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istry of Land, Infrasrtucture and Transport |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 Space and Design IT Lab | Hanyang University
Open BIM based Technological Environment for Building Design Quality Enhancement
1-2. 설계품질검증 자동화를 위한 각종 법규 및 제기준의 체계화된 논리규칙 데이터베이스 구축 - 건축물 설계품질 혁신을 위한 개방형 BIM 기술 환경 구축 | 국토교통부
  Home Welcome to BIM Project Website - Hanyang University
PAGE MENU   MainPage
전체법규 - 법규데이터베이스
- 대한민국 전체 법규 목록
- 설계품질검토 대상 관련법규
대상법규 - 문장 논리규칙체계화
- 조항단위 논리규칙체계
- 문장단위 논리규칙체계
주어부 - 객체.속성 데이터베이스
- 법규로부터의 객체.속성 분류
- 명칭DB: 객체 | 객체및속성
서술부 - 함수 데이터베이스
- 논리규칙화 함수 분류
- 논리규칙화 함수 DB
관계부 - 문장 내.외 관계논리
- 문장 내.외 관계유형분류
- 법규조항관계도:
1차년도 | 2차년도 | 3차년도
- 문장 내.외관계 논리체계화
문장단위 | 체크리스트 단위
KBIMCode 데이터베이스
- KBIMCode Lang. Definition
- KBIMCode Editor
- KBimCode Database:
문장단위 | 조항단위
- KBimLogic Applications
 
     HOME
설계품질검토용 건축법 및 관련법규 - KBIMCode (문장단위)
    1   2   3   next▷  
1 / 3 page Total 1,131/ 1,131 records    신규입력 엑셀저장
Select
ALL
None
#
ID
Law
Jo
JO Name
HANG
HO
MOK
Text
Search!
1
1208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4조 2 항 1호

1. 배연구 및 배연풍도는 불연재료로 하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 원활하게 배연시킬 수 있는 규모로서 외기 또는 평상시에 사용하지 아니하는 굴뚝에 연결할 것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4조 (배연설비) 2항1호



Check(RFB_14_2_1){
Duct myDuct{
getObjectProperty(Duct.functionType) = "Exhaust"
}
	isObjectProperty(SmokeExhaustionOpening.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isObjectProperty(myDuct.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isConnectedToExternal(SmokeExhaustionOpening) = TRUE

        isConnectedToExternal(myDuct) = TRUE)

	OR( isConnectedTo(SmokeExhaustionOpening,Chimney) = TRUE

            isConnectedTo(myDuct,Chimney) = TRUE)

} 














Modify
2
129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3조 1호 가 목

가.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서 두께가 10센티미터 이상인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1호 가목

Check (REFB_3_0_1_가){
	KS
}
KS{
	getObjectProperty(Wall.Structure.materialType) = "ReinforcedConcrete" OR "SteelFramedReinforcedConcrete"
	getWallThickness(Wall) >= 10cm
}
 














Modify
3
1291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3조 1호 나 목

나. 골구를 철골조로 하고 그 양면을 두께 4센티미터 이상의 철망모르타르(그 바름바탕을 불연재료로 한 것에 한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두께 5센티미터 이상의 콘크리트블록ㆍ벽돌 또는 석재로 덮은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1호 나목

Check (REFB_3_0_1_나){
	KS
}
KS{
	getObjectProperty(Wall.Structure.materialType) = "SteelFrame"  
	(isInstalled(WireMeshMortar, Wall.DoubleSide) = TRUE
	getObjectWidth(WireMeshMortar) >= 4cm)
	(isInstalled(ConcreteBlock, Wall.DoubleSide) = TRUE 
	OR (getObjectWidth(ConcreteBlock) >= 5cm )
	(isInstalled(Brick, Wall.DoubleSide) = TRUE
	OR getObjectWidth(Brick) >= 5cm )
	(isInstalled(Stone, Wall.DoubleSide) = TRUE
	OR getObjectWidth(Stone) >= 5cm)
} 














Modify
4
1292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3조 1호 다 목

다. 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ㆍ벽돌조 또는 석조로서 철재에 덮은 콘크리트블록등의 두께가 5센티미터 이상인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1호 다목

Check (REFB_3_0_1_다){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Wall.Structure.materialType) = "ConcreteBlock" OR "Brick" OR "Stone"
isObjectProperty(Structure.isReinforcedSteelStructure) = TRUE
}
KS{
getObjectThickness(Wall.Structure) >= 5cm
}	
 














Modify
5
129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3조 1호 라 목

라. 벽돌조로서 두께가 19센티미터 이상인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1호 라목

Check (REFB_3_0_1_라){
	KS
}

KS{
	getObjectProperty(Wall.Structure.materialType) = "Brick"
	getObjectThickness(Wall.Structure) >= 19cm
} 














Modify
6
129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3조 1호 마 목

마. 고온ㆍ고압의 증기로 양생된 경량기포 콘크리트패널 또는 경량기포 콘크리트블록조로서 두께가 10센티미터 이상인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1호 마목

Check (REFB_3_0_1_마){
	KS
}
KS{
	getObjectProperty(Wall.Structure.materialType) = "AeratedConcretePanel" OR "AeratedConcreteBlock"
	getObjectThickness(Wall.Structure) >= 10cm
} 














Modify
7
130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3조 4호 가 목

가.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서 두께가 10센티미터 이상인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4호 가목

Check (REFB_3_0_4_가){
	KS
}
KS{
	getObjectProperty(Wall.Structure.materialType) = "ReinforcedConcrete" OR "SteelFramedReinforcedConcrete"
	getObjectThickness(FloorSlab.Structure) >= 10cm
} 














Modify
8
1306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3조 4호 나 목

나. 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ㆍ벽돌조 또는 석조로서 철재에 덮은 콘크리트블록등의 두께가 5센티미터 이상인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1호 다목

Check (REFB_3_0_4_나){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FloorSlab.Structure.materialType) = "ConcreteBlock" OR "Brick" OR "Stone"
isObjectProperty(Structure.isReinforcedSteelStructure) = TRUE
}
KS{
getObjectThickness(FloorSlab.Structure) >= 5cm
}	
 














Modify
9
131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3조 6호 가 목

가.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6호 가목

Check (REFB_3_0_6_가){
	KS
}
KS{
	getObjectProperty(Roof.Structure.materialType) = "ReinforcedConcrete" OR "SteelFramedReinforcedConcrete"
} 














Modify
10
131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3조 6호 나 목

나. 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ㆍ벽돌조 또는 석조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6호 나목

Check (REFB_3_0_6_나){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Roof.Structure.materialType) = "ConcreteBlock" OR "Brick" OR "Stone"
isObjectProperty(Structure.isReinforcedSteelStructure) = TRUE
} 














Modify
11
131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3조 6호 다 목

다. 철재로 보강된 유리블록 또는 망입유리로 된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6호 다목

Check (REFB_3_0_6_다){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Roof.Structure.materialType) = "GlassBlock" OR "WiredSheetGlass"
isObjectProperty(Structure.isReinforcedSteelStructure) = TRUE
} 














Modify
12
131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3조 7호 가 목

가.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7호 가목

Check (REFB_3_0_7_가){
	KS
}
KS{
	getObjectProperty(Stair.Structure.materialType) = "ReinforcedConcrete" OR "SteelFramedReinforcedConcrete"
} 














Modify
13
1318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3조 7호 나 목

나. 무근콘크리트조ㆍ콘크리트블록조ㆍ벽돌조 또는 석조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7호 나목

Check (REFB_3_0_7_나){
	KS
}
KS{
	getObjectProperty(Stair.Structure.materialType) = "PlainConcrete" OR "ConcreteBlock" OR "Brick" OR "Stone"
} 














Modify
14
1319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3조 7호 다 목

다. 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ㆍ벽돌조 또는 석조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7호 다목

Check (REFB_3_0_7_다){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Stair.Structure.materialType) = "ConcreteBlock" OR "Brick" OR "Stone"
isObjectProperty(Structure.isReinforcedSteelStructure) = TRUE
} 














Modify
15
132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3조 7호 라 목

라. 철골조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조 (내화구조) 7호 라목

Check (REFB_3_0_7_라){
	KS
}
KS{
getObjectProperty(Stair.Structure.materialType) = "SteelFrame"
} 














Modify
16
136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2 항 1호 라 목

라. 계단실의 바깥쪽과 접하는 창문등(망이 들어 있는 유리의 붙박이창으로서 그 면적이 각각 1제곱미터 이하인 것을 제외한다)은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에 설치하는 창문등으로부터 2미터 이상의 거리를 두고 설치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1호 라목

check(REFB_9_2_1_4){

IF (CS1 AND CS2) THEN KS

}

CS1 {

Opening myOpening1{

	isConnectedTo(Stair.Space, Opening) = TRUE

	getObjectProperty(Opening.material)= “WireContainedGlass”

	getObjectProperty(Window.panelOperationType)= “FixedSashWindow”

	getObjectProperty(Opening.area)=< 1㎡	

}

CS2 {

Opening myOpening2{

	getObject(Opening) != myOpening1 	

}

KS{

getElementDistance(myOpening1, myOpening2, a)>=2m;	

}



} 














Modify
17
136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2 항 1호 마 목

마. 건축물의 내부와 접하는 계단실의 창문등(출입구를 제외한다)은 망이 들어 있는 유리의 붙박이창으로서 그 면적을 각각 1제곱미터 이하로 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1호 마목
check(REFB_9_2_1_5){
     KS
}
KS{

Opening myOpening3{
	getObject(Opening)!= Door
	isConnectedToExternal(Opening) = FALSE
	hasElement(Stair.Space, Opening) = TRUE
}

	getObjectProperty(myOpening3.material)= “WireContainedGlass”
	getObjectProperty(myOpening3.type)= “FixedSashWindow”
	getObjectProperty(myOpening3.area)=< 1㎡
	
}    
 














Modify
18
1369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2 항 2호 가 목

가. 계단은 그 계단으로 통하는 출입구외의 창문등(망이 들어 있는 유리의 붙박이창으로서 그 면적이 각각 1제곱미터 이하인 것을 제외한다)으로부터 2미터 이상의 거리를 두고 설치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2호 가목

check(REFB_9_2_2_1){

    IF (CS) THEN KS

}





CS {

Opening myOpening1{			getObjectProperty(Opening.material)= “WireContainedGlass”

	getObjectProperty(Window.panelOperationType)= “FixedSashWindow”

	getObjectProperty(Opening.area)=< 1㎡	

}

Door myDoor {

	isAccessible(Stair, Door)=TRUE

}

Opening myOpening2{

	getObject(Opening) != myOpening1 

	getObject(Opening) != myDoor	

}

isExist(myOpening2) = TRUE

}



KS{

getElementDistance(Stair, myOpening2, a)>=2m;	

} 














Modify
19
1378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2 항 3호 마 목

마. 계단실ㆍ노대 또는 부속실에 설치하는 건축물의 바깥쪽에 접하는 창문등(망이 들어 있는 유리의 붙박이창으로서 그 면적이 각각 1제곱미터이하인 것을 제외한다)은 계단실ㆍ노대 또는 부속실외의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에 설치하는 창문등으로부터 2미터 이상의 거리를 두고 설치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3호 마목

check (REFB_9_2_3_5){

CS TEHN KS

}

CS{

	Space mySpace {

		getSpace(Stair.Space)

		getSpace(“Balcony”)

		getSpace(“AncillaryRoom”)

}

	Opening myOpening1 {

		hasElement(mySpace,Opening)=TRUE

		isConnectedToExternal(Opening) = TRUE



	Opening myOpening2 {

		getObjectProperty(Opening.material)= “WireContainedGlass”

		getObjectProperty(Window.panelOperationType)= “FixedSashWindow”

		getObjectProperty(Opening.area)=< 1㎡

}

	Opening myOpening3{

		getObject(myOpening1)-getObject(myOpening2)

}

isExist(myOpening3)=TRUE



KS{

	Opening myOpening4{

		getObject(Opening)-getObject(myOpening3)

}

getElementDistance(myOpening3, myOpening4, a)>=2m

} 














Modify
20
138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2 항 3호 사 목

사. 계단실의 노대 또는 부속실에 접하는 창문등(출입구를 제외한다)은 망이 들어 있는 유리의 붙박이창으로서 그 면적을 각각 1제곱미터 이하로 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3호 사목

check (REFB_9_2_3_7){

CS TEHN KS

}

CS{

	Space mySpace {

		getSpace(“Balcony”)

		getSpace(“AncillaryRoom”)

		hasObject(Stair.Space,Space)=TRUE

}

	Opening myOpening {

		getObject(mySpace.Opening)

}

isExist(myOpening)=TRUE

}



KS{

getObjectProperty(myOpening.material)= “WireContainedGlass”

getObjectProperty(Window.panelOperationType)= “FixedSashWindow”

getObjectProperty(myOpening.area)=< 1㎡

} 














Modify
21
138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3 항

③영 제35조제1항에 따른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은 돌음계단으로 하여서는 아니되며, 영 제40조에 따라 옥상광장을 설치하여야 하는 건축물의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은 해당 건축물의 옥상으로 통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이 경우 옥상으로 통하는 출입문은 피난방향으로 열리는 구조로서 피난시 이용에 장애가 없어야 한다. <개정 2010.4.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3항

Check(REFB_9_3) {

	KS

}

KS {

	Stair myStair1{

		isObjectProperty(Stair.isEscape)=TRUE

		OR isObjectProperty(Stair.isSpecialEscape)=TRUE

}

	Space mySpace{

		getObjectProperty(Space.usage) = “RooftopPlaza”
}
		hasObject(Rooftop, mySpace)=TRUE



}

	Stair myStair2{

		hasObject(mySpace.Building,myStair1)=TRUE 

}	

	getObjectProperty(myStair.type)!= “WindingStair”

	isAccessible(myStair2,mySpace)=TRUE

	isEgressDirection(mySpace.Door) = TRUE

} 














Modify
22
1386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조 4 항

④영 제35조제2항에서 "갓복도식 공동주택"이라 함은 각 층의 계단실 및 승강기에서 각 세대로 통하는 복도의 한쪽 면이 외기(外氣)에 개방된 구조의 공동주택을 말한다. <신설 2006.6.29.>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4항
Check(REFB_9_4) {
	KS
}
	Building myBuilding{
		Building.usage = “SideCorridorTypeMultiUnitHouse”
}

	Space mySpace = getSpace(“Corridor”)
	isConnectedToExternal(mySpace)=TRUE

 














Modify
23
138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0조 1 항

제10조(관람석등으로부터의 출구의 설치기준) ①영 제38조 각호의 1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관람석 또는 집회실로부터 바깥쪽으로의 출구로 쓰이는 문은 안여닫이로 하여서는 아니된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0조 (관람석등으로부터의 출구의 설치기준) 1항

check(REFB_10_1){

    Space mySpace = getSpace("Auditorium") + getSpace("AssemblyHal"l)



    Door myExit {

        isAccessible(mySpace, Door) = TRUE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

getObjectProperty(myExit.panelOperationType) != "OpeningInDoor"


} 














Modify
24
139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1조 2 항

②영 제39조제1항에 따라 건축물의 바깥쪽으로 나가는 출구를 설치하는 건축물중 문화 및 집회시설(전시장 및 동ㆍ식물원을 제외한다), 종교시설, 장례식장 또는 위락시설의 용도에 쓰이는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로 쓰이는 문은 안여닫이로 하여서는 아니된다. <개정 2010.4.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1조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의 설치기준) 2항



Check(REFB_11_2){
     

IF CS1 AND CS2 THEN KS


}





CS1 {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CulturalAndAssemblyFacility”

OR getBuildingUsage() = “ReligiousFacility”

OR getBuildingUsage() = “AmusementFacility”

OR getBuildingUsage() = “FuneralParlor”

getBuildingUsage() != “ExhibitionHall”

getBuildingUsage() != “ZoologicalAndBotanicalGarden”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myBuilding.Door.isEntrance)=TRUE

}

isExist(myDoor) = TRUE

}



KS {

getObjectProperty(myDoor.panelOperationType) != “OpeningInDoor”



} 














Modify
25
139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1조 3 항

③영 제39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의 바깥쪽으로 나가는 출구를 설치하는 경우 관람석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제곱미터 이상인 집회장 또는 공연장에 있어서는 주된 출구외에 보조출구 또는 비상구를 2개소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1조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의 설치기준) 3항

Check(REFB_11_3){
     

IF CS1 AND CS2 THEN KS


}





CS1 {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AssemblyHall”

OR getBuildingUsage() = “PerformanceHall”

}



Space mySpace{

myBuilding.Space.name = “Auditorium”

Space.FloorSlab.area >= 300 m2

}



isExist(mySpace) = TRUE

}



CS2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TRUE

}

hasObject(myBuilding,myDoor) = TRUE

}



KS {

Door myDoor{

getObjectProperty(Door.functionType) = "Auxiliary"

OR getObjectProperty(Door.functionType) = "Emergency" 

}



getObjectCount(myDoor) >=2

} 














Modify
26
140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1조 6 항

⑥법 제39조제1항에 따라 영 제39조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바깥쪽으로 나가는 출입문에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안전유리를 사용하여야 한다. <신설 2006.6.29.>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1조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의 설치기준) 6항
Check(REFB_11_6){  
   KS
}

KS{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TRUE
    }
    IF getObjectMaterial(myDoor)="Glass"
         THEN getObjectType(Glass)="Safety"  

} 














Modify
27
140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2조

제12조(회전문의 설치기준) 영 제39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의 출입구에 설치하는 회전문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2005.7.22.>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2조 (회전문의 설치기준)  
Check(REFB_12){     
IF CS THEN KS
}

CS {
Door myDoor {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Door.panelOperationType=“RevolvingDoor”
}
isExist(myDoor) = TRUE
}

KS {
getResult(REFB_12_1)=TRUE
}
 














Modify
28
1471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5조 4 항 1호

1. 손잡이는 최대지름이 3.2센티미터 이상 3.8센티미터 이하인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으로 할 것





check(REFB_15_4_1){

     KS

}

KS{

       getElementWidth(Railing,Handle) >= 3.2CM

       AND getElementWidth(Handle) <= 3.8CM

       getObjectProperty(Handle.sectionShapeType)="Circle" OR "Oval"

} 














Modify
29
149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7조 3 항

③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을 적용함에 있어서 수시로 개방할 수 있는 미닫이로 구획된 2개의 거실은 이를 1개의 거실로 본다.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7조 (채광 및 환기를 위한 창문등) 3항

check(REFB_17_3){

	IF CS THEN KS

}



CS{

Door myDoor{
getObjectProperty(Door.panelOperationType) = "SlidingDoor"
}

	Room myRoom{

		isPartitioned(Room, myDoor, Room) = TRUE

	}

}



KS{

	myRoom = Room

} 














Modify
30
150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9조 2 항 1호

1. 철근콘크리트조ㆍ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서 두께가 10센티미터이상인 것





check(REFB_19_2_1){

     KS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PartitionWall) = TRUE
}
   getObjectProperty(myWall.Structure.materialType) = "ReinforcedConcrete" OR "SteelFramedReinforcedConcrete" 

   AND getObjectThickness(myWall) >= 10CM

} 














Modify
31
1506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9조 2 항 2호

2. 무근콘크리트조 또는 석조로서 두께가 10센티미터(시멘트모르타르ㆍ회반죽 또는 석고플라스터의 바름두께를 포함한다)이상인 것





check(REFB_19_2_2){

     KS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PartitionWall) = TRUE
}

   getObjectProperty(myWall.Structure.materialType) = "PlainConcrete" OR "Stone" 
 getObjectThickness(myWall) >= 10CM

} 














Modify
32
150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9조 2 항 3호

3. 콘크리트블록조 또는 벽돌조로서 두께가 19센티미터 이상인 것





check(REFB_19_2_3){

     KS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PartitionWall) = TRUE
}

   getObjectProperty(myWall.Structure.materialType) = "ConcreteBlock" OR "Brick" 
 getObjectThickness(myWall) >= 19CM

} 














Modify
33
152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3조 1 항

제23조(방화지구안의 지붕ㆍ방화문 및 외벽등) ①「건축법」 (이하 "법"이라 한다) 제51조제3항에 따라 방화지구 내 건축물의 지붕으로서 내화구조가 아닌 것은 불연재료로 하여야 한다. <개정 2005.7.22., 2010.12.3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3조 (방화지구안의 지붕ㆍ방화문 및 외벽등) 1항

Check(REFB_23_1){

	IF CS THEN KS

}



CS{


	Building myBuilding{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District.type) = "FirePreventionDistrict"
	}



	Roof myRoof{

		hasObject(myBuilding, Roof) = TRUE

	}



	isObjectProperty(myRoof.isFireResistantStructure) != TRUE

}



KS{

	isObjectProperty(myRoof.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 














Modify
34
155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5조 1 항 1호

1. 거실의 바닥면적이 50제곱미터 이상인 층에는 직통계단외에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비상탈출구 및 환기통을 설치할 것. 다만, 직통계단이 2개소 이상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1항 1호

check(REFB_25_1_1){

	IF !(CS) THEN KS

}



KS{

	Floor myFloor1{

		hasSpace(Floor,Room) = TRUE

		getTotalArea(Room) >= 50 m2

	}



	Floor myFloor2{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functionType) = "Emergency"

		(isDirectlyAccessible(Door, myFloor2) = TRUE

		OR isDirectlyAccessible(Door, Ground) = TRUE)

	}

	

	hasSpace(myFloor1, myDoor)

	OR (hasSpace(myFloor1, VentilatorPipe) = TRUE

	(isDirectlyAccessible(VentilatorPipe, myFloor2) = TRUE

	OR isDirectlyAccessible(VentilatorPipe, Ground) = TRUE))

}



CS{

	Floor myFloor1{

		hasSpace(Floor,Room) = TRUE

		getTotalArea(Room) >= 50 m2

	}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hasSpace(myFloor1, Stair) = TRUE

	}



	getObjectCount(myStair) >= 2

} 














Modify
35
1559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5조 2 항 1호

1. 비상탈출구의 유효너비는 0.75미터 이상으로 하고, 유효높이는 1.5미터 이상으로 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2항 1호

check(REFB_25_2_1){

Door myDoor{
Door.functionType = "Emergency"
Door.Floor.number < 0
}
	getObjectWidth(myDoor, a) >= 0.75 m 

	getObjectHeight(myDoor) >= 1.5 m

} 














Modify
36
156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5조 2 항 2호

2. 비상탈출구의 문은 피난방향으로 열리도록 하고, 실내에서 항상 열 수 있는 구조로 하여야 하며, 내부 및 외부에는 비상탈출구의 표시를 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2항 2호

Check(REFB_25_2_2){

Door myDoor{
Door.functionType = "Emergency"
 < 0
}
	isEgressDirection(myDoor) = TRUE

} 














Modify
37
1561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5조 2 항 3호

3. 비상탈출구는 출입구로부터 3미터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2항 3호

check(REFB_25_2_3){

Door myDoor{
Door.functionType = "Emergency"
Door.Floor.number < 0
}
	getSpaceDistance(myDoor, Door) >= 3 m 

} 














Modify
38
1562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5조 2 항 4호

4. 지하층의 바닥으로부터 비상탈출구의 아랫부분까지의 높이가 1.2미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벽체에 발판의 너비가 20센티미터 이상인 사다리를 설치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2항 4호

check(REFB_25_2_4){

	IF CS THEN KS

}



CS{
Door myDoor{
Door.functionType = "Emergency"
Door.Floor.number < 0
}
Floor myFloor{
Floor.number < 0 
}
	getObjectVerticalDistance(myFloor, myDoor) >= 1.2 m

}



KS{

	isConnectedTo(Wall, Ladder) = TRUE

	getObjectProperty(Ladder.footholdWidth) >= 20 cm

} 














Modify
39
156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5조 2 항 5호

5. 비상탈출구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복도나 직통계단에 직접 접하거나 통로 등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복도나 직통계단까지 이르는 피난통로의 유효너비는 0.75미터 이상으로 하고, 피난통로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과 그 바탕은 불연재료로 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2항 5호

check(REFB_25_2_5){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isDirectlyAccessible(Stair, Ground) = TRUE

		OR isDirectlyAccessible(Stair, myFloor) = TRUE)

	}



	Corridor myCorridor{

		isDirectlyAccessible(Corridor, myFloor) = TRUE

		OR isDirectlyAccessible(Corridor, Ground) = TRUE

	}

Door myDoor{
Door.functionType = "Emergency"
Door.Floor.number < 0
}

	(isDirectlyAccessible(myDoor, myStair) = TRUE

	OR isDirectlyAccessible(myDoor, myCorridor) = TRUE

	OR isGoThrough(myDoor, Corridor, myStair) = TRUE

	OR isGoThrough(myDoor, Corridor, myCorridor) = TRUE)

Passage myPassage{
isObjectProperty(Passage.isEscape) = TRUE
}

	getSpaceWidth(myPassage) >= 0.75 m



	isObjectProperty(myPassage.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 














Modify
40
156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5조 2 항 7호

7. 비상탈출구의 유도등과 피난통로의 비상조명등의 설치는 소방법령이 정하는 바에 의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2항 7호

check(REFB_25_2_7){	
Door myDoor{
Door.functionType = "Emergency"
Door.Floor.number < 0
}

Light myLight{
isObjectProperty(Light.isEmergency) = TRUE
}

Passage myPassage{
isObjectProperty(Passage.isEscape) = TRUE
}

	hasElement(myDoor, LeadingLight) = TRUE

	hasElement(myPassage, myLight) = TRUE

} 














Modify
41
2694 건축법 시행령 제 35조 2 항

② 건축물(갓복도식 공동주택은 제외한다)의 11층(공동주택의 경우에는 16층) 이상인 층(바닥면적이 400제곱미터 미만인 층은 제외한다) 또는 지하 3층 이하인 층(바닥면적이 400제곱미터미만인 층은 제외한다)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은 제1항에도 불구하고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08.10.29.>





//건축법 시행령 35조 (피난계단의 설치) 2항
check(EDBA_35_2){
	IF (CS1 AND CS2) THEN KS
}

CS1{
	Building.usage != "MultiUnitHouse.SideCorridorTypeMultiUnitHouse"
}

CS2{
	Floor myFloor{
 		IF (Building.usage = "MultiUnitHouse“) 
			THEN getFloorNumber(Floor) >= 16
     		ELSE 		
			getFloorNumber(Floor) >= 11
     		ENDIF

 		OR getFloorNumber(Floor) < -3
		getFloorArea(Floor) >= 400m2
	}

	Stair myStair {
		(isAccessible(Stair, Floor.isEscape) = TRUE
		 OR isAccessible(Stair, Ground) = TRUE)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

	hasObject(myFloor, myStair) = TRUE
}

KS{
	isObjectProperty(myStair.isSpecialEscape) = TRUE
}
 














Modify
42
2724 건축법 시행령 제 39조 2 항

② 법 제49조제1항에 따라 건축물의 출입구에 설치하는 회전문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2013.3.23.>





// 건축법 시행령 39조 (건축물 바깥쪽으로의 출구 설치) 2항

Check(EDBA_39_2){     
IF  CS THEN KS
}

CS {
Door myDoor {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Door.panelOperationType=“RevolvingDoor”
}
isExist(myDoor) = TRUE
}

KS {
getResult(REFB_11_2)=TRUE
}
 














Modify
43
2729 건축법 시행령 제 40조 3 항 1호

1. 건축물의 지붕을 평지붕으로 하는 경우: 헬리포트를 설치하거나 헬리콥터를 통하여 인명 등을 구조할 수 있는 공간





//건축법 시행령 40조 (옥상광장 등의 설치) 3항 1호

Check(EDBA_40_3_1){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Roof.shapeType) = “FlatRoof”

}



KS{

	isExist(Heliport) = True

        getResult(REFB_13_1)=True

        getResult(REFB_13_2)=True

} 














Modify
44
2730 건축법 시행령 제 40조 3 항 2호

2. 건축물의 지붕을 경사지붕으로 하는 경우: 경사지붕 아래에 설치하는 대피공간





//건축법 시행령 40조 (옥상광장 등의 설치) 3항 2호

Check(EDBA_40_3_2){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Roof.shapeType) = “PitchedRoof ”

}



KS{
Space mySpace{
Space.isEscape = TRUE
}
	isExist(mySpace) = True

	getObjectProperty(mySpace.Roof.shapeType) = “PitchedRoof”



        getResult(REFB_13_3)=True

        

} 














Modify
45
2733 건축법 시행령 제 41조 1 항

제41조(대지 안의 피난 및 소화에 필요한 통로 설치) ①건축물의 대지 안에는 그 건축물 바깥쪽으로 통하는 주된 출구와 지상으로 통하는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으로부터 도로 또는 공지(공원, 광장,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으로서 피난 및 소화를 위하여 해당 대지의 출입에 지장이 없는 것을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로 통하는 통로를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10.12.13.>





Check(EDBA_41_1){

    KS

}







KS{



   Door  myDoor {
getObjectProperty(Door.functionType) = "Main"
   }

   Stair myStair{
isAccessible(Stair, Ground) = TRUE
isObjectProperty(Stair.isEscape) = TRUE

       OR isObjectProperty(Stair.isSpecialEscape) = TRUE



   }

   Passage  myPassage{

       isGoThrough(myStair, Road, Passage)=True

       OR isGoThrough(myStair, OpenSpace, Passage )=True

   }



   isExist(myDoor)=True

   isExist(myPassage)=True

   getResult(EDBA_41_1_1)=True

   getResult(EDBA_41_1_2)=True

   getResult(EDBA_41_1_3)=True

} 














Modify
46
2796 건축법 시행령 제 51조 3 항

③ 법 제49조제2항에 따라 오피스텔에 거실 바닥으로부터 높이 1.2미터 이하 부분에 여닫을 수 있는 창문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추락방지를 위한 안전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신설 2009.7.16., 2013.3.23.>





// 건축법 시행령 51조 (거실의 채광 등) 3항

check(EDBA_51_3){

	IF CS THEN KS

}



CS{

Window myWindow{
getObjectProperty(Window.panelOperationType) = "SwingingWindow"
}
	getBuildingUsage() = "Officetels.Room"

	getElementHeight(myWindow) <= 1.2 m

}



KS{

	isExist(FallPreventionSafetyFacility) = TRUE

	getResult(REFB_17_4) = TRUE

} 














Modify
47
2800 건축법 시행령 제 52조 1호

1. 건축물의 최하층에 있는 거실(바닥이 목조인 경우만 해당한다)





//건축법 시행령 52조 (거실 등의 방습) 1호

Check(EDBA_52_0_1){

CS}



CS{

hasObject(BottomFloor, Room) = TRUE
 getObjectProperty(FloorSlab.Structure.materialType) = "Timber"

} 














Modify
48
2827 건축법 시행령 제 56조 2 항

② 제1항제1호 및 제2호에 해당하는 용도로 쓰지 아니하는 건축물로서 그 지붕틀을 불연재료로 한 경우에는 그 지붕틀을 내화구조로 아니할 수 있다.





//건축법 시행령 56조 (건축물의 내화구조) 2항

check(EDBA_56_2){

	IF (!CS1 AND CS2) THEN !KS



CS1{

        getResult(EDBA_56_1_1)=TRUE

        AND getResult(EDBA_56_1_2)=TRUE

}



CS2{

        getObjectMaterialType(RoofTruss)= "NonCombustibleMaterial"

}



KS{

        isFireResistantStructure(RoofTruss) = TRUE

} 














Modify
49
2831 건축법 시행령 제 57조 3 항

③ 연면적 1천 제곱미터 이상인 목조 건축물의 구조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방화구조로 하거나 불연재료로 하여야 한다. <개정 2013.3.23.>





//  건축법 시행령 57조 (대규모 건축물의 방화벽 등) 3항

Check(EDBA_57_3){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grossFloorArea) >= 1000m2

	getObjectProperty(Building.Structure.materialType) = "Timber"

}



KS{

	getObjectProperty(MainStructuralPart.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OR getObjectProperty(MainStructuralPart.isFireProofStructure) = TRUE

} 














Modify
50
2869 건축법 시행령 제 61조 2 항 1호

1. 상업지역(근린상업지역은 제외한다)의 건축물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 건축법 시행령 61조 (건축물의 마감재료) 2항 1호


Check(EDBA_61_2_1){
       KS
}




K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CommercialArea"
    getResult(EDBA_61_2_1_가)=TRUE
  

} 














Modify
51
4859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47조 1 항

제47조(도시지역 외 지구단위계획구역에서의 건폐율 등의 완화적용) ①지구단위계획구역(도시지역 외에 지정하는 경우로 한정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에서는 법 제52조제3항에 따라 지구단위계획으로 당해 용도지역 또는 개발진흥지구에 적용되는 건폐율의 150퍼센트 및 용적률의 200퍼센트 이내에서 건폐율 및 용적률을 완화하여 적용할 수 있다. <개정 2005.1.15., 2007.4.19., 2012.4.10.>





//EDLPUA 47조 1항



Check(EDLPUA_47_1){

     IF CS THEN KS

}



CS{

     getObjectUsage(Zone)="DistrictUnitPlanningZones"

}



KS{
SpecialPurposeArea mySpecialPurposeArea{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DevelopmentPromotionDistrict"
}

BLR=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buildingToLandRatio) OR getObjectProperty(mySpecialPurposeArea.buildingToLandRatio)

FAR=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floorAreaRatio) OR getObjectProperty(mySpecialPurposeArea.floorAreaRatio)


   getBuildingToLandRatio()<=BLR*150%

   getFloorAreaRatio(FAR)<=200%

} 














Modify
52
5255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84조 3 항 1호

1. 취락지구 : 60퍼센트 이하(집단취락지구에 대하여는 개발제한구역의지정및관리에관한특별조치법령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84조 (용도지역안에서의 건폐율) 3항 1호

Check(EDLPUA_84_3_1){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District.type)="SettlementDistrict"
}

KS{
    getBuildingToLandRatio()<=60%
} 














Modify
53
525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84조 3 항 2호

2. 도시지역외의 지역에 지정된 개발진흥지구 : 40퍼센트 이하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84조 (용도지역안에서의 건폐율) 3항 2호

Check(EDLPUA_84_3_2){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District.type)="DevelopmentPromotionDistrict"
}

KS{
    getBuildingToLandRatio()<=40%
} 














Modify
54
5257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84조 3 항 3호

3. 수산자원보호구역 : 40퍼센트 이하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84조 (용도지역안에서의 건폐율) 3항 3호

Check(EDLPUA_84_3_3){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District.type)="FisheryResourcesProtectionZone"
}

KS{
    getBuildingToLandRatio()<=40%
} 














Modify
55
5258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84조 3 항 4호

4. 「자연공원법」에 따른 자연공원 : 60퍼센트 이하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84조 (용도지역안에서의 건폐율) 3항 4호

Check(EDLPUA_84_3_4){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District.type)="ParkProtectionZone"
}

KS{
    getBuildingToLandRatio()<=60%
} 














Modify
56
5259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84조 3 항 5호

5.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2조제8호라목에 따른 농공단지 : 70퍼센트 이하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84조 (용도지역안에서의 건폐율) 3항 5호

Check(EDLPUA_84_3_5){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District.type)="AgriculturalIndustrialComplex"
}

KS{
    getBuildingToLandRatio()<=70%
} 














Modify
57
5260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84조 3 항 6호

6. 공업지역에 있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2조제8호가목부터 다목까지의 규정에 따른 국가산업단지ㆍ일반산업단지ㆍ도시첨단산업단지 및 같은 조 제12호에 따른 준산업단지: 80퍼센트 이하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84조 (용도지역안에서의 건폐율) 3항 6호

Check(EDLPUA_84_3_6){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IndustrialComplex.type)="NationalIndustrialComplex"
   OR getObjectProperty(IndustrialComplex.type)="GeneralIndustrialComplex"
   OR getObjectProperty(IndustrialComplex.type)="UrbanHighTechIndustrialComplex"
   OR getObjectProperty(IndustrialComplex.type)="Semi-IndustrialComplex"
}

KS{
    getBuildingToLandRatio()<=70%
} 














Modify
58
5277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84조 8 항

⑧ 제1항에도 불구하고 자연녹지지역에 설치되는 도시ㆍ군계획시설 중 유원지의 건폐율은 30퍼센트의 범위에서 도시ㆍ군계획조례로 정하는 비율을 초과하여서는 아니 되며, 공원의 건폐율은 20퍼센트의 범위에서 도시ㆍ군계획조례로 정하는 비율을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개정 2009.7.7., 2011.9.16., 2012.4.10.>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84조 (용도지역안에서의 건폐율) 8항 

Check(EDLPUA_84_8){
	KS
}

KS{
      IF getObjectProperty(GreenNaturalArea.UrbanAndGunPlanningFacility.type)="AmusementPark"
      
      	THEN   getBuildingToLandRatio() <30 
                	          getResult(Unimplemented_UPMO)
     
      ELSE IF getObjectProperty(GreenNaturalArea.UrbanAndGunPlanningFacility.type)="Park"

     	THEN    getBuildingToLandRatio() <30 
                 	           getResult(Unimplemented_UPMO)
      
      END IF
     
} 
 














Modify
59
531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85조 6 항 4호

4.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2조제8호라목에 따른 농공단지(도시지역외의 지역에 지정된 농공단지에 한한다) : 150퍼센트 이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85조 (용도지역 안에서의 용적률) 6항 4호
Check(EDLPUA_85_6_4){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IndustrialComplex.type) = "AgriculturalIndustrialComplex"
}

KS{
	getFloorAreaRatio() <= 150%
}
 














Modify
60
6499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7조 1 항 1호

1. 도시지역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1항 1호
Check(LPUA_77_1_1){
	KS
}

KS{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Area.type) = "UrbanArea"
} 














Modify
61
6500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7조 1 항 1호 가 목

가. 주거지역: 70퍼센트 이하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1항 1호 가목
Check(LPUA_77_1_1_1){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Area.type) = "ResidentialArea"
}

KS{
	getObjectProperty(Building.buildingToLandRatio) = BTL
	BTL <= 70
} 














Modify
62
650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7조 1 항 1호 나 목

나. 상업지역: 90퍼센트 이하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1항 1호 나목
Check(LPUA_77_1_1_2){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Area.type) = "CommercialArea"
}

KS{
	getObjectProperty(Building.buildingToLandRatio) = BTL
	BTL <= 90
} 














Modify
63
650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7조 1 항 1호 다 목

다. 공업지역: 70퍼센트 이하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1항 1호 다목
Check(LPUA_77_1_1_3){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Area.type) = "IndustrialArea"
}

KS{
	getObjectProperty(Building.buildingToLandRatio) = BTL
	BTL <= 70
} 














Modify
64
650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7조 1 항 1호 라 목

라. 녹지지역: 20퍼센트 이하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1항 1호 라목
Check(LPUA_77_1_1_4){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Area.type) = "GreenArea"
}

KS{
	getObjectProperty(Building.buildingToLandRatio) = BTL
	BTL <= 20
} 














Modify
65
6504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7조 1 항 2호

2. 관리지역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1항 1호
Check(LPUA_77_1_2){
	KS
}

KS{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Area.type) = "ControlArea"
} 














Modify
66
6505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7조 1 항 2호 가 목

가. 보전관리지역: 20퍼센트 이하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1항 2호 가목
Check(LPUA_77_1_2_1){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Area.type) = "ConservationManagementArea"
}

KS{
	getObjectProperty(Building.buildingToLandRatio) = BTL
	BTL <= 20
} 














Modify
67
650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7조 1 항 2호 나 목

나. 생산관리지역: 20퍼센트 이하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1항 2호 나목
Check(LPUA_77_1_2_2){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Area.type) = "ProductionManagementArea"
}

KS{
	getObjectProperty(Building.buildingToLandRatio) = BTL
	BTL <= 20
} 














Modify
68
6507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7조 1 항 2호 다 목

다. 계획관리지역: 40퍼센트 이하. 다만, 성장관리방안을 수립한 지역의 경우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125퍼센트 이내에서 완화하여 적용할 수 있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1항 2호 다목
Check(LPUA_77_1_2_3){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Area.type) = "PlanningManagementArea"
}

KS{
	getObjectProperty(Building.buildingToLandRatio) = BTL
	BTL <= 40
} 














Modify
69
6508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7조 1 항 3호

3. 농림지역: 20퍼센트 이하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1항 3호
Check(LPUA_77_1_3){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Area.type) = "AgriculturalAndForestryArea"
}

KS{
	getObjectProperty(Building.buildingToLandRatio) = BTL
	BTL <= 20
} 














Modify
70
6509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7조 1 항 4호

4. 자연환경보전지역: 20퍼센트 이하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1항 4호
Check(LPUA_77_1_4){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Area.type) = "NaturalEnvironmentConservationArea"
}

KS{
	getObjectProperty(Building.buildingToLandRatio) = BTL
	BTL <= 20
} 














Modify
71
651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7조 3 항 1호

1. 제37조제1항제8호에 따른 취락지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3항 1호
Check(LPUA_77_3_1){
	KS
}

KS{
	getResult(LPUA_37_1_8) = TRUE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District.type) = "SettlementDistrict"
} 














Modify
72
651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7조 3 항 2호

2. 제37조제1항제9호에 따른 개발진흥지구(도시지역 외의 지역만 해당한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3항 2호
Check(LPUA_77_3_2){
	KS
}

KS{
	getResult(LPUA_37_1_9) = TRUE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District.type) = "DevelopmentPromotionDistrict"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Area.type) != "UrbanArea"
} 














Modify
73
6514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7조 3 항 3호

3. 제40조에 따른 수산자원보호구역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3항 3호
Check(LPUA_77_3_3){
	KS
}

KS{
	getResult(LPUA_40) = TRUE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Zone.type) = "FisheryResourcesProtectionZone"
} 














Modify
74
6515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7조 3 항 4호

4. 「자연공원법」에 따른 자연공원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3항 4호 

Check(LPUA_77_3_4){
      KS
}


KS{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Zone.type) = "NaturalPark"
} 














Modify
75
651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7조 3 항 5호

5.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2조제8호라목에 따른 농공단지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3항 5호

Check(LPUA_J77_3_5){
      KS
}

KS{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Zone.type) = "AgriculturalAndIndustrialComplexes"
 
}  














Modify
76
6517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7조 3 항 6호

6. 공업지역에 있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2조제8호가목부터 다목까지의 규정에 따른 국가산업단지, 일반산업단지 및 도시첨단산업단지와 같은 조 제12호에 따른 준산업단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7조 (용도지역의 건폐율) 3항 6호 

Check(LPUA_77_3_6){
         KS
}


KS{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Zone.type) = "NationalIndustrialComplexes"
    OR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Zone.type) = "GeneralIndustrialComplexes"
    OR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Zone.type) = "UrbanHighTechIndustrialComplexes"
    OR getObjectProperty(SpecialPurposeZone.type) = "SemiIndustrialComplex"

}


 














Modify
77
652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8조 1 항 1호

1. 도시지역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8조 (용도지역에서의 용적률) 1항 1호

Check(LPUA_78_1_1){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UrbanArea"
}
KS{
getResult(LPUA_78_1_1_가)=TRUE
OR getResult(LPUA_78_1_1_나)=TRUE
OR getResult(LPUA_78_1_1_다)=TRUE
OR getResult(LPUA_78_1_1_라)=TRUE

}
 














Modify
78
6527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8조 1 항 1호 가 목

가. 주거지역: 500퍼센트 이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8조 (용도지역에서의 용적률) 1항 1호 가목

Check(LPUA_78_1_1_가){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ResidentialArea"
}

KS{
getFloorAreaRatio() <= 500%
}
 














Modify
79
6528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8조 1 항 1호 나 목

나. 상업지역: 1천500퍼센트 이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8조 (용도지역에서의 용적률) 1항 1호 나목

Check(LPUA_78_1_1_나){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CommercialArea"
}

KS{
getFloorAreaRatio() <= 1500%
}
 














Modify
80
6529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8조 1 항 1호 다 목

다. 공업지역: 400퍼센트 이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8조 (용도지역에서의 용적률) 1항 1호 다목

Check(LPUA_78_1_1_다){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IndustrialArea"
}

KS{
getFloorAreaRatio() <= 400%
}
 














Modify
81
6530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8조 1 항 1호 라 목

라. 녹지지역: 100퍼센트 이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8조 (용도지역에서의 용적률) 1항 1호 라목

Check(LPUA_78_1_1_라){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GreenArea"
}

KS{
getFloorAreaRatio() <= 100%
}
 














Modify
82
653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8조 1 항 2호

2. 관리지역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8조 (용도지역에서의 용적률) 1항 2호

Check(LPUA_78_1_2){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ControlArea"
}

KS{
getResult(LPUA_78_1_2_가)=TRUE
OR getResult(LPUA_78_1_2_나)=TRUE
OR getResult(LPUA_78_1_2_다)=TRUE
}
 














Modify
83
653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8조 1 항 2호 가 목

가. 보전관리지역: 80퍼센트 이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8조 (용도지역에서의 용적률) 1항 2호 가목

Check(LPUA_78_1_2_가){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ConservationManagementArea"
}

KS{
getFloorAreaRatio() <= 80%
}
 














Modify
84
653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8조 1 항 2호 나 목

나. 생산관리지역: 80퍼센트 이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8조 (용도지역에서의 용적률) 1항 2호 나목

Check(LPUA_78_1_2_나){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ProductionManagementArea"
}

KS{
getFloorAreaRatio() <= 80%
}
 














Modify
85
6534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8조 1 항 2호 다 목

다. 계획관리지역: 100퍼센트 이하. 다만, 성장관리방안을 수립한 지역의 경우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125퍼센트 이내에서 완화하여 적용할 수 있다.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8조 (용도지역에서의 용적률) 1항 2호 다목

Check(LPUA_78_1_2_다){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PlanningManagementArea"
}

KS{
getFloorAreaRatio() <=100%
}
 














Modify
86
6535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8조 1 항 3호

3. 농림지역: 80퍼센트 이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8조 (용도지역에서의 용적률) 1항 3호

Check(LPUA_78_1_3){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AgriculturalAndForestryArea"
}

KS{
getFloorAreaRatio() <= 80%
}
 














Modify
87
653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8조 1 항 4호

4. 자연환경보전지역: 80퍼센트 이하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78조 (용도지역에서의 용적률) 1항 4호

Check(LPUA_78_1_4){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SpecialPurposeArea.type) = "NaturalEnvironmentConservationArea"
}

KS{
getFloorAreaRatio() <= 80%
}
 














Modify
88
9247 소화기구 및 자동 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 제 4조 1 항 4호 가 목

가. 각층마다 설치하되,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1개의 소화기까지의 보행거리가 소형소화기의 경우에는 20m 이내, 대형소화기의 경우에는 30m 이내가 되도록 배치할 것. 다만, 가연성물질이 없는 작업장의 경우에는 작업장의 실정에 맞게 보행거리를 완화하여 배치할 수 있으며, 지하구의 경우에는 화재발생의 우려가 있거나 사람의 접근이 쉬운 장소에 한하여 설치할 수 있다<개정 2012.6.11>





//소화기구 및 자동 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 4조 (설치기준) 1항 4호 가목



Check(NFSC101_4_1_4){

       KS

}



KS{

     isInstalled(FireExtinguisher, Floor)=True

     

     IF getObjectProperty(FireExtinguisher.sizeType)="SmallSize"

     THEN getObjectDistance(SpecificFireFightingBuilding.Wall, FireExtinguisher.One)<=20 m

          getObjectDistance(SpecificFireFightingBuilding.Column, FireExtinguisher.One)<=20 m



     ELSE IF getObjectProperty(FireExtinguisher.sizeType)="LargeSize"

     THEN getObjectDistance(SpecificFireFightingBuilding.Wall, FireExtinguisher.One)<=30 m

          getObjectDistance(SpecificFireFightingBuilding.Column, FireExtinguisher.One)<=30 m



     END IF 

} 














Modify
89
9252 소화기구 및 자동 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 제 4조 7호

7. 주방용자동소화장치는 아파트의 각 세대별 주방 및 오피스텔의 각실 별 주방에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개정 2012.6.11>





//소화기구 및 자동 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 4조 (설치기준) 1항 7호
Check(NFSC101_4_1_7){
	IF CS THEN KS
}

CS{
	Space mySpace{
	getSpaceUsage() = "Kitchen"
	}

}

KS{
	AutomaticFireExtinguishingEquipment myAutomaticFireExtinguishingEquipment{
	isObjectProperty(AutomaticFireExtinguishingEquipment.isKitchenType) = TRUE
	}
	hasSpace(mySpace,myAutomaticFireExtinguishingEquipment) = TRUE
	getResult(NFSC101_4_1_7_3)=TRUE
} 














Modify
90
9255 소화기구 및 자동 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 제 4조 7호 다 목

다. 가스차단장치는 주방배관의 개폐밸브로부터 2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되, 상시 확인 및 점검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것<개정 2012.6.11>





//소화기구 및 자동 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 4조 (설치기준) 1항 7호 다목
Check(NFSC101_4_1_7_다){
	KS
}
KS{
	ShutdownEquipment myShutdownEquipment{
	isObjectProperty(ShutdownEquipment.type)="GAS"
	}
	Space mySpace{
	isObjectProperty(Space.usage) = "Kitchen"
	}
	Pipe myPipe{
	isInstalled(Pipe, mySpace) = TRUE
	}
	Valve myValve{
	isObjectProperty(Valve.isShutoffValve) = TRUE
	isInstalled(Valve, myPipe) = TRUE
	}
	isElementDistance(myShutdownEquipment, myValve) <= 2m
} 














Modify
91
9272 소화기구 및 자동 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 제 4조 2 항

② 이산화탄소 또는 할로겐화합물(할론 1301과 청정소화약제를 제외한다)을 방사하는 소화기구(자동확산소화장치를 제외한다)는 지하층이나 무창층 또는 밀폐된 거실로서 그 바닥면적이 20㎡ 미만의 장소에는 설치할 수 없다. 다만, 배기를 위한 유효한 개구부가 있는 장소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개정 2008.12.15, 2012.6.11>





//소화기구 및 자동 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 4조 (설치기준) 2항

Check(NFSC101_4_2){

	KS

}



KS{

	FireExtinguisher myFireExtinguisher{

	getObjectProperty(FireExtinguishingEquipment.extinguishingAgentType) = "GasType"

	}

	Space mySpace{

		(getFloorNumber(Space) = -1

	OR hasSpace(Space, Window) = FALSE

	OR isObjectProperty(Room.isEnclosed)=TRUE)

	getObjectProperty(Space.FloorSlab) < 20 m2

	}



	getSpace(mySpace, myFireExtinguisher) = FALSE

} 














Modify
92
9325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4조 1 항 2호

2. 송수구는 구경 65㎜의 쌍구형으로 설치할 것. 다만, 하나의 송수구역에 부착하는 살수헤드의 수가 10개 이하인 것은 단구형의 것으로 할 수 있다.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4조 (송수구 등) 1항 2호



Check(NFSC503_4_1_2){

 IF CS THEN KS 

}

CS{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WaterSupplyZone)=TRUE

 }

 hasObject(myZone.One,HookingUpSprinklerSystem.Head.)=TRUE

 getObjectCount(HookingUpSprinklerSystem.Head.) <= 10  

}

KS{

 Port myPort{
getObjectProperty(Port.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getObjectProperty(Port.typeForWater) = "FireDepartmentConnection" 

 }

 isObjectProperty(myPort.diameter) = 65mm

 getObjectProperty(myPort.shapeType) = "DoubleType"

} 














Modify
93
9326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4조 1 항 3호

3. 개방형헤드를 사용하는 송수구의 호스접결구는 각 송수구역마다 설치할 것. 다만, 송수구역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각 송수구역의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4조 (송수구 등) 1항 3호



Check(NFSC503_4_1_3){

 IF !CS THEN KS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WaterSupplyZone)=TRUE

	}

CS{

	Valve myValve{

	isObjectProerpty(Valve.isSelectionValve) = TRUE

	}

	isInstalled(myValve) = TRUE

	hasObject(myZone,MainStructuralPart) = TRUE

	isFireResistantStructure(MainStructuralPart) = TRUE

}

KS{

	 Port myPort{
getObjectProperty(Port.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getObjectProperty(Port.typeForWater) = "FireDepartmentConnection" 

 }

	Head myHead{

	getObjectProperty(Head.openAndCloseType) = "OpenType"

	}

	isInstalled(myPort.호스접결구, myZone.One) = TRUE

} 














Modify
94
9327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4조 1 항 4호

4.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m 이상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Check(NFSC503_4_1_4){

 KS

}

KS{

	Port myPort{ 
getObjectProperty(Port.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getObjectProperty(Port.typeForWater) = "FireDepartmentConnection" 

 	}

 	getObjectVerticalDistance(Ground, myPort) >= 0.5m

 	getObjectVerticalDistance(Ground, myPort) <= 1m

} 














Modify
95
9328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4조 1 항 5호

5. 송수구로부터 주배관에 이르는 연결배관에는 개폐밸브를 설치하지 아니 할 것. 다만, 스프링클러설비·물분무소화설비·포소화설비 또는 연결송수관설비의 배관과 겸용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4조 (송수구 등) 1항 5호



Check(NFSC503_4_1_5){

 IF !CS THEN KS 

}

CS{
Pipe myPipe1{
getObjectProperty(Port.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Pipe myPipe2{
getObjectProperty(Port.systemType) = "SprinklerSystem"
}
Pipe myPipe3{
getObjectProperty(Port.systemType) = "WaterSprayExtingushingSystem"
}
Pipe myPipe4{
getObjectProperty(Port.systemType) = "FoamExtinguishingSystem"
}
Pipe myPipe5{
getObjectProperty(Port.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Pipe myPipe6{
getObjectProperty(Port.systemType) = "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
}
	isShared(myPipe1, myPipe2, myPipe3, myPipe4) = TRUE

	OR isShared(myPipe5, myPipe6) = TRUE

}

KS{

	Port myPort{ 
getObjectProperty(Port.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getObjectProperty(Port.typeForWater) = "FireDepartmentConnection"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Riser)=TRUE

	}

	Vavle myValve{

	isObjectProperty(Valve.isShutoffValve)= TRUE

	}

 	isConnectedTo(myPort, Pipe) = TRUE

 	isConnectedTo(Pipe, myPipe) = TRUE

  	isInstalled(myValve, myPipe) = FALSE

 } 














Modify
96
9336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4조 3 항 1호

1. 폐쇄형헤드를 사용하는 설비의 경우에는 송수구·자동배수밸브·체크밸브의 순으로 설치할 것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4조 (송수구 등) 3항 1호



Check(NFSC503_4_3_1){

	IF CS THEN KS

}

CS{

	Head myHead{

	getObjectProperty(Head.openAndCloseType) = "EnclosedType"	

	}

	getObjectProperty(myHead.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KS{

	Port myPort{ 
getObjectProperty(Port.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getObjectProperty(Port.typeForWater) = "FireDepartmentConnection" 

 	}

 	Valve myValve1{

	isObjectProperty(Valve.isAutomiaticDeliveryValve) = TRUE

	}

	Valve myValve2{

	isObjectProperty(Valve.isCheckValve) = TRUE

	}



	isInstalledInOrder(myPort, myValve1, myValve2) = TRUE

} 














Modify
97
9337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4조 3 항 2호

2. 개방형헤드를 사용하는 설비의 경우에는 송수구·자동배수밸브의 순으로 설치할 것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4조 (송수구 등) 3항 2호



Check(NFSC503_4_3_2){

	IF CS THEN KS

}

CS{

	Head myHead{

	getObjectProperty(Head.openAndCloseType) = "OpenType"	

	}

	getObjectProperty(myHead.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KS{

	Port myPort{ 
getObjectProperty(Port.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getObjectProperty(Port.typeForWater) = "FireDepartmentConnection" 

 	}

 	Valve myValve1{

	isObjectProperty(Valve.isAutomiaticDeliveryValve) = TRUE

	}



	isInstalledInOrder(myPort, myValve1) = TRUE

} 














Modify
98
9339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4조 4 항

④개방형헤드를 사용하는 연결살수설비에 있어서 하나의 송수구역에 설치하는 살수헤드의 수는 10개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4조 (송수구 등) 4항

Check(NFSC503_4_4){
	IF CS THEN KS
}
CS{
	Head myHead{
	getObjectProperty(Head.openAndCloseType) = "OpenType"	
	}
	getObjectProperty(myHead.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KS{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WaterSupplyZone) = TRUE
	}
	Head myHead{
	isInstalled(HookingUpSprinklerSystem.Head, myZone.One) = TRUE
	}

	getObjectCount(myHead) <= 10
} 














Modify
99
9343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5조 1 항 3호

3. 천장(상층이 있는 경우에는 상층바닥의 하단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과 반자를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로 설치하고 그 내부에 습식으로 배관을 설치하는 경우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5조 (배관 등) 1항 3호



Check(NFSC503_5_1_3){

	KS

}

KS{

	(isObjectProperty(Ceiling.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OR isObjectProperty(Ceiling.Material.quasiNonCombustibility)=TRUE)

	(isObjectProperty(CeilingCovering.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OR isObjectProperty(CeilingCovering.Material.quasiNonCombustibility)=TRUE)

	SprinklerSystem mySprinklerSystem{
SprinklerSystem.type = "WetPipeSprinklerSystem"
}

	isInstalled(mySprinklerSystem, Ceiling)=TRUE

	isInstalled(mySprinklerSystem, CeilingCovering)=TRUE

} 














Modify
100
9345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5조 2 항 1호

1. 연결살수설비 전용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 표에 따른 구경 이상으로 할 것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5조 (배관 등) 2항 1호



Check(NFSC503_5_2_1){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Head.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isObjectProperty(Head.isShared) = FALSE 

}

KS{

	Head myHead{

	isInstalled(Head., Pipe.One) = TRUE

	}

	NH = getObjectCount(myHead)



	IF NH = 1 THEN getObjectDiameter(Pipe) >= 32mm

	ELSE IF NH = 2 THEN getObjectDiameter(Pipe) >= 40mm

	ELSE IF NH = 3 THEN getObjectDiameter(Pipe) >= 50mm

	ELSE IF NH = 4 OR NH = 5 THEN getObjectDiameter(Pipe) >= 65mm

	ELSE IF NH >= 6 AND HN <= 10 THEN getObjectDiameter(Pipe) >= 80mm

} 














Modify
    1   2   3   next▷  
 
This is Design IT Lab server's restricted area. Authorized users could access this web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