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istry of Land, Infrasrtucture and Transport |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 Space and Design IT Lab | Hanyang University
Open BIM based Technological Environment for Building Design Quality Enhancement
1-2. 설계품질검증 자동화를 위한 각종 법규 및 제기준의 체계화된 논리규칙 데이터베이스 구축 - 건축물 설계품질 혁신을 위한 개방형 BIM 기술 환경 구축 | 국토교통부
  Home Welcome to BIM Project Website - Hanyang University
PAGE MENU   MainPage
전체법규 - 법규데이터베이스
- 대한민국 전체 법규 목록
- 설계품질검토 대상 관련법규
대상법규 - 문장 논리규칙체계화
- 조항단위 논리규칙체계
- 문장단위 논리규칙체계
주어부 - 객체.속성 데이터베이스
- 법규로부터의 객체.속성 분류
- 명칭DB: 객체 | 객체및속성
서술부 - 함수 데이터베이스
- 논리규칙화 함수 분류
- 논리규칙화 함수 DB
관계부 - 문장 내.외 관계논리
- 문장 내.외 관계유형분류
- 법규조항관계도:
1차년도 | 2차년도 | 3차년도
- 문장 내.외관계 논리체계화
문장단위 | 체크리스트 단위
KBIMCode 데이터베이스
- KBIMCode Lang. Definition
- KBIMCode Editor
- KBimCode Database:
문장단위 | 조항단위
- KBimLogic Applications
 
     HOME
설계품질검토용 건축법 및 관련법규 - KBIMCode (문장단위)
    1      
1 / 1 page Total 1,131/ 1,131 records    신규입력 엑셀저장
Select
ALL
None
#
ID
Law
Jo
JO Name
HANG
HO
MOK
Text
Search!
1
134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8조의2조 1 항

제8조의2(피난안전구역의 설치기준) ① 영 제34조제3항 및 제4항에 따라 설치하는 피난안전구역(이하 "피난안전구역"이라 한다)은 해당 건축물의 1개층을 대피공간으로 하며, 대피에 장애가 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기계실, 보일러실, 전기실 등 건축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과 같은 층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피난안전구역은 건축설비가 설치되는 공간과 내화구조로 구획하여야 한다. <개정 2012.1.6.>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8조의2 (피난안전구역의 설치기준) 1항
check(REFB_8-2_1){
	KS1 AND IF CS THEN KS2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EgressSafetyZone) = TRUE
	}

	Space mySpace{
		hasSpace(Space, FacilitiesOfABuilding)
	}

	Structure myStructure{
		isObjectProperty(Space.isfireResistantStructure) = TRUE
	}

KS1{
 	BSC = getBuildingStoriesCount()
	getFloorNumber(myZone) <= BSC
}

CS{
	getFloorNumber(mySpace) = getFloorNumber(myZone)
}

KS2{
	isPartitioned(myZone, myStructure, mySpace) = TRUE
}
 














Modify
2
134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8조의2조 2 항

② 피난안전구역에 연결되는 특별피난계단은 피난안전구역을 거쳐서 상ㆍ하층으로 갈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8조의2 (피난안전구역의 설치기준) 2항

Check(REFB_8-2_2){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EgressSafetyZone)=TRUE

   }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SpecialEscape)=TRUE

      isAccessible(myZone, Stair)=TRUE

   }

  Floor myFloor{

         Floor.number>getFloorNumber(myZone)

         OR Floor.number<getFloorNumber(myZone)

  }

 

  isGoThrough(myStair, myZone, myFloor)=TRUE

} 














Modify
3
1466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5조 2 항 4호

4. 윗층의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제곱미터 이상이거나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제곱미터 이상인 지하층의 계단인 경우에는 계단 및 계단참의 너비를 120센티미터 이상으로 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5조 (계단의 설치기준) 2항4호

check(REFB_15_2_4){

     IF CS THEN KS 

}



CS{  

   Floor myFloor{

   N=getFloorNumber(Stair)

   Floor.number=N+1

   }

   (getTotalFloorArea(myFloor.Room)>=200 m2 

   OR getTotalFloorArea(Room)>=100 m2)

    getFloorNumber(Stair)<0

      

}



KS{

       getObjectWidth(Stair)>=120 cm

      getObjectWidth(StairLanding)>120 cm

} 














Modify
4
1516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0조 3호

3. 금속제 굴뚝으로서 건축물의 지붕속ㆍ반자위 및 가장 아랫바닥밑에 있는 굴뚝의 부분은 금속외의 불연재료로 덮을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0조 (건축물에 설치하는 굴뚝) 3호
Check(REFB_20_0_3){
	IF CS THEN KS
}

CS{
	getObjectMaterial(Chimney.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

KS{
	Chimney myChimney{
		getObjectMaterial(Chimney.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

	isObjectProperty(A.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getObjectProperty(A.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 != 
	isObjectProperty(B.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getFloorNumber(myChimney) = LF
	getObjectMaterial(myChimney) != "Metal"
} 














Modify
5
153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4조 2 항 1호

1. 영 제61조제1항 각 호에 따른 용도에 쓰이는 거실 등을 지하층 또는 지하의 공작물에 설치한 경우의 그 거실(출입문 및 문틀을 포함한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4조 (건축물의 마감재료) 2항1호
check(REFB_24_2_1){
       KS
}

KS{

  Building myBuilding{
     getResult(EDBA_61_1_1)=TRUE
      OR getResult(EDBA_61_1_2)=TRUE
      OR getResult(EDBA_61_1_3)=TRUE
      OR getResult(EDBA_61_1_4)=TRUE
      OR getResult(EDBA_61_1_5)=TRUE
      OR getResult(EDBA_61_1_6)=TRUE
      OR getResult(EDBA_61_1_7)=TRUE
  }
     
  Room myRoom{
      getSpace(myBuilding.Room)
  }
    getFloorNumber(myRoom)<0 

} 














Modify
6
2680 건축법 시행령 제 34조 1 항

제34조(직통계단의 설치) ① 건축물의 피난층(직접 지상으로 통하는 출입구가 있는 층 및 제3항과 제4항에 따른 피난안전구역을 말한다. 이하 같다) 외의 층에서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경사로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을 거실의 각 부분으로부터 계단(거실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계단을 말한다)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30미터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건축물(지하층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제곱미터 이상인 공연장ㆍ집회장ㆍ관람장 및 전시장은 제외한다)의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은 그 보행거리가 50미터(층수가 16층 이상인 공동주택은 40미터) 이하가 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자동화 생산시설에 스프링클러 등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공장으로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공장인 경우에는 그 보행거리가 75미터(무인화 공장인 경우에는 100미터) 이하가 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개정 2009.7.16., 2010.2.18., 2011.12.30., 2013.3.23.>





// 건축법 시행령 34조 (직통계단의 설치) 1항

Check(EDBA_34_1){
     KS
}

KS{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Space mySpace{
      getObjectProperty(Space.usage)="PerformanceHall"
      OR getObjectProperty(Space.usage)="AssemblyHall"
      OR getObjectProperty(Space.usage)="Auditorium"	
      OR getObjectProperty(Space.usage)="ExhibitionHall"
}

Door myDoor{
     isDirectlyAccessible(Door, Ground)=TRUE
}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TRUE
     isAccessible(Stair,myFloor)=TRUE
     OR isAccessible(Stair,Ground)=TRUE
}

Ramp myRamp{
     isAccessible(Ramp,myFloor)=TRUE
     OR isAccessible(Ramp,Ground)=TRUE
}

Floor myFloor2{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FALSE
     OR hasObject(Floor, myDoor)=FALSE
}

	Zone myZone{

		isDirectlyAccessible(myStair, Zone)=FALSE

	}

 

IF

	getFloorNumber(mySpace)>0

	getFloorArea(mySpace)<=300 m2

	isFireResistantStructure(MainStructuralPart)=TRUE

	OR isObjectProperty(MainStructuralPart.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THEN IF        getBuildingStoriesCount()>=16

	               getBuildingUsage()="MultiUnitHouse"

	          THEN ED= 40 

	ELSE THEN   ED=50               

	END IF



ELSE IF   

	getBuildingUsage() = "Factory" 

	isExist(ExtinguishingSystem)=TRUE 

	isObjectProperty(ExtinguishingSystem.isAutomatic)=TRUE

	getResult(REFB_8_2)=TRUE

	THEN IF   	getBuildingUsage() = "UnmannedFactory" 

			THEN ED=100

	ELSE THEN  ED=75

	END IF 



ELSE THEN ED=30

	END IF 



	(hasObject(myFloor,myStair)=TRUE

	hasObject(myZone, myStair)=TRUE

	getObjectDistance(Room,myStair, 1)<=ED)

	OR 

	(hasObject(myFloor,myRamp)=TRUE

	hasObject(myZone, myRamp)=TRUE

	getObjectDistance(Room,myRamp, 1)<=ED)

} 














Modify
7
2686 건축법 시행령 제 34조 2 항 5호

5. 지하층으로서 그 층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제곱미터 이상인 것





//건축법 시행령 34조 (직통계단의 설치) 2항5호
check(EDBA_34_2_5){
	Floor myFloor {
		getFloorNumber()<0
	}
		
	getTotalFloorArea(myFloor.Room)>= 200 m2
}
 














Modify
8
2688 건축법 시행령 제 34조 4 항

④ 준초고층 건축물에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과 직접 연결되는 피난안전구역을 해당 건축물 전체 층수의 2분의 1에 해당하는 층으로부터 상하 5개층 이내에 1개소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신설 2011.12.30., 2013.3.23.>





// 건축법 시행령 34조 (직통계단의 설치) 4항

check(EDBA_34_4){

		IF !CS THEN KS ENDIF

}

CS{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isDirectlyAccessible(myStair, myFloor) = TRUE

		OR isDirectlyAccessible(myStair, Ground) = TRUE

}

				

KS{

		isObjectProperty(Building.isQuasiHighriseBuilding) = TRUE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EgressSafetyZone) = TRUE

		}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isGoThrough(myFloor, myZone, myStair) = TRUE

		OR isGoThrough(myFloor, Ground, myStair) = TRUE

		(getBuildingStoriesCount()/2)-5 < getFloorNumber(myZone)

                getFloorNumber(myZone) < (getBuildingStoriesCount()/2)+5

} 














Modify
9
2694 건축법 시행령 제 35조 2 항

② 건축물(갓복도식 공동주택은 제외한다)의 11층(공동주택의 경우에는 16층) 이상인 층(바닥면적이 400제곱미터 미만인 층은 제외한다) 또는 지하 3층 이하인 층(바닥면적이 400제곱미터미만인 층은 제외한다)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은 제1항에도 불구하고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08.10.29.>





//건축법 시행령 35조 (피난계단의 설치) 2항
check(EDBA_35_2){
	IF (CS1 AND CS2) THEN KS
}

CS1{
	Building.usage != "MultiUnitHouse.SideCorridorTypeMultiUnitHouse"
}

CS2{
	Floor myFloor{
 		IF (Building.usage = "MultiUnitHouse“) 
			THEN getFloorNumber(Floor) >= 16
     		ELSE 		
			getFloorNumber(Floor) >= 11
     		ENDIF

 		OR getFloorNumber(Floor) < -3
		getFloorArea(Floor) >= 400m2
	}

	Stair myStair {
		(isAccessible(Stair, Floor.isEscape) = TRUE
		 OR isAccessible(Stair, Ground) = TRUE)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

	hasObject(myFloor, myStair) = TRUE
}

KS{
	isObjectProperty(myStair.isSpecialEscape) = TRUE
}
 














Modify
10
2747 건축법 시행령 제 46조 2 항 2호

2. 물품의 제조ㆍ가공ㆍ보관 및 운반 등에 필요한 고정식 대형기기 설비의 설치를 위하여 불가피한 부분. 다만, 지하층인 경우에는 지하층의 외벽 한쪽 면(지하층의 바닥면에서 지상층 바닥 아래면까지의 외벽 면적 중 4분의 1 이상이 되는 면을 말한다) 전체가 건물 밖으로 개방되어 보행과 자동차의 진입ㆍ출입이 가능한 경우에 한정한다.





//건축법 시행령 46조 (방화구획의 설치) 2항 2호

check(EDBA_46_2_2){

IF CS THEN KS

}



KS{

isExist(StationaryLargeComponent)=TRUE

}



CS{

Floor myFloor{
getFloorNumber()<0
}

AND isAccessible(myFloor, Ground) = TRUE

} 














Modify
11
2750 건축법 시행령 제 46조 2 항 5호

5. 복층형 공동주택의 세대별 층간 바닥 부분





//건축법 시행령 46조 (방화구획의 설치) 2항 5호
check(EDBA_46_2_5){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OccupiedByOneHousehold) = TRUE
	}
	getBuildingUsage() = "DuplexMultiUnitHouses"
	hasSpace(myZone, Floor) = TRUE
	getFloorNumber(Floor) != 1
} 














Modify
12
2780 건축법 시행령 제 51조 2 항

② 법 제49조제2항에 따라 6층 이상인 건축물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거실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배연설비(排煙設備)를 하여야 한다. 다만, 피난층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4.3.24.>





//건축법 시행령 51조 (거실의 채광 등) 2항
Check(EDBA_51_2){
	IF (!CS1 AND CS2) THEN KS
}


CS1{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getFloorNumber(Room) = getFloorNumber(myFloor)
}

CS2{
	getBuildingStoriesCount() >= 6
	getResult(EDBA_51_2_1) = True
	OR getResult(EDBA_51_2_2) = True
	OR getResult(EDBA_51_2_3) = True
	OR getResult(EDBA_51_2_4) = True
	OR getResult(EDBA_51_2_5) = True
	OR getResult(EDBA_51_2_6) = True
	OR getResult(EDBA_51_2_7) = True
	OR getResult(EDBA_51_2_8) = True
	OR getResult(EDBA_51_2_9) = True
	OR getResult(EDBA_51_2_10) = True
	OR getResult(EDBA_51_2_11) = True
	OR getResult(EDBA_51_2_12) = True
	OR getResult(EDBA_51_2_13) = True
	OR getResult(EDBA_51_2_14) = True
	OR getResult(EDBA_51_2_15) = True
}

KS{
	hasSpace(Room, SmokeExhaustionSystem) = True
	getResult(RFB_14_1) = True
	getResult(REFB_17_1) = True
	getResult(REFB_17_2) = True
}
 














Modify
13
9272 소화기구 및 자동 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 제 4조 2 항

② 이산화탄소 또는 할로겐화합물(할론 1301과 청정소화약제를 제외한다)을 방사하는 소화기구(자동확산소화장치를 제외한다)는 지하층이나 무창층 또는 밀폐된 거실로서 그 바닥면적이 20㎡ 미만의 장소에는 설치할 수 없다. 다만, 배기를 위한 유효한 개구부가 있는 장소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개정 2008.12.15, 2012.6.11>





//소화기구 및 자동 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 4조 (설치기준) 2항

Check(NFSC101_4_2){

	KS

}



KS{

	FireExtinguisher myFireExtinguisher{

	getObjectProperty(FireExtinguishingEquipment.extinguishingAgentType) = "GasType"

	}

	Space mySpace{

		(getFloorNumber(Space) = -1

	OR hasSpace(Space, Window) = FALSE

	OR isObjectProperty(Room.isEnclosed)=TRUE)

	getObjectProperty(Space.FloorSlab) < 20 m2

	}



	getSpace(mySpace, myFireExtinguisher) = FALSE

} 














Modify
14
9597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nfsc 303) 제 6조 1 항 1호 다 목

다. 바닥으로부터 높이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다만, 지하층 또는 무창층의 용도가 도매시장·소매시장·여객자동차터미널·지하역사 또는 지하상가인 경우에는 복도·통로 중앙부분의 바닥에 설치하여야 한다.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nfsc 303) 6조 (통로유도등 설치기준) 1항 1호 다목

Check(NFSC303_6_1_1_다){
           KS
}

KS{ 
   Floor myFloor{
       getFloorNumber()<0
       OR hasObject(Floor, Window)=False
   }
   
   IF getFloorUsage(myFloor)="WholesaleMarket"
      OR getFloorUsage(myFloor)="RetailMarket"
      OR getFloorUsage(myFloor)="PassengerVehicleTransportTerminal"
      OR getFloorUsage(myFloor)="UndergroundStation"
      OR getFloorUsage(myFloor)="UndergroundShoppingCenter" 
      THEN   //  복도·통로 중앙부분의 바닥에 설치하여야 한다.
   ELSE THEN
       getObjectVerticalDistance(FloorSlab, LeadingLightForCorridors )<= 1 m
} 














Modify
15
10863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1조 1 항

제31조(내력벽의 높이 및 길이) ①조적식구조인 건축물중 2층 건축물에 있어서 2층 내력벽의 높이는 4미터를 넘을 수 없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1조 (내력벽의 높이 및 길이) 1항
Check(RSSB_31_1){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Building.Structure.isMansoryStructure) = TRUE
	getBuildingStoriesCount() = 2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LoadBearingWall) = TRUE
	getFloorNumber(Wall.Floor) = TRUE
	}
	getObjectHeight(myWall) < 4m
} 














Modify
16
10868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2조 2 항

(표)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2조 (내력벽의 두께) 2항



Check(RSSB_32_2){

        getResult(RSSB_32_7) = TRUE AND getResult(RSSB_32_3) = TRUE AND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 THEN  KS

}

CS {

   getResult(RSSB_33_3)=True

}





KS{

     //HW means Height of wall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LoadBearingWall) = TRUE
}
       HW=getObjectHeight(myWall)



     IF isObjectProperty(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TRUE

 

    

         IF getBuildingHeight()<5 m

            IF getFloorNumber(myWall)=1

                 IF getObjectLength(myWall)<8 m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 150 mm

                 ELSE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 190 mm   

                 END IF 

            END IF 



         ELSE IF  getBuildingHeight()>=5 m  

                  getBuildingHeight()<11 m

                  getFloorNumber(myWall)=1

                  OR getFloorNumber(myWall)=2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 190 mm

         



         ELSE IF  getBuildingHeight()>=11 m  

                  IF getObjectLength(myWall)<8 m

                      getFloorNumber(myWall)=1

                      OR getFloorNumber(myWall)=2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190 mm

                  ELSE IF getFloorNumber(myWall)=1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290 mm

                  ELSE IF  getFloorNumber(myWall)=2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190 mm

                  END IF          

        END IF





             IF getObjectMaterial(myWall)="벽돌"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 HW/20



             ELSE IF getObjectMaterial(myWall)="Block"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 HW/16

              

             END IF







    END IF 

} 














Modify
17
10876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3조 2 항

②조적식구조인 칸막이벽의 바로 윗층에 조적식구조인 칸막이벽이나 주요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당해 칸막이벽의 두께는 190밀리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제34조의 규정에 의한 테두리보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3조 (칸막이벽 등의 두께) 2항 



Check(RSSB_33_2){

      getResult(RSSB_28_3) = TRUE AND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1 AND CS2) THEN KS

}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PartitionWall)=True

         isObjectProperty(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True

    }



CS1{

      getResult(RSSB_34)=True

}





CS2{

    FN=getFloorNumber(myWall)  //FN means myWall's floor number 

    Floor myFloor{

          Floor.number=FN+1

    }

    isInstalled(myFloor, myWall)= True

    OR isInstalled (myFloor, MainStructure)=True

}



KS{

     getObjectThickness(myWall)>=190 mm 

} 














Modify
18
10896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42조

제42조(기초) 보강블록구조인 내력벽의 기초(최하층 바닥면 이하의 부분을 말한다)는 연속기초로 하되 그 중 기초판 부분은 철근콘크리트구조로 하여야 한다.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42조 (기초)
Check(RSSB_42){
	getResult(RSSB_41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KS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LoadBearingWall) = TRUE
		getFloorNumber(Wall) < 1
	}

	getObjectProperty(myWall.Structure.materialType) = "SteelReinforcedConcreteBlock"
	isObjectProperty(Foundation.isCountinuousFoundation) = TRUE

	getObjectStructure(FoundationPlate.Structure.materialType) = "ReinforcedConcrete"
} 














Modify
19
10898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43조 2 항

②보강블록구조인 내력벽의 두께(마감재료의 두께를 포함하지 아니한다. 이하 이절에서 같다)는 150밀리미터 이상으로 하되, 그 내력벽의 구조내력에 주요한 지점간의 수평거리의 50분의 1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43조 (내력벽) 2항
Check(RSSB_43_2){
	getResult(RSSB_41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KS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LoadBearingWall) = TRUE
		getFloorNumber(Wall) < 1
		getObjectProperty(Wall.Structure.materialType) = "SteelReinforcedConcreteBlock"
	}

	getWallThickness(myWall) >= 150mm
} 














Modify
20
12868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 11조

제11조(지하층의 활용)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주택단지에 설치하는 지하층은 근린생활시설(변전소ㆍ정수장 및 양수장을 제외한다. 다만, 변전소의 경우 「전기사업법」 제2조제2호에 따른 전기사업자가 자신의 소유 토지에 「전원개발촉진법 시행령」 제3조제1호에 따른 시설의 설치ㆍ운영에 종사하는 자를 위하여 건설하는 공동주택 및 주택과 주택 외의 건축물을 동일건축물에 복합하여 건설하는 경우로서 사업계획승인권자가 주거안정에 지장이 없다고 인정하는 건축물의 변전소는 포함한다)ㆍ주차장ㆍ주민공동시설 및 주택(사업계획승인권자가 해당 주택의 주거환경에 지장이 없다고 인정하는 경우로서 1층 세대의 주거전용부분으로 사용되는 구조만 해당한다) 그 밖에 관계 법령에 따라 허용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구조 및 설비는 「건축법」제53조에 따른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2005.6.30., 2006.1.6., 2008.10.29., 2009.10.19., 2013.6.17.>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11조 (지하층의 활용) 

Check(RHC_11){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MultiUnitHouse"
   getFloorNumber(Space)<0
}

KS{
    getResult(BA_53)=True
} 














Modify
21
14252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 제 4조 5 항 3호 가 목

가. 지하상가 또는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 이상인 것은 수평거리 25m





//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 4조 (전원 및 콘센트 등) 5항 3호 가목
Check(NFSC504_4_5_3_1){
	IF CS THEN KS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

Floor myFloor{
	getFloorNumber(Floor) < 0
}

CS{
	getFloorArea(myFloor) >= 3000m2
}

KS{
	getObjectDistance(myDoor.Stair.Space, EmergencyPowerOutlet) > 25m
	OR getObjectDistance(myDoor.Stair.AncillaryRoom, EmergencyPowerOutlet) > 25m
}
 














Modify
22
15527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제 6조 1호 가 목

가. 아파트의 1층 및 2층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6조 (방수구) 1호 가목

Check(NFSC502_6_0_1_가){
    KS
}

KS{
    getBuildigUsage()="ApartmentHouse"
    getFloorNumber()=1
    OR getFloorNumber()=2
} 














Modify
23
15531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제 6조 2호 가 목

가. 지하가(터널은 제외한다) 또는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 이상인 것은 수평거리 25m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6조 (방수구) 2호 가목



Check(NFSC502_6_0_2_가){



    IF CS THEN KS1 ELSE KS2

}



CS{

       Space mySpace{

            getSpaceUsage()="UndergroundMarket"

            OR getFloorNumber()<0

        }



       getFloorArea(mySpace)>3000 m2

}



KS1{



    getElementDistance(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OutLet, Wall )<=25 m

    getElementDistance(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OutLet, Column )<=25 m



}





KS2{

       getResult(NFSC502_6_0_2_나)=True

 } 














Modify
24
15534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제 6조 3호

3. 11층 이상의 부분에 설치하는 방수구는 쌍구형으로 할 것. 다만, 다음 각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층에는 단구형으로 설치할 수 있다.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6조 (방수구) 3호



Check(NFSC502_6_0_3){

     IF CS1 THEN KS1 ELSE IF CS2 THEN KS2

}





CS1{

   Space mySpace{

      getFloorNumber(Space)>=11

   }

   

    isInstalled(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Port, mySpace)=True

}



KS1{

       getObjectProperty(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Port.shapeType)="DoubleType"

}





CS2{

   getResult(NFSC502_6_0_3_가)=True

   OR getResult(NFSC502_6_0_3_나)=True

}



KS2{

getObjectProperty(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Port.shapeType)="SingleType"

} 














Modify
25
15545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제 7조 1호

1. 방수기구함은 피난층과 가장 가까운 층을 기준으로 3개층마다 설치하되, 그 층의 방수구마다 보행거리 5m 이내에 설치할 것 <개정 2014.8.18>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7조 (방수기구함) 1호



Check(NFSC502_7_0_1){

       KS

}



KS{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True

    }



    Floor myFloor2{

         Floor.number>EFN

    }

   

    Floor myFloor3{

         Floor.nmbergetFloorNumber(myFloor)

      isInstalled(DischargeCabinet, myFloor2, 3)=True

      isInstalled(DischargeCabinet, myFloor3, 3)=True

      getObjectDistance(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Port, DischargeCabinet) <= 5 m

} 














Modify
    1      
 
This is Design IT Lab server's restricted area. Authorized users could access this web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