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istry of Land, Infrasrtucture and Transport |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 Space and Design IT Lab | Hanyang University
Open BIM based Technological Environment for Building Design Quality Enhancement
1-2. 설계품질검증 자동화를 위한 각종 법규 및 제기준의 체계화된 논리규칙 데이터베이스 구축 - 건축물 설계품질 혁신을 위한 개방형 BIM 기술 환경 구축 | 국토교통부
  Home Welcome to BIM Project Website - Hanyang University
PAGE MENU   MainPage
전체법규 - 법규데이터베이스
- 대한민국 전체 법규 목록
- 설계품질검토 대상 관련법규
대상법규 - 문장 논리규칙체계화
- 조항단위 논리규칙체계
- 문장단위 논리규칙체계
주어부 - 객체.속성 데이터베이스
- 법규로부터의 객체.속성 분류
- 명칭DB: 객체 | 객체및속성
서술부 - 함수 데이터베이스
- 논리규칙화 함수 분류
- 논리규칙화 함수 DB
관계부 - 문장 내.외 관계논리
- 문장 내.외 관계유형분류
- 법규조항관계도:
1차년도 | 2차년도 | 3차년도
- 문장 내.외관계 논리체계화
문장단위 | 체크리스트 단위
KBIMCode 데이터베이스
- KBIMCode Lang. Definition
- KBIMCode Editor
- KBimCode Database:
문장단위 | 조항단위
- KBimLogic Applications
 
     HOME
설계품질검토용 건축법 및 관련법규 - KBIMCode (문장단위)
    1      
1 / 1 page Total 1,131/ 1,131 records    신규입력 엑셀저장
Select
ALL
None
#
ID
Law
Jo
JO Name
HANG
HO
MOK
Text
Search!
1
1167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0조 2호 다 목

다. 노대 또는 외부를 향하여 열 수 있는 창문이나 제14조제2항의 규정에 의한 배연설비를 설치할 것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0조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2호 다목
Check(RFB_10_0_2_다){
	KS
}
KS{
	Elevator myElevator{
		isObjectProperty(Elevator.isEmergency)=TRUE
	}
	Window myWindow{
		isObjectProperty(Window.isExternalDirection)=TRUE
	}
	SmokeExhaustionSystem mySmokeExhaustionSystem{
		getResult(RFB_14_2) = TRUE
	}
	hasObject(myElevator.Platform,OpenFloorStructure) = TRUE
	hasObject(myElevator.Platform, myWindow) = TRUE
	isExist(mySmokeExhaustionSystem)=TRUE
	} 














Modify
2
1361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2 항 1호 가 목

가. 계단실은 창문ㆍ출입구 기타 개구부(이하 "창문등"이라 한다)를 제외한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의 벽으로 구획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1호 가목
check(REFB_9_2_1_1){
     KS
}
KS{
Wall myWall{
	hasElement(Stair.Space, Wall) = TRUE
	hasElement(Wall, Window) = FALSE
	hasElement(Wall, Door) = FALSE
	hasElement(Wall, Opening) = FALSE
}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Escape)= TRUE
}

isFireResistantStructure(myWall)= TRUE
isPartitioned (myStair, 0, myWall) = TRUE
 	
}
 














Modify
3
136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2 항 1호 라 목

라. 계단실의 바깥쪽과 접하는 창문등(망이 들어 있는 유리의 붙박이창으로서 그 면적이 각각 1제곱미터 이하인 것을 제외한다)은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에 설치하는 창문등으로부터 2미터 이상의 거리를 두고 설치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1호 라목

check(REFB_9_2_1_4){

IF (CS1 AND CS2) THEN KS

}

CS1 {

Opening myOpening1{

	isConnectedTo(Stair.Space, Opening) = TRUE

	getObjectProperty(Opening.material)= “WireContainedGlass”

	getObjectProperty(Window.panelOperationType)= “FixedSashWindow”

	getObjectProperty(Opening.area)=< 1㎡	

}

CS2 {

Opening myOpening2{

	getObject(Opening) != myOpening1 	

}

KS{

getElementDistance(myOpening1, myOpening2, a)>=2m;	

}



} 














Modify
4
136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2 항 1호 마 목

마. 건축물의 내부와 접하는 계단실의 창문등(출입구를 제외한다)은 망이 들어 있는 유리의 붙박이창으로서 그 면적을 각각 1제곱미터 이하로 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1호 마목
check(REFB_9_2_1_5){
     KS
}
KS{

Opening myOpening3{
	getObject(Opening)!= Door
	isConnectedToExternal(Opening) = FALSE
	hasElement(Stair.Space, Opening) = TRUE
}

	getObjectProperty(myOpening3.material)= “WireContainedGlass”
	getObjectProperty(myOpening3.type)= “FixedSashWindow”
	getObjectProperty(myOpening3.area)=< 1㎡
	
}    
 














Modify
5
1369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2 항 2호 가 목

가. 계단은 그 계단으로 통하는 출입구외의 창문등(망이 들어 있는 유리의 붙박이창으로서 그 면적이 각각 1제곱미터 이하인 것을 제외한다)으로부터 2미터 이상의 거리를 두고 설치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2호 가목

check(REFB_9_2_2_1){

    IF (CS) THEN KS

}





CS {

Opening myOpening1{			getObjectProperty(Opening.material)= “WireContainedGlass”

	getObjectProperty(Window.panelOperationType)= “FixedSashWindow”

	getObjectProperty(Opening.area)=< 1㎡	

}

Door myDoor {

	isAccessible(Stair, Door)=TRUE

}

Opening myOpening2{

	getObject(Opening) != myOpening1 

	getObject(Opening) != myDoor	

}

isExist(myOpening2) = TRUE

}



KS{

getElementDistance(Stair, myOpening2, a)>=2m;	

} 














Modify
6
137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2 항 3호 가 목

가. 건축물의 내부와 계단실은 노대를 통하여 연결하거나 외부를 향하여 열 수 있는 면적 1제곱미터 이상인 창문(바닥으로부터 1미터 이상의 높이에 설치한 것에 한한다) 또는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14조의 규정에 적합한 구조의 배연설비가 있는 면적 3제곱미터 이상인 부속실을 통하여 연결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3호 가목

check (REFB_9_2_3_1){

CS THEN KS 

}

CS {

isExist(Stair.Space) = TRUE

}

KS {

	Window myWindow {

		getObjectProperty(Window.area)>= 1 m2

		isObjectProperty(Window.isExternalDirection) = TRUE

		 getElementDistance(Window, FloorSlab, a)>=1m



}

	SmokeExhaustionSystem mySmokeExhaustionSystem {

		getElement(SmokeExhaustionSystem)

		getResult(RFB_14)=TRUE

}



	Space mySpace1{

		getSpace(“Balcony”)

}

	Space mySpace2{

		isExternal(Space)=FALSE

}

	Space mySpace3{

		getSpace(“AncillaryRoom”)

		getFloorArea(Space.Floor, ) >= 3㎡

		hasElement(Space,mySmokeExhaustionSystem) = TRUE

		hasElement(Space,myWindow) = TRUE

}

isGoThrough(mySpace2,Stair.Space, ,mySpace1)

OR isGoThrough(mySpace2,Stair.Space, ,mySpace3) 














Modify
7
1378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2 항 3호 마 목

마. 계단실ㆍ노대 또는 부속실에 설치하는 건축물의 바깥쪽에 접하는 창문등(망이 들어 있는 유리의 붙박이창으로서 그 면적이 각각 1제곱미터이하인 것을 제외한다)은 계단실ㆍ노대 또는 부속실외의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에 설치하는 창문등으로부터 2미터 이상의 거리를 두고 설치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3호 마목

check (REFB_9_2_3_5){

CS TEHN KS

}

CS{

	Space mySpace {

		getSpace(Stair.Space)

		getSpace(“Balcony”)

		getSpace(“AncillaryRoom”)

}

	Opening myOpening1 {

		hasElement(mySpace,Opening)=TRUE

		isConnectedToExternal(Opening) = TRUE



	Opening myOpening2 {

		getObjectProperty(Opening.material)= “WireContainedGlass”

		getObjectProperty(Window.panelOperationType)= “FixedSashWindow”

		getObjectProperty(Opening.area)=< 1㎡

}

	Opening myOpening3{

		getObject(myOpening1)-getObject(myOpening2)

}

isExist(myOpening3)=TRUE



KS{

	Opening myOpening4{

		getObject(Opening)-getObject(myOpening3)

}

getElementDistance(myOpening3, myOpening4, a)>=2m

} 














Modify
8
138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2 항 3호 사 목

사. 계단실의 노대 또는 부속실에 접하는 창문등(출입구를 제외한다)은 망이 들어 있는 유리의 붙박이창으로서 그 면적을 각각 1제곱미터 이하로 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3호 사목

check (REFB_9_2_3_7){

CS TEHN KS

}

CS{

	Space mySpace {

		getSpace(“Balcony”)

		getSpace(“AncillaryRoom”)

		hasObject(Stair.Space,Space)=TRUE

}

	Opening myOpening {

		getObject(mySpace.Opening)

}

isExist(myOpening)=TRUE

}



KS{

getObjectProperty(myOpening.material)= “WireContainedGlass”

getObjectProperty(Window.panelOperationType)= “FixedSashWindow”

getObjectProperty(myOpening.area)=< 1㎡

} 














Modify
9
149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7조 1 항

제17조(채광 및 환기를 위한 창문등) ①영 제51조에 따라 채광을 위하여 거실에 설치하는 창문등의 면적은 그 거실의 바닥면적의 10분의 1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거실의 용도에 따라 별표 1의3에 따라 조도 이상의 조명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00.6.3., 2010.4.7., 2012.1.6.>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7조 (채광 및 환기를 위한 창문등) 1항

check(REFB_17_1){

	IF (getResult(REFB_*_1-3) = FALSE) THEN KS

}



KS{ 

	Window myWindow{

		hasElement(Room, myWindow) = TRUE

	}

	

	getElementArea(myWindow) >= getFloorArea(Room)*0.1

} 














Modify
10
1496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7조 2 항

②영 제51조의 규정에 의하여 환기를 위하여 거실에 설치하는 창문등의 면적은 그 거실의 바닥면적의 20분의 1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기계환기장치 및 중앙관리방식의 공기조화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7조 (채광 및 환기를 위한 창문등) 2항

check(REFB_17_2){

	IF !CS THEN KS

}



CS{

	AirConditioningSystem myAirConditioningSystem{

		isObjectProperty(AirConditioningSystem.isCentralControl)

	}



VentilatorEquipment myVentilatorEquipemnt{

isObjectProperty(VentilatorEquipment.isMechanical)=TRUE

}



	hasElement(Room, myVentilatorEquipemnt)= TRUE 

	OR hasElement(Room, myAirConditioningSystem) = TRUE

}



KS{

	Window myWindow{

		hasElement(Room, Window) = TRUE

	}

		getElementArea(myWindow) >= getFloorArea(Room)*0.05

} 














Modify
11
153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4조 1 항

제24조(건축물의 마감재료) ①법 제52조제1항에 따라 영 제61조제1항 각 호의 건축물에 대하여는 그 거실의 벽 및 반자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반자돌림대ㆍ창대 기타 이와 유사한 것을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의 마감은 불연재료ㆍ준불연재료 또는 난연재료로 하여야 하며, 그 거실에서 지상으로 통하는 주된 복도ㆍ계단 기타 통로의 벽 및 반자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은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로 하여야 한다. <개정 2005.7.22., 2010.4.7., 2010.12.30.>





check(REFB_24_1){

      KS}



KS{

    (check(EDBA_61_1_1)=TRUE

    OR check(EDBA_61_1_2)=TRUE

    OR check(EDBA_61_1_3)=TRUE

    OR check(EDBA_61_1_4)=TRUE)

    OR check(EDBA_61_1_5)=TRUE)

    OR check(EDBA_61_1_6)=TRUE)

    OR check(EDBA_61_1_7)=TRUE)

    AND (getObjectProperty(Room.Wall.Material.noncombustible)= TRUE

    AND (getObjectProperty(CeilingCornice | WindowSill.Material.noncombustible)= TRUE

    OR !(getObjectProperty(CeilingCornice | WindowSill.Material.noncombustiblel)= TRUE)

    AND (isGoThrough(Room, Corridor | Stair | Passage,Ground)= TRUE

    AND (isFireResistant(getWall(Corridor))=TRUE

    AND isFireResistant(getWall(Stair))=TRUE

    AND isFireResistant(getWall(Passage))=TRUE

    AND isFireResistant(getObject(CeilingCovering))=TRUE)

} 














Modify
12
2741 건축법 시행령 제 44조

제44조(피난 규정의 적용례) 건축물이 창문, 출입구, 그 밖의 개구부(開口部)(이하 "창문등"이라 한다)가 없는 내화구조의 바닥 또는 벽으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구획된 각 부분을 각각 별개의 건축물로 보아 제34조부터 제41조까지를 적용한다.





//건축법 시행령 44조 (피난 규정의 적용례)



Check(EDBA_44){

   IF CS THEN KS

}



CS{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True

   }



   Object  myElement {

        getObject(Window)

        getObject(Opening)

        getObject(myDoor)

   }

   

   FloorSlab myFloorSlab{



        getObjectProperty(FloorSlab.isFireResistantStructure)=True

   }



     Wall myWall{

        getObjectProperty(FloorSlab.isFireResistantStructure)=True

        hasObject(Wall, myElement) =False

   }



   isFirePartition(Building, myFloorSlab)=True

   OR  isFirePartition(Building, myWall)=True

   



}



KS{

   getResult(EDBA_34)=True

   getResult(EDBA_35)=True

   getResult(EDBA_36)=True

   getResult(EDBA_37)=True

   getResult(EDBA_38)=True

   getResult(EDBA_39)=True

   getResult(EDBA_40)=True

   getResult(EDBA_41)=True

} 














Modify
13
2779 건축법 시행령 제 51조 1 항

제51조(거실의 채광 등) ① 법 제49조제2항에 따라 단독주택 및 공동주택의 거실, 교육연구시설 중 학교의 교실, 의료시설의 병실 및 숙박시설의 객실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채광 및 환기를 위한 창문등이나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13.3.23.>





// 건축법 시행령 51조 (거실의 채광 등) 1항
check(EDBA_51_1){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 "DetachedHouse.Room"
	OR getBuildingUsage() = "MultiUnitHouse.Room"
	OR getBuildingUsage() = "School.Classroom"
	OR getBuildingUsage() = "MedicalFacility.Ward"
	OR getBuildingUsage() = "LodgingFacility.GuestRoom"
}

KS{
	hasElement(Window) = TRUE
} 














Modify
14
2796 건축법 시행령 제 51조 3 항

③ 법 제49조제2항에 따라 오피스텔에 거실 바닥으로부터 높이 1.2미터 이하 부분에 여닫을 수 있는 창문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추락방지를 위한 안전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신설 2009.7.16., 2013.3.23.>





// 건축법 시행령 51조 (거실의 채광 등) 3항

check(EDBA_51_3){

	IF CS THEN KS

}



CS{

Window myWindow{
getObjectProperty(Window.panelOperationType) = "SwingingWindow"
}
	getBuildingUsage() = "Officetels.Room"

	getElementHeight(myWindow) <= 1.2 m

}



KS{

	isExist(FallPreventionSafetyFacility) = TRUE

	getResult(REFB_17_4) = TRUE

} 














Modify
15
9272 소화기구 및 자동 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 제 4조 2 항

② 이산화탄소 또는 할로겐화합물(할론 1301과 청정소화약제를 제외한다)을 방사하는 소화기구(자동확산소화장치를 제외한다)는 지하층이나 무창층 또는 밀폐된 거실로서 그 바닥면적이 20㎡ 미만의 장소에는 설치할 수 없다. 다만, 배기를 위한 유효한 개구부가 있는 장소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개정 2008.12.15, 2012.6.11>





//소화기구 및 자동 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 4조 (설치기준) 2항

Check(NFSC101_4_2){

	KS

}



KS{

	FireExtinguisher myFireExtinguisher{

	getObjectProperty(FireExtinguishingEquipment.extinguishingAgentType) = "GasType"

	}

	Space mySpace{

		(getFloorNumber(Space) = -1

	OR hasSpace(Space, Window) = FALSE

	OR isObjectProperty(Room.isEnclosed)=TRUE)

	getObjectProperty(Space.FloorSlab) < 20 m2

	}



	getSpace(mySpace, myFireExtinguisher) = FALSE

} 














Modify
16
9597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nfsc 303) 제 6조 1 항 1호 다 목

다. 바닥으로부터 높이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다만, 지하층 또는 무창층의 용도가 도매시장·소매시장·여객자동차터미널·지하역사 또는 지하상가인 경우에는 복도·통로 중앙부분의 바닥에 설치하여야 한다.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nfsc 303) 6조 (통로유도등 설치기준) 1항 1호 다목

Check(NFSC303_6_1_1_다){
           KS
}

KS{ 
   Floor myFloor{
       getFloorNumber()<0
       OR hasObject(Floor, Window)=False
   }
   
   IF getFloorUsage(myFloor)="WholesaleMarket"
      OR getFloorUsage(myFloor)="RetailMarket"
      OR getFloorUsage(myFloor)="PassengerVehicleTransportTerminal"
      OR getFloorUsage(myFloor)="UndergroundStation"
      OR getFloorUsage(myFloor)="UndergroundShoppingCenter" 
      THEN   //  복도·통로 중앙부분의 바닥에 설치하여야 한다.
   ELSE THEN
       getObjectVerticalDistance(FloorSlab, LeadingLightForCorridors )<= 1 m
} 














Modify
17
10879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5조 1 항

제35조(개구부) ①조적식구조인 벽에 있는 창·출입구 그 밖의 개구부(開口部)의 구조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의한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5조 (개구부) 1항
Check(RSSB_35_1){
        getResult(RSSB_28_2) = TRUE AND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 THEN KS
}
CS{
	Wall myWall1{
	isObjectProperty(my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 = TRUE
	}
	isInstalled(Window, myWall) = TRUE
	OR isInstalled(Door, myWall) = TRUE
	OR isInstalled(Opening, myWall) = TRUE
}
KS{
	getResult(RSSB_35_1_1) = TRUE
	getResult(RSSB_35_1_2) = TRUE
} 














Modify
    1      
 
This is Design IT Lab server's restricted area. Authorized users could access this web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