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199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3조 1 항 7호
7. 보일러의 연도는 내화구조로서 공동연도로 설치할 것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3조 (개별난방설비) 1항 7호
Check(RFB_13_1_7){
KS
}
KS{
isFireResistantStructure(GasDuct ) = TRUE
isShared(GasDuct ) = TRUE
}
Modify
2
1208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4조 2 항 1호
1. 배연구 및 배연풍도는 불연재료로 하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 원활하게 배연시킬 수 있는 규모로서 외기 또는 평상시에 사용하지 아니하는 굴뚝에 연결할 것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4조 (배연설비) 2항1호
Check(RFB_14_2_1){
Duct myDuct {
getObjectProperty(Duct .functionType) = "Exhaust"
}
isObjectProperty(SmokeExhaustionOpening.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isObjectProperty(myDuct .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isConnectedToExternal(SmokeExhaustionOpening) = TRUE
isConnectedToExternal(myDuct ) = TRUE)
OR( isConnectedTo(SmokeExhaustionOpening,Chimney) = TRUE
isConnectedTo(myDuct ,Chimney) = TRUE)
}
Modify
3
134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8조 2 항
② 영 제34조제1항 단서에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공장"이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는 공장을 말한다. <신설 2010.4.7., 2013.3.23.>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8조 (직통계단의 설치기준) 2항
Check(REFB_8_2){
getObjectProperty(Building.usage)=“Factory.SemiconductorAndDisplayPanelManufacturingFactory"
}
Modify
4
524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84조 1 항 15호
15. 생산녹지지역 : 20퍼센트 이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84조 (용도지역안에서의 건폐율) 1항 15호
Check(EDLPUA_84_1_15){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 "GreenProductionArea"
}
KS{
getBuildingToLandRatio() <= 20
}
Modify
5
5249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84조 1 항 18호
18. 생산관리지역 : 20퍼센트 이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84조 (용도지역안에서의 건폐율) 1항 18호
Check(EDLPUA_84_1_18){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 "ProductionManagementArea"
}
KS{
getBuildingToLandRatio() <= 20
}
Modify
6
5298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85조 1 항 15호
15. 생산녹지지역 : 50퍼센트 이상 100퍼센트 이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85조 (용도지역 안에서의 용적률) 1항 15호
Check(EDLPUA_85_1_15){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 "GreenProductionArea"
}
KS{
getFloorAreaRatio() >= 50
getFloorAreaRatio() <= 100
}
Modify
7
530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85조 1 항 18호
18. 생산관리지역 : 50퍼센트 이상 80퍼센트 이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85조 (용도지역 안에서의 용적률) 1항 18호
Check(EDLPUA_85_1_18){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 "ProductionManagementArea"
}
KS{
getFloorAreaRatio() >= 50
getFloorAreaRatio() <= 80
}
Modify
8
650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7조 1 항 2호 나 목
나. 생산관리지역: 20퍼센트 이하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1항 2호 나목
Check(LPUA_77_1_2_2){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Area.type) = "ProductionManagementArea"
}
KS{
getObjectProperty(Building.buildingToLandRatio) = BTL
BTL <= 20
}
Modify
9
653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8조 1 항 2호 나 목
나. 생산관리지역: 80퍼센트 이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8조 (용도지역에서의 용적률) 1항 2호 나목
Check(LPUA_78_1_2_나){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ProductionManagementArea"
}
KS{
getFloorAreaRatio() <= 80%
}
Modify
10
9342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5조 1 항 2호
2.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된 덕트 또는 피트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5조 (배관 등) 1항 2호
Check(NFSC503_5_1_2){
KS
}
KS{
Duct myDcut{
isFireResistantStructure(Duct ) = TRUE
}
isInstalled(Pipe, Duct ) = TRUE
OR isInstalled(Pipe, Pit.Inside) = TRUE
}
Modify
11
10346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제 14조 1호
1. 수직풍도는 내화구조로 하되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제3조제1호 또는 제2호의 기준 이상의 성능으로 할 것<개정 2013.9.3>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14조 (수직풍도에 따른 배출) 1호
Check(NFSC501A_14_0_1){
KS
}
KS{
Duct myDuct {
isObjectProperty(Duct .isVerticalDuct )=TRUE
}
isFireResistantStructure(myDuct )=True
getResult(REFB_3_0_1)=True
OR getResult(REFB_3_0_2)=True
}
Modify
12
10348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제 14조 3호
3. 각층의 옥내와 면하는 수직풍도의 관통부에는 다음 각목의 기준에 적합한 댐퍼 (이하 "배출댐퍼"라 한다)를 설치하여야 한다.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14조 (수직풍도에 따른 배출) 3호
Check(NFSC501A_14_0_3){
KS
}
KS{
Duct myDuct {
isObjectProperty(Duct .isVerticalDuct )=TRUE
isExternal(Duct )=False
}
isInstalled(Damper, myDuct .PenetrationPart)=True
getResult(NFSC501A_14_0_3_가)=True
getResult(NFSC501A_14_0_3_사)=True
getResult(NFSC501A_14_0_3_아)=True
}
Modify
13
10355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제 14조 3호 사 목
사. 개방 시의 실제개구부(개구율을 감안한 것을 말한다)의 크기는 수직풍도의 내부단면적과 같도록 할 것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14조 (수직풍도에 따른 배출) 3호 사목
Check(NFSC501A_14_0_1_사){
KS
}
KS{
Duct myDuct {
isObjectProperty(Duct .isVerticalDuct )=TRUE
}
DOA= getObjectArea(myDuct .Opening)
DISA=getObjectSectionArea(myDuct )
DOA==DISA
}
Modify
14
10356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제 14조 3호 아 목
아. 댐퍼는 풍도내의 공기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수직풍도의 내부로 돌출하지 않게 설치할 것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14조 (수직풍도에 따른 배출) 3호 아목
Check(NFSC501A_14_0_1_아){
KS
}
KS{
Duct myDuct {
isObjectProperty(Duct .isVerticalDuct )=TRUE
}
hasObject(myDuct , Damper)=False
}
Modify
15
10392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제 18조
제18조(급기풍도) 급기풍도(이하 "풍도"라 한다)의 설치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18조 (급기풍도)
Check(NFSC_18){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Duct .functionType)="급기"
}
KS{
getResult(NFSC_18_0_1)=True
}
Modify
16
10393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제 18조 1호
1. 수직풍도는 제14조제1호 및 제2호의 기준을 준용할 것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18조 (급기풍도) 1호
Check(NFSC501A_18_0_1){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Duct .type)="Verticle"
}
KS{
getResult(NFSC501A_14_0_1)=True
}
Modify
17
14353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 6조 2 항 2호
2.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된 덕트 또는 피트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Check(NFSC102_6_2_2){
KS
}
KS{
Duct myDcut{
isFireResistantStructure(Duct ) = TRUE
}
isInstalled(Pipe, Duct ) = TRUE
OR isInstalled(Pipe, Pit.Inside) = TRUE
}
Modify
18
14662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1 항
제10조(헤드) ① 스프링클러헤드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천장·반자·천장과 반자사이·덕트·선반 기타 이와 유사한 부분(폭이 1.2m를 초과하는 것에 한한다)에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폭이 9m 이하인 실내에 있어서는 측벽에 설치할 수 있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헤드) 1항
Check(NFSC_10_1){
KS2 AND IF CS THEN KS1
KS2{
Space mySpace1{
천장과반자사이
}
hasElement(SpecificFireFightingBuilding.Ceiling,SprinklerHead)= TRUE
hasElement(SpecificFireFightingBuilding.CeilingCovering,SprinklerHead)= TRUE
hasElement(SpecificFireFightingBuilding.mySpace1,SprinklerHead)= TRUE
hasElement(SpecificFireFightingBuilding.Duct ,SprinklerHead)= TRUE
hasElement(SpecificFireFightingBuilding.Shelf,SprinklerHead)= TRUE
}
CS{
Space mySpace2{
isExternal(Space)= FALSE
}
getSpaceWidth(Building.mySpace)<= 9m
}
KS1{
Wall myWall{
Wall.isSideWall=TRUE
}
hasElement(myWall,SprinklerSystem.Head)=TRUE
hasElement(myWall,SprinklerSystem.Head)=FALSE
}
Modify
19
14665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3 항 1호
1. 무대부·「소방기본법시행령」별표 2의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에 있어서는 1.7m 이하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3항 1호
check(NFSC103_10_3_1){
IF CS THEN KS
}
Space mySpace1{
Space.usage="StagePart"
OR isObjectProperty(Space.hasSpecialCombustible)=TRUE
}
CS{
isExist(PlenumSpace)=TRUE
}
KS{
getHorizontalDistance(Ceiling | CeilingCovering | mySpace2 | Duct | Shelf,SprinklerSystem.Head)<=1.7m
}
Modify
20
14666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3 항 2호
2. 랙크식 창고에 있어서는 2.5m 이하 다만,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랙크식 창고의 경우에는 1.7 m 이하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3항 2호
check(NFSC103_10_3_2){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Space mySpace1{
Space.usage="RackWarehouse"
Space mySpace2{
Space.usage="RackWarehouse"
isObjectProperty(Space.hasSpecialCombustible)=TRUE
}
CS1{
isExist(mySpace1)=TRUE
}
KS1{
getHorizontalDistance(Ceiling|CeilingCovering|PlenumSpace|Duct |Shelf,SprinklerHead)<=2.5m
}
CS2{
isExist(mySpace2)=TRUE
}
KS2{
getHorizontalDistance(Ceiling|CeilingCovering|PlenumSpace|Duct |Shelf,SprinklerHead)<=1.7m
}
Modify
21
14667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3 항 3호
3. 공동주택(아파트) 세대 내의 거실에 있어서는 3.2m 이하(「스프링클러헤드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유효반경의 것으로 한다)<개정 2008.12.15, 2013.6.10>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3항 3호
check(NFSC103_10_3_3){
IF (CS) THEN KS ENDIF
}
CS{
getBuildingUsage() = "MultiUnitHouse"
}
KS{
Space mySpace = getObject(Roo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Ceiling, SprinklerHead) <= 3.2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CeilingCover, SprinklerHead) <= 3.2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Duct , SprinklerHead) <= 3.2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Shelf, SprinklerHead) <= 3.2m
}
Modify
22
14668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3 항 4호
4. 제1호부터 제3호까지 규정 외의 특정소방대상물에 있어서는 2.1m 이하(내화구조로 된 경우에는 2.3m 이하)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3항 4호
check(NFSC103_10_3_4){
IF CS1 THEN IF (CS2) THEN KS ELSE KS2 ENDIF ENDIF
}
CS1{
Space mySpace = getObject(특정소방대상물)
getResult(_1) = False
getResult(_2) = False
getResult(_3) = False
}
CS2{
isFireResistanceStructure(mySpace) = TRUE
}
KS1{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Ceiling, SprinklerHead) <= 2,3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CeilingCover, SprinklerHead) <= 2.3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Duct , SprinklerHead) <= 2.3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Shelf, SprinklerHead) <= 2.3m
}
KS2{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Ceiling, SprinklerHead) <= 2,1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CeilingCover, SprinklerHead) <= 2.1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Duct , SprinklerHead) <= 2.1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Shelf, SprinklerHead) <= 2.1m
}
Modify
23
14772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5조 1 항 1호
1. 계단실(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을 포함한다)·경사로·승강기의 승강로·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파이프덕트 및 덕트피트(파이프·덕트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획된 구멍에 한한다)·목욕실·수영장(관람석부분을 제외한다)·화장실·직접 외기에 개방되어 있는 복도·기타 이와 유사한 장소<개정 2008.12.15, 2011.11.24>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5조 (헤드의 설치제외) 1항 1호
Check(NFSC103_15_1_1){
KS
}
KS{
getBuildingUsage() = "Stair.Space"
OR getSpaceUsage() = "Ramp"
OR getSpaceUsage() = "Elevator.ElevatorShaft"
OR getSpaceUsage() = "EmergencyElevatorPlatform"
OR getObjectProperty(Duct .isPipeDuct ) = TRUE
OR getObjectProperty(Pit.isPipePit) = TRUE
OR getBuildingUsage() = "BathRoom"
OR getBuildingUsage() = "SwimmingPool"
OR getBuildingUsage() = "Toilet"
}
Modify
24
14895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8조 2 항 2호
2.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된 덕트 또는 피트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Check(NFSC103A_8_2_2){
KS
}
KS{
Duct myDcut{
isFireResistantStructure(Duct ) = TRUE
}
isInstalled(Pipe, Duct ) = TRUE
OR isInstalled(Pipe, Pit.Inside) = TRUE
}
Modify
25
14955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9조 3호
3. 간이헤드를 설치하는 천장·반자·천장과 반자사이·덕트·선반 등의 각 부분으로부터 간이헤드까지의 수평거리는 2.3m(「스프링클러헤드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유효반경의 것으로 한다.)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성능이 별도로 인정된 간이헤드를 수리계산에 따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11.24, 2013.6.10>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9조 (간이헤드) 3호
Check(NFSC503A_9_0_3){
KS
}
KS{
getObjectDistance(SimpleSprinkler.Head, Ceiling | CeilingCovering | PlenumSpace | Duct | Shelf) <= 2.3m
}
Modify
26
15362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제 7조 2 항 3호
3. 엘리베이터권상기실·린넨슈트·파이프 피트 및 덕트 기타 이와 유사한 장소<개정 2008.12.15>
//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7조 (감지기) 2항 2호
Check(NFSC203_7_2_3){
IF CS THEN KS
}
CS{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t.isPipePit) = TRUE
}
Space mySace{
getSpaceUsage(Space) = "ElevatorTractionMachineRoom"
OR isInstalled(LinenChute,Space) = TRUE
OR isInstalled(myPipe,Space) = TRUE
OR isInstalled(Duct ,Space) = TRUE
}
}
KS{
isInstalled(SmokeSensor,mySpace) = TRUE
}
Modify
27
15420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제 7조 4 항 2호
2. 전산실 또는 반도체 공장등 : 광전식공기흡입형감지기. 이 경우 설치장소·감지면적 및 공기흡입관의 이격거리등은 형식승인 내용에 따르며 형식승인 사항이 아닌 것은 제조사의 시방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7조 (감지기) 4항 2호
Check(NFSC203_7_4_2){
IF CS THEN KS
}
CS{
getSpaceUsage() = "ComputerRoom"
OR getBuildingUsage() = "SemiconductorFactory"
}
KS{
Sensor mySensor1{
getObjectProperty(Sensor.sensingMode) = "PhotoelectricType"
getObjectProperty(Sensor.sensingRange) = "AspiratingType"
}
isInstalled(mySensor1) = TRUE
}
Modify
28
15427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제 7조 5 항 6호
6. 파이프덕트 등 그 밖의 이와 비슷한 것으로서 2개층 마다 방화구획된 것이나 수평단면적이 5㎡ 이하인 것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7조 (감지기) 5항 6호
Check(NFSC203_7_5_6){
IF CS THEN KS
}
CS{
Duct myDuct {
isObjectProperty(Duct .isPipeDuct ) = TRUE
}
isFirePartition(myDuct , 2층) = TRUE
OR isObjectProperty(Duct .horizontalSectionalArea) <= 5m2
KS{
isInstalled(Sensor) = FALSE
}
Modify
29
15519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제 5조 3 항 2호
2.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된 덕트 또는 피트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5조 (배관) 3항 2호
Check(NFSC502_5_3_2){
KS
}
KS{
Duct myDuct {
isFireResistantStructure(Duct )=True
}
Pit myPit{
isFireResistantStructure(Pit)=True
}
isInstalled(Pipe, myDuct )=True
OR isInstalled(Pipe, myPit)=True
}
Modif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