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istry of Land, Infrasrtucture and Transport |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 Space and Design IT Lab | Hanyang University
Open BIM based Technological Environment for Building Design Quality Enhancement
1-2. 설계품질검증 자동화를 위한 각종 법규 및 제기준의 체계화된 논리규칙 데이터베이스 구축 - 건축물 설계품질 혁신을 위한 개방형 BIM 기술 환경 구축 | 국토교통부
  Home Welcome to BIM Project Website - Hanyang University
PAGE MENU   MainPage
전체법규 - 법규데이터베이스
- 대한민국 전체 법규 목록
- 설계품질검토 대상 관련법규
대상법규 - 문장 논리규칙체계화
- 조항단위 논리규칙체계
- 문장단위 논리규칙체계
주어부 - 객체.속성 데이터베이스
- 법규로부터의 객체.속성 분류
- 명칭DB: 객체 | 객체및속성
서술부 - 함수 데이터베이스
- 논리규칙화 함수 분류
- 논리규칙화 함수 DB
관계부 - 문장 내.외 관계논리
- 문장 내.외 관계유형분류
- 법규조항관계도:
1차년도 | 2차년도 | 3차년도
- 문장 내.외관계 논리체계화
문장단위 | 체크리스트 단위
KBIMCode 데이터베이스
- KBIMCode Lang. Definition
- KBIMCode Editor
- KBimCode Database:
문장단위 | 조항단위
- KBimLogic Applications
 
     HOME
설계품질검토용 건축법 및 관련법규 - KBIMCode (문장단위)
    1      
1 / 1 page Total 1,131/ 1,131 records    신규입력 엑셀저장
Select
ALL
None
#
ID
Law
Jo
JO Name
HANG
HO
MOK
Text
Search!
1
9259 소화기구 및 자동 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 제 4조 8호 가 목

가. 분사헤드의 설치 높이는 방호구역의 바닥으로부터 최소 0.2m 이상 최대 3.7m 이하로 하여야 한다. 다만, 별도의 높이로 형식승인 받은 경우에는 그 범위 내에서 설치할 수 있다.





//소화기구 및 자동 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 4조 (설치기준) 1항 8호 가목
Check(NFSC101_4_1_8_가){
	KS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ProtectionZone)=TRUE
}

02.m <= getObjectVerticalDistance(myZone.FloorSlab, AutomaticFireExtinguishingEquipment.Head, a) <= 3.7m
	 














Modify
2
9325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4조 1 항 2호

2. 송수구는 구경 65㎜의 쌍구형으로 설치할 것. 다만, 하나의 송수구역에 부착하는 살수헤드의 수가 10개 이하인 것은 단구형의 것으로 할 수 있다.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4조 (송수구 등) 1항 2호



Check(NFSC503_4_1_2){

 IF CS THEN KS 

}

CS{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WaterSupplyZone)=TRUE

 }

 hasObject(myZone.One,HookingUpSprinklerSystem.Head.)=TRUE

 getObjectCount(HookingUpSprinklerSystem.Head.) <= 10  

}

KS{

 Port myPort{
getObjectProperty(Port.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getObjectProperty(Port.typeForWater) = "FireDepartmentConnection" 

 }

 isObjectProperty(myPort.diameter) = 65mm

 getObjectProperty(myPort.shapeType) = "DoubleType"

} 














Modify
3
9326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4조 1 항 3호

3. 개방형헤드를 사용하는 송수구의 호스접결구는 각 송수구역마다 설치할 것. 다만, 송수구역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각 송수구역의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4조 (송수구 등) 1항 3호



Check(NFSC503_4_1_3){

 IF !CS THEN KS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WaterSupplyZone)=TRUE

	}

CS{

	Valve myValve{

	isObjectProerpty(Valve.isSelectionValve) = TRUE

	}

	isInstalled(myValve) = TRUE

	hasObject(myZone,MainStructuralPart) = TRUE

	isFireResistantStructure(MainStructuralPart) = TRUE

}

KS{

	 Port myPort{
getObjectProperty(Port.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getObjectProperty(Port.typeForWater) = "FireDepartmentConnection" 

 }

	Head myHead{

	getObjectProperty(Head.openAndCloseType) = "OpenType"

	}

	isInstalled(myPort.호스접결구, myZone.One) = TRUE

} 














Modify
4
9336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4조 3 항 1호

1. 폐쇄형헤드를 사용하는 설비의 경우에는 송수구·자동배수밸브·체크밸브의 순으로 설치할 것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4조 (송수구 등) 3항 1호



Check(NFSC503_4_3_1){

	IF CS THEN KS

}

CS{

	Head myHead{

	getObjectProperty(Head.openAndCloseType) = "EnclosedType"	

	}

	getObjectProperty(myHead.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KS{

	Port myPort{ 
getObjectProperty(Port.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getObjectProperty(Port.typeForWater) = "FireDepartmentConnection" 

 	}

 	Valve myValve1{

	isObjectProperty(Valve.isAutomiaticDeliveryValve) = TRUE

	}

	Valve myValve2{

	isObjectProperty(Valve.isCheckValve) = TRUE

	}



	isInstalledInOrder(myPort, myValve1, myValve2) = TRUE

} 














Modify
5
9337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4조 3 항 2호

2. 개방형헤드를 사용하는 설비의 경우에는 송수구·자동배수밸브의 순으로 설치할 것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4조 (송수구 등) 3항 2호



Check(NFSC503_4_3_2){

	IF CS THEN KS

}

CS{

	Head myHead{

	getObjectProperty(Head.openAndCloseType) = "OpenType"	

	}

	getObjectProperty(myHead.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KS{

	Port myPort{ 
getObjectProperty(Port.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getObjectProperty(Port.typeForWater) = "FireDepartmentConnection" 

 	}

 	Valve myValve1{

	isObjectProperty(Valve.isAutomiaticDeliveryValve) = TRUE

	}



	isInstalledInOrder(myPort, myValve1) = TRUE

} 














Modify
6
9339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4조 4 항

④개방형헤드를 사용하는 연결살수설비에 있어서 하나의 송수구역에 설치하는 살수헤드의 수는 10개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4조 (송수구 등) 4항

Check(NFSC503_4_4){
	IF CS THEN KS
}
CS{
	Head myHead{
	getObjectProperty(Head.openAndCloseType) = "OpenType"	
	}
	getObjectProperty(myHead.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KS{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WaterSupplyZone) = TRUE
	}
	Head myHead{
	isInstalled(HookingUpSprinklerSystem.Head, myZone.One) = TRUE
	}

	getObjectCount(myHead) <= 10
} 














Modify
7
9345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5조 2 항 1호

1. 연결살수설비 전용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 표에 따른 구경 이상으로 할 것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5조 (배관 등) 2항 1호



Check(NFSC503_5_2_1){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Head.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isObjectProperty(Head.isShared) = FALSE 

}

KS{

	Head myHead{

	isInstalled(Head., Pipe.One) = TRUE

	}

	NH = getObjectCount(myHead)



	IF NH = 1 THEN getObjectDiameter(Pipe) >= 32mm

	ELSE IF NH = 2 THEN getObjectDiameter(Pipe) >= 40mm

	ELSE IF NH = 3 THEN getObjectDiameter(Pipe) >= 50mm

	ELSE IF NH = 4 OR NH = 5 THEN getObjectDiameter(Pipe) >= 65mm

	ELSE IF NH >= 6 AND HN <= 10 THEN getObjectDiameter(Pipe) >= 80mm

} 














Modify
8
9346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5조 2 항 1호

(표)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5조 (배관 등) 2항 1호



Check(NFSC503_5_2_1){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Head.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isObjectProperty(Head.isShared) = FALSE 

}

KS{

	Head myHead{

	isInstalled(HookingUpSprinklerSystem.Head., Pipe.One) = TRUE

	}

	NH = getObjectCount(myHead)



	IF NH = 1 THEN getObjectDiameter(Pipe) >= 32mm

	ELSE IF NH = 2 THEN getObjectDiameter(Pipe) >= 40mm

	ELSE IF NH = 3 THEN getObjectDiameter(Pipe) >= 50mm

	ELSE IF NH = 4 OR NH = 5 THEN getObjectDiameter(Pipe) >= 65mm

	ELSE IF NH >= 6 AND HN <= 10 THEN getObjectDiameter(Pipe) >= 80mm

} 














Modify
9
9347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5조 2 항 2호

2.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별표 1의 기준에 따를 것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5조 (배관 등) 2항 2호



Check(NFSC503_5_2_2){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SprinklerSystem.Head.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KS{

	getResult(NFSC103_*_1) = TRUE

} 














Modify
10
9348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5조 3 항

③폐쇄형헤드를 사용하는 연결살수설비의 주배관은 옥내소화전설비의 주배관(옥내소화전설비가 설치된 경우에 한한다) 및 수도배관(연결살수설비가 설치된 건축물 안에 설치된 수도배관 중 구경이 가장 큰 배관을 말한다) 또는 옥상에 설치된 수조(다른 설비의 수조를 포함한다)에 접속하여야 한다. 이 경우 연결살수설비의 주배관과 옥내소화전설비의 주배관·수도배관·옥상에 설치된 수조의 접속부분에는 체크밸브를 설치하되, 점검하기 쉽게 하여야 한다.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5조 (배관 등) 3항



Check(NFSC503_5_3){

	IF CS THEN KS

}

	Head myHead{

	isObjectProperty(Head.openAndCloseType) = "EnclosedType"

	}

	Pipe myPipe1{

	isObjectProperty(Pipe.isRiser) = TRUE

	isObjectProperty(myPipe.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CS{

	isInstalled(myHead, myPipe1) = TRUE

}

KS{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Riser) = TRUE

	isObjectProperty(myPipe.systemType) = "IndoorFireHydrantSystem"

	}

	Tank myTank{

	isInstalled(Tank, Rooftop) = TRUE

	}

	Pipe myPipe3{
	Pipe.isForWater = TRUE

	연결살수설비가 설치된 건축물 안에 설치된 수도배관 중 구경이 가장 큰 배관

	}

	Valve myValve{

	isObjectProperty(Valve.isCheckValve) = TRUE

	}

	(isConnectedTo(myPipe1, myPipe2) = TRUE

	isInstalled(myValve, myPipe1) = TRUE

	isInstalled(myValve, myPipe2) = TRUE)



	OR (isConnectedTo(myPipe1, myPipe3) = TRUE

	isInstalled(myValve, myPipe1) = TRUE

	isInstalled(myValve, myPipe3) = TRUE)



	OR (isConnectedTo(myPipe1, myTank) = TRUE

	isInstalled(myValve, myPipe1) = TRUE

	isInstalled(myValve, myTank) = TRUE)

} 














Modify
11
9349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5조 4 항

④폐쇄형헤드를 사용하는 연결살수설비에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른 시험배관을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12.8.20>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5조 (배관 등) 4항

Check(NFSC503_5_4){
	IF CS THEN KS
}
CS{
	Head myHead{
	isObjectProperty(Head.openAndCloseType) = "EnclosedType"
	}
	isObjectProperty(myHead.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KS{
	isInstalled(myPipe) = TRUE
	getResult(NFSC503_5_4_1) = TRUE
	getResult(NFSC503_5_4_2) = TRUE
} 














Modify
12
9352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5조 5 항

⑤개방형헤드를 사용하는 연결살수설비의 수평주행배관은 헤드를 향하여 상향으로 100분의 1 이상의 기울기로 설치하고 주배관중 낮은 부분에는 자동배수밸브를 제4조제3항제3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12.8.20>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5조 (배관 등) 5항



Check(NFSC503_5_5){

	IF CS THEN KS

}

CS{

	Head myHead{

	isObjectProperty(Head.openAndCloseType) = "OpenType"

	}

	isInstalled(myHead, HookingUpSprinklerSystem) = TRUE

}

KS{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FeedMains) = TRUE
getObjectProperty(Pipe.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두 객체의 기울기(myPipe, Head) >= 1/100

} 














Modify
13
9353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5조 6 항

⑥가지배관 또는 교차배관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가지배관의 배열은 토너멘트방식이 아니어야 하며, 가지배관은 교차배관 또는 주배관에서 분기되는 지점을 기점으로 한 쪽 가지배관에 설치되는 헤드의 개수는 8개 이하로 하여야 한다.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5조 (배관 등) 6항

Check(NFSC503_5_6){
	IF CS THEN KS
}

	Pipe myPipe1{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CrossMains) = TRUE
	}
	Pipe myPipe3{
	isObjectProperty(Pipe.isRiser) = TRUE
	}
CS{
	isInstalled(myPipe1) = TRUE 
	OR isInstalled(myPipe2) = TRUE
}
KS{
	Head myHead{
	isInstalled(Head, myPipe1.DivergedSide.One) = TRUE
	}
	isObjectProperty(myPipe1.tournamentArrangement) = FALSE
	getObjectCount(myHead) <= 8
} 














Modify
14
9356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5조 9 항

⑨연결살수설비 교차배관의 위치·청소구 및 가지배관의 헤드설치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른다. <개정 2012.8.20>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5조 (배관 등) 9항

Check(NFSC503_5_9){
	IF CS THEN KS
}
CS{
	Pipe myPipe1{
	isObjectProperty(Pipe.isCrossMains) = TRUE
	isObjectProperty(Pipe.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isObjectProperty(Pipe.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CleanOut myCleanOut{
	isObjectProperty(CleanOut.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isInstalled(myPipe1) = TRUE
	OR isInstalled(myPipe2.Head) = TRUE
	OR (isInstalled(myCleanOut) = TRUE 

}
KS{
	getResult(NFSC503_5_9_1) = TRUE
	getResult(NFSC503_5_9_2) = TRUE
	getResult(NFSC503_5_9_3) = TRUE
} 














Modify
15
9358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5조 9 항 2호

2. 폐쇄형헤드를 사용하는 연결살수설비의 청소구는 주배관 또는 교차배관(교차배관을 설치하는 경우에 한한다) 끝에 40㎜ 이상 크기의 개폐밸브를 설치하고, 호스접결이 가능한 나사식 또는 고정배수 배관식으로 할 것. 이 경우 나사식의 개폐밸브는 옥내소화전 호스접결용의 것으로 하고, 나사보호용의 캡으로 마감하여야 한다.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5조 (배관 등) 9항 2호

Check(NFSC503_5_9_2){
	IF CS THEN KS
}
CS{
	Head myHead{
	isObjectProperty(Head.openAndCloseType)="EnclosedType"
	}
	isObjectProperty(myHead.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KS{
	Pipe myPipe1{
	isObjectProperty(Pipe.isRiser) = TRUE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CrossMains) = TRUE
	}
	Valve myValve{
	isObjectProperty(Valve.isShutoffValve) = TRUE
	getObjectLength(Valve) >= 40mm
	}
	getObjectProperty(myValve.Type) = "나사식" 
	getObjectProperty(myValve.usage) = "옥내소화전 호스접결용"
} 














Modify
16
9359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5조 9 항 3호

3. 폐쇄형헤드를 사용하는 연결살수설비에 하향식헤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가지배관으로부터 헤드에 이르는 헤드접속배관은 가지관상부에서 분기할 것. 다만, 소화설비용 수원의 수질이 「먹는물관리법」 제5조에 따라 먹는물의 수질기준에 적합하고 덮개가 있는 저수조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경우에는 가지배관의 측면 또는 하부에서 분기할 수 있다.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5조 (배관 등) 9항 3호

Check(NFSC503_5_9_3){
	IF CS THEN KS
}
	Head myHead1{
	isObjectProperty(Head.openAndCloseType) = "EnclosedType"
	}
	Head myHead2{
	isObjectProperty(myHead.installationDirectionType) = "TopDownType"
	}
CS{
	isObjectProperty(myHead1.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isInstalled(myHead2, HookingUpSprinklerSystem) = TRUE
}
KS{
	Pipe myPipe1{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
	Pipe myPipe2{
	isConnectedTo(Pipe, myPipe1) = TRUE
	isConnectedTo(Pipe, myHead2) = TRUE
	}
	getObjectVerticalLocation(myPipe2, myPipe1) > 0
} 














Modify
17
9361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5조 10 항 1호

1. 가지배관에는 헤드의 설치지점 사이마다 1개 이상의 행가를 설치하되, 헤드간의 거리가 3.5 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3.5m 이내마다 1개 이상 설치할 것. 이 경우 상향식헤드와 행가 사이에는 8 ㎝ 이상의 간격을 두어야 한다.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5조 (배관 등) 10항 1호

Check(NFSC503_5_10_1){
      KS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True
}
Head myHead{
   getObjectProperty(Head.installationDirectionType)="BottomUpType"
}

KS{
    isInstalled(Hanger, myPipe, "헤드의 설치지점 사이")=True
    IF getObjectDistance(Head)>3.5 m
    THEN isInstalled(Hanger, myPipe, 3.5 m)=True
         getObjectDistance(myHead, Hanger)>8 cm

    getResult(NFSC503_5_10_3)=True
} 














Modify
18
9366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6조 1 항

제6조(연결살수설비의 헤드) ①연결살수설비의 헤드는 연결살수설비전용헤드 또는 스프링클러헤드로 설치하여야 한다.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6조 (배관 등) 1항
Check(NFSC503_6_1){
	KS
}

KS{
	getObjectProperty(HookingUpSprinklerSystem.Head) = "SprinklerHead"
} 














Modify
19
9368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6조 2 항 1호

1. 천장 또는 반자의 실내에 면하는 부분에 설치할 것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6조 (연결살수설비의 헤드) 2항 1호
Check(NFSC503_6_2_1){
	KS
}

KS{
	SprinklerHead mySprinklerHead{
		isInstalled(SprinklerHead, HookingUpSprinklerSystem) = TRUE
	}

	isAdjacent(mySprinklerHead.Head.AttachingToSurface, Indoors) = TRUE
	(isAdjacent(mySprinklerHead.Head.AttachingToSurface, Ceiling) = TRUE
	OR isAdjacent(mySprinklerHead.Head.AttachingToSurface, CeilingCovering) = TRUE)
} 














Modify
20
9369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6조 2 항 2호

2. 천장 또는 반자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살수헤드까지의 수평거리가 연결살수설비전용헤드의 경우은 3.7m 이하, 스프링클러헤드의 경우는 2.3m 이하로 할 것. 다만, 살수헤드의 부착면과 바닥과의 높이가 2.1m 이하인 부분은 살수헤드의 살수분포에 따른 거리로 할 수 있다.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6조 (연결살수설비의 헤드) 2항 2호
Check(NFSC503_6_2_2){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Head myHead{
		isObjectProperty(HookingUpSprinklerSystem.Head.isShared) = FALSE
	}
	isExist(myHead) = TRUE
}

KS1{
	getObjectDistance(Ceiling, HookingUpSprinklerSystem.Head) <= 3.7m
	OR getObjectDistance(CeilingCovering, HookingUpSprinklerSystem.Head) <= 3.7m
}

CS2{
	isExist(SprinklerHead) = TRUE
}

KS2{
	getObjectDistance(Ceiling, SprinklerSystem) <= 2.3m
	OR getObjectDistance(CeilingCovering, SprinklerSystem) <= 2.3m
} 














Modify
21
9370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6조 3 항

③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2항의 규정 외에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12.8.20>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6조 (연결살수설비의 헤드) 3항

Check(NFSC503_6_3){

	IF CS THEN KS

}



CS{

	Head  myHead{

		getObjectProperty(SprinklerSystem.Head.openAndCloseType) = "EnclosedType"

	}

	isExist(myHead) = TRUE

}



KS{

	getResult(NFSC503_6_3_2) = TRUE

	getResult(NFSC503_6_3_3) = TRUE

	getResult(NFSC503_6_3_5) = TRUE

	getResult(NFSC503_6_3_6) = TRUE

} 














Modify
22
9373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6조 3 항 2호

2. 살수가 방해되지 아니하도록 스프링클러헤드로부터 반경 60㎝ 이상의 공간을 보유할 것. 다만, 벽과 스프링클러헤드간의 공간은 10㎝이상으로 한다.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6조 (연결살수설비의 헤드) 3항 2호
Check(NFSC503_6_3_2){
	KS
}

KS{
	isVacant(SprinklerHead,a, 60) = TRUE
	getObjectDistance(Wall, SprinklerHead) >= 10CM
} 














Modify
23
9374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6조 3 항 3호

3. 스프링클러헤드와 그 부착면(상향식헤드의 경우에는 그 헤드의 직상부의 천장·반자 또는 이와 비슷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과의 거리는 30㎝ 이하로 할 것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6조 (연결살수설비의 헤드) 3항 3호
Check(NFSC503_6_3_3){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getObjectProperty(SprinklerHead) != "BottomUpType"
}

KS1{
	getObjectDistance(SprinklerHead.AttachingToSurface, SprinklerHead) <= 30CM
}

CS2{
	getObjectProperty(SprinklerHead) = "BottomUpType"
}

KS2{
	getObjectVerticalDistance(Ceiling, SprinklerHead) <= 30CM
} 














Modify
24
9376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6조 3 항 5호

5. 스프링클러헤드의 반사판은 그 부착면과 평행하게 설치할 것. 다만, 측벽형헤드 또는 제7호에 따라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헤드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6조 (연결살수설비의 헤드) 3항 5호

Check(NFSC503_6_3_5){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SprinklerSystem.Head.shapeType) = "SideWallType"

}



KS{

	isParallel(SprinklerSystem.Head.Deflector, SprinklerSystem.Head.AttachingToSurface) = TRUE

} 














Modify
25
9378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6조 3 항 6호 가 목

가. 천장의 최상부에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최상부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헤드의 반사판을 수평으로 설치할 것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6조 (연결살수설비의 헤드) 3항 6호 가목

Check(NFSC503_6_3_6_1){

	IF CS THEN KS

}



CS{

	hasObject(Celing, SprinklerSystem.Head) = TRUE

}



KS{

	isParallel(Ceiling, SprinklerSystem.Head.Deflector) = TRUE

} 














Modify
26
9379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6조 3 항 6호 나 목

나. 천장의 최상부를 중심으로 가지관을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최상부의 가지관 상호간의 거리가 가지관상의 스프링클러헤드 상호간의 거리의 2분의 1이하(최소 1m 이상이 되어야 한다)가 되게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고, 가지관의 최상부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헤드는 천장의 최상부로부터의 수직거리가 90㎝ 이하가 되도록 할 것. 톱날지붕, 둥근지붕 기타 이와 유사한 지붕의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6조 (연결살수설비의 헤드) 3항 6호 나목

Check(NFSC503_6_3_6_2){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hasObject(Ceiling, SprinklerHead.Deflector) = TRUE

	getObjectWidth(SprinklerHead, c) = SH

	getObjectWidth(SprinklerHead.Deflector) = SHD

	SH*0.5 < 1m

}



KS1{

	getObjectWidth(SprinklerHead.Deflector) = 1m

	getVerticalObjectDistance(SprinklerHead, Ceiling) <= 90cm

}



CS2{

	hasObject(Ceiling, SprinklerSystemHead.Deflector) = TRUE

	getObjectWidth(SprinklerSystemHead, c) = SH

	getObjectWidth(SprinklerSystemHead.Deflector) = SHD

	SH*0.5 >= 1m

}



KS2{

	getObjectWidth(SprinklerSystemHead.Deflector) = SHD

	SHD <= SH*0.5

	getVerticalObjectDistance(SprinklerSystemHead, Ceiling) <= 90cm

} 














Modify
27
9380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6조 3 항 7호

7.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에는 그 상하좌우에 2.5m 간격으로(개구부의 폭이 2.5m 이하인 경우에는 그 중앙에)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되, 스프링클러헤드와 개구부의 내측면으로부터의 직선거리는 15㎝ 이하가 되도록 할 것. 이 경우 사람이 상시 출입하는 개구부로서 통행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개구부의 상부 또는 측면(개구부의 폭이 9m 이하인 경우에 한한다)에 설치하되, 헤드 상호간의 간격은 1.2m 이하로 설치하여야 한다.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6조 (연결살수설비의 헤드) 3항 7호

Check(NFSC503_6_3_7){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Opening myOpening{

		isObjectProperty(Opening.isFireSpreading) = TRUE

	}

	isExist(myOpening) = TRUE

	getObjectWidth(myOpening, a) > 2.5m

}



KS1{

	(getObjectDistance(myOpening.InsideSurface, SprinklerSystem.Head) <= 15cm

	getObjectWidth(SprinklerSystem.Head, a) = 2.5m)

	OR (getObjectWidth(myOpening) <= 9m

	getObjectDistance(myOpening.InsideSurface, SprinklerSystem.Head) <= 15cm

	getObjectWidth(SprinklerSystem.Head, a) <= 1.2m)

}



CS2{

	Opening myOpening{

		isObjectProperty(Opening.isFireSpreading) = TRUE

	}

	isExist(myOpening) = TRUE

	getObjectWidth(myOpening, a) <= 2.5m

}



KS2{

	hasObject(myOpening, SprinklerSystem.Head) = TRUE

} 














Modify
28
9381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6조 3 항 8호

8. 습식 연결살수설비외의 설비에는 상향식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할 것.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6조 (연결살수설비의 헤드) 3항 8호

Check(NFSC503_6_3_8){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SprinklerSystem.type) != WetPipeSprinklerSystem

	(getResult(NFSC503_6_3_8_1) = FALSE

	OR getResult(NFSC503_6_3_8_2) = FALSE)

}



KS{

	mySprinklerHead{

		getObjectProperty(SprinklerSystem.Head.installationDirectionType) = "BottomUpType"

	}

	isExist(mySprinklerHead) = TRUE

} 














Modify
29
9382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6조 3 항 8호 가 목

가. 드라이펜던트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6조 (연결살수설비의 헤드) 3항 8호 가목

Check(NFSC503_6_3_8_1){

	KS

}



KS{

	Head myHead{

		isObjectProperty(SprinklerSystem.Head.isDryPendent) = TRUE

	}

	isExist(mySprinklerHead) = TRUE

} 














Modify
30
9384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6조 3 항 8호 다 목

다. 개방형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6조 (연결살수설비의 헤드) 3항 8호 다목

Check(NFSC503_6_3_8_3){

	KS

}



KS{

	Head myHead{

		getObjectProperty(SprinklerSystem.Head.openAndCloseType) = "OpenType"

	}

	isExist(myHead) = TRUE

} 














Modify
31
9385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6조 3 항 9호

9. 측벽형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는 경우 긴변의 한쪽벽에 일렬로 설치(폭이 4.5m 이상 9m 이하인 실은 긴변의 양쪽에 각각 일렬로 설치하되 마주보는 스프링클러헤드가 나란히꼴이 되도록 설치)하고 3.6m 이내마다 설치할 것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6조 (연결살수설비의 헤드) 3항 9호

Check(NFSC503_6_3_9){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SprinklerHead mySprinklerHead{

		getObjectProperty(SprinklerHead.shapeType) = "SideWallType"

	}

	isExist(mySprinklerHead) = TRUE

	getObjectWidth(Room) < 4.5m

	OR getObjectWidth(Room) > 9m

}



KS1{

	SprinklerHead mySprinklerHead{

		getObjectProperty(SprinklerHead.shapeType) = "SideWallType"

	}

	getObjectWidth(mySprinklerHead, c) < 3.6m

}



CS2{

	Head  myHead{

		getObjectProperty(SprinklerSystem.Head.shapeType) = "SideWallType"

	}

	isExist(mySprinklerHead) = TRUE

	getObjectWidth(Room) >= 4.5m

	OR getObjectWidth(Room) <= 9m

}



KS2{

	Head myHead{

		getObjectProperty(SprinklerSystem.Head.shapeType) = "SideWallType"

	}

	isParallel(mySprinklerHead, Wall) = TRUE

} 














Modify
32
9386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6조 4 항

④가연성 가스의 저장·취급시설에 설치하는 연결살수설비의 헤드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지하에 설치된 가연성가스의 저장·취급시설로서 지상에 노출된 부분이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2.8.20>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6조 (연결살수설비의 헤드) 4항
Check(NFSC503_6_4){
	IF !(CS) THEN KS
}

CS{
	getFloorElevationHeight(?) = A
	getSpaceHeight(?) = B
	A + B <= 0
}

KS{
	hasSpace(?, HookingUpSprinklerSystem.Head) = TRUE
	getResult(NFSC503_6_4_1) = TRUE
	getResult(NFSC503_6_4_2) = TRUE
} 














Modify
33
9387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6조 4 항 1호

1. 연결살수설비 전용의 개방형헤드를 설치할 것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6조 (연결살수설비의 헤드) 4항 1호
Check(NFSC503_6_4_1){
	KS
}

KS{
	getObjectProperty(HookingUpSprinklerSystem.Head.openAndCloseType) = "OpenType"
} 














Modify
34
9388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6조 4 항 2호

2. 가스저장탱크·가스홀더 및 가스발생기의 주위에 설치하되, 헤드상호간의 거리는 3.7m 이하로 할 것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6조 (연결살수설비의 헤드) 4항 2호
Check(NFSC503_6_4_2){
	KS
}

KS{
	getObjectWidth(HookingUpSprinklerSystem.Head, c) <= 3.7m
} 














Modify
35
9390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7조

제7조(헤드의 설치제외) 연결살수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으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장소에는 연결살수설비의 헤드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개정 2012.8.20>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7조 (헤드의 설치제외) 
Check(NFSC503_7){
	IF CS THEN KS
}

CS{
	getResult(NFSC503_7_0_3) = TRUE
	OR getResult(NFSC503_7_0_5) = TURE
}

KS{
	isInstalled(HookingUpSprinklerSystem.Head) = TRUE
	OR isInstalled(HookingUpSprinklerSystem.Head) != TRUE
} 














Modify
36
10960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제 4조 4 항 1호

1. 연소방지설비전용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 표에 따른 구경 이상으로 할 것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 기준(nfsc 506) 4조 (배관) 4항 1호
Check(NFSC506_4_4_1){
	IF CS THEN KS
}

CS{
	isInstalled(CombustionProtectionSystem, ?) = TRUE
}

KS{
	Pipe myPipe{
		hasObject(CombustionProtectionSystem, Pipe) = TRUE
	}

	SprinklerHead mySprinklerHead{
		isInstalled(myPipe, SprinklerHead) = TRUE
	}

	(getObjectCount(mySprinklerHead) = 1 
	getObjectProperty(myPipe.Diameter) >= 32mm)
	OR(getObjectCount(mySprinklerHead) = 2 
	getObjectProperty(myPipe.Diameter) >= 40mm)
	OR(getObjectCount(mySprinklerHead) = 3
	getObjectProperty(myPipe.Diameter) >= 50mm)
	OR(getObjectCount(mySprinklerHead) = 4
	getObjectProperty(myPipe.Diameter) >= 65mm)
	OR(getObjectCount(mySprinklerHead) = 5
	getObjectProperty(myPipe.Diameter) >= 65mm)
	OR(getObjectCount(mySprinklerHead) >= 6
	getObjectProperty(myPipe.Diameter) >= 80mm)
} 














Modify
37
10962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제 4조 4 항 2호

2.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별표 1의 기준에 따를 것<개정 2012.8.20>





//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4조 (배관) 4항 2호

Check(NFSC506_4_4_2){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Sprinkler.Head.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KS{
	getResult(NFSC103_*_1) = TRUE
} 














Modify
38
10967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제 4조 6 항 3호

3. 하향식헤드를 설치하는 경우에 가지배관으로부터 헤드에 이르는 헤드접속배관은 가지관상부에서 분기할 것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 기준(nfsc 506) 4조 (배관) 6항 3호
Check(NFSC506_4_6_3){
	IF CS THEN KS
}

CS{
	Pipe myPipe{
		hasObject(CombustionProtectionSystem, Pipe) = TRU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

	Head myHead{
		getObjectProperty(Head.installationDirectionType) = "TopDownType"
	}

	isInstalled(myPipe, myHead) = TRUE
}

KS{
	Pipe myPipe{
		hasObject(CombustionProtectionSystem, Pipe) = TRU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

	Head myHead{
		getObjectProperty(Head.installationDirectionType) = "TopDownType"
	}

	Pipe myPipe2{
		isConnectedTo(myPipe, Pipe) = TRUE
		isConnectedTo(myHead, Pipe) = TRUE
	}

	isDiverged(가지관 상부, myPipe2) = TRUE
} 














Modify
39
10969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제 4조 7 항 1호

1. 가지배관에는 헤드의 설치지점 사이마다 1개 이상의 행가를 설치하되, 헤드간의 거리가 3.5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3.5m 이내마다 1개 이상 설치할 것. 이 경우 상향식헤드와 행가 사이에는 8㎝ 이상의 간격을 두어야 한다.





//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4조 (배관) 7항 1호

Check(NFSC506_4_7_1){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

	Head myHead{
		isInstalled(Head, myPipe) = TRUE
	}

	getObjectInterval(myHead) <= 3.5m
}

KS1{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

	Head myHead{
		isInstalled(Head, myPipe) = TRUE
	}

	getobjectCountInInterval(Hanger, myHead) >= 1
}

CS2{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

	Head myHead{
		isInstalled(Head, myPipe) = TRUE
	}

	getObjectInterval(myHead) > 3.5m
}

KS2{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

	Head myHead{
		isInstalled(Head, myPipe) = TRUE
	}

	getObjectInterval(myHead) = OIH
	OIH/3.5 = OIHH
	(OIHH-1) <= getObjectCountInInterval(Hanger, myHead) < OIHH
	getObjectInterval(Hanger) = 3.5m

	Head myHead2{
		getObjectProperty(Head.installationDirectionType) = "BottomUpType"
	}

	getObjectInterval(myHead2, Hanger) >= 8cm
} 














Modify
40
10970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제 4조 7 항 2호

2. 교차배관에는 가지배관과 가지배관 사이마다 1개 이상의 행가를 설치하되, 가지배관 사이의 거리가 4.5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4.5m 이내마다 1개 이상 설치할 것





//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4조 (배관) 7항 2호

Check(NFSC506_4_7_2){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getObjectInterval(Pipe) <= 4.5m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CrossMains) = TRUE
	}

	isConnectedTo(myPipe, myPipe2) = TRUE
}

KS1{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getObjectInterval(Pipe) <= 4.5m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CrossMains) = TRUE
	}

	Hanger myHanger{
		isInstalled(Hanger, myPipe2) = TRUE
	}

	getObjectCountInInterval(myHanger,myPipe) >=1
}

CS2{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getObjectInterval(Pipe) > 4.5m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CrossMains) = TRUE
	}

	isConnectedTo(myPipe, myPipe2) = TRUE
}

KS2{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getObjectInterval(Pipe) > 4.5m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CrossMains) = TRUE
	}

	Hanger myHanger{
		isInstalled(Hanger, myPipe2) = TRUE
	}

	getObjectCountInInterval(myHanger,myPipe) >=1
	getObjectInterval(myPipe) = OIP
	OIP/4.5 = OIPP
	(OIPP-1) <= getObjectCountInInterval(Hanger, myHead) < OIPP
	getObjectInterval(Hanger) = 4.5m
}
 














Modify
41
10976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제 5조 1호

1.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할 것





//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5조 (방수헤드) 1호

Check(NFSC506_5_0_1){

	KS

}



KS{

	Head myHead{

		isObjectProperty(Head.isDischargeHead) = TRUE

	}



	isInstalled(myHead, Ceiling.Structure) = TRUE

	OR isInstalled(myHead, Wall.Structure.) = TRUE	

} 














Modify
42
10977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제 5조 2호

2. 방수헤드간의 수평거리는 연소방지설비 전용헤드의 경우에는 2m 이하, 스프링클러헤드의 경우에는 1.5m 이하로 할 것





//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5조 (방수헤드) 1호

Check(NFSC506_5_0_2){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Head myHead{
	Head.isDischargeHead = TRUE
}

	isObjectProperty(myHead) = TRUE

	isObjectProperty(Head.isShared) = FALSE

	isInstalled(Head, CombustionProtectionSystem) = TRUE

}



KS1{

	getObjectInterval(myHead) <= 2m

}



CS2{

	isObjectProperty(myHead) = TRUE

	isObjectProperty(Sprinkler.Head) = TRUE

}



KS2{

	getObjectInterval(myHead) <= 1.5m

} 














Modify
43
10978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제 5조 3호

3. 살수구역은 환기구 등을 기준으로 지하구의 길이방향으로 350 m 이내마다 1개 이상 설치하되, 하나의 살수구역의 길이는 3m 이상으로 할 것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5조 (방수헤드) 3호
Check(NFSC506_5_0_3){
	 KS 
}


KS{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WateringZone)=True
  }

  Head myHead{
    isObjectProperty(Head.isDischargeHead)=True
  }
    
    isInstalled(myHead,Zone)=True 
    getObjectInterval(myHead)<=350 m
    getObjectLength(myZone)>=3 m
    
    
} 














Modify
44
14559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6조

제6조(폐쇄형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유수검지장치)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설비의 방호구역(스프링클러설비의 소화범위에 포함된 영역을 말한다. 이하 같다)·유수검지장치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개정 2008.12.15>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6조 (폐쇄형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유수검지장치) 

Check(NFSC103_6){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SprinklerSystem.Head.openAndCloseType)="EnclosedType"

}

KS{
  getResult(NFSC103_6_0_1)=True
  getResult(NFSC103_6_0_2)=True
  getResult(NFSC103_6_0_3)=True
  getResult(NFSC103_6_0_4)=True
  getResult(NFSC103_6_0_7)=True
} 














Modify
45
14562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6조 3호

3. 하나의 방호구역은 2개 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 다만, 1개 층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헤드의 수가 10개 이하인 경우와 복층형구조의 공동주택에는 3개 층 이내로 할 수 있다.<개정 2009.10.22>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6조 (폐쇄형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유수검지장치) 3호



Check(NFSC103_6_0_3){

    IF CS THEN KS1 ELSE KS2 

}



CS{

Building myBuilding{
Building.usage = "MultiUnitHouse"
}

     getObjectCount(Floor.One, SprinklerHead)<=10

     OR isObjectProperty(myBuilding.isDuplexType)=True

}



KS1{

     getObjectCount(SprinklerSystem.ProtectionZone.One.Floor )<=3

}



KS2{

   

 getObjectCount(SprinklerSystem.ProtectionZone.One.Floor )<2

} 














Modify
46
14566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6조 7호

7.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습식유수검지장치 또는 부압식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할 것<개정 2011.11.24>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6조 (폐쇄형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유수검지장치) 7호



Check(NFSC103_6_0_7){

       IF CS THEN KS

}



CS{

   SprinklerHead mySprinklerHead{

       getObjectProperty(SprinklerHead.responseType)="QuickResponseType"

   }

   isExist(mySprinklerHead)=True

}



KS{

    WaterflowIndicator myWaterflowIndicator{

         getObjectProperty(WaterflowIndicator.type)="WetWaterflowIndicator"

   }

   SprinklerSystem mySprinklerSystem{

         getObjectProperty(SprinklerSystem.type)="VacuumSprinklerExtinguishingSystem"

  }

 

   isExist(myWaterflowIndicator)=True

   OR isExist(mySprinklerSystem)=True

     

} 














Modify
47
14570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7조 3호

3. 하나의 방수구역을 담당하는 헤드의 개수는 50개 이하로 할 것. 다만, 2개 이상의 방수구역으로 나눌 경우에는 하나의 방수구역을 담당하는 헤드의 개수는 25개 이상으로 할 것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7조 (개방형스프링클러설비의 방수구역 및 일제개방밸브) 3호



NFSC103_7_0_3{

      IF CS THEN KS1 ELSE KS2

}



CS{

 getObjectCount(myZone)>=2

}



KS1{

  getObjectCount(SprinklerSystem.Head, myZone.One)>=25

}



KS2{

 getObjectCount(SprinklerSystem.Head, myZone.One)<=50

} 














Modify
48
14662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1 항

제10조(헤드) ① 스프링클러헤드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천장·반자·천장과 반자사이·덕트·선반 기타 이와 유사한 부분(폭이 1.2m를 초과하는 것에 한한다)에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폭이 9m 이하인 실내에 있어서는 측벽에 설치할 수 있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헤드) 1항



Check(NFSC_10_1){

KS2 AND IF CS THEN KS1





KS2{

Space mySpace1{

천장과반자사이

}

hasElement(SpecificFireFightingBuilding.Ceiling,SprinklerHead)= TRUE

hasElement(SpecificFireFightingBuilding.CeilingCovering,SprinklerHead)= TRUE

hasElement(SpecificFireFightingBuilding.mySpace1,SprinklerHead)= TRUE

hasElement(SpecificFireFightingBuilding.Duct,SprinklerHead)= TRUE

hasElement(SpecificFireFightingBuilding.Shelf,SprinklerHead)= TRUE

}



CS{

Space mySpace2{

isExternal(Space)= FALSE 

}

getSpaceWidth(Building.mySpace)<= 9m

}



KS1{

Wall myWall{

Wall.isSideWall=TRUE

}

hasElement(myWall,SprinklerSystem.Head)=TRUE

hasElement(myWall,SprinklerSystem.Head)=FALSE

} 














Modify
49
14663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2 항

② 랙크식창고의 경우로서「소방기본법시행령」별표 2의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것에 있어서는 랙크높이 4m 이하마다, 그 밖의 것을 취급하는 것에 있어서는 랙크높이 6m 이하마다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랙크식창고의 천장높이가 13.7m 이하로서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B)」에 따라 설치하는 경우에는 천장에만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할 수 있다.<개정 2013.6.10>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2항

Check(NFSC103_10_2){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Space.usage = "RackWarehouse"
isObjectProperty(Space.hasSpecialCombustible) = TRUE

}



KS1{

	getObjectHeight(Rack) / 4 = RH



	(RH-1) <= getObjectCount(SprinklerHead) < RH

	getObjectInterval(SprinklerHead) = 4m

}



CS2{

Space.usage = "RackWarehouse"
isObjectProperty(Space.hasSpecialCombustible) != TRUE


}



KS2{

	getObjectHeight(Rack) / 6 = RH



	(RH-1) <= getObjectCount(SprinklerHead) < RH

	getObjectInterval(SprinklerHead) = 6m

} 














Modify
50
14665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3 항 1호

1. 무대부·「소방기본법시행령」별표 2의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에 있어서는 1.7m 이하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3항 1호



check(NFSC103_10_3_1){

IF CS THEN KS

}



Space mySpace1{

Space.usage="StagePart"

OR isObjectProperty(Space.hasSpecialCombustible)=TRUE

}

CS{

isExist(PlenumSpace)=TRUE

}

KS{

getHorizontalDistance(Ceiling | CeilingCovering | mySpace2 | Duct | Shelf,SprinklerSystem.Head)<=1.7m

} 














Modify
51
14666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3 항 2호

2. 랙크식 창고에 있어서는 2.5m 이하 다만,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랙크식 창고의 경우에는 1.7 m 이하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3항 2호



check(NFSC103_10_3_2){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Space mySpace1{

Space.usage="RackWarehouse"

Space mySpace2{

Space.usage="RackWarehouse"

isObjectProperty(Space.hasSpecialCombustible)=TRUE

}

CS1{

isExist(mySpace1)=TRUE

}

KS1{

getHorizontalDistance(Ceiling|CeilingCovering|PlenumSpace|Duct|Shelf,SprinklerHead)<=2.5m

}

CS2{

isExist(mySpace2)=TRUE

}

KS2{

getHorizontalDistance(Ceiling|CeilingCovering|PlenumSpace|Duct|Shelf,SprinklerHead)<=1.7m

} 














Modify
52
14667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3 항 3호

3. 공동주택(아파트) 세대 내의 거실에 있어서는 3.2m 이하(「스프링클러헤드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유효반경의 것으로 한다)<개정 2008.12.15, 2013.6.10>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3항 3호

check(NFSC103_10_3_3){

	IF (CS) THEN KS ENDIF

}



CS{

	getBuildingUsage() = "MultiUnitHouse"

}



KS{

	Space mySpace = getObject(Roo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Ceiling, SprinklerHead) <= 3.2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CeilingCover, SprinklerHead) <= 3.2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Duct, SprinklerHead) <= 3.2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Shelf, SprinklerHead) <= 3.2m

} 














Modify
53
14668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3 항 4호

4. 제1호부터 제3호까지 규정 외의 특정소방대상물에 있어서는 2.1m 이하(내화구조로 된 경우에는 2.3m 이하)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3항 4호
check(NFSC103_10_3_4){
	IF CS1 THEN IF (CS2) THEN KS ELSE KS2 ENDIF ENDIF
}

CS1{
	Space mySpace = getObject(특정소방대상물)
	getResult(_1) = False
	getResult(_2) = False
	getResult(_3) = False
}

CS2{
	isFireResistanceStructure(mySpace) = TRUE
}

KS1{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Ceiling, SprinklerHead) <= 2,3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CeilingCover, SprinklerHead) <= 2.3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Duct, SprinklerHead) <= 2.3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Shelf, SprinklerHead) <= 2.3m
}

KS2{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Ceiling, SprinklerHead) <= 2,1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CeilingCover, SprinklerHead) <= 2.1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Duct, SprinklerHead) <= 2.1m
	getObjectVerticalDistance(mySpace.Shelf, SprinklerHead) <= 2.1m
} 














Modify
54
14670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5 항

⑤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장소에는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여야 한다.





Check(NFCS103_10_5){

IF CS THEN KS

}





CS{

getResult(NFCS103_10_5_1)

OR getResult(NFCS103_10_5_2)

}





KS{
Head myHead{
getObjectProperty(SprinklerSystem.Head.responseType)=QuickResponseType
}
isInstalled(myHead) = TRUE

} 














Modify
55
14675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7 항 1호

1. 살수가 방해되지 아니하도록 스프링클러헤드로부터 반경 60㎝ 이상의 공간을 보유할 것. 다만, 벽과 스프링클러헤드간의 공간은 10㎝ 이상으로 한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7호 1항

check(NFSC103_10_7_1){
	KS
}

KS{
	getObjectDistance(Wall, SprinklerHead) >= 10cm
	isVacant(SprinklerHead,a, 60) = TRUE
} 














Modify
56
14676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7 항 2호

2. 스프링클러헤드와 그 부착면(상향식헤드의 경우에는 그 헤드의 직상부의 천장·반자 또는 이와 비슷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과의 거리는 30㎝ 이하로 할 것.





Check(NFCS103){
KS}


KS{
getObjectDistance(SprinklerHead,Ceiling,a)<=30CM
} 














Modify
57
14677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7 항 3호

3. 배관·행가 및 조명기구 등 살수를 방해하는 것이 있는 경우에는 제1호 및 제2호에도 불구하고 그로부터 아래에 설치하여 살수에 장애가 없도록 할 것. 다만, 스프링클러헤드와 장애물과의 이격거리를 장애물 폭의 3배 이상 확보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개정 2008.12.15>





Check(NFCS103_10_7_3){

IF !CS THEN KS

}



objectDistance myObjectDistance1{

getObjectDistance(SprinklerHead,Obstacle,a)

}



objectDistance myObjectDistance2{

getObjectDistance(SprinklerHead,Ceiling,a)

}







CS{

getObjectWidth(Obstacle)<="myObjectDistance"





KS{

getObjectDistance(Pipe,Ceiling,a)<"myObjectDistance"

OR getObjectDistance(Pipe,Hanger,a)<"myObjectDistance"

OR getObjectDistance(Pipe,LightingFixture,a)<"myObjectDistance"

} 














Modify
58
14678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7 항 4호

4. 스프링클러헤드의 반사판은 그 부착 면과 평행하게 설치할 것. 다만, 측벽형헤드 또는 제6호에 따른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헤드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헤드) 7항4호

Check(NFSC103_10_7_4){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SprinklerHead.shapeType)="SideWallType"
OR getResult(NFSC203_10_7_6)=TRUE
   
}


KS{ isParallel(SprinklerHead.Deflector,Deflector.AttachingToSurface)=TRUE

} 














Modify
59
14680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7 항 5호 가 목

가. 천장의 최상부에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최상부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헤드의 반사판을 수평으로 설치할 것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헤드) 7항5호

Check(NFSC103_10_7_5_1){
   IF CS THEN KS
}

CS{
   isInstalled(SprinklerHead, a)=TRUE
}

KS{
   isHorizontal(SprinklerHead.Deflector)=TRUE
} 














Modify
60
14681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7 항 5호 나 목

나. 천장의 최상부를 중심으로 가지관을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최상부의 가지관 상호간의 거리가 가지관상의 스프링클러헤드 상호간의 거리의 2분의 1이하(최소 1m 이상이 되어야 한다)가 되게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고, 가지관의 최상부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헤드는 천장의 최상부로부터의 수직거리가 90㎝ 이하가 되도록 할 것. 톱날지붕, 둥근지붕 기타 이와 유사한 지붕의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헤드) 7항5호 나목



Check(NFSC103_10_7_5_2){

    IF CS THEN KS

}



CS{

   isInstalled(Celling,BranchPipe,b)=TRUE

}



KS{

   BD=getElementDistance(BranchPipe, c)

   SD=getElementDistance(SprinklerHead, c)

   SD/BD>=2

   BD>=1 m

  

   IF isInstalled(BranchPipe, SprinklerHead, a )=TRUE

   THEN getVerticalDistance(SprinklerHead,Ceiling.UppermostPart)<=90 cm

   END IF

} 














Modify
61
14682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7 항 6호

6.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에는 그 상하좌우에 2.5m 간격으로(개구부의 폭이 2.5m 이하인 경우에는 그 중앙에)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되, 스프링클러헤드와 개구부의 내측 면으로부터 직선거리는 15㎝ 이하가 되도록 할 것. 이 경우 사람이 상시 출입하는 개구부로서 통행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개구부의 상부 또는 측면(개구부의 폭이 9m 이하인 경우에 한한다)에 설치하되, 헤드 상호간의 간격은 1.2m 이하로 설치하여야 한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헤드) 7항 6호

Check(NFSC103_10_7_6){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isObjectProperty(Opening.isFireSpreading)=TRUE
	getObjectWidth(Opening, a) > 2.5m
}
KS2{
	isInstalled(Opening, Sprinkler.Head, 2.5m) = TRUE
	getElementDistance(Opening.InsideSurface, Sprinkler.Head) <= 15cm
}

CS2{
	isObjectProperty(Opening.isFireSpreading)=TRUE
	getObjectWidth(Opening, Sprinkler.Head, a) <= 2.5m
}
KS2{
	isInstalled(Opening, Sprinkler.Head, center) = TRUE
	getElementDistance(Opening.InsideSurface, Sprinkler.Head) <= 15cm
}

 














Modify
62
14683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7 항 7호

7. 습식스프링클러설비 및 부압식스프링클러설비 외의 설비에는 상향식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할 것.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개정 2011.11.24>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7항 7호

check(NFSC103_10_7_7){

IF !CS THEN KS

}



CS{

getResult(NFSC103_10_7_7_가)=TRUE

OR getResult(NFSC103_10_7_7_나)=TRUE

}



KS{

SprinklerHead mySprinklerHead{

SprinklerHead.installationDirectionType="BottomUpType"

}
SprinklerSystem mySprinklerSystem1{
SprinklerSystem.type = "VacuumSprinklerExtinguishingSystem"
}
SprinklerSystem mySprinklerSystem2{
SprinklerSystem.type = "WetPipeSprinklerSystem"
}
hasElement(mySprinklerSystem1, mySprinklerHead)=TRUE

hasElement(mySprinklerSystem2, mySprinklerHead)=TRUE

} 














Modify
63
14684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7 항 7호 가 목

가. 드라이펜던트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7항 7호 가목
check(NFSC103_10_7_7_가){
KS
}

KS{
SprinklerHead mySprinklerHead{
isObjectProperty(SprinklerHead.isDryPendent)=TRUE
}

SprinklerSystem mySprinklerSystem{
getObject(WetPipeSprinklerSystem)
getObject(VacuumSprinklerExtinguishingSystem)
}
SprinklerSystem mySprinklerSystem1{
getObject(SprinklerSystem)!= mySprinklerSystem
}

hasElement(mySprinklerSystem1, mySprinklerHead)=TRUE
} 














Modify
64
14686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7 항 7호 다 목

다. 개방형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7항 7호 다목
check(NFSC103_10_7_7_다){
KS
}

KS{
SprinklerHead mySprinklerHead{
isObjectProperty(SprinklerHead.openAndCloseType)="OpenType"
}

SprinklerSystem mySprinklerSystem{
getObject(WetPipeSprinklerSystem)
getObject(VacuumSprinklerExtinguishingSystem)
}
SprinklerSystem mySprinklerSystem1{
getObject(SprinklerSystem)!= mySprinklerSystem
}

hasElement(mySprinklerSystem1, mySprinklerHead)=TRUE
} 














Modify
65
14687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7 항 8호

8. 측벽형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는 경우 긴 변의 한쪽 벽에 일렬로 설치(폭이 4.5m 이상 9m 이하인 실에 있어서는 긴변의 양쪽에 각각 일렬로 설치하되 마주보는 스프링클러헤드가 나란히꼴이 되도록 설치)하고 3.6m 이내마다 설치할 것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10조 (헤드) 7항 8호
check(NFSC103_10_7_8){
	IF CS THEN KS
}

SprinklerHead mySprinklerHead{
	getObjectProperty(SprinklerHead.shapeType) = "SideWallType"
}

CS{
	isExist(mySprinklerHead) = TRUE
}

KS{
	isInstalled(mySprinklerHead, c) = TRUE
} 














Modify
66
14689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0조 8 항

⑧ 제7항제2호에도 불구하고 특정소방대상물의 보와 가장 가까운 스프링클러 헤드는 다음 표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천장 면에서 보의 하단까지의 길이가 55㎝를 초과하고 보의 하단 측면 끝부분으로부터 스프링클러헤드까지의 거리가 스프링클러헤드 상호간 거리의 2분의 1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스프링클러헤드와 그 부착 면과의 거리를 55㎝ 이하로 할 수 있다.<개정 2013.6.10> (표)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10조 (헤드) 8항
check(NFSC103_10_8){
	(IF !(CS1) THEN KS1) or (IF CS1 THEN KS2)
}

KS1{
	Beam myBeam{
		hasObject(SpecificFireFightingBuilding, Beam) = TRUE
	}

	getElementDistance(myBeam, SprinklerHead, 1) = TRUE

	//Table

	getElementDistance(SprinklerHead.Deflector, Beam, a) + getObjectWidth(SprinklerHead.Deflector)*0.5 = SBD
	getObjectVerticalDistance(SprinklerHead.Deflector, Beam.BottomSurface, a) = SHD

	IF SBD < 0.75 m 
	THEN SHD < getObjectHeight(Beam.BottomSurface)

	IF 0.75 m <= SBD < 1 m 
	THEN SHD < 0.1 m

	IF 1 m <= SBD < 1.5 m
	THEN SHD < 0.15 m

	IF SBD >= 1.5 m 
	THEN SHD < 0.3 m 
}

CS1{
	getObjectDistance(Ceiling.Surface, Beam.BottomSurface) > 55 cm
	getObjectDistance(Beam.BottomSideSurface, SprinklerHead) = OD
	OD <= getElementDistance(SprinklerHead, c)*0.5
}

KS2{
	getObjectDistance(SprinklerHead, SprinklerHead.AttachingToSurface) <= 55 cm
} 














Modify
67
14695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1조 5호

5.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스프링클러설비의 송수구는 하나의 층의 바닥면적이 3,000㎡를 넘을 때마다 1개 이상(5개를 넘을 경우에는 5개로 한다)을 설치할 것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1조 (송수구) 5호

Check(NFSC103_11_0_5){
	IF CS THEN KS
}
CS{
	isObject(Sprinkler.Head.openAndCloseType) = "EnclosedType"
}
KS{
	Port myPort{
	isObjectProperty(Port.typeForWater)="FireDepartmentConnection"
	}
	Space mySpace{
	isObjectProperty(Space.FloorSlab.area) = 3000m2
	}
	isInstalled(mySpace, myPort) = TRUE
	getObjectCount(mySpace.One.myPort) >= 1
	getObjectCount(myPort) <= 5
	
} 














Modify
68
14864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5조 3 항 1호

1. 고가수조의 자연낙차수두(수조의 하단으로부터 최고층에 설치된 헤드까지의 수직거리를 말한다)는 다음의 식에 따라 산출한 수치 이상이 되도록 할 것 H = h₁+ 10 H : 필요한 낙차(m) h₁: 배관의 마찰손실수두(m)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5조 (가압송수장치) 3항 1호



Check(NFSC503A_5_3_1){

	KS

}

KS{

	Tank myTank{

	isObjectProperty(Tank.operationType) = "ElevatedWaterTank"

	}

	Head myHead{

	hasSpace(TopFloor,Head) = TRUE

	}

	getObjectVerticalDistance(myTank.BottomSurface,myHead) >= Pipe.frictionHeadLossH + 10m 

} 














Modify
69
14879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6조 3호

3. 하나의 방호구역은 2개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 다만, 1개층에 설치되는 간이헤드의 수가 10개 이하인 경우에는 3개층 이내로 할 수 있다.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6조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유수검지장치) 3호



Check(NFSC503A_6_0_3){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ProtectionZone) = TRUE

	}

CS1{

	getObjectCount(Floor.One.SimpleSprinklerHead) > 10

}

KS1{

	getObjectCount(Zone.One.Floor) < 2

}

CS2{

	getObjectCount(Floor.One.SimpleSprinklerHead) <= 10

}

KS2{

	getObjectCount(myZone.One.Floor) <= 3

} 














Modify
70
14912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8조 9 항 2호

2. 교차배관에서 분기되는 지점을 기점으로 한쪽 가지배관에 설치되는 간이헤드의 개수(반자 아래와 반자속의 헤드를 하나의 가지배관 상에 병설하는 경우에는 반자 아래에 설치하는 헤드의 개수)는 8개 이하로 할 것.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8조 (배관 및 밸브) 9항 2호

Check(NFSC503A_8_9_2){
	IF !CS THEN KS
}
CS{
	getResult(NFSC503A_8_9_2_가) = TRUE
}
KS{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
	Head myHead{
	isIntalled(SimpleSprinkler.Head, myPipe.One) = TRUE
	getObjectVerticalLocation(CeilingCovering, SimpleSprinkler.Head) < 0
	}
	getObjectCount(myHead) <= 8  
} 














Modify
71
14915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8조 9 항 3호

3. 가지배관과 간이헤드 사이의 배관을 신축배관으로 하는 경우에는 국민안전처장관이 정하여 고시한 「스프링클러설비신축배관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설치할 것. 이 경우 신축배관의 설치길이는 국민안전처장관이 정하여 고시한「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제10조제3항의 거리를 초과하지 아니할 것





9항 3호

Check(NFSC503A_8_9_3){
	IF CS THEN KS
}
	Pipe myPipe1{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FlexibleTube) = TRUE
	}
CS{
	isInstalledInOrder(myPipe1, myPipe2, Head) = TRUE
}
KS{
	getResult(NFSC503_10_3) = TRUE
} 














Modify
72
14917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8조 10 항

⑩ 가지배관에 하향식간이헤드를 설치하는 경우에 가지배관으로부터 간이헤드에 이르는 헤드접속배관은 가지관상부에서 분기할 것. 다만, 소화설비용 수원의 수질이「먹는물관리법」제5조에 따라 먹는물의 수질기준에 적합하고 덮개가 있는 저수조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경우에는 가지배관의 측면 또는 하부에서 분기할 수 있다. <개정 2011.11.24>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8조 (배관 및 밸브) 10항



Check(NFSC503A_8_10){

	IF CS THEN KS

}

	Pipe myPipe1{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

	Head myHead{

	isObjectProperty(Head.installationDirectionType) = "TopDownType"

	}

CS{

	isInstalled(myHead, myPipe1) = TRUE

}

KS{

	Pipe mypipe2{

	isConnectedTo(myPipe1, Pipe) = TRUE

	isConnectedTo(myHead, Pipe) = TRUE

	}

	getObjectVerticalLocation(myPipe1, myPipe1) > 0 

} 














Modify
73
14926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8조 12 항 2호

2. 시험장치배관의 구경은 유수검지장치에서 가장 먼 가지배관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으로 하고, 그 끝에 개방형간이헤드를 설치할 것. 이 경우 개방형간이헤드는 반사판 및 프레임을 제거한 오리피스만으로 설치할 수 있다.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8조 (배관 및 밸브) 12항 2호



Check(NFSC503A_8_12_2){

	KS

}

KS{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ForTest) = TRUE

	}

	Head myHead{

	isObjectProperty(Head.openAndCloseType) = "OpenType"
getObjectProperty(Head.systemType) = "SimpleSprinklerSystem"
	}

	BD = getObjectDiameter(NFSC503A_8_12_1.myPipe)

	getObjectDiameter(myPipe, a) = BD 

	isInstalled(myHead, myPipe.End) = TRUE

} 














Modify
74
14929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8조 13 항 1호

1. 가지배관에는 간이헤드의 설치지점 사이마다 1개 이상의 행가를 설치하되, 간이헤드간의 거리가 3.5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3.5m 이내마다 1개 이상 설치할 것. 이 경우 상향식간이헤드와 행가 사이에는 8㎝ 이상의 간격을 두어야 한다.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8조 (배관 및 밸브) 13조 1호



Check(NFSC103A_8_13_1){

	IF(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

CS1{

	getObjectInterval(SimpleSprinkler.Head) <= 3.5m

}

KS1{

	getObjectCountInInterval(Hanger, SimpleSprinkler.Head) >= 1

	isInstalled(Hanger, myPipe) = TRUE

}



CS2{

	getObjectInterval(SimpleSprinkler.Head) > 3.5m

}

KS2{

	Head myHead{

	isObjectProperty(Head.installationDirectionType) = "BottomUpType"

	}

	isInstalled(Hanger, myPipe, b, 3.5) = TRUE

getObjectCountInInterval(Hanger, SimpleSprinkler.Head) >= 1

	getObjectDistance(myHead, Hanger) >= 8cm 



} 














Modify
75
14952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9조

제9조(간이헤드) 간이헤드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9조 (간이헤드) 



Check(NFSC503A_9){

	IF CS THEN KS

}

CS{

	isInstalled(SimpleSprinkler.Head, Building) = TRUE

}

KS{

	getResult(NFSC503A_9_1) = TRUE

	getResult(NFSC503A_9_3) = TRUE

	getResult(NFSC503A_9_4) = TRUE

	getResult(NFSC503A_9_6) = TRUE

	getResult(NFSC503A_9_8) = TRUE

	getResult(NFSC503A_9_9) = TRUE

} 














Modify
76
14953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9조 1호

1. 폐쇄형간이헤드를 사용할 것<개정 2011.11.24>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9조 (간이헤드) 1항

Check(NFSC503A_9_1){
	KS
}
KS{
	isObjectProperty(SimpleSprinkler.Head.openAndCloseType) = "EnclosedType"
} 














Modify
77
14955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9조 3호

3. 간이헤드를 설치하는 천장·반자·천장과 반자사이·덕트·선반 등의 각 부분으로부터 간이헤드까지의 수평거리는 2.3m(「스프링클러헤드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유효반경의 것으로 한다.)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성능이 별도로 인정된 간이헤드를 수리계산에 따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11.24, 2013.6.10>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9조 (간이헤드) 3호



Check(NFSC503A_9_0_3){

	KS

}

KS{

	getObjectDistance(SimpleSprinkler.Head, Ceiling | CeilingCovering | PlenumSpace | Duct | Shelf) <= 2.3m

} 














Modify
78
14956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9조 4호

4. 상향식간이헤드 또는 하향식간이헤드의 경우에는 간이헤드의 디플렉터에서 천장 또는 반자까지의 거리는 25㎜에서 102㎜ 이내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측벽형간이헤드의 경우에는 102㎜에서 152㎜사이에 설치할 것 다만, 플러쉬 스프링클러헤드의 경우에는 천장 또는 반자까지의 거리를 102 ㎜ 이하가 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9조 (간이헤드) 4호



Check(NFSC503A_9_0_4){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OR (CS3 THEN KS3)

}

CS1{

	isObjectProperty(Head.installationDirectionType) = "BottomUpType" OR "TopDownType"

}

KS1{

	getObjectDistance(Deflector, Ceiling | CeilingCovering) >= 25mm

	getObjectDistance(Deflector, Ceiling | CeilingCovering) <= 102mm

}

CS2{

	isObjectProperty(Head.shapeType) = "SideWallType" 

}

KS2{

	getObjectDistance(Deflector, Ceiling | CeilingCovering) >= 102mm

	getObjectDistance(Deflector, Ceiling | CeilingCovering) <= 152mm

}

CS3{

	isObjectProperty(Head.shapeType) = "FlushType" 

}

KS2{

	getObjectDistance(Deflector, Ceiling | CeilingCovering) <= 102mm

} 














Modify
79
14958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9조 6호

6. 제4호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소방대상물의 보와 가장 가까운 간이헤드는 다음 표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다만, 천장면에서 보의 하단까지의 길이가 55㎝를 초과하고 보의 하단 측면 끝부분으로부터 간이헤드까지의 거리가 간이헤드 상호간 거리의 2분의 1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간이헤드와 그 부착면과의 거리를 55㎝ 이하로 할 수 있다.<개정 2013.6.10> (표)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9조 (간이헤드) 6호



Check(NFSC503A_9_0_6){

	IF !CS THEN KS

}

CS{

	DBSH = getObjectDistance(Head.One, Head.One)

	getObjectdistance(Ceiling.Surface, Beam.BottomSurface) > 55cm

	getObjectdistance(Beam.BottomSideSurface, SimpleSprinkler.Head) <= DBSH/2

}

KS{

Beam myBeam{
isInstalled(Beam, SpecificFireFightingBuilding) = TRUE
}
	DCH = getObjectInterval(Head, myBeam)

	Head myHead{

	getObjectDistance(Head, myBeam) = DCH

	}

	

	IF getElementDistance(myHead.Deflector.Center, Beam) < 0.75m THEN getObjectVerticalLocation(myHead.Deflector, Beam.BottomSurface) < 0



	ELSE IF getElementDistance(myHead.Deflector.Center, Beam) >= 0.75m 

	OR getElementDistance(myHead.Deflector.Center, Beam) < 1m THEN getObjectVerticalLocation(myHead.Deflector, Beam.BottomSurface) < 0 

	getElementDistance(myHead.Deflector, Beam.BottomSurface) < 0.1m



	ELSE IF getElementDistance(myHead.Deflector.Center, Beam) >= 1m 

	OR getElementDistance(myHead.Deflector.Center, Beam) < 1.5m THEN getObjectVerticalLocation(myHead.Deflector, Beam.BottomSurface) < 0 

	getElementDistance(myHead.Deflector, Beam.BottomSurface) < 0.15m



	ELSE IF getElementDistance(myHead.Deflector.Center, Beam) >= 1.5m 

	THEN getObjectVerticalLocation(myHead.Deflector, Beam.BottomSurface) < 0 

	getElementDistance(myHead.Deflector, Beam.BottomSurface) < 0.3m

} 














Modify
80
14961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9조 9호

9. 제6조제7호에 따른 주차장에는 표준반응형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여야 하며 설치기준은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제10조를 준용한다.<신설 2013.6.10>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9조 (간이헤드) 9호

Check(NFSC503A_9_0_9){
	IF CS THEN KS
}
CS{
	isExist(NFSC503A_6_0_7.mySpace) = TRUE
}
KS{
	Head myHead{
	isObjectProperty(Head.responseType) = "StandardResponseType"
	}
	isInstalled(myHead, NFSC503A_6_0_7.mySpace) = TRUE
	getResult(NFSC503_10) = TRUE
} 














Modify
81
15002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별표1조

[별표 1] <개정 2015.1.23.> 간이헤드 수별 급수관의 구경(제8조제3항제3호관련)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별표1 (간이헤드 수별 급수관의 구경) 1항

Check(NFSC103A_*_1){

	getResult(NFSC103A_*_1_1) = TRUE

	getResult(NFSC103A_*_1_2) = TRUE

	getResult(NFSC103A_*_1_3) = TRUE

	getResult(NFSC103A_*_1_4) = TRUE

}

	

	Pipe myPipe{

	getObjectProperty(Pipe.usage) = "WaterSupplyPipe"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

	PD = getObjectProperty(Pipe.diameter)

	SSHN = getObjectCount(SimpleSprinkler.Head.)



Check(NFSC103A_*_1_2){

	IF CS THEN KS

}

CS{

	Head myHead{

	getObjectProperty(SimpleSprinkler.Head.openAndCloseType) = "EnclosedType"

	}

	isInstalled(myHead) = TRUE

}

KS{

	IF PD = 25 THEN SSHN = 2

	OR IF PD = 32 THEN SSHN = 3

	OR IF PD = 40 THEN SSHN = 5

	OR IF PD = 50 THEN SSHN = 10

	OR IF PD = 65 THEN SSHN = 30

	OR IF PD = 80 THEN SSHN = 60

	OR IF PD = 100 THEN SSHN = 100

	OR IF PD = 125 THEN SSHN = 160

	OR IF PD = 150 THEN SSHN >= 161

}

Check(NFSC103A_*_1_3){

	IF CS THEN KS

}

CS{

	Head myHead1{

	getObjectProperty(SimpleSprinkler.Head.openAndCloseType) = "EnclosedType"

	}

	isInstalled(myHead1) = TRUE

	Head myHead2{

	getObjectVerticalLocation(Head, CeilingCovering, )  <  0
	}

	Head myHead3{

	isInstalled(Head, CeilingCovering.Inside) = TRUE

	}

	isInstalled(myHead2, myPipe2) = TRUE

	isInstalled(myHead3, myPipe2) = TRUE

}

KS{

	IF PD = 25 THEN SSHN = 2

	OR IF PD = 32 THEN SSHN = 4

	OR IF PD = 40 THEN SSHN = 7

	OR IF PD = 50 THEN SSHN = 15

	OR IF PD = 65 THEN SSHN = 30

	OR IF PD = 80 THEN SSHN = 60

	OR IF PD = 100 THEN SSHN = 100

	OR IF PD = 125 THEN SSHN = 160

	OR IF PD = 150 THEN SSHN >= 161

} 














Modify
    1      
 
This is Design IT Lab server's restricted area. Authorized users could access this web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