDistance(Ground, Terminal, a) >= BH1 * 4/5

	getObjectVerticalDistance(Ground, Terminal, a) < BH1

}

CS2{

	getBuildingHeight() > 150m

}

KS2{

	BH2 = getBuildingHeight()

	isInstalled(Terminal, Building, a, side) = TRUE

	getObjectVerticalDistance(Ground, Terminal, a) >= 120m

	getObjectVerticalDistance(Ground, Terminal, a) < BH2

} 














Modify
9
1263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23조 3 항

③ 상업지역 및 주거지역에서 건축물에 설치하는 냉방시설 및 환기시설의 배기구와 배기장치의 설치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모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2012.4.30., 2013.12.27.>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23조 (건축물의 냉방설비) 3항
Check(RFB_23_3){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 "ResidentialArea"
	OR getBuildingUsage() = "CommercialArea"
}

KS{
	getResult(RFB_23_3_1)
} 














Modify
10
134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8조 2 항

② 영 제34조제1항 단서에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공장"이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는 공장을 말한다. <신설 2010.4.7., 2013.3.23.>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8조 (직통계단의 설치기준) 2항



Check(REFB_8_2){

getObjectProperty(Building.usage)=“Factory.SemiconductorAndDisplayPanelManufacturingFactory"

} 














Modify
11
134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8조의2조 1 항

제8조의2(피난안전구역의 설치기준) ① 영 제34조제3항 및 제4항에 따라 설치하는 피난안전구역(이하 "피난안전구역"이라 한다)은 해당 건축물의 1개층을 대피공간으로 하며, 대피에 장애가 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기계실, 보일러실, 전기실 등 건축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과 같은 층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피난안전구역은 건축설비가 설치되는 공간과 내화구조로 구획하여야 한다. <개정 2012.1.6.>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8조의2 (피난안전구역의 설치기준) 1항
check(REFB_8-2_1){
	KS1 AND IF CS THEN KS2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EgressSafetyZone) = TRUE
	}

	Space mySpace{
		hasSpace(Space, FacilitiesOfABuilding)
	}

	Structure myStructure{
		isObjectProperty(Space.isfireResistantStructure) = TRUE
	}

KS1{
 	BSC = getBuildingStoriesCount()
	getFloorNumber(myZone) <= BSC
}

CS{
	getFloorNumber(mySpace) = getFloorNumber(myZone)
}

KS2{
	isPartitioned(myZone, myStructure, mySpace) = TRUE
}
 














Modify
12
138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3 항

③영 제35조제1항에 따른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은 돌음계단으로 하여서는 아니되며, 영 제40조에 따라 옥상광장을 설치하여야 하는 건축물의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은 해당 건축물의 옥상으로 통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이 경우 옥상으로 통하는 출입문은 피난방향으로 열리는 구조로서 피난시 이용에 장애가 없어야 한다. <개정 2010.4.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3항

Check(REFB_9_3) {

	KS

}

KS {

	Stair myStair1{

		isObjectProperty(Stair.isEscape)=TRUE

		OR isObjectProperty(Stair.isSpecialEscape)=TRUE

}

	Space mySpace{

		getObjectProperty(Space.usage) = “RooftopPlaza”
}
		hasObject(Rooftop, mySpace)=TRUE



}

	Stair myStair2{

		hasObject(mySpace.Building,myStair1)=TRUE 

}	

	getObjectProperty(myStair.type)!= “WindingStair”

	isAccessible(myStair2,mySpace)=TRUE

	isEgressDirection(mySpace.Door) = TRUE

} 














Modify
13
1386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4 항

④영 제35조제2항에서 "갓복도식 공동주택"이라 함은 각 층의 계단실 및 승강기에서 각 세대로 통하는 복도의 한쪽 면이 외기(外氣)에 개방된 구조의 공동주택을 말한다. <신설 2006.6.29.>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4항
Check(REFB_9_4) {
	KS
}
	Building myBuilding{
		Building.usage = “SideCorridorTypeMultiUnitHouse”
}

	Space mySpace = getSpace(“Corridor”)
	isConnectedToExternal(mySpace)=TRUE

 














Modify
14
1388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0조 2 항

②영 제38조의 규정에 의하여 문화 및 집회시설중 공연장의 개별관람석(바닥면적이 300제곱미터 이상인 것에 한한다)의 출구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0조 (관람석등으로부터의 출구의 설치기준) 2항
check(REFB_10_2){
    IF (CS) THEN KS ENDIF
}

CS{
    getBuildingUsage() = "CulturalAndAssemblyFacility.PerformanceHall"

    Space mySpace = getSpace("individualSeats")
    getFloorArea(mySpace) >= 300

KS{
    getResult(REFB_10_2_1) = TRUE
    getResult(REFB_10_2_2) = TRUE
    getResult(REFB_10_2_3) = TRUE
} 














Modify
15
139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1조 2 항

②영 제39조제1항에 따라 건축물의 바깥쪽으로 나가는 출구를 설치하는 건축물중 문화 및 집회시설(전시장 및 동ㆍ식물원을 제외한다), 종교시설, 장례식장 또는 위락시설의 용도에 쓰이는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로 쓰이는 문은 안여닫이로 하여서는 아니된다. <개정 2010.4.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1조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의 설치기준) 2항



Check(REFB_11_2){
     

IF CS1 AND CS2 THEN KS


}





CS1 {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CulturalAndAssemblyFacility”

OR getBuildingUsage() = “ReligiousFacility”

OR getBuildingUsage() = “AmusementFacility”

OR getBuildingUsage() = “FuneralParlor”

getBuildingUsage() != “ExhibitionHall”

getBuildingUsage() != “ZoologicalAndBotanicalGarden”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myBuilding.Door.isEntrance)=TRUE

}

isExist(myDoor) = TRUE

}



KS {

getObjectProperty(myDoor.panelOperationType) != “OpeningInDoor”



} 














Modify
16
139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1조 3 항

③영 제39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의 바깥쪽으로 나가는 출구를 설치하는 경우 관람석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제곱미터 이상인 집회장 또는 공연장에 있어서는 주된 출구외에 보조출구 또는 비상구를 2개소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1조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의 설치기준) 3항

Check(REFB_11_3){
     

IF CS1 AND CS2 THEN KS


}





CS1 {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AssemblyHall”

OR getBuildingUsage() = “PerformanceHall”

}



Space mySpace{

myBuilding.Space.name = “Auditorium”

Space.FloorSlab.area >= 300 m2

}



isExist(mySpace) = TRUE

}



CS2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TRUE

}

hasObject(myBuilding,myDoor) = TRUE

}



KS {

Door myDoor{

getObjectProperty(Door.functionType) = "Auxiliary"

OR getObjectProperty(Door.functionType) = "Emergency" 

}



getObjectCount(myDoor) >=2

} 














Modify
17
139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1조 5 항 1호

1. 제1종 근린생활시설 중 지역자치센터ㆍ파출소ㆍ지구대ㆍ소방서ㆍ우체국ㆍ방송국ㆍ보건소ㆍ공공도서관ㆍ지역건강보험조합 기타 이와 유사한 것으로서 동일한 건축물안에서 당해 용도에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1천제곱미터 미만인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1조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의 설치기준) 5항 1호

Check(REFB_11_5_1){
      

KS




}

KS {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CommunityCenter”

OR getBuildingUsage() = “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PoliceBox”

OR getBuildingUsage() = “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PoliceSubstation”

OR getBuildingUsage() = “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FireStation”

OR getBuildingUsage() = “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PostOffice”

OR getBuildingUsage() = “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BroadcastingStation”

OR getBuildingUsage() = “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HealthCenter”

OR getBuildingUsage() = “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PublicLibrary”

OR getBuildingUsage() = “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RegionalHealthInsuranceAssociation”



}



Space mySpace{

Space.usage=“CommunityCenter”

Space.usage=“PoliceBox”

Space.usage=“PoliceSubstation”

Space.usage=“FireStation”

Space.usage=“PostOffice”

Space.usage=“BroadcastingStation”

Space.usage=“HealthCenter”

Space.usage=“PublicLibrary”

Space.usage=“RegionalHealthInsuranceAssociation”

Space.FloorSlab.area < 1000 m2

}

isExist(myBuilding) = TRUE

isExist(mySpace) = TRUE

} 














Modify
18
1398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1조 5 항 2호

2. 제1종 근린생활시설 중 마을회관ㆍ마을공동작업소ㆍ마을공동구판장ㆍ변전소ㆍ양수장ㆍ정수장ㆍ대피소ㆍ공중화장실 기타 이와 유사한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1조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의 설치기준) 5항 2호

Check(REFB_11_5_2){
      

KS


}





KS {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VillageHall”

OR getBuildingUsage() = “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CommunityWorkspace”

OR getBuildingUsage() = “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CommunitySalesShop”

OR getBuildingUsage() = “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Substation”

OR getBuildingUsage() = “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PumpingStation”

OR getBuildingUsage() = “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PurificationPlant”

OR getBuildingUsage() = “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Shelter”

OR getBuildingUsage() = “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PublicLibrary”

OR getBuildingUsage() = “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PublicToilet”



}



isExist(myBuilding) = TRUE

} 














Modify
19
1399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1조 5 항 3호

3. 연면적이 5천제곱미터 이상인 판매시설, 운수시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1조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의 설치기준) 5항 3호
Check(REFB_11_5_3){젨젨젨
KS
}

KS {
getBuildingUsage() = “CommercialFacility”
OR getBuildingUsage() = “TransportationFacility”
getObjectProperty(Building.grossFloorArea) >= 5000 m2

}
 














Modify
20
140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1조 5 항 4호

4. 교육연구시설 중 학교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1조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의 설치기준) 5항 4호

Check(REFB_11_5_4){
     

KS


}





KS {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EducationAndResearchFacility.School”

}



isExist(myBuliding) = TRUE

} 














Modify
21
1401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1조 5 항 5호

5. 업무시설중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청사와 외국공관의 건축물로서 제1종 근린생활시설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1조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의 설치기준) 5항 5호

Check(REFB_11_5_5){
      

KS


}





KS {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BusinessFacility.GovernmentOfficeBuilding”

OR getBuildingUsage() = “BusinessFacility.ForeignOfficialResidence”

getBuildingUsage() != “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

}



isExist(myBuilding) = TRUE

} 














Modify
22
1402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1조 5 항 6호

6. 승강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건축물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1조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의 설치기준) 5항 6호

Check(REFB_11_5_6){
KS
}


KS {

hasObject(Building,Elevator)=TRUE

} 














Modify
23
141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3조 1 항 1호

1. 헬리포트의 길이와 너비는 각각 22미터이상으로 할 것. 다만, 건축물의 옥상바닥의 길이와 너비가 각각 22미터이하인 경우에는 헬리포트의 길이와 너비를 각각 15미터까지 감축할 수 있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Check(REFB){
    IF CS THEN KS1 ELSE KS2
}

CS{
   getObjectLength(Building.RoofTop.FloorSlab)<=22 m
   getObjectWidth(Building.RoofTop.FloorSlab)<=22 m
}

KS1{
   getObjectLength(Heliport)>=15 m
   getObjectWidth(Heliport)>=15 m
}

KS2{
  getObjectLength(Heliport)>=22 m
   getObjectWidth(Heliport)>=22 m
} 














Modify
24
141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3조 1 항 2호

2. 헬리포트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12미터 이내에는 헬리콥터의 이ㆍ착륙에 장애가 되는 건축물, 공작물, 조경시설 또는 난간 등을 설치하지 아니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3조 (헬리포트 및 구조공간 설치 기준) 1항 2호



Check(REFB_13_1_2){

        KS

}



KS{

    Space mySpace{



    // 헬리포트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12미터 이내의 공간        

   }



   isInstalled(Building, mySpace)=False

   isInstalled(Construction, mySpace)=False

   isInstalled(LandscapeFacility, mySpace)=False

   isInstalled(Railing, mySpace)=False

} 














Modify
25
1418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3조 2 항

② 영 제40조제3항제1호에 따라 옥상에 헬리콥터를 통하여 인명 등을 구조할 수 있는 공간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직경 10미터 이상의 구조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며, 구조공간에는 구조활동에 장애가 되는 건축물, 공작물 또는 난간 등을 설치해서는 안 된다. 이 경우 구조공간의 표시기준 등에 관하여는 제1항제3호 및 제4호를 준용한다. <신설 2010.4.7., 2012.1.6.>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3조 (헬리포트 및 구조공간 설치 기준) 2항



Check(REFB_13_2){

    KS

}



KS{  

    Space mySpace{



      getObjectDiameter(Space)>=10 m

    }



   isInstalled(Building, mySpace)=False

   isInstalled(Construction, mySpace)=False

   isInstalled(Railing, mySpace)=False

} 














Modify
26
145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4조의2조

제14조의2(복합건축물의 피난시설 등) 영 제47조제1항 단서의 규정에 의하여 같은 건축물안에 공동주택ㆍ의료시설ㆍ아동관련시설 또는 노인복지시설(이하 이 조에서 "공동주택등"이라 한다)중 하나 이상과 위락시설ㆍ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ㆍ공장 또는 자동차정비공장(이하 이 조에서 "위락시설등"이라 한다)중 하나 이상을 함께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2005.7.22.>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의2 (복합건축물의 피난시설 등)



Check(REFB_14-2){

     IF CS THEN KS

}



CS{


Building myBuilding1{
Building.usage = "MultiUnitHouse" 
   OR Building.usage = "MedicalFacility"

   OR Building.usage =  "ChildrenRelatedFacility"

   OR Building.usage =  "WelfareFacilityForTheAged"
}

 Building myBuilding2{
Building.usage = "AmusementFacility"

   OR Building.usage = "FacilityForStorageAndTreatmentOfDangerousSubstance"

   OR Building.usage = "Factory"

   OR Building.usage = "AutomobileRepairShop"
}

hasObject(Building, myBuilding1) = TRUE
hasObject(Building, myBuilding2) = TRUE


}



KS{

   getResult(REFB_14-2_0_1)=True

   getResult(REFB_14-2_0_2)=True

   getResult(REFB_14-2_0_3)=True

   getResult(REFB_14-2_0_4)=True

   getResult(REFB_14-2_0_5)=True

   

} 














Modify
27
146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5조 2 항 1호

1. 초등학교의 계단인 경우에는 계단 및 계단참의 너비는 150센티미터 이상, 단높이는 16센티미터 이하, 단너비는 26센티미터 이상으로 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5조 (계단의 설치기준) 2항1호
check(REFB_15_2_1){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ElementarySchool"
}

KS{
      getObjectWidth(Stair)>= 150 cm
      getObjectWidth(StairLanding)>150 cm
      getObjectProperty(Stair.riserHeight)>=16 cm
      getObjectProperty(Stair.riserWidth)>=26 cm
} 














Modify
28
146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5조 2 항 2호

2. 중ㆍ고등학교의 계단인 경우에는 계단 및 계단참의 너비는 150센티미터 이상, 단높이는 18센티미터 이하, 단너비는 26센티미터 이상으로 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5조 (계단의 설치기준) 2항2호
check(REFB_15_2_2){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MiddleSchool"
       OR getBuildingUsage()="HighSchool"
}

KS{
      getObjectWidth(Stair)>=150 cm
      getObjectWidth(StairLanding)>150 cm
      getObjectProperty(Stair.riserHeight)>=18 cm
      getObjectProperty(Stair.riserWidth)>=26 cm
} 














Modify
29
146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5조 2 항 3호

3. 문화 및 집회시설(공연장ㆍ집회장 및 관람장에 한한다)ㆍ판매시설 기타 이와 유사한 용도에 쓰이는 건축물의 계단인 경우에는 계단 및 계단참의 너비를 120센티미터 이상으로 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5조 (계단의 설치기준) 2항3호
check(REFB_15_2_3){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CulturalAndAssemblyFacility.PerformanceHall"
      OR getBuildingUsage()= "CulturalAndAssemblyFacility.AssemblyHall"
      OR getBuildingUsage()= "CulturalAndAssemblyFacility.Auditorium"
      OR getBuildingUsage()= "CommercialFacility "
}

KS{
     getObjectWidth(Stair)>=120 cm
     getObjectWidth(StairLanding)>=120 cm
}
 














Modify
30
1469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5조 3 항

③공동주택(기숙사를 제외한다)ㆍ제1종 근린생활시설ㆍ제2종 근린생활시설ㆍ문화 및 집회시설ㆍ종교시설ㆍ판매시설ㆍ운수시설ㆍ의료시설ㆍ노유자시설ㆍ업무시설ㆍ숙박시설ㆍ위락시설 또는 관광휴게시설의 용도에 쓰이는 건축물의 주계단ㆍ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에 설치하는 난간 및 바닥은 아동의 이용에 안전하고 노약자 및 신체장애인의 이용에 편리한 구조로 하여야 하며, 양쪽에 벽등이 있어 난간이 없는 경우에는 손잡이를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10.4.7.>





check(REFB_15_3){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

OR getBuildingUsag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

OR getBuildingUsage() = "CulturalAndAssemblyFacility"

OR getBuildingUsage() = "ReligiousFacility"

OR getBuildingUsage() = "CommercialFacility"

OR getBuildingUsage() = "TransportationFacility"

OR getBuildingUsage() = "MedicalFacility"

OR getBuildingUsage() = "FacilitiesForTheAgedAndChildren"

OR getBuildingUsage() = "BusinessFacility"

OR getBuildingUsage() = "LodgingFacility"

OR getBuildingUsage() = "AmusementFacility"

OR getBuildingUsage() = "FacilityForTourismAndRelaxation"

OR (getBuildingUsage() = "MultiUnitHouse" AND getBuildingUsage() != "Dormitory")

}



KS{

       isExist(Railing)=TRUE 

       OR (isExist(Railing)=FALSE AND isExist(Handle)=TRUE) 

} 














Modify
31
147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5조 5 항 3호

3. 경사로의 직선 및 굴절부분의 유효너비는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할 것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5조 (계단의 설치기준) 5항 3호

check(REFB_15_5_3){
     IF CS THEN KS
}
CS{
	isInstalled(Ramp, Building) = TRUE
}
KS{
	getResult(unimplemented_CDAPA) = TRUE
} 














Modify
32
148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5조 7 항 1호

1. 공동주택: 120센티미터 이상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5조 (계단의 설치기준) 7항 1호
check(REFP_15_7_1){
     KS
}

KS{
      getBuildingUsage() = "MultiUnitHouse"
      AND getStairStepWidth >= 1.2M
      AND getPaceWidth >= 1.2M
} 














Modify
33
1481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5조 7 항 2호

2. 공동주택이 아닌 건축물: 150센티미터 이상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5조 (계단의 설치기준) 7항 2호
check(REFP_15_7_2){
     KS
}

KS{
      getBuildingUsage() != "MultiUnitHouse"
      AND getStairStepWidth >= 1.5M
      AND getPaceWidth >= 1.5M
} 














Modify
34
148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5조의2조 1 항

제15조의2(복도의 너비 및 설치기준) ①영 제48조의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에 설치하는 복도의 유효너비는 다음 표와 같이 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5조의2 (복도의 너비 및 설치기준) 1항
Check(EDBA_15-2_1){
    IF getBuildingUsage()="Kindergarten"
       OR getBuildingUsage()="ElementarySchool"
       OR getBuildingUsage()="MiddleSchool"
       OR getBuildingUsage()="HightSchool"
       THEN IF isExternal(Corridor)=FALSE
             THEN getObjectProperty(Corridor.effectiveWidth)>2.4 m   
     ELSE THEN  getObjectProperty(Corridor.effectiveWidth)>1.8 m
            END IF
     END IF  


     IF getBuildingUsage()="MultiUnitHouse"
       OR getBuildingUsage()="Officetel"
       THEN IF isExternal(Corridor)=FALSE
             THEN getObjectProperty(Corridor.effectiveWidth)>1.8 m
            ELSE THEN  getObjectProperty(Corridor.effectiveWidth)>1.2 m
            END IF
     END IF  


     IF getTotalFloorArea(Corridor.Floor.Room)>200 m2 
     THEN IF isExternal(Corridor)=FALSE
             THEN IF getBuildingUsage()="MedicalFacilities"
                       THEN getObjectProperty(Corridor.effectiveWidth)>1.8 m
                  ELSE THEN getObjectProperty(Corridor.effectiveWidth)>1.5 m
                  END IF
          ELSE THEN  getObjectProperty(Corridor.effectiveWidth)>1.2 m
          END IF
     END IF  
} 














Modify
35
148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5조의2조 1 항

표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5조의2 (복도의 너비 및 설치기준) 1항

Check(REFB_15-2_1){
            KS
}

KS{

  IF (Building.usage="Kindergarten"
      OR Building.usage="ElementarySchool"
      OR Building.usage="MiddleAndHighSchool" )
      IF(isAdjacent(Corridor, Room)=True)
         THEN   Corridor.width>=2.4 m
            ELSE THEN  Corridor.width>=1.8 m                 
      END IF 

  ELSE IF( Building.usage="MultiUnitHouse"
           OR Building.usage="Officetels" )
         IF( isAdjacent(Corridor, Room)=True)
            TEHN  Corridor.width>=1.8 m
         ELSE THEN Corridor.width>=1.2 m
         END IF
  ELSE IF( Floor.One.Room.area > 200 m2) 
          IF(isAdjacent(Corridor, Room)=True)
             TEHN IF (Building.usage="MedicalFacility")
                   THEN Corridor.width>=1.8 m
             ELSE THEN  Corridor.width>=1.5 m
             
          ELSE THEN Corridor.width>=1.2 m
          END IF
  END IF

}














 














Modify
36
148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5조의2조 2 항

②문화 및 집회시설(공연장ㆍ집회장ㆍ관람장ㆍ전시장에 한한다), 종교시설 중 종교집회장, 노유자시설 중 아동 관련 시설ㆍ노인복지시설, 수련시설 중 생활권수련시설, 위락시설 중 유흥주점 및 장례식장의 관람석 또는 집회실과 접하는 복도의 유효너비는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너비로 하여야 한다. <개정 2010.4.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5조의2 (복도의 너비 및 설치기준) 2항

check(REFB_15-2_2){

     IF CS THEN KS 

}



CS{

Space  mySpace{

getSpaceUsage(Space) = “AssemblyHall”

OR getSpaceUsage(Space) = “PerformanceHall”

}

    Corridor myCorridor{

       isAdjacent(mySpace,Corridor) = TRUE

    }



    (getBuildingUsage()="CulturalAndAssemblyFacility.PerformanceHall"

    OR getBuildingUsage()="CulturalAndAssemblyFacility.AssemblyHall"

    OR getBuildingUsage()="CulturalAndAssemblyFacility.Auditorium"

    OR getBuildingUsage()="CulturalAndAssemblyFacility.ExhibitionHall"

    OR getBuildingUsage()="ReligiousFacility.ReligiousAssemblyFacility"

    OR getBuildingUsage()="FacilitiesForTheAgedAndChildren.ChildrenRelatedFacility"

    OR getBuildingUsage()="FacilitiesForTheAgedAndChildren.WelfareFacilityForTheAged"

    OR getBuildingUsage()="Trainingfacility.TrainingFacilitiesInLiving "

    OR getBuildingUsage()="AmusementFacility.tavern"

    OR getBuildingUsage()="AmusementFacility.FuneralParlors" )

     

    isExist(myCorridor)=TRUE   

}



KS{



 

   getResult(REFB_15-2_2_1)=TRUE

   getResult(REFB_15-2_2_2)=TRUE

   getResult(REFB_15-2_2_3)=TRUE

} 














Modify
37
149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6조 2 항

②문화 및 집회시설(전시장 및 동ㆍ식물원은 제외한다), 종교시설, 장례식장 또는 위락시설 중 유흥주점의 용도에 쓰이는 건축물의 관람석 또는 집회실로서 그 바닥면적이 200제곱미터 이상인 것의 반자의 높이는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4미터(노대의 아랫부분의 높이는 2.7미터)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기계환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0.4.7.>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6조 (거실의 반자높이) 2항

check(REFB_16_2){

IF (CS1 AND CS2) THEN KS

}



CS1{



VentilatorEquipment myVentilatorEquipemnt{

isObjectProperty(VentilatorEquipment.isMechanical)=TRUE

}

	isExist(myVentilatorEquipemn) = FALSE 

}



CS2{

	Space mySpace{

		getSpaceUsage(Space) = “Auditorium”

		OR getSpaceUsage(Space) = “AssemblyHall”

	}



	((getBuildingUsage() = “CulturalAndAssemblyFacilities.Tavern”

	getBuildingUsage() != “ExhibitionHalls.Tavern”

	getBuildingUsage() != “ZoologicalAndBotanicalGardens.Tavern”)

	OR getBuildingUsage() = "ReligiousFacilities.Tavern” 














Modify
38
1501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8조 2 항 1호

1. 제1종 근린생활시설중 목욕장의 욕실과 휴게음식점의 조리장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8조 (거실등의방습) 2항1호





Check(REFB_18_2_1){

KS

}







KS{

Space mySpace1{
getSpaceUsage() = "Bathroom"
}
Space mySpace2{
getSpaceUsage() = "Kitchen"
}

getBuildingUsage(mySpace1.Building) = "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BathHouse"
OR 
 getBuildingUsage(mySpace2.Building) = "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RestingRestaurant"


} 














Modify
39
1502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8조 2 항 2호

2. 제2종 근린생활시설중 일반음식점 및 휴게음식점의 조리장과 숙박시설의 욕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8조 (거실등의 방습) 2항 2호



Check(REFB_18_2_2){

KS

}



KS{

Space mySpace1{
getSpaceUsage() = "Kitchen"
}
Space mySpace2{
getSpaceUsage() = "Bathroom"
}

getBuildingUsage(mySpace1.Building) = "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Restarant"
OR 
 getBuildingUsage(mySpace2.Building) = "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LodgingFacilities"

} 














Modify
40
1518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0조의2조

제20조의2(내화구조의 적용이 제외되는 공장건축물) 영 제56조제1항제3호 단서에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공장"이란 별표 2의 업종에 해당하는 공장으로서 주요구조부가 불연재료로 되어 있는 2층 이하의 공장을 말한다. <개정 2005.7.22., 2008.3.14., 2009.7.1., 2013.3.23.>





check(REFB_20-2){

     getResult(REFB_*_2) = True

     getObjectProperty(MainStructuralPart.Material.nonCombustibility)= TRUE

     getBuildingStoriesCount()<2;

} 














Modify
41
152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3조 1 항

제23조(방화지구안의 지붕ㆍ방화문 및 외벽등) ①「건축법」 (이하 "법"이라 한다) 제51조제3항에 따라 방화지구 내 건축물의 지붕으로서 내화구조가 아닌 것은 불연재료로 하여야 한다. <개정 2005.7.22., 2010.12.3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3조 (방화지구안의 지붕ㆍ방화문 및 외벽등) 1항

Check(REFB_23_1){

	IF CS THEN KS

}



CS{


	Building myBuilding{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District.type) = "FirePreventionDistrict"
	}



	Roof myRoof{

		hasObject(myBuilding, Roof) = TRUE

	}



	isObjectProperty(myRoof.isFireResistantStructure) != TRUE

}



KS{

	isObjectProperty(myRoof.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 














Modify
42
153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4조 2 항 1호

1. 영 제61조제1항 각 호에 따른 용도에 쓰이는 거실 등을 지하층 또는 지하의 공작물에 설치한 경우의 그 거실(출입문 및 문틀을 포함한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4조 (건축물의 마감재료) 2항1호
check(REFB_24_2_1){
       KS
}

KS{

  Building myBuilding{
     getResult(EDBA_61_1_1)=TRUE
      OR getResult(EDBA_61_1_2)=TRUE
      OR getResult(EDBA_61_1_3)=TRUE
      OR getResult(EDBA_61_1_4)=TRUE
      OR getResult(EDBA_61_1_5)=TRUE
      OR getResult(EDBA_61_1_6)=TRUE
      OR getResult(EDBA_61_1_7)=TRUE
  }
     
  Room myRoom{
      getSpace(myBuilding.Room)
  }
    getFloorNumber(myRoom)<0 

} 














Modify
43
1536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4조 2 항 2호

2. 영 제61조제1항제6호에 따른 용도에 쓰이는 건축물의 거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4조 (건축물의 마감재료) 2항2호
check(REFB_24_2_2){
       KS
}

KS{
     Building myBuilding{
       getResult(EDBA_61_1_1)=TRUE
    }
      
    str= myBuilding.usage

    getSpaceUsage(Room)=str
}

 














Modify
44
1538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4조 4 항

④영 제61조제1항제2호에 따른 공동주택에는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 제11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10조에 따라 환경부장관이 고시한 오염물질방출 건축자재를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신설 2006.6.29., 2010.12.30.>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4조 (건축물의 마감재료) 4항


Check(REFB_24_4){
IF CS THEN KS
}

Building myBuilding{
getResult(EDBA_61_1_2)=TRUE
}

CS{
isExist(myBuilding)=TRUE
}

KS{
isObjectProperty(myBuilding.Material.isEmittingPollutant)=FALSE
}
 














Modify
45
1542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4조의2조 1 항

제24조의2(소규모 공장용도 건축물의 마감재료) ①영 제61조제1항제4호가목 및 제2항제1호나목에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화재위험이 적은 공장"이란 각각 별표 3의 업종에 해당하는 공장을 말한다. 다만, 공장의 일부 또는 전체를 기숙사 및 구내식당의 용도로 사용하는 건축물을 제외한다. <개정 2008.3.14., 2010.12.30., 2012.1.6., 2013.3.23.>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4조의2 (소규모 공장용도 건축물의 마감재료) 1항

check(REFB_24-2_1){

      KS

}

KS{

	getResult(REFB_*_3) = TRUE

	(getBuildingUsage() != "Dormitory"

	OR getBuildingUsage() != "Cafeteria"

	OR getSpaceUsage() != "Dormitory"

	OR getSpaceUsage() != "Cafeteria")

} 














Modify
46
154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4조의2조 2 항

②영 제61조제1항제4호나목에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출구"란 건축물의 내부의 각 부분으로부터 출구(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출구를 말한다)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30미터 이하가 되도록 설치된 유효너비 1.5미터 이상의 출구를 말한다. <개정 2008.3.14., 2010.12.30., 2013.3.23.>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4조의2 (소규모 공장용도 건축물의 마감재료) 2항
check(REFB_24-2_2){
      KS
}
KS{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
	getObjectDistance(Building.IndoorElement, Door) <= 30
	isObjectProperty(Door.effectiveWidth) >= 1.5m
} 














Modify
47
155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5조 1 항 1의2호

1의2. 제2종근린생활시설 중 공연장ㆍ단란주점ㆍ당구장ㆍ노래연습장, 문화 및 집회시설중 예식장ㆍ공연장, 수련시설 중 생활권수련시설ㆍ자연권수련시설, 숙박시설중 여관ㆍ여인숙, 위락시설중 단란주점ㆍ유흥주점 또는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2조에 따른 다중이용업의 용도에 쓰이는 층으로서 그 층의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50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에는 직통계단을 2개소 이상 설치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1항 1의2호
check(REFB_25_1_1-2){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PerformanceHall"
	OR getBuildingUsag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Pubs"
	OR getBuildingUsag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BilliardRoom"
	OR getBuildingUsag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Karaoke"
	OR getBuildingUsage() = "CulturalAndAssemblyFacility.WeddingHall"
	OR getBuildingUsage() = "CulturalAndAssemblyFacility.PerformanceHall"
	OR getBuildingUsage() = "TrainingFacility.TrainingFacilityInLivingZone"
	OR getBuildingUsage() = "TrainingFacility.??LivingZone"
	OR getBuildingUsage() = "LodgingFacility.Inn"
	OR getBuildingUsage() = "AmusementFacility.Pubs"
	OR getBuildingUsage() = "AmusementFacility.Tavern"
	OR getResult(ERSASP_2) = TRUE)

	getTotalFloorArea(Room) >= 50 m2
}

KS{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

	getObjectCount(myStair) >= 2
} 














Modify
48
1558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5조 2 항

②제1항제1호에 따른 지하층의 비상탈출구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다만, 주택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00.6.3., 2010.4.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2항
check(REFB_25_2){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 "House"
}

KS{
	getResult(REFB_25_2_1) = TRUE
	getResult(REFB_25_2_2) = TRUE
	getResult(REFB_25_2_3) = TRUE
	getResult(REFB_25_2_4) = TRUE
	getResult(REFB_25_2_5) = TRUE
	getResult(REFB_25_2_7) = TRUE
} 














Modify
49
1576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9조 1 항

제29조(피난용승강기의 설치 및 구조) ① 고층건축물에는 법 제64조제1항에 따라 건축물에 설치하는 승용승강기 중 1대 이상을 제30조에 따른 피난용승강기의 설치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준초고층 건축물 중 공동주택은 제외한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9조 (피난용승강기의 설치 및 구조) 1항 



Check(REFB_29_1){

   IF (!CS1 AND CS2)THEN KS 

}



CS1{



   Building myBuilding{

         isObjectProperty(Building.isQuasiHighriseBuilding )=True

   }



    getBuildingUsage()="myBuilding.MultiUnitHouse"

}

CS2{

    isObjectProperty(Building.isHighBuilding) = TRUE

}

KS{

   getResult(REFB_30)=True

   getResult(REFB_29_2)=True

} 














Modify
50
2285 건축법 시행령 제 8조 3 항 1호

1. 공동주택





//건축법 시행령 8조 (건축허가) 3항 1호

Check(EDBA_8_3_1){
     KS
}
KS{
	getBuildingUsage() = "MultiUnitHouse"
} 














Modify
51
2286 건축법 시행령 제 8조 3 항 2호

2. 제2종 근린생활시설(일반음식점만 해당한다)





//건축법 시행령 8조 (건축허가) 3항 2호

Check(EDBA_8_3_2){
     KS
}
KS{
	getBuildingUsag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Restaurant"
} 














Modify
52
2287 건축법 시행령 제 8조 3 항 3호

3. 업무시설(일반업무시설만 해당한다)





//건축법 시행령 8조 (건축허가) 3항 3호

Check(EDBA_8_3_3){
     KS
}
KS{
	getBuildingUsage() = "BusinessFacility.GeneralBusinessFacility"
} 














Modify
53
2288 건축법 시행령 제 8조 3 항 4호

4. 숙박시설





//건축법 시행령 8조 (건축허가) 3항 4호

Check(EDBA_8_3_4){
     KS
}
KS{
	getBuildingUsage() = "LodgingFacility"
} 














Modify
54
2289 건축법 시행령 제 8조 3 항 5호

5. 위락시설





//건축법 시행령 8조 (건축허가) 3항 5호

Check(EDBA_8_3_5){
     KS
}
KS{
	getBuildingUsage() = "AmusementFacility"
} 














Modify
55
2680 건축법 시행령 제 34조 1 항

제34조(직통계단의 설치) ① 건축물의 피난층(직접 지상으로 통하는 출입구가 있는 층 및 제3항과 제4항에 따른 피난안전구역을 말한다. 이하 같다) 외의 층에서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경사로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을 거실의 각 부분으로부터 계단(거실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계단을 말한다)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30미터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건축물(지하층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제곱미터 이상인 공연장ㆍ집회장ㆍ관람장 및 전시장은 제외한다)의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은 그 보행거리가 50미터(층수가 16층 이상인 공동주택은 40미터) 이하가 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자동화 생산시설에 스프링클러 등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공장으로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공장인 경우에는 그 보행거리가 75미터(무인화 공장인 경우에는 100미터) 이하가 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개정 2009.7.16., 2010.2.18., 2011.12.30., 2013.3.23.>





// 건축법 시행령 34조 (직통계단의 설치) 1항

Check(EDBA_34_1){
     KS
}

KS{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Space mySpace{
      getObjectProperty(Space.usage)="PerformanceHall"
      OR getObjectProperty(Space.usage)="AssemblyHall"
      OR getObjectProperty(Space.usage)="Auditorium"	
      OR getObjectProperty(Space.usage)="ExhibitionHall"
}

Door myDoor{
     isDirectlyAccessible(Door, Ground)=TRUE
}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TRUE
     isAccessible(Stair,myFloor)=TRUE
     OR isAccessible(Stair,Ground)=TRUE
}

Ramp myRamp{
     isAccessible(Ramp,myFloor)=TRUE
     OR isAccessible(Ramp,Ground)=TRUE
}

Floor myFloor2{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FALSE
     OR hasObject(Floor, myDoor)=FALSE
}

	Zone myZone{

		isDirectlyAccessible(myStair, Zone)=FALSE

	}

 

IF

	getFloorNumber(mySpace)>0

	getFloorArea(mySpace)<=300 m2

	isFireResistantStructure(MainStructuralPart)=TRUE

	OR isObjectProperty(MainStructuralPart.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THEN IF        getBuildingStoriesCount()>=16

	               getBuildingUsage()="MultiUnitHouse"

	          THEN ED= 40 

	ELSE THEN   ED=50               

	END IF



ELSE IF   

	getBuildingUsage() = "Factory" 

	isExist(ExtinguishingSystem)=TRUE 

	isObjectProperty(ExtinguishingSystem.isAutomatic)=TRUE

	getResult(REFB_8_2)=TRUE

	THEN IF   	getBuildingUsage() = "UnmannedFactory" 

			THEN ED=100

	ELSE THEN  ED=75

	END IF 



ELSE THEN ED=30

	END IF 



	(hasObject(myFloor,myStair)=TRUE

	hasObject(myZone, myStair)=TRUE

	getObjectDistance(Room,myStair, 1)<=ED)

	OR 

	(hasObject(myFloor,myRamp)=TRUE

	hasObject(myZone, myRamp)=TRUE

	getObjectDistance(Room,myRamp, 1)<=ED)

} 














Modify
56
2683 건축법 시행령 제 34조 2 항 2호

2. 단독주택 중 다중주택ㆍ다가구주택,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인터넷컴퓨터게임시설제공업소(해당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제곱미터 이상인 경우만 해당한다)ㆍ학원ㆍ독서실, 판매시설, 운수시설(여객용 시설만 해당한다), 의료시설(입원실이 없는 치과병원은 제외한다), 교육연구시설 중 학원, 노유자시설 중 아동 관련 시설ㆍ노인복지시설, 수련시설 중 유스호스텔 또는 숙박시설의 용도로 쓰는 3층 이상의 층으로서 그 층의 해당 용도로 쓰는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제곱미터 이상인 것





//건축법 시행령 34조 (직통계단의 설치) 2항2호

Check(EDBA_34_2_2){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DentalClinic"

        }


Space mySpace{
getSpaceUsage() = "Ward"
}
	Floor myFloor1 {

		getObjectProperty(Floor.number)>=3

                getObjectUsage(Floor)  = “DetachedHouse.MultiUserHouse”

		OR getObjectUsage(Floor)  = “DetachedHouse.MultiFamilyHouse”

		OR getObjectUsage(Floor)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EducationalInstitute”

		OR getObjectUsage(Floor)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ReadingRooms” 

                OR getObjectUsage(Floor)  = “CommercialFacility”

                OR getObjectUsage(Floor)  = “TransportationFacility.PassengerTrafficFacilities”

                OR ( getObjectUsage(Floor)  = “MedicalFacility” ADN hasObject(myBuilding, mySpace)=TRUE )

                OR getObjectUsage(Floor)  = “EducationAndResearchFacility.EducationalInstitutes” 

		OR getObjectUsage(Floor)  = “FacilitiesForTheAgedAndChildren.ChildrenRelatedFacilities” 

		OR getObjectUsage(Floor)  = “EducationAndResearchFacility.WelfareFacilityForTheAged” 

		OR getObjectUsage(Floor)  = “Trainingfacility.YouthHostel” 

		OR getObjectUsage(Floor)  = “LodgingFacility”

                

	}



	Floor myFloor2{

		 getObjectUsage(Floor)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FacilityForProvidingInternetComputerGameService”

		}



           getTotalFloorArea(myFloor1.Room)>= 200 m2

          OR getTotalFloorArea(myFloor2.Room)>= 300 m2	

} 














Modify
57
2687 건축법 시행령 제 34조 3 항

③ 초고층 건축물에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과 직접 연결되는 피난안전구역(건축물의 피난ㆍ안전을 위하여 건축물 중간층에 설치하는 대피공간을 말한다. 이하 같다)을 지상층으로부터 최대 30개 층마다 1개소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신설 2009.7.16., 2011.12.30.>





// 건축법 시행령 제 34조 (직통계단의 설치) 3항

check(EDBA_34_3){

		IF CS THEN KS ENDIF

}



CS{

isObjectProperty(Building.isHighriseBuilding) = TRUE

}

KS{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EgressSafetyZone) = TRUE

		}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isGoThrough(myFloor, myZone, myStair) = TRUE

		OR isGoThrough(myFloor, Ground, myStair) = TRUE



		getObjectCount(myZone) >= getBuildingStoriesCount()/30

} 














Modify
58
2688 건축법 시행령 제 34조 4 항

④ 준초고층 건축물에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과 직접 연결되는 피난안전구역을 해당 건축물 전체 층수의 2분의 1에 해당하는 층으로부터 상하 5개층 이내에 1개소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신설 2011.12.30., 2013.3.23.>





// 건축법 시행령 34조 (직통계단의 설치) 4항

check(EDBA_34_4){

		IF !CS THEN KS ENDIF

}

CS{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isDirectlyAccessible(myStair, myFloor) = TRUE

		OR isDirectlyAccessible(myStair, Ground) = TRUE

}

				

KS{

		isObjectProperty(Building.isQuasiHighriseBuilding) = TRUE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EgressSafetyZone) = TRUE

		}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isGoThrough(myFloor, myZone, myStair) = TRUE

		OR isGoThrough(myFloor, Ground, myStair) = TRUE

		(getBuildingStoriesCount()/2)-5 < getFloorNumber(myZone)

                getFloorNumber(myZone) < (getBuildingStoriesCount()/2)+5

} 














Modify
59
2694 건축법 시행령 제 35조 2 항

② 건축물(갓복도식 공동주택은 제외한다)의 11층(공동주택의 경우에는 16층) 이상인 층(바닥면적이 400제곱미터 미만인 층은 제외한다) 또는 지하 3층 이하인 층(바닥면적이 400제곱미터미만인 층은 제외한다)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은 제1항에도 불구하고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08.10.29.>





//건축법 시행령 35조 (피난계단의 설치) 2항
check(EDBA_35_2){
	IF (CS1 AND CS2) THEN KS
}

CS1{
	Building.usage != "MultiUnitHouse.SideCorridorTypeMultiUnitHouse"
}

CS2{
	Floor myFloor{
 		IF (Building.usage = "MultiUnitHouse“) 
			THEN getFloorNumber(Floor) >= 16
     		ELSE 		
			getFloorNumber(Floor) >= 11
     		ENDIF

 		OR getFloorNumber(Floor) < -3
		getFloorArea(Floor) >= 400m2
	}

	Stair myStair {
		(isAccessible(Stair, Floor.isEscape) = TRUE
		 OR isAccessible(Stair, Ground) = TRUE)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

	hasObject(myFloor, myStair) = TRUE
}

KS{
	isObjectProperty(myStair.isSpecialEscape) = TRUE
}
 














Modify
60
2700 건축법 시행령 제 36조

제36조(옥외 피난계단의 설치) 건축물의 3층 이상인 층(피난층은 제외한다)으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용도로 쓰는 층에는 제34조에 따른 직통계단 외에 그 층으로부터 지상으로 통하는 옥외피난계단을 따로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14.3.24.>





//건축법 시행령 36조 (옥외 피난계단의 설치)

Check(EDBA_36){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StoriesCount()>=3
   getResult(EDBA_36_0_1)=True
   OR getResult(EDBA_36_0_2)=True
}

KS{
   Stair myStair1{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True
   }
   
   Stair myStair2{
       isObjectProperty(Stair.isEscape)=True
       isAccessible(Stair, Ground)=True
   }
  
   isExist(myStair1)=True
   isExist(myStair2)=True
} 














Modify
61
2707 건축법 시행령 제 38조 1호

1.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공연장ㆍ종교집회장(해당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각각 300제곱미터 이상인 경우만 해당한다)





//건축법 시행령 38조(관람석 등으로부터의 출구 설치) 1호
Check(EDBA_38_0_1){
     (getBuildingUsag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performancehall"
     OR getBuildingUsag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ReligiousAssemblyFacility")

     Space mySpace {
          getSpaceUsage(Spac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performancehall"
          OR getSpaceUsage(Spac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ReligiousAssemblyFacility"
     }

     getTotalFloorArea(mySpace) > 300
}

 














Modify
62
2708 건축법 시행령 제 38조 2호

2. 문화 및 집회시설(전시장 및 동ㆍ식물원은 제외한다)





//건축법 시행령 38조(관람석 등으로부터의 출구 설치) 2호
Check(EDBA_38_0_2){
     getBuildingUsage() = "CulturalAndAssemblyFacility
"
     getBuildingUsage() != "CulturalAndAssemblyFacility.ExhibitionHall"
     getBuildingUsage() != "CulturalAndAssemblyFacility.ZoologicalAndBotanicalGarden"

     getResult(REFB_10_2) = TRUE
}

 














Modify
63
2709 건축법 시행령 제 38조 3호

3. 종교시설





//건축법 시행령 38조(관람석 등으로부터의 출구 설치) 3호
Check(EDBA_38_0_3){
    getBuildingUsage() = "ReligiousFacility" 
}
 














Modify
64
2710 건축법 시행령 제 38조 4호

4. 위락시설





//건축법 시행령 38조(관람석 등으로부터의 출구 설치) 4호
Check(EDBA_38_0_4){
    getBuildingUsage() = "AmusementFacility"
} 














Modify
65
2711 건축법 시행령 제 38조 5호

5. 장례식장





//건축법 시행령 38조(관람석 등으로부터의 출구 설치) 3호
Check(EDBA_38_0_5){
    getBuildingUsage() = "FuneralParlor"
} 














Modify
66
2714 건축법 시행령 제 39조 1 항 1호

1.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공연장ㆍ종교집회장ㆍ인터넷컴퓨터게임시설제공업소(해당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각각 300제곱미터 이상인 경우만 해당한다)





// 건축법 시행령 39조 (건축물 바깥쪽으로의 출구 설치) 1항 1호

Check(EDBA_39_1_1){     
KS}

KS {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PerformanceHall”
OR getBuildingUsage() = “ReligiousAssemblyFacility ”
OR getBuildingUsage() = “FacilityForProvidingInternetComputerGameService”
}

Space mySpace{
Space.usage = “PerformanceHall”
OR Space.usage = “ReligiousAssemblyFacility ”
OR Space.usage = “FacilityForProvidingInternetComputerGameService”
}

IF isExist(myBuilding) THEN mySpace.FloorSlab.area >= 300 m2

}
 














Modify
67
2715 건축법 시행령 제 39조 1 항 2호

2. 문화 및 집회시설(전시장 및 동ㆍ식물원은 제외한다)





// 건축법 시행령 39조 (건축물 바깥쪽으로의 출구 설치) 1항 2호

Check(EDBA_39_1_2){     
KS
}

KS {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CulturalAndAssemblyFacility”
getBuildingUsage() != “ExhibitionHall”
getBuildingUsage() != “ZoologicalAndBotanicalGarden”
}

isExist(myBuliding) = TRUE

}
 














Modify
68
2716 건축법 시행령 제 39조 1 항 3호

3. 종교시설





// 건축법 시행령 39조 (건축물 바깥쪽으로의 출구 설치) 1항 3호

Check(EDBA_39_1_3){     
KS
}

KS {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ReligiousFacility”
}

isExist(myBuliding) = TRUE
}
 














Modify
69
2717 건축법 시행령 제 39조 1 항 4호

4. 판매시설





// 건축법 시행령 39조 (건축물 바깥쪽으로의 출구 설치) 1항 4호

Check(EDBA_39_1_4){     
KS
}

KS {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CommercialFacility”
}

isExist(myBuliding) = TRUE
}
 














Modify
70
2718 건축법 시행령 제 39조 1 항 5호

5. 업무시설 중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청사





// 건축법 시행령 39조 (건축물 바깥쪽으로의 출구 설치) 1항 5호

Check(EDBA_39_1_5){     
KS
}

KS {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BusinessFacility.GovernmentOfficeBuilding”
}

isExist(myBuliding) = TRUE
}
 














Modify
71
2719 건축법 시행령 제 39조 1 항 6호

6. 위락시설





// 건축법 시행령 39조 (건축물 바깥쪽으로의 출구 설치) 1항 6호

Check(EDBA_39_1_6){     
KS
}


KS {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AmusementFacility”
}

isExist(myBuliding) = TRUE
}
 














Modify
72
2720 건축법 시행령 제 39조 1 항 7호

7. 연면적이 5천 제곱미터 이상인 창고시설





// 건축법 시행령 39조 (건축물 바깥쪽으로의 출구 설치) 1항 7호

Check(EDBA_39_1_7){     
KS
}


KS {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Warehouse”
Building.grossFloorArea >= 5000 m2
}

isExist(myBuliding) = TRUE
}
 














Modify
73
2721 건축법 시행령 제 39조 1 항 8호

8. 교육연구시설 중 학교





// 건축법 시행령 39조 (건축물 바깥쪽으로의 출구 설치) 1항 8호



Check(EDBA_39_1_8){
 

KS


}







KS {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EducationAndResearchFacility.School”

}



isExist(myBuliding) = TRUE

} 














Modify
74
2722 건축법 시행령 제 39조 1 항 9호

9. 장례식장





// 건축법 시행령 39조 (건축물 바깥쪽으로의 출구 설치) 1항 9호

Check(EDBA_39_1_9){     
KS}

KS {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FuneralParlor”
}

isExist(myBuliding) = TRUE
}


 














Modify
75
2723 건축법 시행령 제 39조 1 항 10호

10. 승강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건축물





// 건축법 시행령 39조 (건축물 바깥쪽으로의 출구 설치) 1항 10호

Check(EDBA_39_1_10){     
KS
}


KS {
Building myBuilding{
hasObject(Building, Elevator)
}

isExist(myBuliding) = TRUE
}
 














Modify
76
2728 건축법 시행령 제 40조 3 항

③ 층수가 11층 이상인 건축물로서 11층 이상인 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만 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의 옥상에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개정 2009.7.16., 2011.12.30.>





//건축법 시행령 40조 (옥상광장 등의 설치) 3항
Check(EDBA_40_3){
  IF (CS) THEN KS 
}

CS{
	Floor myFloor{
		Floor.number > 11
	}

   	getBuildingStoriesCount() > 11
   	getTotalFloorArea(myFloor) > 10000m2
}

KS{
  getResult(EDBA_40_3_1) = True
  getResult(EDBA_40_3_2) = True
}
 














Modify
77
2734 건축법 시행령 제 41조 1 항 1호

1. 단독주택: 유효 너비 0.9미터 이상





Check(EDBA_41_1_1){

  IF (CS) THEN KS END IF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usage)="DetachedHouse"

}

KS{

  getObjectProperty(Passage.effectiveWidth)> 0.9M

} 














Modify
78
2735 건축법 시행령 제 41조 1 항 2호

2.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제곱미터 이상인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의료시설, 위락시설 또는 장례식장: 유효 너비 3미터 이상





Check(EDBA_41_1_2){

   IF (CS) THEN  KS END IF

}



CS{

FloorSlab.area> 500 m2 

   Building.usage="CulturalAndAssemblyFacility"

   OR Building.usage="ReligiousFacility" 

   OR  Building.usage="MedicalFacility" 

   OR Building.usage="AmusementFacility" 

   OR Building.usage="FuneralParlor"  

}



KS{

  Passage.effectiveWidth> 3m ;

} 














Modify
79
2736 건축법 시행령 제 41조 1 항 3호

3. 그 밖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유효 너비 1.5미터 이상





Check(EDBA_41_1_3){

IF (CS) THEN KS END IF

}

CS{

Building.usage !="DetachedHouse"

OR   Building.usage !="CulturalAndAssemblyFacility"

   OR Building.usage !="ReligiousFacility" 

   OR  Building.usage !="MedicalFacility" 

   OR Building.usage !="AmusementFacility" 

   OR Building.usage !="FuneralParlor"  
}

KS{

 getObjectProperty(Passage.effectiveWidth)> 1.5m ;

} 














Modify
80
2741 건축법 시행령 제 44조

제44조(피난 규정의 적용례) 건축물이 창문, 출입구, 그 밖의 개구부(開口部)(이하 "창문등"이라 한다)가 없는 내화구조의 바닥 또는 벽으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구획된 각 부분을 각각 별개의 건축물로 보아 제34조부터 제41조까지를 적용한다.





//건축법 시행령 44조 (피난 규정의 적용례)



Check(EDBA_44){

   IF CS THEN KS

}



CS{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True

   }



   Object  myElement {

        getObject(Window)

        getObject(Opening)

        getObject(myDoor)

   }

   

   FloorSlab myFloorSlab{



        getObjectProperty(FloorSlab.isFireResistantStructure)=True

   }



     Wall myWall{

        getObjectProperty(FloorSlab.isFireResistantStructure)=True

        hasObject(Wall, myElement) =False

   }



   isFirePartition(Building, myFloorSlab)=True

   OR  isFirePartition(Building, myWall)=True

   



}



KS{

   getResult(EDBA_34)=True

   getResult(EDBA_35)=True

   getResult(EDBA_36)=True

   getResult(EDBA_37)=True

   getResult(EDBA_38)=True

   getResult(EDBA_39)=True

   getResult(EDBA_40)=True

   getResult(EDBA_41)=True

} 














Modify
81
2744 건축법 시행령 제 46조 1 항

제46조(방화구획의 설치) ① 법 제49조제2항에 따라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로서 연면적이 1천 제곱미터를 넘는 것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내화구조로 된 바닥ㆍ벽 및 제64조에 따른 갑종 방화문(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자동방화셔텨를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으로 구획(이하 "방화구획"이라 한다)하여야 한다. 다만, 「원자력안전법」 제2조에 따른 원자로 및 관계시설은 「원자력안전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개정 2011.10.25., 2013.3.23.>





//건축법 시행령 46조 (방화구획의 설치) 1항

Check(EDBA_46_1){

   IF (!CS1 AND CS2) THEN KS

}





CS1{

  getBuildingUsage()="NuclearReactorAndRelatedFacility"

}



CS2{

  (isObjectProperty(MainStructuralPart.isFireResistantStructure)=TRUE

  OR isObjectProperty(MainStructuralPart.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AND Building.grossFloorArea>1000 m2

}



KS{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Slab.isFireResistantStructure)=TRUE

  }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FireResistantStructure)=TRUE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StrictFireproofDoor)=TRUE

  }



  isFirePartition(Building, myFloor)=TRUE

  AND  isFirePartition(Building, myWall)=TRUE

  AND  isFirePatrition(Building, myDoor)=TRUE



  AND getResult(REFB_14_1)=TRUE

  AND getResult(REFB_14_2)=TRUE

  AND getResult(REFB_14_3)=TRUE



} 














Modify
82
2750 건축법 시행령 제 46조 2 항 5호

5. 복층형 공동주택의 세대별 층간 바닥 부분





//건축법 시행령 46조 (방화구획의 설치) 2항 5호
check(EDBA_46_2_5){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OccupiedByOneHousehold) = TRUE
	}
	getBuildingUsage() = "DuplexMultiUnitHouses"
	hasSpace(myZone, Floor) = TRUE
	getFloorNumber(Floor) != 1
} 














Modify
83
2752 건축법 시행령 제 46조 2 항 7호

7. 단독주택, 동물 및 식물 관련 시설 또는 교정 및 군사시설 중 군사시설(집회, 체육, 창고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시설만 해당한다)로 쓰는 건축물





//건축법 시행령 46조 (방화구획의 설치) 2항 7호

check(EDBA_46_2_7){

KS

}



KS{

getBuildingUsage()="DetachedHouses"

OR getBuildingUsage()="FacilitiesForAnimalsAndPlants"

OR (getBuildingUsage()="CorrectionalFacilityANDMilitaryFacilities" and (getSpaceUsage()= "Assembly" OR "Gymnasium" OR "Warehouses")

} 














Modify
84
2754 건축법 시행령 제 46조 4 항

④ 공동주택 중 아파트로서 4층 이상인 층의 각 세대가 2개 이상의 직통계단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발코니에 인접 세대와 공동으로 또는 각 세대별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대피공간을 하나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이 경우 인접 세대와 공동으로 설치하는 대피공간은 인접 세대를 통하여 2개 이상의 직통계단을 쓸 수 있는 위치에 우선 설치되어야 한다. <개정 2013.3.23.>





//건축법 시행령 46조 (방화구획의 설치) 4항

check(EDBA_46_4){

IF CS THEN KS1 AND KS2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OccupiedByOneHousehold) = TRUE

}



KS1{
Space mySpace{
Space.isEscape = TRUE
}

isExist(Balcony)=TRUE

AND hasElement(Balcony,mySpace)=TRUE

AND (getResult(EDBA_46_4_1)=TRUE

AND getResult(EDBA_46_4_2)=TRUE

AND getResult(EDBA_46_4_3)=TRUE

AND getResult(EDBA_46_4_4)=TRUE)

}



KS2{
Stair myStair{
Stair.isDirect = TRUE
}

isGoThrough(myZone,mySpace,myZone)=TRUE

AND isGoThrough(mySpace,myZone,myStair)=TRUE

}



CS{

getBuildingUsage()="MultiUnitHouses.ApartmentHouses"

AND Floor.number >=4

AND isDirectlyAccessible(myZone, myStair)=TRUE

AND myStair.Number>=2

} 














Modify
85
2759 건축법 시행령 제 46조 5 항

⑤ 제4항에도 불구하고 아파트의 4층 이상인 층에서 발코니에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구조 또는 시설을 설치한 경우에는 대피공간을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개정 2010.2.18., 2013.3.23., 2014.8.27.>





//건축법 시행령 46조 (방화구획의 설치) 5항

Check(EDBA_5){

CS 

}

Space mySpace{
Space.isEscape = TRUE
}

CS{getObjectProperty(Building.usage)="ApartmentHouses"
  AND isExist(Balcony)=TRUE

  AND (hasObject(Balcony,Structure)=TRUE

  AND (getResult(EDBA_5_1)=TRUE

  or getResult(EDBA_5_2)=TRUE

  or getResult(EDBA_5_3)=TRUE)

  AND isExist(mySpace)=FALSE

} 














Modify
86
2768 건축법 시행령 제 47조 1 항 3호

3. 공동주택과 위락시설이 같은 초고층 건축물에 있는 경우. 다만, 사생활을 보호하고 방범ㆍ방화 등 주거 안전을 보장하며 소음ㆍ악취 등으로부터 주거환경을 보호할 수 있도록 주택의 출입구ㆍ계단 및 승강기 등을 주택 외의 시설과 분리된 구조로 하여야 한다.





//건축법 시행령 47조 (방화에 장애가 되는 용도의 제한) 1항 3호

Check(EDBA_47_1_3){
         KS
}

KS{
    Space mySpace1{
        getSpaceUsage(Space)="MultiUnitHouse"
    }
 
    Space mySpace2{
        getSpaceUsage(Space)="AmusementFacility"
    }

  
    Building myBuilding{
       isObjectProperty(Building.isHighriseBuilding)=True
    }

   
    isExistTogether(mySpace1, mySpace2, myBuilding)=True

   //다만, 주택의 출입구ㆍ계단 및 승강기 등을 주택 외의 시설과 분리된 구조로 하여야 한다.

} 














Modify
87
2769 건축법 시행령 제 47조 2 항

② 법 제49조제2항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용도의 시설은 같은 건축물에 함께 설치할 수 없다. <개정 2009.7.16., 2010.8.17., 2012.12.12., 2014.3.24.>





//건축법 시행령 47조 (방화에 장애가 되는 용도의 제한) 2항 



Check(EDBA_47_2){

      KS

}



  Space  myFacility{

    getResult(EDBA_47_2_1)=True

  } 



  Space  myFacility2{

    OR getResult(EDBA_47_2_2)=True

  } 

     



KS{

    isShared(myFacility.Building, myFacility2.Building)=False

} 














Modify
88
2770 건축법 시행령 제 47조 2 항 1호

1. 노유자시설 중 아동 관련 시설 또는 노인복지시설과 판매시설 중 도매시장 또는 소매시장





//건축법 시행령 47조 (방화에 장애가 되는 용도의 제한) 2항 1호

Check(EDBA_47_2_1){
       KS
}

KS{
     getBuildingUsage()="FacilitiesForTheAgedAndChildren.ChildrenRelatedFacility"
     OR getBuildingUsage()="FacilitiesForTheAgedAndChildren.WelfareFacilityForTheAged" 
     OR getBuildingUsage()="CommercialFacility.WholesaleMarket"
     OR getBuildingUsage()="CommercialFacility.RetailMarket"
} 














Modify
89
2771 건축법 시행령 제 47조 2 항 2호

2. 단독주택(다중주택, 다가구주택에 한정한다), 공동주택, 제1종 근린생활시설 중 조산원 또는 산후조리원과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다중생활시설





//건축법 시행령 47조 (방화에 장애가 되는 용도의 제한) 2항 2호



Check(EDBA_47_2_2){

      KS

}



KS{

       getBuildingUsage()="DetachedHouse.MultiUserHouse"

       OR getBuildingUsage()="DetachedHouse.MultiFamilyHouse"

       OR getBuildingUsage()="MultiUnitHouse"

       OR getBuildingUsage()="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MaternityCenter"

       OR getBuildingUsage()="ClassINeighborhoodLivingFacility.PostnatalCareCenter"

       OR getBuildingUsage()="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CommunalLivingFacility"



} 














Modify
90
2777 건축법 시행령 제 50조

제50조(거실반자의 설치) 법 제49조제2항에 따라 공장, 창고시설,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 동물 및 식물 관련 시설, 자원순환 관련 시설 또는 묘지 관련시설 외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거실의 반자(반자가 없는 경우에는 보 또는 바로 위층의 바닥판의 밑면,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을 말한다)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2013.3.23., 2014.3.24.>





// 건축법 시행령 50조 (거실반자의 설치)
check(EDBA_50){
	IF (CS) THEN KS
}

CS{
	Building.usage != "Factory"
	OR Building.usage != "Warehouse"
	OR Building.usage != "FacilityForStorageAndTreatmentOfDangerousSubstance"
	OR Building.usage != "FacilityForAnimalAndPlant"
	OR Building.usage != "ResourceRecyclingFacility"
	OR Building.usage != "CemeteryAndRelatedFacility"
}

KS{
	getResult(REFB_16_1) = TRUE
	getResult(REFB_16_2) = TRUE
}
 














Modify
91
2779 건축법 시행령 제 51조 1 항

제51조(거실의 채광 등) ① 법 제49조제2항에 따라 단독주택 및 공동주택의 거실, 교육연구시설 중 학교의 교실, 의료시설의 병실 및 숙박시설의 객실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채광 및 환기를 위한 창문등이나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13.3.23.>





// 건축법 시행령 51조 (거실의 채광 등) 1항
check(EDBA_51_1){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 "DetachedHouse.Room"
	OR getBuildingUsage() = "MultiUnitHouse.Room"
	OR getBuildingUsage() = "School.Classroom"
	OR getBuildingUsage() = "MedicalFacility.Ward"
	OR getBuildingUsage() = "LodgingFacility.GuestRoom"
}

KS{
	hasElement(Window) = TRUE
} 














Modify
92
2780 건축법 시행령 제 51조 2 항

② 법 제49조제2항에 따라 6층 이상인 건축물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거실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배연설비(排煙設備)를 하여야 한다. 다만, 피난층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4.3.24.>





//건축법 시행령 51조 (거실의 채광 등) 2항
Check(EDBA_51_2){
	IF (!CS1 AND CS2) THEN KS
}


CS1{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getFloorNumber(Room) = getFloorNumber(myFloor)
}

CS2{
	getBuildingStoriesCount() >= 6
	getResult(EDBA_51_2_1) = True
	OR getResult(EDBA_51_2_2) = True
	OR getResult(EDBA_51_2_3) = True
	OR getResult(EDBA_51_2_4) = True
	OR getResult(EDBA_51_2_5) = True
	OR getResult(EDBA_51_2_6) = True
	OR getResult(EDBA_51_2_7) = True
	OR getResult(EDBA_51_2_8) = True
	OR getResult(EDBA_51_2_9) = True
	OR getResult(EDBA_51_2_10) = True
	OR getResult(EDBA_51_2_11) = True
	OR getResult(EDBA_51_2_12) = True
	OR getResult(EDBA_51_2_13) = True
	OR getResult(EDBA_51_2_14) = True
	OR getResult(EDBA_51_2_15) = True
}

KS{
	hasSpace(Room, SmokeExhaustionSystem) = True
	getResult(RFB_14_1) = True
	getResult(REFB_17_1) = True
	getResult(REFB_17_2) = True
}
 














Modify
93
2781 건축법 시행령 제 51조 2 항 1호

1.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공연장, 종교집회장, 인터넷컴퓨터게임시설제공업소 및 다중생활시설(공연장, 종교집회장 및 인터넷컴퓨터게임시설제공업소는 해당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각각 300제곱미터 이상인 경우만 해당한다)





//건축법 시행령 51조 (거실의 채광 등) 2항 1호
Check(EDBA_51_2_1){
	KS1 OR KS2
}	
KS1{
	Space mySpace{
		getBuildingUsag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PerformanceHall"
		OR getBuildingUsag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ReligiousAssemblyFacility"
		OR getBuildingUsag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FacilityForProvidingInternetComputerGameService"	
	}

	getFloorArea(mySpace) >= 300 m2
}

KS2{
	getBuildingUsag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CommunalLivingFacilities"
}
 














Modify
94
2782 건축법 시행령 제 51조 2 항 2호

2. 문화 및 집회시설





//건축법 시행령 51조 (거실의 채광 등) 2항 2호
Check(EDBA_51_2_2){
	getBuildingUsage() = "CulturalAndAssemblyFacility"
} 














Modify
95
2783 건축법 시행령 제 51조 2 항 3호

3. 종교시설





//건축법 시행령 51조 (거실의 채광 등) 2항 3호
Check(EDBA_51_2_3){
	getBuildingUsage() = "ReligiousFacility"
} 














Modify
96
2784 건축법 시행령 제 51조 2 항 4호

4. 판매시설





Check(EDBA_51_2_4){

  getBuildingUsage()="CommercialFacility"

} 














Modify
97
2785 건축법 시행령 제 51조 2 항 5호

5. 운수시설





//건축법 시행령 51조 (거실의 채광 등) 2항 5호
Check(EDBA_51_2_5){
	getBuildingUsage() = "TransportationFacility"
} 














Modify
98
2786 건축법 시행령 제 51조 2 항 6호

6. 의료시설





//건축법 시행령 51조 (거실의 채광 등) 2항 6호
Check(EDBA_51_2_6){
	getBuildingUsage() = "MedicalFacility"
} 














Modify
99
2787 건축법 시행령 제 51조 2 항 7호

7. 교육연구시설 중 연구소





//건축법 시행령 51조 (거실의 채광 등) 2항 7호
Check(EDBA_51_2_7){
	getBuildingUsage() = "EducationAndResearchFacility.Laboratory"
} 














Modify
100
2788 건축법 시행령 제 51조 2 항 8호

8. 노유자시설 중 아동 관련 시설, 노인복지시설





//건축법 시행령 51조 (거실의 채광 등) 2항 8호
Check(EDBA_51_2_8){
	getBuildingUsage() = "FacilitiesForTheAgedAndChildren.ChildrenRelatedFacilities"
	OR getBuildingUsage() = "FacilitiesForTheAgedAndChildren.WelfareFacilitiesForTheAged"
} 














Modify
    1   2   3   4   next▷  
 
This is Design IT Lab server's restricted area. Authorized users could access this web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