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istry of Land, Infrasrtucture and Transport |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 Space and Design IT Lab | Hanyang University
Open BIM based Technological Environment for Building Design Quality Enhancement
1-2. 설계품질검증 자동화를 위한 각종 법규 및 제기준의 체계화된 논리규칙 데이터베이스 구축 - 건축물 설계품질 혁신을 위한 개방형 BIM 기술 환경 구축 | 국토교통부
  Home Welcome to BIM Project Website - Hanyang University
PAGE MENU   MainPage
전체법규 - 법규데이터베이스
- 대한민국 전체 법규 목록
- 설계품질검토 대상 관련법규
대상법규 - 문장 논리규칙체계화
- 조항단위 논리규칙체계
- 문장단위 논리규칙체계
주어부 - 객체.속성 데이터베이스
- 법규로부터의 객체.속성 분류
- 명칭DB: 객체 | 객체및속성
서술부 - 함수 데이터베이스
- 논리규칙화 함수 분류
- 논리규칙화 함수 DB
관계부 - 문장 내.외 관계논리
- 문장 내.외 관계유형분류
- 법규조항관계도:
1차년도 | 2차년도 | 3차년도
- 문장 내.외관계 논리체계화
문장단위 | 체크리스트 단위
KBIMCode 데이터베이스
- KBIMCode Lang. Definition
- KBIMCode Editor
- KBimCode Database:
문장단위 | 조항단위
- KBimLogic Applications
 
     HOME
설계품질검토용 건축법 및 관련법규 - KBIMCode (문장단위)
    1      
1 / 1 page Total 1,131/ 1,131 records    신규입력 엑셀저장
Select
ALL
None
#
ID
Law
Jo
JO Name
HANG
HO
MOK
Text
Search!
1
1199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3조 1 항 7호

7. 보일러의 연도는 내화구조로서 공동연도로 설치할 것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3조 (개별난방설비) 1항 7호

Check(RFB_13_1_7){

	KS

}

KS{

	isFireResistantStructure(GasDuct) = TRUE

	isShared(GasDuct) = TRUE

} 














Modify
2
1208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4조 2 항 1호

1. 배연구 및 배연풍도는 불연재료로 하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 원활하게 배연시킬 수 있는 규모로서 외기 또는 평상시에 사용하지 아니하는 굴뚝에 연결할 것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4조 (배연설비) 2항1호



Check(RFB_14_2_1){
Duct myDuct{
getObjectProperty(Duct.functionType) = "Exhaust"
}
	isObjectProperty(SmokeExhaustionOpening.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isObjectProperty(myDuct.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isConnectedToExternal(SmokeExhaustionOpening) = TRUE

        isConnectedToExternal(myDuct) = TRUE)

	OR( isConnectedTo(SmokeExhaustionOpening,Chimney) = TRUE

            isConnectedTo(myDuct,Chimney) = TRUE)

} 














Modify
3
134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8조 2 항

② 영 제34조제1항 단서에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공장"이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는 공장을 말한다. <신설 2010.4.7., 2013.3.23.>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8조 (직통계단의 설치기준) 2항



Check(REFB_8_2){

getObjectProperty(Building.usage)=“Factory.SemiconductorAndDisplayPanelManufacturingFactory"

} 














Modify
4
524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84조 1 항 15호

15. 생산녹지지역 : 20퍼센트 이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84조 (용도지역안에서의 건폐율) 1항 15호
Check(EDLPUA_84_1_15){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 "GreenProductionArea"
}

KS{
	getBuildingToLandRatio() <= 20
} 














Modify
5
5249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84조 1 항 18호

18. 생산관리지역 : 20퍼센트 이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84조 (용도지역안에서의 건폐율) 1항 18호
Check(EDLPUA_84_1_18){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 "ProductionManagementArea"
}

KS{
	getBuildingToLandRatio() <= 20
} 














Modify
6
5298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85조 1 항 15호

15. 생산녹지지역 : 50퍼센트 이상 100퍼센트 이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85조 (용도지역 안에서의 용적률) 1항 15호
Check(EDLPUA_85_1_15){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 "GreenProductionArea"
}

KS{
	getFloorAreaRatio() >= 50
	getFloorAreaRatio() <= 100
} 














Modify
7
530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85조 1 항 18호

18. 생산관리지역 : 50퍼센트 이상 80퍼센트 이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85조 (용도지역 안에서의 용적률) 1항 18호
Check(EDLPUA_85_1_18){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 "ProductionManagementArea"
}

KS{
	getFloorAreaRatio() >= 50
	getFloorAreaRatio() <= 80
} 














Modify
8
650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7조 1 항 2호 나 목

나. 생산관리지역: 20퍼센트 이하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1항 2호 나목
Check(LPUA_77_1_2_2){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Area.type) = "ProductionManagementArea"
}

KS{
	getObjectProperty(Building.buildingToLandRatio) = BTL
	BTL <= 20
} 














Modify
9
653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8조 1 항 2호 나 목

나. 생산관리지역: 80퍼센트 이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8조 (용도지역에서의 용적률) 1항 2호 나목

Check(LPUA_78_1_2_나){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ProductionManagementArea"
}

KS{
getFloorAreaRatio() <= 80%
}
 














Modify
10
9342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5조 1 항 2호

2.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된 덕트 또는 피트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5조 (배관 등) 1항 2호

Check(NFSC503_5_1_2){
	KS
}
KS{
	Duct myDcut{
	isFireResistantStructure(Duct) = TRUE
	}
	isInstalled(Pipe, Duct) = TRUE
	OR isInstalled(Pipe, Pit.Inside) = TRUE
} 














Modify
11
10346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제 14조 1호

1. 수직풍도는 내화구조로 하되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제3조제1호 또는 제2호의 기준 이상의 성능으로 할 것<개정 2013.9.3>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14조 (수직풍도에 따른 배출) 1호



Check(NFSC501A_14_0_1){

        KS

}



KS{

  Duct myDuct{

    isObjectProperty(Duct.isVerticalDuct)=TRUE

  }



  isFireResistantStructure(myDuct)=True

  getResult(REFB_3_0_1)=True

  OR getResult(REFB_3_0_2)=True

  

} 














Modify
12
10348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제 14조 3호

3. 각층의 옥내와 면하는 수직풍도의 관통부에는 다음 각목의 기준에 적합한 댐퍼 (이하 "배출댐퍼"라 한다)를 설치하여야 한다.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14조 (수직풍도에 따른 배출) 3호 



Check(NFSC501A_14_0_3){

        KS

}



KS{

      Duct myDuct{

    isObjectProperty(Duct.isVerticalDuct)=TRUE

          isExternal(Duct)=False

      }



      isInstalled(Damper, myDuct.PenetrationPart)=True 

      getResult(NFSC501A_14_0_3_가)=True

      getResult(NFSC501A_14_0_3_사)=True

      getResult(NFSC501A_14_0_3_아)=True

} 














Modify
13
10355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제 14조 3호 사 목

사. 개방 시의 실제개구부(개구율을 감안한 것을 말한다)의 크기는 수직풍도의 내부단면적과 같도록 할 것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14조 (수직풍도에 따른 배출) 3호 사목



Check(NFSC501A_14_0_1_사){

        KS

}



KS{

   Duct myDuct{

      isObjectProperty(Duct.isVerticalDuct)=TRUE

   }



   DOA= getObjectArea(myDuct.Opening)

   DISA=getObjectSectionArea(myDuct)



   DOA==DISA

} 














Modify
14
10356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제 14조 3호 아 목

아. 댐퍼는 풍도내의 공기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수직풍도의 내부로 돌출하지 않게 설치할 것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14조 (수직풍도에 따른 배출) 3호 아목



Check(NFSC501A_14_0_1_아){

        KS

}



KS{

   Duct myDuct{

      isObjectProperty(Duct.isVerticalDuct)=TRUE

   }



   hasObject(myDuct, Damper)=False

} 














Modify
15
10392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제 18조

제18조(급기풍도) 급기풍도(이하 "풍도"라 한다)의 설치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18조 (급기풍도)

Check(NFSC_18){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Duct.functionType)="급기"
}

KS{
  getResult(NFSC_18_0_1)=True
} 














Modify
16
10393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제 18조 1호

1. 수직풍도는 제14조제1호 및 제2호의 기준을 준용할 것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18조 (급기풍도) 1호

Check(NFSC501A_18_0_1){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Duct.type)="Verticle"
}

KS{
     getResult(NFSC501A_14_0_1)=True

} 














Modify
17
14353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 6조 2 항 2호

2.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된 덕트 또는 피트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Check(NFSC102_6_2_2){
	KS
}
KS{
	Duct myDcut{
	isFireResistantStructure(Duct) = TRUE
	}
	isInstalled(Pipe, Duct) = TRUE
	OR isInstalled(Pipe, Pit.Inside) = TRUE
}
 














Modify
18
14662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1 항

제10조(헤드) ① 스프링클러헤드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천장·반자·천장과 반자사이·덕트·선반 기타 이와 유사한 부분(폭이 1.2m를 초과하는 것에 한한다)에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폭이 9m 이하인 실내에 있어서는 측벽에 설치할 수 있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헤드) 1항



Check(NFSC_10_1){

KS2 AND IF CS THEN KS1





KS2{

Space mySpace1{

천장과반자사이

}

hasElement(SpecificFireFightingBuilding.Ceiling,SprinklerHead)= TRUE

hasElement(SpecificFireFightingBuilding.CeilingCovering,SprinklerHead)= TRUE

hasElement(SpecificFireFightingBuilding.mySpace1,SprinklerHead)= TRUE

hasElement(SpecificFireFightingBuilding.Duct,SprinklerHead)= TRUE

hasElement(SpecificFireFightingBuilding.Shelf,SprinklerHead)= TRUE

}



CS{

Space mySpace2{

isExternal(Space)= FALSE 

}

getSpaceWidth(Building.mySpace)<= 9m

}



KS1{

Wall myWall{

Wall.isSideWall=TRUE

}

hasElement(myWall,SprinklerSystem.Head)=TRUE

hasElement(myWall,SprinklerSystem.Head)=FALSE

} 














Modify
19
14665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3 항 1호

1. 무대부·「소방기본법시행령」별표 2의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에 있어서는 1.7m 이하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3항 1호



check(NFSC103_10_3_1){

IF CS THEN KS

}



Space mySpace1{

Space.usage="StagePart"

OR isObjectProperty(Space.hasSpecialCombustible)=TRUE

}

CS{

isExist(PlenumSpace)=TRUE

}

KS{

getHorizontalDistance(Ceiling | CeilingCovering | mySpace2 | Duct | Shelf,SprinklerSystem.Head)<=1.7m

} 














Modify
20
14666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3 항 2호

2. 랙크식 창고에 있어서는 2.5m 이하 다만,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랙크식 창고의 경우에는 1.7 m 이하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3항 2호



check(NFSC103_10_3_2){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Space mySpace1{

Space.usage="RackWarehouse"

Space mySpace2{

Space.usage="RackWarehouse"

isObjectProperty(Space.hasSpecialCombustible)=TRUE

}

CS1{

isExist(mySpace1)=TRUE

}

KS1{

getHorizontalDistance(Ceiling|CeilingCovering|PlenumSpace|Duct|Shelf,SprinklerHead)<=2.5m

}

CS2{

isExist(mySpace2)=TRUE

}

KS2{

getHorizontalDistance(Ceiling|CeilingCovering|PlenumSpace|Duct|Shelf,SprinklerHead)<=1.7m

} 














Modify
21
14667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3 항 3호

3. 공동주택(아파트) 세대 내의 거실에 있어서는 3.2m 이하(「스프링클러헤드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유효반경의 것으로 한다)<개정 2008.12.15, 2013.6.10>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3항 3호

check(NFSC103_10_3_3){

	IF (CS) THEN KS ENDIF

}



CS{

	getBuildingUsage() = "MultiUnitHouse"

}



KS{

	Space mySpace = getObject(Roo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Ceiling, SprinklerHead) <= 3.2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CeilingCover, SprinklerHead) <= 3.2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Duct, SprinklerHead) <= 3.2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Shelf, SprinklerHead) <= 3.2m

} 














Modify
22
14668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3 항 4호

4. 제1호부터 제3호까지 규정 외의 특정소방대상물에 있어서는 2.1m 이하(내화구조로 된 경우에는 2.3m 이하)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3항 4호
check(NFSC103_10_3_4){
	IF CS1 THEN IF (CS2) THEN KS ELSE KS2 ENDIF ENDIF
}

CS1{
	Space mySpace = getObject(특정소방대상물)
	getResult(_1) = False
	getResult(_2) = False
	getResult(_3) = False
}

CS2{
	isFireResistanceStructure(mySpace) = TRUE
}

KS1{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Ceiling, SprinklerHead) <= 2,3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CeilingCover, SprinklerHead) <= 2.3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Duct, SprinklerHead) <= 2.3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Shelf, SprinklerHead) <= 2.3m
}

KS2{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Ceiling, SprinklerHead) <= 2,1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CeilingCover, SprinklerHead) <= 2.1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Duct, SprinklerHead) <= 2.1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Shelf, SprinklerHead) <= 2.1m
} 














Modify
23
14772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5조 1 항 1호

1. 계단실(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을 포함한다)·경사로·승강기의 승강로·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파이프덕트 및 덕트피트(파이프·덕트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획된 구멍에 한한다)·목욕실·수영장(관람석부분을 제외한다)·화장실·직접 외기에 개방되어 있는 복도·기타 이와 유사한 장소<개정 2008.12.15, 2011.11.24>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5조 (헤드의 설치제외) 1항 1호
Check(NFSC103_15_1_1){
	KS
}

KS{
	getBuildingUsage() = "Stair.Space"
	OR getSpaceUsage() = "Ramp"
	OR getSpaceUsage() = "Elevator.ElevatorShaft"
	OR getSpaceUsage() = "EmergencyElevatorPlatform"
	OR getObjectProperty(Duct.isPipeDuct) = TRUE
	OR getObjectProperty(Pit.isPipePit) = TRUE
	OR getBuildingUsage() = "BathRoom"
	OR getBuildingUsage() = "SwimmingPool"
	OR getBuildingUsage() = "Toilet"
} 














Modify
24
14895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8조 2 항 2호

2.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된 덕트 또는 피트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Check(NFSC103A_8_2_2){
	KS
}
KS{
	Duct myDcut{
	isFireResistantStructure(Duct) = TRUE
	}
	isInstalled(Pipe, Duct) = TRUE
	OR isInstalled(Pipe, Pit.Inside) = TRUE
}

 














Modify
25
14955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9조 3호

3. 간이헤드를 설치하는 천장·반자·천장과 반자사이·덕트·선반 등의 각 부분으로부터 간이헤드까지의 수평거리는 2.3m(「스프링클러헤드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유효반경의 것으로 한다.)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성능이 별도로 인정된 간이헤드를 수리계산에 따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11.24, 2013.6.10>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9조 (간이헤드) 3호



Check(NFSC503A_9_0_3){

	KS

}

KS{

	getObjectDistance(SimpleSprinkler.Head, Ceiling | CeilingCovering | PlenumSpace | Duct | Shelf) <= 2.3m

} 














Modify
26
15362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제 7조 2 항 3호

3. 엘리베이터권상기실·린넨슈트·파이프 피트 및 덕트 기타 이와 유사한 장소<개정 2008.12.15>





//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7조 (감지기) 2항 2호
Check(NFSC203_7_2_3){
	IF CS THEN KS
}
CS{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t.isPipePit) = TRUE
	}
	Space mySace{
	getSpaceUsage(Space) = "ElevatorTractionMachineRoom"
	OR isInstalled(LinenChute,Space) = TRUE
	OR isInstalled(myPipe,Space) = TRUE
	OR isInstalled(Duct,Space) = TRUE
	}
}
KS{
	isInstalled(SmokeSensor,mySpace) = TRUE
}
 














Modify
27
15420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제 7조 4 항 2호

2. 전산실 또는 반도체 공장등 : 광전식공기흡입형감지기. 이 경우 설치장소·감지면적 및 공기흡입관의 이격거리등은 형식승인 내용에 따르며 형식승인 사항이 아닌 것은 제조사의 시방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7조 (감지기) 4항 2호

Check(NFSC203_7_4_2){
	IF CS THEN KS
}
CS{
	getSpaceUsage() = "ComputerRoom"
	OR getBuildingUsage() = "SemiconductorFactory"
}
KS{
	Sensor mySensor1{
	getObjectProperty(Sensor.sensingMode) = "PhotoelectricType"
	getObjectProperty(Sensor.sensingRange) = "AspiratingType"
	}
	isInstalled(mySensor1) = TRUE
} 














Modify
28
15427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제 7조 5 항 6호

6. 파이프덕트 등 그 밖의 이와 비슷한 것으로서 2개층 마다 방화구획된 것이나 수평단면적이 5㎡ 이하인 것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7조 (감지기) 5항 6호

Check(NFSC203_7_5_6){
	IF CS THEN KS
}
CS{
	Duct myDuct{
	isObjectProperty(Duct.isPipeDuct) = TRUE
	}
	isFirePartition(myDuct, 2층) = TRUE
	OR isObjectProperty(Duct.horizontalSectionalArea) <= 5m2
KS{
	isInstalled(Sensor) = FALSE
}
 














Modify
29
15519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제 5조 3 항 2호

2.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된 덕트 또는 피트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5조 (배관) 3항 2호

Check(NFSC502_5_3_2){
     KS
}

KS{
  Duct myDuct{
       isFireResistantStructure(Duct)=True 
  }
  Pit myPit{
      isFireResistantStructure(Pit)=True 
  }

  isInstalled(Pipe, myDuct)=True
  OR isInstalled(Pipe, myPit)=True
  
} 














Modify
    1      
 
This is Design IT Lab server's restricted area. Authorized users could access this web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