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관계유형
|
|
|
|
L
|
하위 법규문장 모두 만족해야 상위법규가 만족하는 관계
|
1428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 조
1항
"제14조(방화구획의 설치기준) ①영 제46조에 따라 건축물에 설치하는 방화구획은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2010.4.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방화구획의 설치) 1항
check(REFB_14_1){ KS }
KS{ getResult(REFB_14_1_1) = TRUE AND getResult(REFB_14_1_2) = TRUE AND getResult(REFB_14_1_3) = TRUE }
L
|
하위 법규문장 모두 만족해야 상위법규가 만족하는 관계
|
1429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 조
1항
1호
"1. 10층 이하의 층은 바닥면적 1천제곱미터(스프링클러 기타 이와 유사한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바닥면적 3천제곱미터)이내마다 구획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방화구획의 설치) 1항1호
check(REFB_14_1_1){KS
}
KS{
Floor myFloor{
Floor.number>=10
}
IF (
isExist(SprinklerSystem)=TRUE isObjectProperty(ExtinguishingSystem.isAutomatic) = TRUE
)
(
isFirePartition(myFloor, 3000)=TRUE
OR isFirePartition(myFloor, a, 1000)=TRUE
)
}
|
L
|
하위 법규문장 모두 만족해야 상위법규가 만족하는 관계
|
143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 조
1항
2호
"2. 3층 이상의 층과 지하층은 층마다 구획할 것. 다만, 지하 1층에서 지상으로 직접 연결하는 경사로 부위는 제외한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방화구획의 설치) 1항2호
check(REFB_14_1_2){ IF CS THEN KS }
KS{ Floor myFloor { Floor.number>=3 AND Floor.number<0 } isObjectProperty(myFloor.isFirePartition)=TRUE }
CS{ Ramp myRamp{ isGoThrough(getFloor(Floor.number=-1),Ramp,Ground)=TRUE } isObjectProperty(myRamp.isFirePartition)=FALSE }
|
L
|
하위 법규문장 모두 만족해야 상위법규가 만족하는 관계
|
1431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 조
1항
3호
"3. 11층 이상의 층은 바닥면적 200제곱미터(스프링클러 기타 이와 유사한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600제곱미터)이내마다 구획할 것. 다만, 벽 및 반자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을 불연재료로 한 경우에는 바닥면적 500제곱미터(스프링클러 기타 이와 유사한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1천500제곱미터)이내마다 구획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방화구획의설치) 1항3호
check(REFB_14_1_3){
KS2 AND IF CS THEN KS
}
Floor myFloor {
getFloorNumebr()>= 11
}
KS2{
isFirepartition(myFloor,200)=TRUE
OR
((isExist(SprinklerSystem) = TRUE
OR isObjectProperty(ExtinguishingSystem.isAutomatic) = TRUE)
AND isFirepartition(myFloor,600)=TRUE)
}
CS1 {
isObjectProperty(Space.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
KS1 {
isFirepartition(myFloor,500)=TRUE
OR
((isExist(SprinklerSystem) = TRUE
OR isObjectProperty(ExtinguishingSystem.isAutomatic) = TRUE)
AND isFirepartition(myFloor,1500)=TRUE)
}
|
|
|
|
L
|
하위 법규문장 모두 만족해야 상위법규가 만족하는 관계
|
1442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 조
3항
"③ 영 제46조제5항제3호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덮개, 사다리, 경보시스템을 포함한다)의 구조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신설 2010.4.7.>"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방화구획의 설치기준) 3항
Check(REFB_14_3){ KS }
KS{ getResult(REFB_14_3_1)=True getResult(REFB_14_3_2)=True getResult(REFB_14_3_3)=True getResult(REFB_14_3_4)=True }
L
|
하위 법규문장 모두 만족해야 상위법규가 만족하는 관계
|
144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 조
3항
1호
"1. 피난구의 덮개는 제26조에 따른 비차열 1시간 이상의 내화성능을 가져야 하며, 피난구의 유효 개구부 규격은 직경 60센티미터 이상일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방화구획의 설치기준) 3항 1호
Check(REFB_14_3_1){ KS }
KS{ Opening myOpening { isObjectProperty(Opening.isEscape)=True }
getObjectDiameter(myOpening)>60 cm }
|
L
|
하위 법규문장 모두 만족해야 상위법규가 만족하는 관계
|
144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 조
3항
2호
"2. 상층ㆍ하층간 피난구의 설치위치는 수직방향 간격을 15센티미터 이상 띄어서 설치할 것"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방화구획의 설치기준) 3항 2호
Check(REFB_14_3_2){ KS }
KS{ getObjectVerticalDistance(myOpening, myOpening)> 15 cm }
|
L
|
하위 법규문장 모두 만족해야 상위법규가 만족하는 관계
|
1445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 조
3항
3호
"3. 아래층에서는 바로 윗층의 피난구를 열 수 없는 구조일 것"
|
L
|
하위 법규문장 모두 만족해야 상위법규가 만족하는 관계
|
1446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 조
3항
4호
"4. 사다리는 바로 아래층의 바닥면으로부터 50센터미터 이하까지 내려오는 길이로 할 것"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방화구획의 설치기준) 3항 4호
Check(REFB_14_3_4){
KS
}
KS{
getObjectVerticalDistance(Ladder, Floor.LowerFloor.FloorSlab.Surface, a)<= 50 cm
}
|
L
|
하위 법규문장 모두 만족해야 상위법규가 만족하는 관계
|
144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 조
3항
5호
"5. 덮개가 개방될 경우에는 건축물관리시스템 등을 통하여 경보음이 울리는 구조일 것"
|
L
|
하위 법규문장 모두 만족해야 상위법규가 만족하는 관계
|
1448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 조
3항
6호
"6. 피난구가 있는 곳에는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를 설치할 것"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