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BIM based Technological Environment for Building Design Quality Enhancement
1-2. 설계품질검증 자동화를 위한 각종 법규 및 제기준의 체계화된 논리규칙 데이터베이스 구축
- 건축물 설계품질 혁신을 위한 개방형 BIM 기술 환경 구축 | 국토교통부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1호 가목
Check (REFB_3_0_1_가){
KS
}
KS{
getObjectProperty(Wall.Structure.materialType) = "ReinforcedConcrete" OR "SteelFramedReinforcedConcrete"
getWallThickness(Wall) >= 10cm
}
다. 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ㆍ벽돌조 또는 석조로서 철재에 덮은 콘크리트블록등의 두께가 5센티미터 이상인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1호 다목
Check (REFB_3_0_1_다){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Wall.Structure.materialType) = "ConcreteBlock" OR "Brick" OR "Stone"
isObjectProperty(Structure.isReinforcedSteelStructure) = TRUE
}
KS{
getObjectThickness(Wall.Structure) >= 5cm
}
마. 고온ㆍ고압의 증기로 양생된 경량기포 콘크리트패널 또는 경량기포 콘크리트블록조로서 두께가 10센티미터 이상인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1호 마목
Check (REFB_3_0_1_마){
KS
}
KS{
getObjectProperty(Wall.Structure.materialType) = "AeratedConcretePanel" OR "AeratedConcreteBlock"
getObjectThickness(Wall.Structure) >= 10cm
}
나. 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ㆍ벽돌조 또는 석조로서 철재에 덮은 콘크리트블록등의 두께가 5센티미터 이상인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1호 다목
Check (REFB_3_0_4_나){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FloorSlab.Structure.materialType) = "ConcreteBlock" OR "Brick" OR "Stone"
isObjectProperty(Structure.isReinforcedSteelStructure) = TRUE
}
KS{
getObjectThickness(FloorSlab.Structure) >= 5cm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6호 나목
Check (REFB_3_0_6_나){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Roof.Structure.materialType) = "ConcreteBlock" OR "Brick" OR "Stone"
isObjectProperty(Structure.isReinforcedSteelStructure) = TRU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6호 다목
Check (REFB_3_0_6_다){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Roof.Structure.materialType) = "GlassBlock" OR "WiredSheetGlass"
isObjectProperty(Structure.isReinforcedSteelStructure) = TRU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7호 나목
Check (REFB_3_0_7_나){
KS
}
KS{
getObjectProperty(Stair.Structure.materialType) = "PlainConcrete" OR "ConcreteBlock" OR "Brick" OR "Ston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7호 다목
Check (REFB_3_0_7_다){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Stair.Structure.materialType) = "ConcreteBlock" OR "Brick" OR "Stone"
isObjectProperty(Structure.isReinforcedSteelStructure) = TRUE
}
마. 계단실ㆍ노대 또는 부속실에 설치하는 건축물의 바깥쪽에 접하는 창문등(망이 들어 있는 유리의 붙박이창으로서 그 면적이 각각 1제곱미터이하인 것을 제외한다)은 계단실ㆍ노대 또는 부속실외의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에 설치하는 창문등으로부터 2미터 이상의 거리를 두고 설치할 것
③영 제35조제1항에 따른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은 돌음계단으로 하여서는 아니되며, 영 제40조에 따라 옥상광장을 설치하여야 하는 건축물의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은 해당 건축물의 옥상으로 통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이 경우 옥상으로 통하는 출입문은 피난방향으로 열리는 구조로서 피난시 이용에 장애가 없어야 한다. <개정 2010.4.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3항
Check(REFB_9_3) {
KS
}
KS {
Stair myStair1{
isObjectProperty(Stair.isEscape)=TRUE
OR isObjectProperty(Stair.isSpecialEscape)=TRUE
}
Space mySpace{
getObjectProperty(Space.usage) = “RooftopPlaza”
}
hasObject(Rooftop, mySpace)=TRUE
}
Stair myStair2{
hasObject(mySpace.Building,myStair1)=TRUE
}
getObjectProperty(myStair.type)!= “WindingStair”
isAccessible(myStair2,mySpace)=TRUE
isEgressDirection(mySpace.Door) = TRUE
}
④영 제35조제2항에서 "갓복도식 공동주택"이라 함은 각 층의 계단실 및 승강기에서 각 세대로 통하는 복도의 한쪽 면이 외기(外氣)에 개방된 구조의 공동주택을 말한다. <신설 2006.6.29.>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4항
Check(REFB_9_4) {
KS
}
Building myBuilding{
Building.usage = “SideCorridorTypeMultiUnitHouse”
}
Space mySpace = getSpace(“Corridor”)
isConnectedToExternal(mySpace)=TRUE
②영 제39조제1항에 따라 건축물의 바깥쪽으로 나가는 출구를 설치하는 건축물중 문화 및 집회시설(전시장 및 동ㆍ식물원을 제외한다), 종교시설, 장례식장 또는 위락시설의 용도에 쓰이는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로 쓰이는 문은 안여닫이로 하여서는 아니된다. <개정 2010.4.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1조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의 설치기준) 2항
Check(REFB_11_2){
IF CS1 AND CS2 THEN KS
}
CS1 {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CulturalAndAssemblyFacility”
OR getBuildingUsage() = “ReligiousFacility”
OR getBuildingUsage() = “AmusementFacility”
OR getBuildingUsage() = “FuneralParlor”
getBuildingUsage() != “ExhibitionHall”
getBuildingUsage() != “ZoologicalAndBotanicalGarden”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myBuilding.Door.isEntrance)=TRUE
}
isExist(myDoor) = TRUE
}
KS {
getObjectProperty(myDoor.panelOperationType) != “OpeningInDoor”
}
⑥법 제39조제1항에 따라 영 제39조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바깥쪽으로 나가는 출입문에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안전유리를 사용하여야 한다. <신설 2006.6.29.>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1조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의 설치기준) 6항
Check(REFB_11_6){
KS
}
KS{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TRUE
}
IF getObjectMaterial(myDoor)="Glass"
THEN getObjectType(Glass)="Safety"
}
1. 비상탈출구의 유효너비는 0.75미터 이상으로 하고, 유효높이는 1.5미터 이상으로 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2항 1호
check(REFB_25_2_1){
Door myDoor{
Door.functionType = "Emergency"
Door.Floor.number < 0
}
getObjectWidth(myDoor, a) >= 0.75 m
getObjectHeight(myDoor) >= 1.5 m
}
5. 비상탈출구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복도나 직통계단에 직접 접하거나 통로 등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복도나 직통계단까지 이르는 피난통로의 유효너비는 0.75미터 이상으로 하고, 피난통로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과 그 바탕은 불연재료로 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2항 5호
check(REFB_25_2_5){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isDirectlyAccessible(Stair, Ground) = TRUE
OR isDirectlyAccessible(Stair, myFloor) = TRUE)
}
Corridor myCorridor{
isDirectlyAccessible(Corridor, myFloor) = TRUE
OR isDirectlyAccessible(Corridor, Ground) = TRUE
}
Door myDoor{
Door.functionType = "Emergency"
Door.Floor.number < 0
}
(isDirectlyAccessible(myDoor, myStair) = TRUE
OR isDirectlyAccessible(myDoor, myCorridor) = TRUE
OR isGoThrough(myDoor, Corridor, myStair) = TRUE
OR isGoThrough(myDoor, Corridor, myCorridor) = TRUE)
Passage myPassage{
isObjectProperty(Passage.isEscape) = TRUE
}
getSpaceWidth(myPassage) >= 0.75 m
isObjectProperty(myPassage.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
② 건축물(갓복도식 공동주택은 제외한다)의 11층(공동주택의 경우에는 16층) 이상인 층(바닥면적이 400제곱미터 미만인 층은 제외한다) 또는 지하 3층 이하인 층(바닥면적이 400제곱미터미만인 층은 제외한다)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은 제1항에도 불구하고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08.10.29.>
//건축법 시행령 35조 (피난계단의 설치) 2항
check(EDBA_35_2){
IF (CS1 AND CS2) THEN KS
}
CS1{
Building.usage != "MultiUnitHouse.SideCorridorTypeMultiUnitHouse"
}
CS2{
Floor myFloor{
IF (Building.usage = "MultiUnitHouse“)
THEN getFloorNumber(Floor) >= 16
ELSE
getFloorNumber(Floor) >= 11
ENDIF
OR getFloorNumber(Floor) < -3
getFloorArea(Floor) >= 400m2
}
Stair myStair {
(isAccessible(Stair, Floor.isEscape) = TRUE
OR isAccessible(Stair, Ground) = TRUE)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
hasObject(myFloor, myStair) = TRUE
}
KS{
isObjectProperty(myStair.isSpecialEscape) = TRUE
}
제41조(대지 안의 피난 및 소화에 필요한 통로 설치) ①건축물의 대지 안에는 그 건축물 바깥쪽으로 통하는 주된 출구와 지상으로 통하는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으로부터 도로 또는 공지(공원, 광장,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으로서 피난 및 소화를 위하여 해당 대지의 출입에 지장이 없는 것을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로 통하는 통로를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10.12.13.>
제47조(도시지역 외 지구단위계획구역에서의 건폐율 등의 완화적용) ①지구단위계획구역(도시지역 외에 지정하는 경우로 한정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에서는 법 제52조제3항에 따라 지구단위계획으로 당해 용도지역 또는 개발진흥지구에 적용되는 건폐율의 150퍼센트 및 용적률의 200퍼센트 이내에서 건폐율 및 용적률을 완화하여 적용할 수 있다. <개정 2005.1.15., 2007.4.19., 2012.4.10.>
//EDLPUA 47조 1항
Check(EDLPUA_47_1){
IF CS THEN KS
}
CS{
getObjectUsage(Zone)="DistrictUnitPlanningZones"
}
KS{
SpecialPurposeArea mySpecialPurposeArea{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DevelopmentPromotionDistrict"
}
BLR=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buildingToLandRatio) OR getObjectProperty(mySpecialPurposeArea.buildingToLandRatio)
FAR=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floorAreaRatio) OR getObjectProperty(mySpecialPurposeArea.floorAreaRatio)
getBuildingToLandRatio()<=BLR*150%
getFloorAreaRatio(FAR)<=200%
}
1. 취락지구 : 60퍼센트 이하(집단취락지구에 대하여는 개발제한구역의지정및관리에관한특별조치법령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84조 (용도지역안에서의 건폐율) 3항 1호
Check(EDLPUA_84_3_1){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District.type)="SettlementDistrict"
}
KS{
getBuildingToLandRatio()<=60%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84조 (용도지역안에서의 건폐율) 3항 2호
Check(EDLPUA_84_3_2){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District.type)="DevelopmentPromotionDistrict"
}
KS{
getBuildingToLandRatio()<=40%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84조 (용도지역안에서의 건폐율) 3항 3호
Check(EDLPUA_84_3_3){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District.type)="FisheryResourcesProtectionZone"
}
KS{
getBuildingToLandRatio()<=40%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84조 (용도지역안에서의 건폐율) 3항 4호
Check(EDLPUA_84_3_4){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District.type)="ParkProtectionZone"
}
KS{
getBuildingToLandRatio()<=60%
}
5.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2조제8호라목에 따른 농공단지 : 70퍼센트 이하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84조 (용도지역안에서의 건폐율) 3항 5호
Check(EDLPUA_84_3_5){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District.type)="AgriculturalIndustrialComplex"
}
KS{
getBuildingToLandRatio()<=70%
}
6. 공업지역에 있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2조제8호가목부터 다목까지의 규정에 따른 국가산업단지ㆍ일반산업단지ㆍ도시첨단산업단지 및 같은 조 제12호에 따른 준산업단지: 80퍼센트 이하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84조 (용도지역안에서의 건폐율) 3항 6호
Check(EDLPUA_84_3_6){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IndustrialComplex.type)="NationalIndustrialComplex"
OR getObjectProperty(IndustrialComplex.type)="GeneralIndustrialComplex"
OR getObjectProperty(IndustrialComplex.type)="UrbanHighTechIndustrialComplex"
OR getObjectProperty(IndustrialComplex.type)="Semi-IndustrialComplex"
}
KS{
getBuildingToLandRatio()<=70%
}
⑧ 제1항에도 불구하고 자연녹지지역에 설치되는 도시ㆍ군계획시설 중 유원지의 건폐율은 30퍼센트의 범위에서 도시ㆍ군계획조례로 정하는 비율을 초과하여서는 아니 되며, 공원의 건폐율은 20퍼센트의 범위에서 도시ㆍ군계획조례로 정하는 비율을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개정 2009.7.7., 2011.9.16., 2012.4.10.>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84조 (용도지역안에서의 건폐율) 8항
Check(EDLPUA_84_8){
KS
}
KS{
IF getObjectProperty(GreenNaturalArea.UrbanAndGunPlanningFacility.type)="AmusementPark"
THEN getBuildingToLandRatio() <30
getResult(Unimplemented_UPMO)
ELSE IF getObjectProperty(GreenNaturalArea.UrbanAndGunPlanningFacility.type)="Park"
THEN getBuildingToLandRatio() <30
getResult(Unimplemented_UPMO)
END IF
}
4.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2조제8호라목에 따른 농공단지(도시지역외의 지역에 지정된 농공단지에 한한다) : 150퍼센트 이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85조 (용도지역 안에서의 용적률) 6항 4호
Check(EDLPUA_85_6_4){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IndustrialComplex.type) = "AgriculturalIndustrialComplex"
}
KS{
getFloorAreaRatio() <= 150%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1항 1호 가목
Check(LPUA_77_1_1_1){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Area.type) = "ResidentialArea"
}
KS{
getObjectProperty(Building.buildingToLandRatio) = BTL
BTL <= 70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1항 1호 나목
Check(LPUA_77_1_1_2){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Area.type) = "CommercialArea"
}
KS{
getObjectProperty(Building.buildingToLandRatio) = BTL
BTL <= 90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1항 1호 다목
Check(LPUA_77_1_1_3){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Area.type) = "IndustrialArea"
}
KS{
getObjectProperty(Building.buildingToLandRatio) = BTL
BTL <= 70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1항 1호 라목
Check(LPUA_77_1_1_4){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Area.type) = "GreenArea"
}
KS{
getObjectProperty(Building.buildingToLandRatio) = BTL
BTL <= 20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1항 3호
Check(LPUA_77_1_3){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Area.type) = "AgriculturalAndForestryArea"
}
KS{
getObjectProperty(Building.buildingToLandRatio) = BTL
BTL <= 20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1항 4호
Check(LPUA_77_1_4){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Area.type) = "NaturalEnvironmentConservationArea"
}
KS{
getObjectProperty(Building.buildingToLandRatio) = BTL
BTL <= 20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3항 1호
Check(LPUA_77_3_1){
KS
}
KS{
getResult(LPUA_37_1_8) = TRUE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District.type) = "SettlementDistrict"
}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3항 5호
Check(LPUA_J77_3_5){
KS
}
KS{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Zone.type) = "AgriculturalAndIndustrialComplexes"
}
6. 공업지역에 있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2조제8호가목부터 다목까지의 규정에 따른 국가산업단지, 일반산업단지 및 도시첨단산업단지와 같은 조 제12호에 따른 준산업단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3항 6호
Check(LPUA_77_3_6){
KS
}
KS{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Zone.type) = "NationalIndustrialComplexes"
OR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Zone.type) = "GeneralIndustrialComplexes"
OR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Zone.type) = "UrbanHighTechIndustrialComplexes"
OR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Zone.type) = "SemiIndustrialComplex"
}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8조 (용도지역에서의 용적률) 1항 1호
Check(LPUA_78_1_1){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UrbanArea"
}
KS{
getResult(LPUA_78_1_1_가)=TRUE
OR getResult(LPUA_78_1_1_나)=TRUE
OR getResult(LPUA_78_1_1_다)=TRUE
OR getResult(LPUA_78_1_1_라)=TRUE
}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8조 (용도지역에서의 용적률) 1항 1호 가목
Check(LPUA_78_1_1_가){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ResidentialArea"
}
KS{
getFloorAreaRatio() <= 500%
}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8조 (용도지역에서의 용적률) 1항 1호 나목
Check(LPUA_78_1_1_나){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CommercialArea"
}
KS{
getFloorAreaRatio() <= 1500%
}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8조 (용도지역에서의 용적률) 1항 1호 다목
Check(LPUA_78_1_1_다){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IndustrialArea"
}
KS{
getFloorAreaRatio() <= 400%
}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8조 (용도지역에서의 용적률) 1항 1호 라목
Check(LPUA_78_1_1_라){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GreenArea"
}
KS{
getFloorAreaRatio() <= 100%
}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8조 (용도지역에서의 용적률) 1항 2호
Check(LPUA_78_1_2){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ControlArea"
}
KS{
getResult(LPUA_78_1_2_가)=TRUE
OR getResult(LPUA_78_1_2_나)=TRUE
OR getResult(LPUA_78_1_2_다)=TRUE
}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8조 (용도지역에서의 용적률) 1항 2호 가목
Check(LPUA_78_1_2_가){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ConservationManagementArea"
}
KS{
getFloorAreaRatio() <= 80%
}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8조 (용도지역에서의 용적률) 1항 2호 나목
Check(LPUA_78_1_2_나){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ProductionManagementArea"
}
KS{
getFloorAreaRatio() <= 80%
}
다. 계획관리지역: 100퍼센트 이하. 다만, 성장관리방안을 수립한 지역의 경우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125퍼센트 이내에서 완화하여 적용할 수 있다.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8조 (용도지역에서의 용적률) 1항 2호 다목
Check(LPUA_78_1_2_다){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PlanningManagementArea"
}
KS{
getFloorAreaRatio() <=100%
}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8조 (용도지역에서의 용적률) 1항 3호
Check(LPUA_78_1_3){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AgriculturalAndForestryArea"
}
KS{
getFloorAreaRatio() <= 80%
}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8조 (용도지역에서의 용적률) 1항 4호
Check(LPUA_78_1_4){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NaturalEnvironmentConservationArea"
}
KS{
getFloorAreaRatio() <= 80%
}
가. 각층마다 설치하되,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1개의 소화기까지의 보행거리가 소형소화기의 경우에는 20m 이내, 대형소화기의 경우에는 30m 이내가 되도록 배치할 것. 다만, 가연성물질이 없는 작업장의 경우에는 작업장의 실정에 맞게 보행거리를 완화하여 배치할 수 있으며, 지하구의 경우에는 화재발생의 우려가 있거나 사람의 접근이 쉬운 장소에 한하여 설치할 수 있다<개정 2012.6.11>
//소화기구 및 자동 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 4조 (설치기준) 1항 4호 가목
Check(NFSC101_4_1_4){
KS
}
KS{
isInstalled(FireExtinguisher, Floor)=True
IF getObjectProperty(FireExtinguisher.sizeType)="SmallSize"
THEN getObjectDistance(SpecificFireFightingBuilding.Wall, FireExtinguisher.One)<=20 m
getObjectDistance(SpecificFireFightingBuilding.Column, FireExtinguisher.One)<=20 m
ELSE IF getObjectProperty(FireExtinguisher.sizeType)="LargeSize"
THEN getObjectDistance(SpecificFireFightingBuilding.Wall, FireExtinguisher.One)<=30 m
getObjectDistance(SpecificFireFightingBuilding.Column, FireExtinguisher.One)<=30 m
END IF
}
② 이산화탄소 또는 할로겐화합물(할론 1301과 청정소화약제를 제외한다)을 방사하는 소화기구(자동확산소화장치를 제외한다)는 지하층이나 무창층 또는 밀폐된 거실로서 그 바닥면적이 20㎡ 미만의 장소에는 설치할 수 없다. 다만, 배기를 위한 유효한 개구부가 있는 장소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개정 2008.12.15, 2012.6.11>
//소화기구 및 자동 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 4조 (설치기준) 2항
Check(NFSC101_4_2){
KS
}
KS{
FireExtinguisher myFireExtinguisher{
getObjectProperty(FireExtinguishingEquipment.extinguishingAgentType) = "GasType"
}
Space mySpace{
(getFloorNumber(Space) = -1
OR hasSpace(Space, Window) = FALSE
OR isObjectProperty(Room.isEnclosed)=TRUE)
getObjectProperty(Space.FloorSlab) < 20 m2
}
getSpace(mySpace, myFireExtinguisher) = FAL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