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page
Total 31 records
신규입력
|
1
|
1295
|
138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
3
|
내화구조
|
|
2
|
|
2. 외벽중 비내력벽의 경우에는 제1호의 규정에 불구하고 다음 각목의 1에 해당하는 것
|
View
Modify
Delete
|
2
|
1933
|
141
|
건축법 시행규칙
|
43
|
태양열을 이용하는 주택 등의 건축면적 산정방법 등
|
1
|
|
|
제43조(태양열을 이용하는 주택 등의 건축면적 산정방법 등) ①영 제119조제1항제2호나목에 따라 태양열을 주된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주택의 건축면적과 단열재를 구조체의 외기측에 설치하는 단열공법으로 건축된 건축물의 건축면적은 건축물의 외벽중 내측 내력벽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다. 이 경우 태양열을 주된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주택의 범위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바에 의한다. <개정 1996.1.18., 2008.3.14., 2011.6.29., 2013.3.23.>
|
View
Modify
Delete
|
3
|
2047
|
142
|
건축법 시행령
|
2
|
정의
|
|
3
|
|
3. "개축"이란 기존 건축물의 전부 또는 일부[내력벽ㆍ기둥ㆍ보ㆍ지붕틀(제16호에 따른 한옥의 경우에는 지붕틀의 범위에서 서까래는 제외한다) 중 셋 이상이 포함되는 경우를 말한다]를 철거하고 그 대지에 종전과 같은 규모의 범위에서 건축물을 다시 축조하는 것을 말한다.
|
View
Modify
Delete
|
4
|
2077
|
142
|
건축법 시행령
|
2
|
정의
|
|
18
|
나
|
나. 기둥과 기둥 사이의 거리(기둥의 중심선 사이의 거리를 말하며, 기둥이 없는 경우에는 내력벽과 내력벽의 중심선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이하 같다)가 20미터 이상인 건축물
|
View
Modify
Delete
|
5
|
2098
|
142
|
건축법 시행령
|
3조의2
|
대수선의 범위
|
|
1
|
|
1. 내력벽을 증설 또는 해체하거나 그 벽면적을 30제곱미터 이상 수선 또는 변경하는 것
|
View
Modify
Delete
|
6
|
2342
|
142
|
건축법 시행령
|
11
|
건축신고
|
2
|
1
|
|
1. 내력벽의 면적을 30제곱미터 이상 수선하는 것
|
View
Modify
Delete
|
7
|
3241
|
142
|
건축법 시행령
|
119
|
면적 등의 산정방법
|
1
|
3
|
아
|
아. 제1항제2호나목3)의 건축물의 경우에는 단열재가 설치된 외벽 중 내측 내력벽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산정한 면적을 바닥면적으로 한다.
|
View
Modify
Delete
|
8
|
3410
|
140
|
건축법
|
2
|
정의
|
1
|
7
|
|
7. "주요구조부"란 내력벽(耐力壁), 기둥, 바닥, 보, 지붕틀 및 주계단(主階段)을 말한다. 다만, 사이 기둥, 최하층 바닥, 작은 보, 차양, 옥외 계단,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으로 건축물의 구조상 중요하지 아니한 부분은 제외한다.
|
View
Modify
Delete
|
9
|
3412
|
140
|
건축법
|
2
|
정의
|
1
|
9
|
|
9. "대수선"이란 건축물의 기둥, 보, 내력벽, 주계단 등의 구조나 외부 형태를 수선ㆍ변경하거나 증설하는 것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
View
Modify
Delete
|
10
|
10861
KBimCode
|
133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
30
|
기초
|
1
|
|
|
제30조(기초) ①조적식구조인 내력벽의 기초(최하층의 바닥면 이하에 해당하는 부분을 말한다)는 연속기초로 하여야 한다.
|
View
Modify
Delete
|
11
|
10863
KBimCode
|
133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
31
|
내력벽의 높이 및 길이
|
1
|
|
|
제31조(내력벽의 높이 및 길이) ①조적식구조인 건축물중 2층 건축물에 있어서 2층 내력벽의 높이는 4미터를 넘을 수 없다.
|
View
Modify
Delete
|
12
|
10864
KBimCode
|
133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
31
|
내력벽의 높이 및 길이
|
2
|
|
|
②조적식구조인 내력벽의 길이[대린벽(對隣壁)의 경우에는 그 접합된 부분의 각 중심을 이은 선의 길이를 말한다. 이하 이 절에서 같다]는 10미터를 넘을 수 없다.
|
View
Modify
Delete
|
13
|
10865
KBimCode
|
133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
31
|
내력벽의 높이 및 길이
|
3
|
|
|
③조적식구조인 내력벽으로 둘러쌓인 부분의 바닥면적은 80제곱미터를 넘을 수 없다.
|
View
Modify
Delete
|
14
|
10866
KBimCode
|
133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
32
|
내력벽의 두께
|
1
|
|
|
제32조(내력벽의 두께) ①조적식구조인 내력벽의 두께(마감재료의 두께는 포함하지 아니한다. 이하 이 절에서 같다)는 바로 윗층의 내력벽의 두께 이상이어야 한다.
|
View
Modify
Delete
|
15
|
10867
|
133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
32
|
내력벽의 두께
|
2
|
|
|
②조적식구조인 내력벽의 두께는 그 건축물의 층수·높이 및 벽의 길이에 따라 각각 다음 표의 두께 이상으로 하되, 조적재가 벽돌인 경우에는 당해 벽높이의 20분의 1이상, 블록인 경우에는 당해 벽높이의 16분의 1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
View
Modify
Delete
|
16
|
10869
KBimCode
|
133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
32
|
내력벽의 두께
|
3
|
|
|
③제2항의 규정을 적용함에 있어서 그 조적재가 돌이거나, 돌과 벽돌 또는 블록 등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내력벽의 두께는 제2항의 두께에 10분의 2를 가산한 두께 이상으로 하되, 당해 벽높이의 15분의 1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
View
Modify
Delete
|
17
|
10870
|
133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
32
|
내력벽의 두께
|
4
|
|
|
④조적식구조인 내력벽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바닥면적이 60제곱미터를 넘는 경우에는 그 내력벽의 두께는 각각 다음 표의 두께 이상으로 하되, 조적식구조의 재료별 내력벽 두께에 관하여는 제2항 및 제3항의 규정을 준용한다.
|
View
Modify
Delete
|
18
|
10872
|
133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
32
|
내력벽의 두께
|
5
|
|
|
⑤토압을 받는 내력벽은 조적식구조로 하여서는 아니된다. 다만, 토압을 받는 부분의 높이가 2.5미터를 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조적식구조인 벽돌구조로 할 수 있다.
|
View
Modify
Delete
|
19
|
10873
|
133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
32
|
내력벽의 두께
|
6
|
|
|
⑥제5항 단서의 경우 토압을 받는 부분의 높이가 1.2미터 이상인 때에는 그 내력벽의 두께는 그 바로 윗층의 벽의 두께에 100밀리미터를 가산한 두께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
View
Modify
Delete
|
20
|
10874
KBimCode
|
133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
32
|
내력벽의 두께
|
7
|
|
|
⑦조적식구조인 내력벽을 이중벽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1항 내지 제6항의 규정은 당해 이중벽중 하나의 내력벽에 대하여 적용한다. 다만, 건축물의 최상층(1층인 건축물의 경우에는 1층을 말한다)에 위치하고 그 높이가 3미터를 넘지 아니하는 이중벽인 내력벽으로서 그 각벽 상호간에 가로·세로 각각 400밀리미터 이내의 간격으로 보강한 내력벽에 있어서는 그 각벽의 두께의 합계를 당해 내력벽의 두께로 본다.
|
View
Modify
Delete
|
21
|
10875
KBimCode
|
133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
33
|
칸막이벽 등의 두께
|
1
|
|
|
제33조(칸막이벽 등의 두께) ①조적식구조인 칸막이벽(내력벽이 아닌 그 밖의 벽을 포함한다. 이하 이 절에서 같다)의 두께는 90밀리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
View
Modify
Delete
|
22
|
10878
KBimCode
|
133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
34
|
테두리보
|
|
|
|
제34조(테두리보) 건축물의 각층의 조적식구조인 내력벽 위에는 그 춤이 벽두께의 1.5배 이상인 철골구조 또는 철근콘크리트구조의 테두리보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1층인 건축물로서 벽두께가 벽의 높이의 16분의 1이상이거나 벽길이가 5미터 이하인 경우에는 목조의 테두리보를 설치할 수 있다.
|
View
Modify
Delete
|
23
|
10896
KBimCode
|
133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
42
|
기초
|
|
|
|
제42조(기초) 보강블록구조인 내력벽의 기초(최하층 바닥면 이하의 부분을 말한다)는 연속기초로 하되 그 중 기초판 부분은 철근콘크리트구조로 하여야 한다.
|
View
Modify
Delete
|
24
|
10897
KBimCode
|
133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
43
|
내력벽
|
1
|
|
|
제43조(내력벽) ①건축물의 각층에 있어서 건축물의 길이방향 또는 너비방향의 보강블록구조인 내력벽의 길이(대린벽의 경우에는 그 접합된 부분의 각 중심을 이은 선의 길이를 말한다. 이하 이 절에서 같다)는 각각 그 방향의 내력벽의 길이의 합계가 그 층의 바닥면적 1제곱미터에 대하여 0.15미터 이상이 되도록 하되, 그 내력벽으로 둘러쌓인 부분의 바닥면적은 80제곱미터를 넘을 수 없다.
|
View
Modify
Delete
|
25
|
10898
KBimCode
|
133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
43
|
내력벽
|
2
|
|
|
②보강블록구조인 내력벽의 두께(마감재료의 두께를 포함하지 아니한다. 이하 이절에서 같다)는 150밀리미터 이상으로 하되, 그 내력벽의 구조내력에 주요한 지점간의 수평거리의 50분의 1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
View
Modify
Delete
|
26
|
10899
KBimCode
|
133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
43
|
내력벽
|
3
|
|
|
③보강블록구조의 내력벽은 그 끝부분과 벽의 모서리부분에 12밀리미터 이상의 철근을 세로로 배치하고, 9밀리미터 이상의 철근을 가로 또는 세로 각각 800밀리미터 이내의 간격으로 배치하여야 한다.
|
View
Modify
Delete
|
27
|
10901
KBimCode
|
133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
44
|
테두리보
|
|
|
|
제44조(테두리보) 보강블록구조인 내력벽의 각층의 벽 위에는 춤이 벽두께의 1.5배 이상인 철근콘크리트구조의 테두리보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최상층의 벽으로서 그 벽위에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옥상바닥판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View
Modify
Delete
|
28
|
10926
KBimCode
|
133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
54
|
내력벽의 구조
|
|
|
|
제54조(내력벽의 구조) 구조부재인 콘크리트벽체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2009.12.31.>
|
View
Modify
Delete
|
29
|
10927
KBimCode
|
133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
54
|
내력벽의 구조
|
|
1
|
|
1. 내력벽의 최소두께는 벽의 최상단에서 4.5미터까지는 150밀리미터 이상이어야 하며, 각 3미터 내려감에 따라 10밀리미터씩의 비율로 증가시켜야 한다. 다만, 두께가 120밀리미터 이상의 경우로서 구조계산에 의하여 안전하다고 확인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View
Modify
Delete
|
30
|
10928
KBimCode
|
133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
54
|
내력벽의 구조
|
|
2
|
|
2. 내력벽의 배근은 9밀리미터 이상의 것을 450밀리미터 이하의 간격으로 하고, 벽두께의 3배 이하이어야 한다. 이 경우 벽의 두께가 200밀리미터 이상일 때에는 벽 양면에 복근으로 하여야 한다.
|
View
Modify
Delete
|
31
|
11877
|
3143
|
주택법 시행령
|
47
|
행위허가 등의 기준 등
|
2
|
2
|
|
2. 공동주택의 재축 및 비내력벽의 철거(입주자 공유가 아닌 복리시설의 비내력벽의 철거는 제외한다)
|
View
Modify
Dele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