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내력벽의 최소두께는 벽의 최상단에서 4.5미터까지는 150밀리미터 이상이어야 하며, 각 3미터 내려감에 따라 10밀리미터씩의 비율로 증가시켜야 한다. 다만, 두께가 120밀리미터 이상의 경우로서 구조계산에 의하여 안전하다고 확인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54조 (내력벽의 구조) 1호
Check(RSSB_54_0_1){
IF !CS THEN KS
}
Wall myWall{
isObjectProperty(Wall.isLoadBearingWall)=True
}
CS{
getWallThickness(myWall)>=120 mmm
}
KS{
H1=getObjectHeight(myWall)
H2= H1-4.5 m
getWallThickness(myWall,H2,H1)>=150 mm
H3=getFloorElevationHeight(myWall.Floor)
getWallThickness(myWall,H3,H2,3 m, a)>=150+10*a
}
① 주요구조부(바닥·지붕틀 및 주계단은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가 목구조인 건축물은 지붕높이 18미터 이하, 처마높이 15미터 이하 및 연면적 3,000제곱미터 이하로 하여야 한다. 다만, 스프링클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연면적을 6,000제곱미터까지 허용할 수 있다.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연면적 1만제곱미터 이상의 건축물을 건축하려는 자는 빗물 등의 유입으로 건축물이 침수되지 아니하도록 해당 건축물의 지하층 및 1층의 출입구(주차장의 출입구를 포함한다)에 차수판(遮水板) 등 해당 건축물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는 설비(이하 "차수설비"라 한다)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법 제5조제1항에 따른 허가권자가 침수의 우려가 없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7조의2 (차수설비) 1항
Check(RFB_17-2_1){
IF CS THEN KS
}
CS{
getResult(RFB_17-2_1_1) = TRUE
OR getResult(RFB_17-2_1_2) = TRUE
getGrossFloorArea() >= 10000m2
}
KS{
Floor myFloor{
getObjectProperty(Floor.number) <0
}
hasSpace(myFloor,WaterCutoffSystem) = TRUE
}
제5조(승용승강기의 설치기준) 「건축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64조제1항에 따라 건축물에 설치하는 승용승강기의 설치기준은 별표 1의2와 같다. 다만, 승용승강기가 설치되어 있는 건축물에 1개층을 증축하는 경우에는 승용승강기의 승강로를 연장하여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개정 2001.1.17, 2006.2.13, 2008.7.10, 2015.7.9>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5조 (승용승강기의 설치기준)
Check(RFB_5){
IF !(CS) THEN KS1
}
CS{
getObjectProperty(Elevator.usage) = "PassengerElevator"
isExist(Elevator) = TRUE
}
KS1{
getResult(RFB_*_1-2) = TRUE
}
2. 배연창의 유효면적은 별표 2의 산정기준에 의하여 산정된 면적이 1제곱미터 이상으로서 그 면적의 합계가 당해 건축물의 바닥면적(영 제46조제1항 또는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방화구획이 설치된 경우에는 그 구획된 부분의 바닥면적을 말한다)의 100분의 1이상일 것. 이 경우 바닥면적의 산정에 있어서 거실바닥면적의 20분의 1 이상으로 환기창을 설치한 거실의 면적은 이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4조 (배연설비) 1항 2호
Check(RFB_14_1_2){
IF (CS) THEN (KS1 OR KS2)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FirePartition) = TRUE
}
Space mySpace{
getSpaceUsage(Space) = "Room"
getTotalElementArea(Ventilator) >= getFloorArea(Space)*0.05
}
Space mySpace2{
hasSpace(Space, myZone) = TRUE
getResult(EDBA_46_1) = TRUE
getREsult(EDBA_46_3) = TRUE
}
CS{
getElementArea(SmokeVentilator) >= 1 m2
getResult(RFB_*_2) = TRUE
}
KS1{
getTotalElementArea(Ventilator) >= (getBuildingArea()-getFloorArea(mySpace))*0.01
}
KS2{
getTotalElementArea(Ventilator) >= (getFloorArea(myZone)-getFloorArea(mySpace))*0.01
}
제14조의2(복합건축물의 피난시설 등) 영 제47조제1항 단서의 규정에 의하여 같은 건축물안에 공동주택ㆍ의료시설ㆍ아동관련시설 또는 노인복지시설(이하 이 조에서 "공동주택등"이라 한다)중 하나 이상과 위락시설ㆍ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ㆍ공장 또는 자동차정비공장(이하 이 조에서 "위락시설등"이라 한다)중 하나 이상을 함께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2005.7.22.>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의2 (복합건축물의 피난시설 등)
Check(REFB_14-2){
IF CS THEN KS
}
CS{
Building myBuilding1{
Building.usage = "MultiUnitHouse"
OR Building.usage = "MedicalFacility"
OR Building.usage = "ChildrenRelatedFacility"
OR Building.usage = "WelfareFacilityForTheAged"
}
Building myBuilding2{
Building.usage = "AmusementFacility"
OR Building.usage = "FacilityForStorageAndTreatmentOfDangerousSubstance"
OR Building.usage = "Factory"
OR Building.usage = "AutomobileRepairShop"
}
hasObject(Building, myBuilding1) = TRUE
hasObject(Building, myBuilding2) = TRUE
}
KS{
getResult(REFB_14-2_0_1)=True
getResult(REFB_14-2_0_2)=True
getResult(REFB_14-2_0_3)=True
getResult(REFB_14-2_0_4)=True
getResult(REFB_14-2_0_5)=True
}
1. 공동주택등의 출입구와 위락시설등의 출입구는 서로 그 보행거리가 30미터 이상이 되도록 설치할 것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의2 (복합건축물의 피난시설 등) 1호
Check(REFB_14-2_0_1){
KS
}
KS{
Space mySpace{
Space.usage="MultiUnitHouse"
OR Space.usage="MedicalFacility"
OR Space.usage="ChildrenRelatedFacility"
OR Space.usage="WelfareFacilityForTheAged"
}
Space mySpace2{
Space.usage="AmusementFacility"
OR Space.usage="FacilityForStorageAndTreatmentOfDangerousSubstance"
OR Space.usage="Factory"
OR Space.usage="AutomobileRepairShop"
}
getSpaceDiatance(mySpace.Door, mySpace2.Door)>=30 m
}
2. 공동주택등(당해 공동주택등에 출입하는 통로를 포함한다)과 위락시설등(당해 위락시설등에 출입하는 통로를 포함한다)은 내화구조로 된 바닥 및 벽으로 구획하여 서로 차단할 것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의 2 (복합건축물의 피난시설 등) 2호
Check(REFB_14-2_0_2){
KS
}
KS{
Space mySpace{
Space.usage="MultiUnitHouse"
OR Space.usage="MedicalFacility"
OR Space.usage="ChildrenRelatedFacility"
OR Space.usage="WelfareFacilityForTheAged"
}
Space mySpace2{
Space.usage="AmusementFacility"
OR Space.usage="FacilityForStorageAndTreatmentOfDangerousSubstance"
OR Space.usage="Factory"
OR Space.usage="AutomobileRepairShop"
}
Passage myPassage{
isAccessible(Passage, mySpace)=True
OR isAccessible(Passage, mySpace2)=True
}
isFirePartition(mySpace)=True
isFirePartition(mySpace2)=True
isFirePartition(myPassage)=True
}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의2 (복합건축물의 피난시설 등) 3호
Check(REFB_14-2_0_3){
KS
}
KS{
Space mySpace{
Space.usage="MultiUnitHouse"
OR Space.usage="MedicalFacility"
OR Space.usage="ChildrenRelatedFacility"
OR Space.usage="WelfareFacilityForTheAged"
}
Space mySpace2{
Space.usage="AmusementFacility"
OR Space.usage="FacilityForStorageAndTreatmentOfDangerousSubstance"
OR Space.usage="Factory"
OR Space.usage="AutomobileRepairShop"
}
isAdjacent(mySpace, mySpace2)=False
}
5. 거실의 벽 및 반자가 실내에 면하는 부분(반자돌림대ㆍ창대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을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의 마감은 불연재료ㆍ준불연재료 또는 난연재료로 하고, 그 거실로부터 지상으로 통하는 주된 복도ㆍ계단 그밖에 통로의 벽 및 반자가 실내에 면하는 부분의 마감은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로 할 것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의2 (복합건축물의 피난시설 등) 5호
Check(REFB_14-2_0_5){
KS
}
KS{
Object myObject{
getObject(Room.wall)
getObject(Room.CeilingCovering)
}
Corridor myCorridor{
isGoThrough(Room, Corridor, Ground )=True
}
Stair myStair{
isGoThrough(Room,Stair, Ground )=True
}
Passage myPassage{
isGoThrough(Room,Passage, Ground )=True
}
Space mySpace{
Space.usage==myCorridor.usage
OR Space.usage==myStair.usage
OR Space.usage=myPassage.usage
}
Object myObject2{
getObject(mySpace.wall)
getObject(mySpace.CeilingCovering)
}
( isObjectProperty(myObject.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OR isObjectProperty(myObject.InteriorFinish.Material.quasiNonCombustibility)=True
OR isObjectProperty(myObject.InteriorFinish.Material.flameResistance)= True
)
isObjectProperty(myObject2.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OR isObjectProperty(myObject2.InteriorFinish.Material.quasiNonCombustibility)=True
}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8조의2 (직통계단의 설치기준) 3항2호
check(REFB_8-2_3_2){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EgressSafetyZone)=TRUE
}
isObjectProperty(myZone.InteriorFinish.nonCombustibility)=TRUE
}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8조의2 (직통계단의 설치기준) 3항4호
check(REFB_8-2_3_4){
Elevator myElevator{
isObjectProperty(Elevator.isEmergency)=TRUE
}
isDirectlyAccessible(myZone, myElevator)=TRUE
}
①영 제35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의 5층 이상 또는 지하 2층 이하의 층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지하 1층인 건축물의 경우에는 5층 이상의 층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과 직접 연결된 지하 1층의 계단을 포함한다)은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1항
Check(REFB_9_1){
IF (CS1) THEN KS1 ELSE IF (CS2) THEN KS2
CS1{
Floor myFloor1 {
Floor.number > 5
OR Floor.number <= -2
}
Stair myStair1 {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
Floor myFloor2 {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TRUE
}
isGoThrough(myFloor1, myStair1, myFloor2)= TRUE
OR isGoThrough(myFloor1, myStair1, Ground) = TRUE
}
CS2{
Floor myFloor3 {
Floor.number >= 5
}
Stair myStair3 {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isGoThrough(myFloor3, myFloor2, Stair) = TRUE
OR isGoThrough(myFloor3, Ground, Stair) = TRUE)
}
Stair myStair2 {
Stair.Floor.number = -1
}
isDirectlyAccessible(myStair2, myStair3)=TRUE
KS1 {
(isObjectProperty(myStair1.isEscape) = TRUE
OR isObjectProperty(myStair1.isSpecialEscape) = TRUE)
}
KS2{
(isObjectProperty(myStair2.isEscape) = TRUE
OR isObjectProperty(myStair2.isSpecialEscape) = TRUE)
(isObjectProperty(myStair3.isEscape) = TRUE
OR isObjectProperty(myStair3.isSpecialEscape) = TRUE)
}
마. 계단실·노대 또는 부속실에 설치하는 건축물의 바깥쪽에 접하는 창문등(망이 들어 있는 유리의 붙박이창으로서 그 면적이 각각 1제곱미터이하인 것을 제외한다)은 계단실·노대 또는 부속실외의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에 설치하는 창문등으로부터 2미터 이상의 거리를 두고 설치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5조의2 (복도의 너비 및 설치기준) 2항1호
check(REFB_15-2_2_1){
KS
}
KS{
IF getTotalFloorArea(Corridor.Floor.Space)<500 m2
THEN getObjectProperty(Corridor.effectiveWidth)>=1.5 m
END IF
}
corridor_code = '33105'
std_floor_area = 200
corridor_code_label = '복도 공간분류코드'
std_floor_area_label = '기준 연면적'
def Check():
for building in SELECT('building'):
if building.SELECT('prop', '연면적').NUMBER() <= std_floor_area:
continue
bldg_use = building.SELECT('building type').STRING()
sub_use = building.SELECT('prop', '세부용도').STRING()
if not ((bldg_use == '문화 및 집회시설' and sub_use in ['공연장' ,'집회장', '관람장', '전시장'])
or (bldg_use == '종교시설' and sub_use == '종교집회장')
or (bldg_use == '노유자시설' and sub_use in ['아동관련시설' ,'노인복지시설'])
or (bldg_use == '수련시설' and sub_use == '생활권수련시설')
or (bldg_use == '위락시설' and sub_use == '유흥주점')
or (bldg_use == '장례시설' and sub_use == '장례식장')):
continue
for storey in building.SELECT('storey'):
area = 0.0
corridors = []
for space in storey.SELECT('space'):
if space.SELECT('class code').STRING() == corridor_code:
corridors.append(space)
area += space.SELECT('area').UNIT('m2').NUMBER()
min_cor_w = 1.8
if area < 500:
min_cor_w = 1.5
elif area >= 1000:
min_cor_w = 2.4
for space in corridors:
width = space.SELECT('min clear width').UNIT('m')
w = width.NUMBER()
if w < min_cor_w:
width.ERROR('유효너비: ' + str(w) + ' < ' + str(min_cor_w))
else:
width.SUCCESS('유효너비: ' + str(w) + ' >= ' + str(min_cor_w))
2. 당해 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제곱미터 이상 1천제곱미터 미만인 경우 1.8미터 이상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5조의2 (복도의 너비 및 설치기준) 2항2호
check(REFB_15-2_2_2){
KS
}
KS{
IF getTotalFloorArea(Corridor.Floor.Space)>=500 m2
getTotalFloorArea(Corridor.Floor.Space)<1000 m2
THEN getObjectProperty(Corridor.effectiveWidth)>=1.8 m
END IF
}
corridor_code = '33105'
std_floor_area = 200
corridor_code_label = '복도 공간분류코드'
std_floor_area_label = '기준 연면적'
def Check():
for building in SELECT('building'):
if building.SELECT('prop', '연면적').NUMBER() <= std_floor_area:
continue
bldg_use = building.SELECT('building type').STRING()
sub_use = building.SELECT('prop', '세부용도').STRING()
if not ((bldg_use == '문화 및 집회시설' and sub_use in ['공연장' ,'집회장', '관람장', '전시장'])
or (bldg_use == '종교시설' and sub_use == '종교집회장')
or (bldg_use == '노유자시설' and sub_use in ['아동관련시설' ,'노인복지시설'])
or (bldg_use == '수련시설' and sub_use == '생활권수련시설')
or (bldg_use == '위락시설' and sub_use == '유흥주점')
or (bldg_use == '장례시설' and sub_use == '장례식장')):
continue
for storey in building.SELECT('storey'):
area = 0.0
corridors = []
for space in storey.SELECT('space'):
if space.SELECT('class code').STRING() == corridor_code:
corridors.append(space)
area += space.SELECT('area').UNIT('m2').NUMBER()
min_cor_w = 1.8
if area < 500:
min_cor_w = 1.5
elif area >= 1000:
min_cor_w = 2.4
for space in corridors:
width = space.SELECT('min clear width').UNIT('m')
w = width.NUMBER()
if w < min_cor_w:
width.ERROR('유효너비: ' + str(w) + ' < ' + str(min_cor_w))
else:
width.SUCCESS('유효너비: ' + str(w) + ' >= ' + str(min_cor_w))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5조의2 (복도의 너비 및 설치기준) 2항3호
Check(REFB_15-2_2_3){
KS
}
KS{
IF getTotalFloorArea(Corridor.Floor.Space)>=1000 m2
THEN getObjectProperty(Corridor.effectiveWidth)>=2.4 m
END IF
}
corridor_code = '33105'
std_floor_area = 200
corridor_code_label = '복도 공간분류코드'
std_floor_area_label = '기준 연면적'
def Check():
for building in SELECT('building'):
if building.SELECT('prop', '연면적').NUMBER() <= std_floor_area:
continue
bldg_use = building.SELECT('building type').STRING()
sub_use = building.SELECT('prop', '세부용도').STRING()
if not ((bldg_use == '문화 및 집회시설' and sub_use in ['공연장' ,'집회장', '관람장', '전시장'])
or (bldg_use == '종교시설' and sub_use == '종교집회장')
or (bldg_use == '노유자시설' and sub_use in ['아동관련시설' ,'노인복지시설'])
or (bldg_use == '수련시설' and sub_use == '생활권수련시설')
or (bldg_use == '위락시설' and sub_use == '유흥주점')
or (bldg_use == '장례시설' and sub_use == '장례식장')):
continue
for storey in building.SELECT('storey'):
area = 0.0
corridors = []
for space in storey.SELECT('space'):
if space.SELECT('class code').STRING() == corridor_code:
corridors.append(space)
area += space.SELECT('area').UNIT('m2').NUMBER()
min_cor_w = 1.8
if area < 500:
min_cor_w = 1.5
elif area >= 1000:
min_cor_w = 2.4
for space in corridors:
width = space.SELECT('min clear width').UNIT('m')
w = width.NUMBER()
if w < min_cor_w:
width.ERROR('유효너비: ' + str(w) + ' < ' + str(min_cor_w))
else:
width.SUCCESS('유효너비: ' + str(w) + ' >= ' + str(min_cor_w))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5조의2 (복도의 너비 및 설치기준) 3항
Check(REFB_15-2_3){
IF CS THEN KS
}
CS{
getSpaceUsage(Space)="CulturalAndAssemblyFacility.PerformanceHall"
isExist(Corridor)=TRUE
}
KS{
getResult(REFB_15-2_3_1) = TRUE
getResult(REFB_15-2_3_2) = TRUE
}
corridor_code = '33105'
theater_code = '00000'
std_floor_area = 200
corridor_code_label = '복도 공간분류코드'
theater_code_label = '관람석 공간분류코드'
std_floor_area_label = '기준 연면적'
def Check():
for building in SELECT('building'):
if building.SELECT('prop', '연면적').NUMBER() <= std_floor_area:
continue
bldg_use = building.SELECT('building type').STRING()
sub_use = building.SELECT('prop', '세부용도').STRING()
if not (bldg_use == '문화 및 집회시설' and sub_use == '공연장'):
continue
for storey in building.SELECT('storey'):
for space in storey.SELECT('space'):
if space.SELECT('class code').STRING() != theater_code:
continue
area = space.SELECT('area').UNIT('m2').NUMBER()
side_corridors = []
fb_corridors = []
for s in space.SELECT('side space'):
if s.SELECT('class code').STRING() == corridor_code:
side_corridors.append(s)
for s in space.SELECT('front back space'):
if s.SELECT('class code').STRING() == corridor_code:
fb_corridors.append(s)
if area >= 300:
if len(side_corridors) + len(fb_corridors) < 3:
space.ERROR('관람석의 양쪽과 뒤쪽 중 복도가 존재하지 않는 곳이 있습니다.')
else:
space.SUCCESS('관람석의 양쪽과 뒤쪽에 복도가 존재합니다.')
else:
if len(side_corridors) == 2 or len(fb_corridors) == 2:
space.SUCCESS('관람석의 앞뒤쪽에 복도가 존재합니다.')
else:
space.ERROR('관람석의 앞뒤쪽 중 복도가 존재하지 않는 곳이 있습니다.')
1. 공연장의 개별 관람석(바닥면적이 300제곱미터 이상인 경우에 한한다)의 바깥쪽에는 그 양쪽 및 뒤쪽에 각각 복도를 설치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5조의2 (복도의 너비 및 설치기준) 3항1호
Check(REFB_15-2_3_1){
IF CS THEN KS
}
CS{
Space mySpace{
getSpaceUsage(Space)="IndividualAuditorium"
}
getFloorArea(mySpace)>300 m2
}
KS{
}
corridor_code = '33105'
theater_code = '00000'
std_floor_area = 200
corridor_code_label = '복도 공간분류코드'
theater_code_label = '관람석 공간분류코드'
std_floor_area_label = '기준 연면적'
def Check():
for building in SELECT('building'):
if building.SELECT('prop', '연면적').NUMBER() <= std_floor_area:
continue
bldg_use = building.SELECT('building type').STRING()
sub_use = building.SELECT('prop', '세부용도').STRING()
if not (bldg_use == '문화 및 집회시설' and sub_use == '공연장'):
continue
for storey in building.SELECT('storey'):
for space in storey.SELECT('space'):
if space.SELECT('class code').STRING() != theater_code:
continue
area = space.SELECT('area').UNIT('m2').NUMBER()
side_corridors = []
fb_corridors = []
for s in space.SELECT('side space'):
if s.SELECT('class code').STRING() == corridor_code:
side_corridors.append(s)
for s in space.SELECT('front back space'):
if s.SELECT('class code').STRING() == corridor_code:
fb_corridors.append(s)
if area >= 300:
if len(side_corridors) + len(fb_corridors) < 3:
space.ERROR('관람석의 양쪽과 뒤쪽 중 복도가 존재하지 않는 곳이 있습니다.')
else:
space.SUCCESS('관람석의 양쪽과 뒤쪽에 복도가 존재합니다.')
else:
if len(side_corridors) == 2 or len(fb_corridors) == 2:
space.SUCCESS('관람석의 앞뒤쪽에 복도가 존재합니다.')
else:
space.ERROR('관람석의 앞뒤쪽 중 복도가 존재하지 않는 곳이 있습니다.')
2. 하나의 층에 개별 관람석(바닥면적이 300제곱미터 미만인 경우에 한한다)을 2개소 이상 연속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관람석의 바깥쪽의 앞쪽과 뒤쪽에 각각 복도를 설치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5조의2 (복도의 너비 및 설치기준) 3항2호
Check(REFB_15-2_3_2){
IF CS THEN KS
}
CS{
Space mySpace{
getSpaceUsage(Space)="IndividualAuditorium"
}
getFloorArea(mySpace)>300 m2
getObjectCount(Floor.One.mySpace)>=2
}
KS{
}
corridor_code = '33105'
theater_code = '00000'
std_floor_area = 200
corridor_code_label = '복도 공간분류코드'
theater_code_label = '관람석 공간분류코드'
std_floor_area_label = '기준 연면적'
def Check():
for building in SELECT('building'):
if building.SELECT('prop', '연면적').NUMBER() <= std_floor_area:
continue
bldg_use = building.SELECT('building type').STRING()
sub_use = building.SELECT('prop', '세부용도').STRING()
if not (bldg_use == '문화 및 집회시설' and sub_use == '공연장'):
continue
for storey in building.SELECT('storey'):
for space in storey.SELECT('space'):
if space.SELECT('class code').STRING() != theater_code:
continue
area = space.SELECT('area').UNIT('m2').NUMBER()
side_corridors = []
fb_corridors = []
for s in space.SELECT('side space'):
if s.SELECT('class code').STRING() == corridor_code:
side_corridors.append(s)
for s in space.SELECT('front back space'):
if s.SELECT('class code').STRING() == corridor_code:
fb_corridors.append(s)
if area >= 300:
if len(side_corridors) + len(fb_corridors) < 3:
space.ERROR('관람석의 양쪽과 뒤쪽 중 복도가 존재하지 않는 곳이 있습니다.')
else:
space.SUCCESS('관람석의 양쪽과 뒤쪽에 복도가 존재합니다.')
else:
if len(side_corridors) == 2 or len(fb_corridors) == 2:
space.SUCCESS('관람석의 앞뒤쪽에 복도가 존재합니다.')
else:
space.ERROR('관람석의 앞뒤쪽 중 복도가 존재하지 않는 곳이 있습니다.')
1의2. 제2종근린생활시설 중 공연장·단란주점·당구장·노래연습장, 문화 및 집회시설중 예식장·공연장, 수련시설 중 생활권수련시설·자연권수련시설, 숙박시설중 여관·여인숙, 위락시설중 단란주점·유흥주점 또는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2조에 따른 다중이용업의 용도에 쓰이는 층으로서 그 층의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50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에는 직통계단을 2개소 이상 설치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1항 1의2호
check(REFB_25_1_1-2){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PerformanceHall"
OR getBuildingUsag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Pubs"
OR getBuildingUsag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BilliardRoom"
OR getBuildingUsage() = "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Karaoke"
OR getBuildingUsage() = "CulturalAndAssemblyFacility.WeddingHall"
OR getBuildingUsage() = "CulturalAndAssemblyFacility.PerformanceHall"
OR getBuildingUsage() = "TrainingFacility.TrainingFacilityInLivingZone"
OR getBuildingUsage() = "TrainingFacility.??LivingZone"
OR getBuildingUsage() = "LodgingFacility.Inn"
OR getBuildingUsage() = "AmusementFacility.Pubs"
OR getBuildingUsage() = "AmusementFacility.Tavern"
OR getResult(ERSASP_2) = TRUE)
getTotalFloorArea(Room) >= 50 m2
}
KS{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
getObjectCount(myStair) >= 2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4조의2
Check(REFB_24-2_3_2){
KS
}
KS{
getResult(REFB_24-2_3_2_가)= True
OR getResult(REFB_24-2_3_2_나)= True
OR getResult(REFB_24-2_3_2_다)= True
}
①법 제53조에 따라 건축물에 설치하는 지하층의 구조 및 설비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2003.1.6, 2005.7.22, 2006.6.29, 2010.4.7, 2010.12.3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5조 (지하층의 구조) 1항
check(REFB_25_1){
KS
}
KS{
getResult(REFB_25_1_1) = TRUE
AND getResult(REFB_25_1_1-2) = TRUE
AND getResult(REFB_25_1_2) = TRUE
AND getResult(REFB_25_1_3) = TRUE
AND getResult(REFB_25_1_4) = TRUE
}
① 영 제34조제3항 및 제4항에 따라 설치하는 피난안전구역(이하 "피난안전구역"이라 한다)은 해당 건축물의 1개층을 대피공간으로 하며, 대피에 장애가 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기계실, 보일러실, 전기실 등 건축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과 같은 층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피난안전구역은 건축설비가 설치되는 공간과 내화구조로 구획하여야 한다. <개정 2012.1.6>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8조의2 (피난안전구역의 설치기준) 1항
check(REFB_8-2_1){
KS1 AND IF CS THEN KS2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EgressSafetyZone) = TRUE
}
Space mySpace{
hasSpace(Space, FacilitiesOfABuilding)
}
Structure myStructure{
isObjectProperty(Space.isfireResistantStructure) = TRUE
}
KS1{
BSC = getBuildingStoriesCount()
getFloorNumber(myZone) <= BSC
}
CS{
getFloorNumber(mySpace) = getFloorNumber(myZone)
}
KS2{
isPartitioned(myZone, myStructure, mySpace) = TRUE
}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8조의2 (직통계단의 설치기준) 3항8호
check(REFB_8-2_3_8){
Zone myZone {
geObjectProperty(Zone.isEgressSafetyZone) = TRUE
}
getSpaceHeight(myZone)>=2.1 m
}
①영 제51조에 따라 채광을 위하여 거실에 설치하는 창문등의 면적은 그 거실의 바닥면적의 10분의 1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거실의 용도에 따라 별표 1의3에 따라 조도 이상의 조명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00.6.3, 2010.4.7, 2012.1.6>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7조 (채광 및 환기를 위한 창문등) 1항
check(REFB_17_1){
IF (getResult(REFB_*_1-3) = FALSE) THEN KS
}
KS{
Window myWindow{
hasElement(Room, myWindow) = TRUE
}
getElementArea(myWindow) >= getFloorArea(Room)*0.1
}
①영 제61조제1항제4호가목 및 제2항제1호나목에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화재위험이 적은 공장"이란 각각 별표 3의 업종에 해당하는 공장을 말한다. 다만, 공장의 일부 또는 전체를 기숙사 및 구내식당의 용도로 사용하는 건축물을 제외한다. <개정 2008.3.14, 2010.12.30, 2012.1.6, 2013.3.23>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4조의2 (소규모 공장용도 건축물의 마감재료) 1항
check(REFB_24-2_1){
KS
}
KS{
getResult(REFB_*_3) = TRUE
(getBuildingUsage() != "Dormitory"
OR getBuildingUsage() != "Cafeteria"
OR getSpaceUsage() != "Dormitory"
OR getSpaceUsage() != "Cafeteria")
}
②영 제61조제1항제4호나목에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출구"란 건축물의 내부의 각 부분으로부터 출구(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출구를 말한다)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30미터 이하가 되도록 설치된 유효너비 1.5미터 이상의 출구를 말한다. <개정 2008.3.14, 2010.12.30, 2013.3.23>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4조의2 (소규모 공장용도 건축물의 마감재료) 2항
check(REFB_24-2_2){
KS
}
KS{
Door myDoor{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
getObjectDistance(Building.IndoorElement, Door) <= 30
isObjectProperty(Door.effectiveWidth) >= 1.5m
}
③영 제61조제1항제4호다목에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성능을 구비한 복합자재"란 자재의 철판과 심재(心材)가 「산업표준화법」에 따른 한국산업규격이 정하는 바에 따라 다음 각 호의 품질기준을 갖춘 경우를 말한다. <개정 2006.6.29, 2008.3.14, 2010.12.30, 2013.3.2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24조의2 (소규모 공장용도 건축물의 마감재료) 3항
Check(REFB_24-2_3){
KS
}
KS{
getResult(REFB_24-2_3_2)=True
}
①영 제48조의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에 설치하는 복도의 유효너비는 다음 표와 같이 하여야 한다
┌───────────────┬────────────┬──────┐
│구분 │양옆에 거실이 있는 복도 │기타의 복도 │
├───────────────┼────────────┼──────┤
│유치원ㆍ초등학교 │2.4미터 이상 │1.8미터 이상│
│중학교ㆍ고등학교 │ │ │
├───────────────┼────────────┼──────┤
│공동주택ㆍ오피스텔 │1.8미터 이상 │1.2미터 이상│
├───────────────┼────────────┼──────┤
│당해 층 거실의 바닥면적 │1.5미터 이상(의료시설의 │1.2미터 이상│
│합계가 200제곱미터 이상인 경우│복도 1.8미터 이상) │ │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5조의2 (복도의 너비 및 설치기준) 1항
Check(EDBA_15-2_1){
IF getBuildingUsage()="Kindergarten"
OR getBuildingUsage()="ElementarySchool"
OR getBuildingUsage()="MiddleSchool"
OR getBuildingUsage()="HightSchool"
THEN IF isExternal(Corridor)=FALSE
THEN getObjectProperty(Corridor.effectiveWidth)>2.4 m
ELSE THEN getObjectProperty(Corridor.effectiveWidth)>1.8 m
END IF
END IF
IF getBuildingUsage()="MultiUnitHouse"
OR getBuildingUsage()="Officetel"
THEN IF isExternal(Corridor)=FALSE
THEN getObjectProperty(Corridor.effectiveWidth)>1.8 m
ELSE THEN getObjectProperty(Corridor.effectiveWidth)>1.2 m
END IF
END IF
IF getTotalFloorArea(Corridor.Floor.Room)>200 m2
THEN IF isExternal(Corridor)=FALSE
THEN IF getBuildingUsage()="MedicalFacilities"
THEN getObjectProperty(Corridor.effectiveWidth)>1.8 m
ELSE THEN getObjectProperty(Corridor.effectiveWidth)>1.5 m
END IF
ELSE THEN getObjectProperty(Corridor.effectiveWidth)>1.2 m
END IF
END IF
}
②문화 및 집회시설(공연장ㆍ집회장ㆍ관람장ㆍ전시장에 한한다), 종교시설 중 종교집회장, 노유자시설 중 아동 관련 시설ㆍ노인복지시설, 수련시설 중 생활권수련시설, 위락시설 중 유흥주점 및 장례식장의 관람석 또는 집회실과 접하는 복도의 유효너비는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너비로 하여야 한다. <개정 2010.4.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5조의2 (복도의 너비 및 설치기준) 2항
check(REFB_15-2_2){
IF CS THEN KS
}
CS{
Space mySpace{
getSpaceUsage(Space) = “AssemblyHall”
OR getSpaceUsage(Space) = “PerformanceHall”
}
Corridor myCorridor{
isAdjacent(mySpace,Corridor) = TRUE
}
(getBuildingUsage()="CulturalAndAssemblyFacility.PerformanceHall"
OR getBuildingUsage()="CulturalAndAssemblyFacility.AssemblyHall"
OR getBuildingUsage()="CulturalAndAssemblyFacility.Auditorium"
OR getBuildingUsage()="CulturalAndAssemblyFacility.ExhibitionHall"
OR getBuildingUsage()="ReligiousFacility.ReligiousAssemblyFacility"
OR getBuildingUsage()="FacilitiesForTheAgedAndChildren.ChildrenRelatedFacility"
OR getBuildingUsage()="FacilitiesForTheAgedAndChildren.WelfareFacilityForTheAged"
OR getBuildingUsage()="Trainingfacility.TrainingFacilitiesInLiving "
OR getBuildingUsage()="AmusementFacility.tavern"
OR getBuildingUsage()="AmusementFacility.FuneralParlors" )
isExist(myCorridor)=TRUE
}
KS{
getResult(REFB_15-2_2_1)=TRUE
getResult(REFB_15-2_2_2)=TRUE
getResult(REFB_15-2_2_3)=TRUE
}
corridor_code = '33105'
std_floor_area = 200
corridor_code_label = '복도 공간분류코드'
std_floor_area_label = '기준 연면적'
def Check():
for building in SELECT('building'):
if building.SELECT('prop', '연면적').NUMBER() <= std_floor_area:
continue
bldg_use = building.SELECT('building type').STRING()
sub_use = building.SELECT('prop', '세부용도').STRING()
if not ((bldg_use == '문화 및 집회시설' and sub_use in ['공연장' ,'집회장', '관람장', '전시장'])
or (bldg_use == '종교시설' and sub_use == '종교집회장')
or (bldg_use == '노유자시설' and sub_use in ['아동관련시설' ,'노인복지시설'])
or (bldg_use == '수련시설' and sub_use == '생활권수련시설')
or (bldg_use == '위락시설' and sub_use == '유흥주점')
or (bldg_use == '장례시설' and sub_use == '장례식장')):
continue
for storey in building.SELECT('storey'):
area = 0.0
corridors = []
for space in storey.SELECT('space'):
if space.SELECT('class code').STRING() == corridor_code:
corridors.append(space)
area += space.SELECT('area').UNIT('m2').NUMBER()
min_cor_w = 1.8
if area < 500:
min_cor_w = 1.5
elif area >= 1000:
min_cor_w = 2.4
for space in corridors:
width = space.SELECT('min clear width').UNIT('m')
w = width.NUMBER()
if w < min_cor_w:
width.ERROR('유효너비: ' + str(w) + ' < ' + str(min_cor_w))
else:
width.SUCCESS('유효너비: ' + str(w) + ' >= ' + str(min_cor_w))
제20조의2 (내화구조의 적용이 제외되는 공장건축물) 영 제56조제1항제3호 단서에서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공장"이란 별표 2의 업종에 해당하는 공장으로서 주요구조부가 불연재료로 되어 있는 2층 이하의 공장을 말한다. <개정 2005.7.22, 2008.3.14, 2009.7.1>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5조의2 (복도의 너비 및 설치기준) 1항
Check(REFB_15-2_1){
KS
}
KS{
IF (Building.usage="Kindergarten"
OR Building.usage="ElementarySchool"
OR Building.usage="MiddleAndHighSchool" )
IF(isAdjacent(Corridor, Room)=True)
THEN Corridor.width>=2.4 m
ELSE THEN Corridor.width>=1.8 m
END IF
ELSE IF( Building.usage="MultiUnitHouse"
OR Building.usage="Officetels" )
IF( isAdjacent(Corridor, Room)=True)
TEHN Corridor.width>=1.8 m
ELSE THEN Corridor.width>=1.2 m
END IF
ELSE IF( Floor.One.Room.area > 200 m2)
IF(isAdjacent(Corridor, Room)=True)
TEHN IF (Building.usage="MedicalFacility")
THEN Corridor.width>=1.8 m
ELSE THEN Corridor.width>=1.5 m
ELSE THEN Corridor.width>=1.2 m
END IF
END IF
}
2.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공연장·종교집회장·인터넷컴퓨터게임시설제공업소·학원·독서실·당구장·다중생활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Check(EDBA_61_1_2){
IF CS THEN KS1 OR KS2}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DetachedHouse.Multi-userHouses"
OR getBuildingUsage()="DetachedHouse.Multi-familyHouses"
OR getBuildingUsage()="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EducationalInstitute"
OR getBuildingUsage()="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ReadingRooms
OR getBuildingUsage()="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CommunalLivingFacility
OR getBuildingUsage()="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LodgingFacility"
OR getBuildingUsage()="ClassIINeighborhoodLivingFacility.MedicalFacility"
OR getBuildingUsage()="EducationAndResearchFacility.EducationalInstitute"
OR getBuildingUsage()="BusinessFacility.Oofficetels"
OR getBuildingUsage()="FuneralParlors"
}
MBU = getObjectUsage(myBuilding)
CS{
getBuildingUsage() = MBU
Floor myfloor{
Floor.number>=3
}
KS1{
(Floor.number>=3
AND getTotalfloorarea(Room)>=200m2)
KS2{isObjectProperty(MainStructuralPart.isFireResistantStructure)=TRUE
OR isObjectProperty(MainStructuralPart.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AND Floor.number>=3
getTotalfloorarea(Room)>=200m2
}
① 법 제49조제1항에 따라 5층 이상 또는 지하 2층 이하인 층에 설치하는 직통계단은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건축물의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되어 있는 경우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08.10.29>
//건축법 시행령 35조(피난계단의 설치) 1항
Check(EDBA_35_1){
IF (!CS1 AND !CS2 AND CS3) THEN KS
}
CS1 {
isFireProofStructure(MainStructuralPart) = TRUE
OR isObjectProperty(MainStructuralPart.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
CS2 {
getResult(EDBA_35_1_1) = TRUE
OR getResult(EDBA_35_1_2) = TRUE
}
CS3{
Floor myFloor {
Floor.number > 5
OR Floor.number <= -2
}
Stair myStair {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
hasElement(myFloor, myStair) = TRUE
}
KS {
isObjectProperty(myStair.isEscape) = TRUE
OR isObjectProperty(myStair.isSpecialEscape) = TRUE
}
② 건축물(갓복도식 공동주택은 제외한다)의 11층(공동주택의 경우에는 16층) 이상인 층(바닥면적이 400제곱미터 미만인 층은 제외한다) 또는 지하 3층 이하인 층(바닥면적이 400제곱미터미만인 층은 제외한다)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은 제1항에도 불구하고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08.10.29>
//건축법 시행령 35조 (피난계단의 설치) 2항
check(EDBA_35_2){
IF (CS1 AND CS2) THEN KS
}
CS1{
Building.usage != "MultiUnitHouse.SideCorridorTypeMultiUnitHouse"
}
CS2{
Floor myFloor{
IF (Building.usage = "MultiUnitHouse“)
THEN getFloorNumber(Floor) >= 16
ELSE
getFloorNumber(Floor) >= 11
ENDIF
OR getFloorNumber(Floor) < -3
getFloorArea(Floor) >= 400m2
}
Stair myStair {
(isAccessible(Stair, Floor.isEscape) = TRUE
OR isAccessible(Stair, Ground) = TRUE)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
hasObject(myFloor, myStair) = TRUE
}
KS{
isObjectProperty(myStair.isSpecialEscape) = TRUE
}
std_floor_area = 200
std_floor_area_label = '기준 연면면적'
def Check():
for building in SELECT('building'):
if building.SELECT('area').Unit(m2).NUmber() < 200:
continue
2. 높이 31미터를 넘는 각 층의 바닥면적 중 최대 바닥면적이 1천500제곱미터를 넘는 건축물: 1대에 1천500제곱미터를 넘는 3천 제곱미터 이내마다 1대씩 더한 대수 이상
//건축법 시행령 90조 (비상용 승강기의 설치) 1항2호
Check(EDBA_1_2){
IF CS THEN KS
}
Floor myFloor{
getObjectHeight(Floor)>31 m
}
CS{
getFloorArea(myFloor)>1500 m2
}
KS{
FA=getFloorArea(myFloor) //FA means floor area
IF FA>=4500 m2
THEN {(FA-1500)/3000}+1 < getObjectCount(EmergencyElevator)
getObjectCount(EmergencyElevator) < {(FA-1500)/3000}+2
END IF
}
5. 3층 이상인 건축물 및 지하층이 있는 건축물. 다만, 단독주택(다중주택 및 다가구주택은 제외한다), 동물 및 식물 관련 시설, 발전시설(발전소의 부속용도로 쓰는 시설은 제외한다), 교도소·감화원 또는 묘지 관련 시설(화장장은 제외한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과 철강 관련 업종의 공장 중 제어실로 사용하기 위하여 연면적 50제곱미터 이하로 증축하는 부분은 제외한다.
//건축법 시행령 56조 (건축물의 내화구조) 1항 5호
check(EDBA_56_1_5){
IF !CS THEN KS
}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PowerPlant"
isObjectProperty(Building.isAttachedBuilding) = TRUE
}
Building myBuilding{
getResult(REFB_*_3_30) = TRUE
getResult(REFB_*_3_31) = TRUE
}
CS{
getBuildingUsage() = "facilities for animals and plants"
| "facilities for power generation"
| "correctional facilities and military installations.prison"
| "correctional facilities and military installations.reformatories
| "myFactory"
OR (getBuildingUsage() = "detached houses"
AND getBuildingUsage() != "detached houses.multi-user houses"
| "detached houses.multi-family houses" )
OR (getBuildingUsage() = "facilities for power generation"
AND (getBuildingUsage() = "myBuilding"
OR (getBuildingUsage() = "cemeteries and related facilities"
AND getBuildingUsage() != "Crematorium")
}
KS{
Floor myFloor{
Floor.number < 0
}
getBuildingStoriesCount() >= 3
AND isExist(myFloor) = TRUE
}
① 법 제49조제2항에 따라 의료시설, 노유자시설(아동 관련 시설 및 노인복지시설만 해당한다), 공동주택 또는 장례식장과 위락시설,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 공장 또는 자동차 관련 시설(정비공장만 해당한다)은 같은 건축물에 함께 설치할 수 없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09.7.16>
//건축법 시행령 47조 (방화에 장애가 되는 용도의 제한) 1항
Check(EDBA_47_1){
IF !CS THEN KS
}
CS{
getResult(EDBA_47_1_1)=True
OR getResult(EDBA_47_1_3)=True
getResult(REFB_14-2)=True
}
KS{
Space mySpace1{
getSpaceUsage(Space)="MedicalFacility"
OR getSpaceUsage(Space)="FacilitiesForTheAgedAndChildren.ChildrenRelatedFacility"
OR getSpaceUsage(Space)="FacilitiesForTheAgedAndChildren.WelfareFacilityForTheAged"
OR getSpaceUsage(Space)="MultiUnitHouse"
}
Space mySpace2{
getSpaceUsage(Space)="FuneralParlor"
OR getSpaceUsage(Space)="AmusementFacility"
OR getSpaceUsage(Space)="FacilityForStorageAndTreatmentOfDangerousSubstance"
OR getSpaceUsage(Space)="Factory"
OR getSpaceUsage(Space)="FacilityForMotorVehicle.AutomobileRepairShop"
isExistTogether(mySpace1, mySpace2)=False
}
}
6. 공업지역에 있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2조제8호가목부터 다목까지의 규정에 따른 국가산업단지ㆍ일반산업단지ㆍ도시첨단산업단지 및 같은 조 제12호에 따른 준산업단지: 80퍼센트 이하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84조 (용도지역안에서의 건폐율) 3항 6호
Check(EDLPUA_84_3_6){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IndustrialComplex.type)="NationalIndustrialComplex"
OR getObjectProperty(IndustrialComplex.type)="GeneralIndustrialComplex"
OR getObjectProperty(IndustrialComplex.type)="UrbanHighTechIndustrialComplex"
OR getObjectProperty(IndustrialComplex.type)="Semi-IndustrialComplex"
}
KS{
getBuildingToLandRatio()<=70%
}
(3) 하나의 건축물에 제1호, 제2호, 제4호부터 제7호까지, 제7호의2부터 제7호의5까지 및 제8호의 다중이용업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다중이용업과 학원이 함께 있는 경우
Check(ERSASP_2_0_3_나3){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business)= "AEOPE_2_0_1"
}
KS{
getResult(ERSASP_2_0_1)= TRUE
OR getResult(ERSASP_2_0_2)= TRUE
OR getResult(ERSASP_2_0_4)= TRUE
OR getResult(ERSASP_2_0_5)= TRUE
OR getResult(ERSASP_2_0_6)= TRUE
OR getResult(ERSASP_2_0_7)= TRUE
OR getResult(ERSASP_2_0_7-2)= TRUE
OR getResult(ERSASP_2_0_7-3)= TRUE
OR getResult(ERSASP_2_0_7-4)= TRUE
OR getResult(ERSASP_2_0_7-5)= TRUE
OR getResult(ERSASP_2_0_8)= TRUE
}
5.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제6호ㆍ제6호의2ㆍ제7호 및 제8호의 게임제공업ㆍ인터넷컴퓨터게임시설제공업 및 복합유통게임제공업. 다만, 게임제공업 및 인터넷컴퓨터게임시설제공업의 경우에는 영업장(내부계단으로 연결된 복층구조의 영업장은 제외한다)이 지상 1층 또는 지상과 직접 접하는 층에 설치되고 그 영업장의 주된 출입구가 건축물 외부의 지면과 직접 연결된 구조에 해당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2조 (다중이용업) 5호
Check(ERSASP_2_0_5){
KS1 AND IF CS THEN !KS2
}
KS1{
getObjectProperty(Building.business)= "GIPA_2_0_6"
OR getObjectProperty(Building.business)= "GIPA_2_0_6-2"
OR getObjectProperty(Building.business)= "GIPA_2_0_7"
OR getObjectProperty(Building.business)= "GIPA_2_0_8"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business)= "GIPA_2_0_6"
OR getObjectProperty(Building.business)= "GIPA_2_0_7"
}
KS2{
Space mySpace{
Space.usage = "GIPA_2_0_6"
OR Space.usage = "GIPA_2_0_7"
}
Floor myFloor{
hasObject(Floor,mySpace)=TRUE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mySpace.Door.isEntrance)=TRUE
}
(getObjectProperty(myFloor.number)=1
OR isDirectlyAccessible(myFloor, Ground)=TRUE)
isConnectedToExternal(myDoor)=TRUE
}
제2조 (다중이용업)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제1항제1호에 따른 "대통령령이 정하는 영업"이라 함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영업을 말한다. <개정 2008.12.24, 2009.7.1, 2009.8.6>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2조 (다중이용업)
Check(ERSASP_2){
KS
}
KS{
Building myBuilding{
getResult(ERSASP_2_1)= TRUE
OR getResult(ERSASP_2_2)= TRUE
OR getResult(ERSASP_2_3)= TRUE
OR getResult(ERSASP_2_5)= TRUE
OR getResult(ERSASP_2_6)= TRUE
OR getResult(ERSASP_2_7)= TRUE
OR getResult(ERSASP_2_7-2)= TRUE
OR getResult(ERSASP_2_7-3)= TRUE
OR getResult(ERSASP_2_7-4)= TRUE
OR getResult(ERSASP_2_7-5)= TRUE
}
}
② 이산화탄소 또는 할로겐화합물(할론 1301과 청정소화약제를 제외한다)을 방사하는 소화기구(자동확산소화장치를 제외한다)는 지하층이나 무창층 또는 밀폐된 거실로서 그 바닥면적이 20㎡ 미만의 장소에는 설치할 수 없다. 다만, 배기를 위한 유효한 개구부가 있는 장소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개정 2008.12.15, 2012.6.11>
//소화기구 및 자동 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 4조 (설치기준) 2항
Check(NFSC101_4_2){
KS
}
KS{
FireExtinguisher myFireExtinguisher{
getObjectProperty(FireExtinguishingEquipment.extinguishingAgentType) = "GasType"
}
Space mySpace{
(getFloorNumber(Space) = -1
OR hasSpace(Space, Window) = FALSE
OR isObjectProperty(Room.isEnclosed)=TRUE)
getObjectProperty(Space.FloorSlab) < 20 m2
}
getSpace(mySpace, myFireExtinguisher) = FALSE
}
1. 삭제 <2006.1.19>
2. 공원<표-EDCDAPA_*_2_T1>
(편의시설의 종류
:설치기준)
가. 장애인 등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
:공원 외부에서 내부로 이르는 출입구는 주출입구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장애인등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유효폭·형태 및 부착물 등을 고려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나. 장애인등의 통행이 가능한 보도
:공원시설(공중이 직접 이용하는 시설에 한한다)에 접근할 수 있는 공원안의 보도중 적어도 하나는 장애인등이 통행할
제12조의2 (다른 법률과의 관계) 노외주차장인 주차전용건축물의 건폐율, 용적률, 대지면적의 최소한도 및 높이 제한 등 건축제한에 대하여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76조부터 제78조까지, 「건축법」 제57조 및 제60조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른다.
// 주차장법 12조의2 (다른 법률과의 관계)
Check(PLA_12-2){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Building.isExclusiveUseOfParkingLot)=True
}
KS{
getResult(PLA_12-2_0_1)=True
getResult(PLA_12-2_0_2)=True
getResult(PLA_12-2_0_3)=True
}
가. 중형 기계식주차장(길이 5.05미터 이하, 너비 1.9미터 이하, 높이 1.55미터 이하, 무게 1,850킬로그램 이하인 자동차를 주차할 수 있는 기계식주차장을 말한다. 이하 같다): 너비 8.1미터 이상, 길이 9.5미터 이상의 전면공지 또는 지름 4미터 이상의 방향전환장치와 그 방향전환장치에 접한 너비 1미터 이상의 여유 공지
//주차장법 시행규칙 16조의2 (기계식주차장의 설치기준) 1호 가목
Check(ERPA_16-2_0_1_가){
IF CS THEN KS
}
CS{
ParkingLot myParkingLot{
ParkingLot.operationType = "MechanicalParking"
}
getObjectProperty(myParkingLot.scale)="MiddleSize"
}
KS{
Space mySpace{
getSpaceUsage()="FrontageSpace"
Space.width>=8.1 m
Space.length>9.5 m
}
isExist(mySpace)=True
OR isExist(DirectionSwitchingEquipment)=True
getObjectDiameter(DirectionSwitchingEquipment)>=4 m
isExist(Space)=True
isAdjacent(DirectionSwitchingEquipment, Space)=True
Space.width>=1 m
}
나. 차로의 너비는 주차형식 및 출입구(지하식 또는 건축물식 주차장의 출입구를 포함한다. 이하 제4호에서 같다)의 개수에 따라 다음 표에 의한 기준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단위 : 미터)
+-------------------+------------------------------------------------+
| | 차 로 의 너비 |
| 주 차 형 식 +------------------------+-----------------------+
| | 출입구가 2개 이상인 | 출입구가 1개인 경우 |
| | 경우 | |
+-------------------+------------------------+-----------------------+
| 평행주차 | 3.3 | 5.0 |
| 직각주차 | 6.0 | 6.0 |
| 60도 대향주차 | 4.5 | 5.5 |
| 45도 대향주차 | 3.5 | 5.0 |
| 교차주차 | 3.5 | 5.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