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199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3조 1 항 7호
7. 보일러의 연도는 내화구조로서 공동연도로 설치할 것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3조 (개별난방설비) 1항 7호
Check(RFB_13_1_7){
KS
}
KS{
isFireResistantStructure(GasDuct) = TRUE
isShared (GasDuct) = TRUE
}
Modify
2
2769
건축법 시행령 제 47조 2 항
② 법 제49조제2항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용도의 시설은 같은 건축물에 함께 설치할 수 없다. <개정 2009.7.16., 2010.8.17., 2012.12.12., 2014.3.24.>
//건축법 시행령 47조 (방화에 장애가 되는 용도의 제한) 2항
Check(EDBA_47_2){
KS
}
Space myFacility{
getResult(EDBA_47_2_1)=True
}
Space myFacility2{
OR getResult(EDBA_47_2_2)=True
}
KS{
isShared (myFacility.Building, myFacility2.Building)=False
}
Modify
3
2807
건축법 시행령 제 53조 1 항 3호
3.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다중생활시설의 호실 간 경계벽
// 건축법 시행령 53조 (경계벽 등의 설치) 1항 3호
check(EDBA_53_1_3){
KS
}
KS{
Space mySpace1{
Space.Building.usag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CommunalLivingFacility”
}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PartitionWall)=TRUE
hasObject(mySpace1, Wall) =TRUE
}
isObjectProperty(myWall.isShared ByHouseholds) = TRUE
}
Modify
4
2808
건축법 시행령 제 53조 1 항 4호
4. 노유자시설 중 「노인복지법」 제32조제1항제3호에 따른 노인복지주택(이하 "노인복지주택"이라 한다)의 각 세대 간 경계벽
// 건축법 시행령 53조 (경계벽 등의 설치) 1항 4호
check(EDBA_53_1_4){
KS
}
KS{
Building myBuilding{
Zone.Building.usage = “FacilitiesForTheAgedAndChildren.WelfareFacilityForTheAged ”
getResult(WOPA_32_1_3)=TRUE
}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PartitionWall)=TRUE
hasObject(myBuilding, Wall) =TRUE
}
isObjectProperty(myWall.isShared ByHouseholds) = TRUE
}
Modify
5
9328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4조 1 항 5호
5. 송수구로부터 주배관에 이르는 연결배관에는 개폐밸브를 설치하지 아니 할 것. 다만, 스프링클러설비·물분무소화설비·포소화설비 또는 연결송수관설비의 배관과 겸용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4조 (송수구 등) 1항 5호
Check(NFSC503_4_1_5){
IF !CS THEN KS
}
CS{
Pipe myPipe1{
getObjectProperty(Port.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Pipe myPipe2{
getObjectProperty(Port.systemType) = "SprinklerSystem"
}
Pipe myPipe3{
getObjectProperty(Port.systemType) = "WaterSprayExtingushingSystem"
}
Pipe myPipe4{
getObjectProperty(Port.systemType) = "FoamExtinguishingSystem"
}
Pipe myPipe5{
getObjectProperty(Port.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Pipe myPipe6{
getObjectProperty(Port.systemType) = "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
}
isShared (myPipe1, myPipe2, myPipe3, myPipe4) = TRUE
OR isShared (myPipe5, myPipe6) = TRUE
}
KS{
Port myPort{
getObjectProperty(Port.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getObjectProperty(Port.typeForWater) = "FireDepartmentConnection"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Riser)=TRUE
}
Vavle myValve{
isObjectProperty(Valve.isShutoffValve)= TRUE
}
isConnectedTo(myPort, Pipe) = TRUE
isConnectedTo(Pipe, myPipe) = TRUE
isInstalled(myValve, myPipe) = FALSE
}
Modify
6
9345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5조 2 항 1호
1. 연결살수설비 전용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 표에 따른 구경 이상으로 할 것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5조 (배관 등) 2항 1호
Check(NFSC503_5_2_1){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Head.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isObjectProperty(Head.isShared ) = FALSE
}
KS{
Head myHead{
isInstalled(Head., Pipe.One) = TRUE
}
NH = getObjectCount(myHead)
IF NH = 1 THEN getObjectDiameter(Pipe) >= 32mm
ELSE IF NH = 2 THEN getObjectDiameter(Pipe) >= 40mm
ELSE IF NH = 3 THEN getObjectDiameter(Pipe) >= 50mm
ELSE IF NH = 4 OR NH = 5 THEN getObjectDiameter(Pipe) >= 65mm
ELSE IF NH >= 6 AND HN <= 10 THEN getObjectDiameter(Pipe) >= 80mm
}
Modify
7
9346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5조 2 항 1호
(표)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5조 (배관 등) 2항 1호
Check(NFSC503_5_2_1){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Head.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isObjectProperty(Head.isShared ) = FALSE
}
KS{
Head myHead{
isInstalled(HookingUpSprinklerSystem.Head., Pipe.One) = TRUE
}
NH = getObjectCount(myHead)
IF NH = 1 THEN getObjectDiameter(Pipe) >= 32mm
ELSE IF NH = 2 THEN getObjectDiameter(Pipe) >= 40mm
ELSE IF NH = 3 THEN getObjectDiameter(Pipe) >= 50mm
ELSE IF NH = 4 OR NH = 5 THEN getObjectDiameter(Pipe) >= 65mm
ELSE IF NH >= 6 AND HN <= 10 THEN getObjectDiameter(Pipe) >= 80mm
}
Modify
8
9369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6조 2 항 2호
2. 천장 또는 반자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살수헤드까지의 수평거리가 연결살수설비전용헤드의 경우은 3.7m 이하, 스프링클러헤드의 경우는 2.3m 이하로 할 것. 다만, 살수헤드의 부착면과 바닥과의 높이가 2.1m 이하인 부분은 살수헤드의 살수분포에 따른 거리로 할 수 있다.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6조 (연결살수설비의 헤드) 2항 2호
Check(NFSC503_6_2_2){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Head myHead{
isObjectProperty(HookingUpSprinklerSystem.Head.isShared ) = FALSE
}
isExist(myHead) = TRUE
}
KS1{
getObjectDistance(Ceiling, HookingUpSprinklerSystem.Head) <= 3.7m
OR getObjectDistance(CeilingCovering, HookingUpSprinklerSystem.Head) <= 3.7m
}
CS2{
isExist(SprinklerHead) = TRUE
}
KS2{
getObjectDistance(Ceiling, SprinklerSystem) <= 2.3m
OR getObjectDistance(CeilingCovering, SprinklerSystem) <= 2.3m
}
Modify
9
10957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제 4조 2 항
②급수배관(송수구로부터 연소방지설비방수구에 급수하는 배관을 말한다. 이하 같다)은 전용으로 하여야 한다.
//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4조 (배관) 2항
Check(NFSC506_4_2){
KS
}
KS{
Pipe myPipe{
getObjectProperty(Pipe.usage) = "WaterSUpplyPipe"
}
isObjectProperty (myPipe.isShared ) = FALSE
}
Modify
10
10977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제 5조 2호
2. 방수헤드간의 수평거리는 연소방지설비 전용헤드의 경우에는 2m 이하, 스프링클러헤드의 경우에는 1.5m 이하로 할 것
//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5조 (방수헤드) 1호
Check(NFSC506_5_0_2){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Head myHead{
Head.isDischargeHead = TRUE
}
isObjectProperty(myHead) = TRUE
isObjectProperty(Head.isShared ) = FALSE
isInstalled(Head, CombustionProtectionSystem) = TRUE
}
KS1{
getObjectInterval(myHead) <= 2m
}
CS2{
isObjectProperty(myHead) = TRUE
isObjectProperty(Sprinkler.Head) = TRUE
}
KS2{
getObjectInterval(myHead) <= 1.5m
}
Modify
11
14355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 6조 3 항
③ 급수배관은 전용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옥내소화전의 기동장치의 조작과 동시에 다른 설비의 용도에 사용하는 배관의 송수를 차단할 수 있거나, 옥내소화전설비의 성능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다른 설비와 겸용할 수 있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2항 3호
Check(NFSC102_6_2_3){
KS
}
KS{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usage) = "WaterSupplyPipe"
}
isObjectProperty(Pipe.isShared ) = FALSE
}
Modify
12
14363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 6조 7 항
⑦ 연결송수관설비의 배관과 겸용할 경우의 주배관은 구경 100㎜ 이상, 방수구로 연결되는 배관의 구경은 65㎜ 이상의 것으로 하여야 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7항
Check(NFSC503A_6_7){
IF CS THEN KS
}
CS{
Pipe.isShared (SimpleSprinklersystem.Pipe, 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Pipe) = TRUE
}
KS{
Pipe myPipe1{
isObjectProperty(Pipe.isRiser) = TRUE
}
Port myPort{
getObjectProperty(Port.typeForWater) = "Delivery"
Pipe myPipe2{
isConnectedTo(Pipe, myPort) = TRUE
}
isObjectProperty(myPipe1.diameter) >= 100 mm
getObjectProperty(myPipe2.diameter) >= 65 mm
}
Modify
13
14378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 6조 13 항 2호
2. 송수구로부터 주 배관에 이르는 연결배관에는 개폐밸브를 설치하지 아니할 것. 다만, 스프링클러설비·물분무소화설비·포소화설비 또는 연결송수관 설비의 배관과 겸용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13항 2호
Check(NFSC503A_6_13_2){
IF !CS THEN KS
}
CS{
isShared (HookingUpSprinklerSystem.Pipe, SprinklerSystem.Pipe, WaterSprayExtingushingSystem.Pipe, FoamExtinguishingSystem.Pipe) = TRUE
OR isShared (HookingUpSprinklerSystem.Pipe, 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Pipe) = TRUE
}
KS{
Port myPort{
getObjectProperty(HookingUpSprinklerSystem.Port.typeForWater) = "FireDepartmentConnection"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Riser)=TRUE
}
Vavle myValve{
isObjectProperty(Valve.isShutoffValve)= TRUE
}
isConnectedTo(myPort, Pipe) = TRUE
isConnectedTo(Pipe, myPipe) = TRUE
isInstalled(myValve, myPipe) = FALSE
}
Modify
14
14510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4조 5 항
⑤ 스프링클러설비의 수원을 수조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소방설비의 전용수조로 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종전의 제4항에서 이동 2012.2.15]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4조 (수원) 5항
Check(NFSC103_4_5){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Tank.isWaterSource) = TRUE
(getResult(NFSC103_4_5_1) = FALSE
OR getResult(NFSC103_4_5_2) = FALSE)
}
KS{
isObjectProperty(Tank.isShared ) = FALSE
}
Modify
15
14799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 16조 2 항
② 스프링클러설비의 가압송수장치로 사용하는 펌프를 옥내소화전설비·간이스프링클러설비·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물분무소화설비·포소화설비 및 옥외소화전설비의 가압송수장치와 겸용하여 설치하는 경우의 펌프의 토출량은 각 소화설비에 해당하는 토출량을 합한 양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이들 소화설비 중 고정식 소화설비가 2 이상 설치되어 있고, 그 소화설비가 설치된 부분이 방화벽과 방화문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각 소화설비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펌프의 토출량 중 최대의 것 이상으로 할 수 있다.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6조 (수원 및 가압송수장치의 펌프 등의 겸용) 2항
Check(NFSC103_16_2){
IF CS THEN KS
}
Pump myPump{
isInstalled(SprinklerSystem, PressurizedWaterSupplySystem) = TRUE
getObjectUsage(Pump) = "PressurizedWaterSupplySystem"
}
Pump myPump2{
isInstalled(IndoorFireHydrantSystem, PressurizedWaterSupplySystem) = TRUE
getObjectUsage(Pump) = "PressurizedWaterSupplySystem"
}
Pump myPump3{
isInstalled(SimpleSprinklerSystem, PressurizedWaterSupplySystem) = TRUE
getObjectUsage(Pump) = "PressurizedWaterSupplySystem"
}
Pump myPump4{
isInstalled(SprinklerSystemForEarlyFireSuppression, PressurizedWaterSupplySystem) = TRUE
getObjectUsage(Pump) = "PressurizedWaterSupplySystem"
}
Pump myPump5{
isInstalled(WaterSprayExtingushingSystem, PressurizedWaterSupplySystem) = TRUE
getObjectUsage(Pump) = "PressurizedWaterSupplySystem"
}
Pump myPump6{
isInstalled(FoamExtinguishingSystem, PressurizedWaterSupplySystem) = TRUE
getObjectUsage(Pump) = "PressurizedWaterSupplySystem"
}
Pump myPump7{
isInstalled(OutdoorFireHydrantSystem, PressurizedWaterSupplySystem) = TRUE
getObjectUsage(Pump) = "PressurizedWaterSupplySystem"
}
CS{
isShared (myPump, myPump2) = TRUE
OR isShared (myPump, myPump3) = TRUE
OR isShared (myPump, myPump4) = TRUE
OR isShared (myPump, myPump5) = TRUE
OR isShared (myPump, myPump6) = TRUE
OR isShared (myPump, myPump7) = TRUE
}
KS{
getObjectProperty(myPump.ratedDischargeRate) = PRD
getObjectProperty(myPump2.ratedDischargeRate) + getObjectProperty(myPump3.ratedDischargeRate) + getObjectProperty(myPump4.ratedDischargeRate) + getObjectProperty(myPump5.ratedDischargeRate) + getObjectProperty(myPump6.ratedDischargeRate) + getObjectProperty(myPump7.ratedDischargeRate) = TPRD
PRD >= TPRD
}
Modify
16
14833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4조 2 항
②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수원을 수조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소방설비의 전용수조로 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103a) 4조 (수원) 2항
Check(NFSC503A_4_2){
IF !CS1 AND CS2 THEN KS
}
CS1{
getResult(NFSC503A_4_2_1) = TRUE
OR getResult(NFSC503A_4_2_2) = TRUE
}
CS2{
isObjectProperty(SimpleSprinklerSystem.Tank.isWaterSource) = TRUE
}
KS{
isObjectProperty(Tank.isShared ) = FALSE
}
Modify
17
14850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5조 2 항 3호
3. 펌프는 전용으로 할 것. 다만,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하는 경우 각각의 소화설비의 성능에 지장이 없을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5조 (가압송수장치)2항 3호
Check(NFSC503A_5_2_3){
KS
}
KS{
isObjectProperty(Pump.isShared ) = FALSE
}
Modify
18
14858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5조 2 항 8호 가 목
가. 물올림장치에는 전용의 탱크를 설치할 것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5조 (가압송수장치) 2항 8호 가
Check(NFSC503A_5_2_8_가){
KS
}
KS{
isInstalled(WaterLiftingDevice, Tank)=TRUE
isObjectProperty(Tank.isShared ) = FALSE
}
Modify
19
14898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8조 3 항 1호
1. 전용으로 할 것. 다만, 상수도직결형의 경우에는 수도배관 호칭지름 32㎜ 이상의 배관이어야 하고, 간이헤드가 개방될 경우에는 유수신호 작동과 동시에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배관의 송수를 자동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배관과 연결되는 이음쇠 등의 부속품은 물이 고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조치를 하여야 한다. <개정 2011.11.24>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8조 (배관 및 밸브) 3항 1호
Check(NFSC103A_8_3_1){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Pipe myPipe{
getObjectProperty(Pipe.usage) = "WaterSupplyType"
isObjectProperty(myPipe.isDirectCoupledType) != TRUE
}
Pipe myPipe2{
getObjectProperty(Pipe.usage) = "WaterSupplyType"
isObjectProperty(myPipe.isDirectCoupledType) = TRUE
}
CS1{
isExist(myPipe) = TRUE
}
KS1{
isObjectProperty(myPipe.isShared ) = FALSE
}
CS2{
isExist(myPipe2) = TRUE
}
KS2{
isObjectProperty(myPipe.isShared ) = FALSE
getObjectProperty(Pipe.diameter) >= 32mm
}
Modify
20
14904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8조 5 항
⑤ 연결송수관설비의 배관과 겸용할 경우의 주배관은 구경 100㎜ 이상, 방수구로 연결되는 배관의 구경은 65㎜ 이상의 것으로 하여야 한다.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8조 (배관 및 밸브) 5항
Check(NFSC503A_8_5){
IF CS THEN KS
}
CS{
Pipe myPipe1{
Pipe.systemType = "SimpleSprinklersystem"
}
Pipe myPipe2{
Pipe.systemType = "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
}
Pipe.isShared (myPipe1, myPipe2) = TRUE
}
KS{
Pipe myPipe3{
isObjectProperty(Pipe.isRiser) = TRUE
}
Port myPort{
getObjectProperty(Port.typeForWater) = "Delivery"
Pipe myPipe4{
isConnectedTo(Pipe, myPort) = TRUE
}
isObjectProperty(myPipe3.diameter) >= 100 mm
getObjectProperty(myPipe4.diameter) >= 65 mm
}
Modify
21
15521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제 5조 4 항
④ 연결송수관설비의 배관은 주배관의 구경이 100㎜ 이상인 옥내소화전설비·스프링클러설비 또는 물분무등소화설비의 배관과 겸용할 수 있다.[종전의 제2항에서 이동 2014.8.18]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5조 (배관) 4항
Check(NFSC502_5_4){
IF CS THEN KS
}
CS2{
isObjectProperty(Pipe.systemType) = "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
}
KS{
Pipe myPipe1{
isObjectProperty(Pipe.isRiser) = TRUE
getObjectProperty(Pipe.diameter) >= 100mm
isObjectProperty(Pipe.systemType) = "IndoorFireHydrantSystem"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Riser) = TRUE
getObjectProperty(Pipe.diameter) >= 100mm
isObjectProperty(Pipe.systemType) = "WaterSprayExtingushingSystem"
}
isShared (Pipe,myPipe1) = TRUE
OR isShared (Pipe,myPipe2) = TRUE
OR isShared (Pipe,myPipe1) != TRUE
OR isShared (Pipe,myPipe2) != TRUE
}
Modify
22
15538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제 6조 5호
5. 방수구는 연결송수관설비의 전용방수구 또는 옥내소화전방수구로서 구경 65㎜의 것으로 설치할 것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6조 (방수구) 5호
Check(NFSC502_6_0_5){
KS
}
KS{
getObjectProperty(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Port.isShared )= FALSE
OR getObjectProperty(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Port.typeForWater)="IndoorFireHydrantDischarge"
Port myPort{
Port.typeForWater = "Delivery"
}
getObjectProperty(myPortt.diameter)=65 mm
}
Modif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