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72566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8조 1 항 1호
1. 배관 내 사용압력이 1.2 ㎫ 미만일 경우에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또는 동등 이상의 강도·내식성 및 내열성을 가진 것<신설 2013.6.10>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8조 (배관 및 밸브) 1항 1호
Check(NFSC503A_8_1_1){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 Pipe.workingPressure) < 1.2
}
KS{
getResult(NFSC503A_8_1_1_가)=TRUE
getResult(NFSC503A_8_1_1_나)=TRUE
getResult(NFSC503A_8_1_1_다)=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2
72568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8조 1 항 1호 나 목
나. 이음매 없는 구리 및 구리합금관(KS D 5301). 다만, 습식의 배관에 한한다.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8조 (배관 및 밸브) 1항 1호
Check(NFSC503A_8_1_1_나){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 Pipe.systemType) = "WetPipeSprinklerSystem"
}
KS{
getObjectProperty(Pipe.Material) = "KS_D_5301"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3
72570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8조 1 항 2호
2. 배관 내 사용압력이 1.2 ㎫ 이상일 경우에는 압력배관용탄소강관(KS D 3562)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내식성 및 내열성을 가진 것<신설 2013.6.10>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8조 (배관 및 밸브) 1항 2호
Check(NFSC503A_8_1_2){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 Pipe.workingPressure) >= 1.2
}
KS{
getObjectProperty(Pipe.Material) = "KS D 3562"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4
72571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8조 2 항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장소에는 국민안전처장관이 정하여 고시한 「소방용합성수지배관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한 소방용 합성수지배관으로 설치할 수 있다.<개정 2013.6.10, 2015.1.23.>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8조 (배관 및 밸브) 2항
Check(NFSC503A_8_2){
IF CS THEN KS1 OR KS2
}
CS{
getResult(NFSC503A_8_2_2) = TRUE
OR getResult(NFSC503A_8_2_3) = TRUE
}
KS1{
getResult(NFSC503A_8_1) = TRUE
}
KS2{
isObjectProperty( Pipe.isSyntheticResinForfirefighting)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5
72573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8조 2 항 3호
3. 천장(상층이 있는 경우에는 상층바닥의 하단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과 반자를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로 설치하고 그 내부에 습식으로 배관을 설치하는 경우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8조 (배관 및 밸브) 2항 3호
Check(NFSC503A_8_2_3){
KS
}
KS{
SprinklerSystem mySprinklerSystem{
isObjectProperty( SprinklerSystem.type) = "WetPipeSprinklerSystem"
}
(isObjectProperty( Ceiling.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OR isObjectProperty( Ceiling.Material.quasiNonCombustibility)=TRUE)
(isObjectProperty( CeilingCovering.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OR isObjectProperty( CeilingCovering.Material.quasiNonCombustibility)=TRUE)
isInstalled(mySprinklerSystem, Ceiling)=TRUE
isInstalled(mySprinklerSystem, CeilingCovering)=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6
72576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8조 6 항 1호
1. 성능시험배관은 펌프의 토출측에 설치된 개폐밸브 이전에서 분기하여 설치하고, 유량측정장치를 기준으로 전단 직관부에 개폐밸브를 후단 직관부에는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할 것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8항 1호
Check(NFSC102_6_8_1){
KS
}
KS{
Pipe myPipe{
isObjectProperty( Pipe.isForTest) = TRUE
}
Valve myValve{
isObjectProperty( Valve.isShutoffValve) = TRUE
isInstalled(Valve, Pump.Outlet) = TRUE
}
Valve myValve2{
isObjectProperty( Valve.isShutoffValve) = TRUE
isInstalled(Valve, Pump.Outlet) = FALSE
}
Valve myValve3{
isObjectProperty( Valve.isFloatControlValve) = TRUE
}
isDiverged(Pump, myPipe) = TRUE
getObjectDistance(StraightPipeLine, myPipe) < getObjectDistance(StraightPipeLine, myValve)
isInstalled(myValve2, myPipe) = TRUE
isInstalled(myValve3, myPipe)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7
72577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 8조 6 항 2호
2. 유량측정장치는 성능시험배관의 직관부에 설치하되, 펌프의 정격토출량의 175% 이상 측정할 수 있는 성능이 있을 것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8조 (배관 및 밸브) 6항 2호
Check(NFSC103A_8_6_2){
KS
}
KS{
Pipe myPipe{
isObjectProperty( Pipe.isForTest) = TRUE
}
isConnectedTo(myPipe, DischargeMeasuringEquipment) = TRUE
getObjectProperty(DischargeMeasuringEquipment.measurementCapacity) = DME
getObjectProperty(Pump.ratedDischargePressure) = PDP
PDP*1.75 <= DM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8
11021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2조 2 항
②조적식구조인 내력벽의 두께는 그 건축물의 층수·높이 및 벽의 길이에 따라 각각 다음 표의 두께 이상으로 하되, 조적재가 벽돌인 경우에는 당해 벽높이의 20분의 1이상, 블록인 경우에는 당해 벽높이의 16분의 1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
│건축물의 높이 │5미터 미만 │5미터 이상 11미터 미만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2조 (내력벽의 두께) 2항
Check(RSSB_32_2){
getResult(RSSB_32_7) = TRUE AND getResult(RSSB_32_3) = TRUE AND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 THEN KS
}
CS {
getResult(RSSB_33_3)=True
}
KS{
//HW means Height of wall
Wall myWall{
isObjectProperty( Wall.isLoadBearingWall) = TRUE
}
HW=getObjectHeight(myWall)
IF isObjectProperty( 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TRUE
IF getBuildingHeight()<5 m
IF getFloorNumber(myWall)=1
IF getObjectLength(myWall)<8 m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 150 mm
ELSE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 190 mm
END IF
END IF
ELSE IF getBuildingHeight()>=5 m
getBuildingHeight()<11 m
getFloorNumber(myWall)=1
OR getFloorNumber(myWall)=2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 190 mm
ELSE IF getBuildingHeight()>=11 m
IF getObjectLength(myWall)<8 m
getFloorNumber(myWall)=1
OR getFloorNumber(myWall)=2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190 mm
ELSE IF getFloorNumber(myWall)=1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290 mm
ELSE IF getFloorNumber(myWall)=2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190 mm
END IF
END IF
IF getObjectMaterial(myWall)="벽돌"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 HW/20
ELSE IF getObjectMaterial(myWall)="Block"
THEN getObjectThickness(myWall)>= HW/16
END IF
END IF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9
11032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5조
제35조(개구부)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5조 (개구부) 1항
Check(RSSB_35_1){
getResult(RSSB_28_2) = TRUE AND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 THEN KS
}
CS{
Wall myWall1{
isObjectProperty( my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 = TRUE
}
isInstalled(Window, myWall) = TRUE
OR isInstalled(Door, myWall) = TRUE
OR isInstalled(Opening, myWall) = TRUE
}
KS{
getResult(RSSB_35_1_1) = TRUE
getResult(RSSB_35_1_2)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10
20046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0조 1 항
제30조(기초) ①조적식구조인 내력벽의 기초(최하층의 바닥면 이하에 해당하는 부분을 말한다)는 연속기초로 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0조 (기초) 1항
Check(RSSB_30_1){
getResult(RSSB_28_3) = TRUE AND getResult(RSSB_28_2) = TRUE AND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KS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 Wall.isLoadBearingWall) = TRUE
getObjectProperty(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 = TRUE
}
Foundation myFoundation{
isInstalled(myWall, Foundation) = TRUE
}
isObjectProperty( myFoundation.isContinuousFoundation)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11
20047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0조 2 항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한 기초중 기초판은 철근콘크리트구조 또는 무근콘크리트구조로 하고, 기초벽의 두께는 250밀리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0조 (기초) 2항
Check(RSSB_30_2){
getResult(RSSB_28_3) = TRUE AND getResult(RSSB_28_2) = TRUE AND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 THEN KS
}
CS{
getResult(RSSB_30_1) = TRUE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 Wall.isFoundationWall) = TRUE
}
(getObjectProperty(FoundationPlate.Structure.materialType) = "ReinforcedConcrete"
OR getObjectProperty(FoundationPlate.Structure.materialType) = "PlainConcrete")
getObjectProperty(myWall.depth) >= 250mm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12
20048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1조 1 항
제31조(내력벽의 높이 및 길이) ①조적식구조인 건축물중 2층 건축물에 있어서 2층 내력벽의 높이는 4미터를 넘을 수 없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1조 (내력벽의 높이 및 길이) 1항
Check(RSSB_31_1){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 Building.Structure.isMansoryStructure) = TRUE
getBuildingStoriesCount() = 2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 Wall.isLoadBearingWall) = TRUE
getFloorNumber(Wall.Floor) = TRUE
}
getObjectHeight(myWall) < 4m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13
20049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1조 2 항
②조적식구조인 내력벽의 길이[대린벽(對隣壁)의 경우에는 그 접합된 부분의 각 중심을 이은 선의 길이를 말한다. 이하 이 절에서 같다]는 10미터를 넘을 수 없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1조 (내력벽의 높이 및 길이) 2항
Check(RSSB_31_2){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 THEN KS
}
Wall myWall{
isObjectProperty( Wall.isLoadBearingWall) = TRUE
}
CS{
isObjectProperty( my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 = TRUE
}
KS{
getObjectLength(myWall) < 10m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14
20050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1조 3 항
③조적식구조인 내력벽으로 둘러쌓인 부분의 바닥면적은 80제곱미터를 넘을 수 없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1조 (내력벽의 높이 및 길이) 3항
Check(RSSB_31_3){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KS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 Wall.isLoadBearingWall) = TRUE
isObjectProperty( my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 = TRUE
}
Space mySapce{
isSurrounded(Space, myWall) = TRUE
}
getFloorArea(mySpace) < 80m2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15
20051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2조 1 항
제32조(내력벽의 두께) ①조적식구조인 내력벽의 두께(마감재료의 두께는 포함하지 아니한다. 이하 이 절에서 같다)는 바로 윗층의 내력벽의 두께 이상이어야 한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2조 (내력벽의 두께) 1항
Check(RSSB_32_1){
getResult(RSSB_32_7) = TRUE AND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KS
}
KS{
Wall myWall1{
isObjectProperty( Wall.isLoadBearingWall) = TRUE
isObjectProperty( my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 = TRUE
}
Floor myFloor{
isInstalled(myWall1, Floor) = TRUE
}
Wall myWAll2{
isInstalled(Wall, myFloor.UpperFloor) = TRUE
}
WD = getObjectProperty(myWall2.depth)
getObjectProperty(myWall1.depth) >= WD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16
20053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2조 3 항
③제2항의 규정을 적용함에 있어서 그 조적재가 돌이거나, 돌과 벽돌 또는 블록 등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내력벽의 두께는 제2항의 두께에 10분의 2를 가산한 두께 이상으로 하되, 당해 벽높이의 15분의 1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2조 (적용범위 등) 3항
Check(RSSB_32_3){
getResult(RSSB_32_7) = TRUE AND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H TEHN KS
}
Wall myWall{
isObjectProperty( Wall.isLoadBearingWall) = TRUE
}
Wall myWall1{
getResult(RSSB_32_2) = TRUE
}
CS{
getObjectProperty(myWall.Structure.materialType) = "Stone" OR "Brick" OR "ConcreteBlock" OR "SteelReinforcedConcreteBlock"
}
KS{
WT = getWallThickness(myWall)
WT >= 1.2* getWallThinkness(myWall1)
WT >= 1/15*getObjectHeight(myWall)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17
20055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2조 7 항
⑦조적식구조인 내력벽을 이중벽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1항 내지 제6항의 규정은 당해 이중벽중 하나의 내력벽에 대하여 적용한다. 다만, 건축물의 최상층(1층인 건축물의 경우에는 1층을 말한다)에 위치하고 그 높이가 3미터를 넘지 아니하는 이중벽인 내력벽으로서 그 각벽 상호간에 가로·세로 각각 400밀리미터 이내의 간격으로 보강한 내력벽에 있어서는 그 각벽의 두께의 합계를 당해 내력벽의 두께로 본다.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2조 (내력벽의 두께) 7항
Check(RSSB_32_7){
KS
}
KS{
isObjectProperty( 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 = TRUE
isObjectProperty( Wall.isDoubleWall)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18
20057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3조 2 항
②조적식구조인 칸막이벽의 바로 윗층에 조적식구조인 칸막이벽이나 주요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당해 칸막이벽의 두께는 190밀리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제34조의 규정에 의한 테두리보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3조 (칸막이벽 등의 두께) 2항
Check(RSSB_33_2){
getResult(RSSB_28_3) = TRUE AND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1 AND CS2) THEN KS
}
Wall myWall{
isObjectProperty( Wall.isPartitionWall)=True
isObjectProperty( 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True
}
CS1{
getResult(RSSB_34)=True
}
CS2{
FN=getFloorNumber(myWall) //FN means myWall's floor number
Floor myFloor{
Floor.number=FN+1
}
isInstalled(myFloor, myWall)= True
OR isInstalled (myFloor, MainStructure)=True
}
KS{
getObjectThickness(myWall)>=190 mm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19
20058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3조 3 항
③제32조의 규정은 조적식구조인 칸막이벽의 두께에 관하여 이를 준용한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3조 (칸막이벽 등의 두께) 3항
Check(RSSB_33_3){
getResult(RSSB_28_3) = TRUE AND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KS
}
KS{
isObjectProperty( Wall.isPartitionWall)=True
isObjectProperty( 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20
20059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4조
제34조(테두리보) 건축물의 각층의 조적식구조인 내력벽 위에는 그 춤이 벽두께의 1.5배 이상인 철골구조 또는 철근콘크리트구조의 테두리보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1층인 건축물로서 벽두께가 벽의 높이의 16분의 1이상이거나 벽길이가 5미터 이하인 경우에는 목조의 테두리보를 설치할 수 있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4조 (테두리보)
Check(RSSB_34){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 THEN KS
}
C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 Wall.isLoadBearingWall)=True
}
isObjectProperty( my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 True
}
KS{
WD=getObjectProperty(myWall.depth)
WH=getObjectProperty(myWall.height)
WallGirder myWallGirder{
getObjectProperty(WallGirder.height)>=1.5*WD
}
isInstalled(myWallGrider, myWall, Top)=True
IF getBuildingStoriesCount()=1
(WD>=WH/16
OR getObjectProperty(myWall.length)<=5 m
)
THEN getObjectProperty(myWallGrider.Structure.materialType)="Timber"
ELSE THEN getObjectProperty(myWallGrider.Structure.materialType)="SteelFrame"
OR getObjectProperty(myWallGrider.Structure.materialType)="ReinforcedConcrete"
END IF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21
20061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5조 1 항 1호
1. 각층의 대린벽으로 구획된 각 벽에 있어서 개구부의 폭의 합계는 그 벽의 길이의 2분의 1이하로 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5조 (개구부) 1항 1호
Check(RSSB_35_1_1){
KS
}
KS{
Wall myWall1{
isObjectProperty( Wall.isRightAngleCrossingWall) = TRUE
isInstalled(Wall, Floor.One) = TRUE
}
Wall myWall2{
isPartitioned(Wall, , myWall1) = TRUE
}
WL = getObjectWidth(myWall2)
OW = getObjectWidth(myOpening)
Opening myOpening{
isInstalled(Opening, Wall) = TRUE
}
Sum(OW) <= WL * 1/2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22
20063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5조 2 항
②조적식구조인 벽에 설치하는 개구부에 있어서는 각층마다 그 개구부 상호간 또는 개구부와 대린벽의 중심과의 수평거리는 그 벽의 두께의 2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개구부의 상부가 아치구조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5조 (개구부) 2항
Check(RSSB_35_2){
getResult(RSSB_28_2) = TRUE AND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1 AND CS2) THEN KS
}
Wall myWall1{
isObjectProperty( my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 = TRUE
}
CS1{
isObjectProperty( Opening.UpperSideShape) = "Arc"
}
CS2{
isInstalled(Opening, myWall1) = TRUE
}
KS{
Wall myWall2{
isObejctProperty(Wall.isRightAngleCrossingWall) = TRUE
isInstalled(Wall, myWall1.Floor) = TRUE
}
WD = getObjectProperty(myWall1.depth)
getObject(Floor.One.Opening)
(getObjectInterval(Opening, ) >= 2* WD
OR getObjectDistance(Opening, myWall2.Center) >= 2* WD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23
20065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6조
제36조(벽의 홈) 조적식구조인 벽에 그 층의 높이의 4분의 3이상인 연속한 세로홈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홈의 깊이는 벽의 두께의 3분의 1이하로 하고, 가로홈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홈의 깊이는 벽의 두께의 3분의 1이하로 하되, 길이는 3미터 이하로 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6조 (벽의 홈)
Check(RSSB_36){
getResult(RSSB_28_2) = TRUE AND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 THEN KS
}
C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 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True
}
isInstalled(Channel, myWall)=True
}
KS{
WD=getObjectProperty(myWall.depth)
IF getObjectProperty(Channel.shapeType)="VerticleChannel"
FH=getObjectHeight(Floor.Space)
getObjectProperty(Channel.length)>=FH*3/4
THEN getObjectProperty(Channel.depth)<= WD/3
ELSE IF getObjectProperty(Channel.shapeType)="HorizontalChannel"
THEN getObjectProperty(Channel.depth)<= WD/3
getObjectProperty(Channel.length)<= 3 m
END IF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24
20066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9조
제39조(조적식구조인 담) 조적식구조인 담의 구조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의한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9조 (조적식구조인 담)
Check(RSSB_39){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 Fence.Structure.isMansoryStructure) = TRUE
}
KS{
getResult(RSSB_39_1) = TRUE
getResult(RSSB_39_2) = TRUE
getResult(RSSB_39_3)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25
20068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9조 2호
2. 담의 두께는 190밀리미터 이상으로 할 것. 다만, 높이가 2미터 이하인 담에 있어서는 90밀리미터 이상으로 할 수 있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9조 (조적식구조인 담) 2호
Check(RSSB_39_0_2){
KS2 AND IF CS THEN KS1
}
KS2{
isObjectProperty( Fence.depth) >= 190mm
}
CS{
getObjectHeight(Fence) <= 2m
}
KS1{
isObjectProperty( Fence.depth) >= 90mm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26
20069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9조 3호
3. 담의 길이 2미터 이내마다 담의 벽면으로부터 그 부분의 담의 두께 이상 튀어나온 버팀벽을 설치하거나, 담의 길이 4미터 이내마다 담의 벽면으로부터 그 부분의 담의 두께의 1.5배 이상 튀어나온 버팀벽을 설치할 것. 다만, 각 부분의 담의 두께가 제2호의 규정에 의한 담의 두께의 1.5배 이상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9조 (조적식구조인 담) 3호
Check(RSSB_39_0_3){
IF !CS THEN KS
}
CS{
}
KS{
FD = getObjectProperty(Fence.depth)
Wall myWall{
isObjectProperty( Wall.isSupportingWall) = TRUE
}
(isInstalled(myWall, Fence, b, 2) = TRUE
getObjectProperty(Wall.depth) >= FD)
OR (isInstalled(myWall, Fence, b, 4) = TRUE
getObjectProperty(Wall.depth) >= 1.5* 2호 규정에 의한 담의 두께)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27
20072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42조
제42조(기초) 보강블록구조인 내력벽의 기초(최하층 바닥면 이하의 부분을 말한다)는 연속기초로 하되 그 중 기초판 부분은 철근콘크리트구조로 하여야 한다.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42조 (기초)
Check(RSSB_42){
getResult(RSSB_41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KS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 Wall.isLoadBearingWall) = TRUE
getFloorNumber(Wall) < 1
}
getObjectProperty(myWall.Structure.materialType) = "SteelReinforcedConcreteBlock"
isObjectProperty( Foundation.isCountinuousFoundation) = TRUE
getObjectStructure(FoundationPlate.Structure.materialType) = "ReinforcedConcret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28
20073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43조 1 항
제43조(내력벽) ①건축물의 각층에 있어서 건축물의 길이방향 또는 너비방향의 보강블록구조인 내력벽의 길이(대린벽의 경우에는 그 접합된 부분의 각 중심을 이은 선의 길이를 말한다. 이하 이 절에서 같다)는 각각 그 방향의 내력벽의 길이의 합계가 그 층의 바닥면적 1제곱미터에 대하여 0.15미터 이상이 되도록 하되, 그 내력벽으로 둘러쌓인 부분의 바닥면적은 80제곱미터를 넘을 수 없다.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43조 (내력벽) 1항
Check(RSSB_43_1){
getResult(RSSB_41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KS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 Wall.isLoadBearingWall) = TRUE
getObjectProperty(Wall.Structure.materialType) = "SteelReinforcedConcreteBlock"
}
FA =getObjectArea(Floor.One)
getObjectProperty(myWall.Length)>= FA*0.15 m
getObjectProperty(myWall.width)>= FA*0.15 m
Space mySpace{
isSurrounded(Space, myWall)=True
}
getFloorArea(mySpace)<=80 m2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29
20074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43조 2 항
②보강블록구조인 내력벽의 두께(마감재료의 두께를 포함하지 아니한다. 이하 이절에서 같다)는 150밀리미터 이상으로 하되, 그 내력벽의 구조내력에 주요한 지점간의 수평거리의 50분의 1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43조 (내력벽) 2항
Check(RSSB_43_2){
getResult(RSSB_41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KS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 Wall.isLoadBearingWall) = TRUE
getFloorNumber(Wall) < 1
getObjectProperty(Wall.Structure.materialType) = "SteelReinforcedConcreteBlock"
}
getWallThickness(myWall) >= 150mm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30
20075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43조 3 항
③보강블록구조의 내력벽은 그 끝부분과 벽의 모서리부분에 12밀리미터 이상의 철근을 세로로 배치하고, 9밀리미터 이상의 철근을 가로 또는 세로 각각 800밀리미터 이내의 간격으로 배치하여야 한다.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43조 (내력벽) 3항
Check(RSSB_43_3){
getResult(RSSB_41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KS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 Wall.isLoadBearingWall) = TRUE
getObjectProperty(Wall.Structure.materialType) = "SteelReinforcedConcreteBlock"
}
Reinforcement myReinforcement{
getObjectProperty(Reinforcement.diameter)>=12 mm
}
isInstalled( myReinforcement, myWall, Vertical , myWall.BothEndSides)=True
isInstalled( myReinforcement, myWall, Vertical , myWall.Edge)=True
Reinforcement myReinforcement2{
getObjectProperty(Reinforcement.diameter)>=9 mm
}
isInstalled( myReinforcement2, myWall, 800 mm , myWall.BothEndSides)=True
isInstalled( myReinforcement2, myWall, 800 mm , myWall.Edge)=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31
20077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44조
제44조(테두리보) 보강블록구조인 내력벽의 각층의 벽 위에는 춤이 벽두께의 1.5배 이상인 철근콘크리트구조의 테두리보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최상층의 벽으로서 그 벽위에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옥상바닥판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44조 (테두리보)
Check(RSSB_44){
getResult(RSSB_41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 THEN KS
}
!CS{
Wall myWall{
isInstalled(Wall, TopFloor)=True
}
FloorSlab myFloorSlab{
isInstalled(FloorSlab, Rooftop) = TRUE
getObjectProperty(FloorSlab.Structure.materialType)="ReinforcedConcrete"
}
isInstalled(myFloorSlabOfRooftop, myWall, Top)=True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 Wall.isLoadBearingWall)=True
isObjectProperty( 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 True
}
WD=getObjectProperty(myWall.depth)
WallGirder myWallGirder{
getObjectProperty(WallGirder.height)>=1.5*WD
getObjectProperty(myWallGrider.Structure.materialType)="ReinforcedConcrete"
}
isInstalled(myWallGrider, myWall, Top)=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32
20093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53조 1호
1. 콘크리트슬래브의 두께는 80밀리미터 이상으로서 별표 9에 의하여 산정한 두께 이상이어야 한다.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53조 (콘크리트슬래브의 구조) 1호
Check(RSSB_53_0_1){
KS
}
KS{
isObjectProperty( Slab.isConcreteSlab) = TRUE
getObjectThickness(Slab)>= 80 mm
getResult(RSSB_*_9)=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33
20096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54조 1호
1. 내력벽의 최소두께는 벽의 최상단에서 4.5미터까지는 150밀리미터 이상이어야 하며, 각 3미터 내려감에 따라 10밀리미터씩의 비율로 증가시켜야 한다. 다만, 두께가 120밀리미터 이상의 경우로서 구조계산에 의하여 안전하다고 확인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54조 (내력벽의 구조) 1호
Check(RSSB_54_0_1){
IF !CS THEN KS
}
Wall myWall{
isObjectProperty( Wall.isLoadBearingWall)=True
}
CS{
getWallThickness(myWall)>=120 mmm
}
KS{
H1=getObjectHeight(myWall)
H2= H1-4.5 m
getWallThickness(myWall,H2,H1)>=150 mm
H3=getFloorElevationHeight(myWall.Floor)
getWallThickness(myWall,H3,H2,3 m, a)>=150+10*a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34
20097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54조 2호
2. 내력벽의 배근은 9밀리미터 이상의 것을 450밀리미터 이하의 간격으로 하고, 벽두께의 3배 이하이어야 한다. 이 경우 벽의 두께가 200밀리미터 이상일 때에는 벽 양면에 복근으로 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54조 (내력벽의 구조) 2호
Check(RSSB_54_02){
KS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 Wall.isLoadBearingWall)=True
}
Reinforcement myReinforcement{
getObjectProperty(Reinforcement.diameter)>=9 mm
}
isInstalled(myReinforcement, myWall, 450 mm)=True
//벽두께의 3배 이하이어야 한다.
IF getObjectProperty(myWall.depth)>=200 mm
THEN isInstalled(DoubleReinforcement, myWall, myWall.BothSides)=True
END IF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35
24832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3조 3 항
③ 제21조부터 제55조까지의 규정에 따른 구조안전에 관한 기준은 「건축법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제32조제1항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소규모건축물(이하 "소규모건축물"이라 한다)에 대하여만 적용된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3조 (적용범위 등) 3항
Check(RSSB_3_3){
KS
}
KS{
getResult(EDBA_32_1) = FALSE
isObjectProperty( Building.isSmallBuilding)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36
24866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9조의3조 2 항
② 주요구조부가 비보강조적조인 건축물은 지붕높이 15미터 이하, 처마높이 11미터 이하 및 3층 이하로 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9조의3 (건축물의 규모제한) 2항
Check(RSSB_9-3_2){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 MainStructuralPart.Structure.isUnreinforcedMansoryStructure) = TRUE
}
KS{
getObjectVerticalDistance(FloorSlab, Roof) <= 15m
getObjectVerticalDistance(FloorSlab, Eave) <= 11m
getBuildingStoriesCount() <= 3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37
24881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24조 1 항
①목재로 된 구조부재인 압축재의 단면적은 4,500제곱밀리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개정 2009.12.31>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24조 (건축물의 규모제한) 1항
Check(RSSB_24_1){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 CompressionMember.isStructuralMember) = TURE
getObjectMaterial(CompressionMember) = "Timber"
}
KS{
getObjectSectionalArea(CompressionMember) >= 4500mm2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38
24884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25조 1 항
①인장력을 받는 가새는 두께 15밀리미터 이상이고 폭 90밀리미터 이상인 목재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강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25조 (가새) 1항
Check(RSSB_25_1){
getResult(RSSB_3_3) = TRUE AND KS
}
KS{
Brace myBrace{
isObjectProperty( Brace.isTensileBrance) = TRUE
}
isObjectProperty( Brace.depth) >= 15mm
getObjectMaterial(Brace) = "Timber"
isObjectProperty( Brace.Material.width) >= 90mm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39
24885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25조 2 항
②압축력을 받는 가새는 두께 35밀리미터 이상이고 골조기둥의 3분의 1쪽에 해당하는 두께인 목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25조 (가새) 2항
Check(RSSB_25_2){
getResult(RSSB_3_3) = TRUE AND KS
}
KS{
Brace myBrace{
isObjectProperty( Brace.isCompressionBrace) = TRUE
}
Column myColumn{
isObjectProperty( Column.isFramedColumn) = TRUE
}
CW = getObjectProperty(myColumn.width) * 1/3
getObjectProperty(Brace.depth) >= 35mm
getObjectMaterial(Brace) = "Timber"
getObjectProperty(Brace.Material.width) = CW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40
24886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25조 3 항
③가새는 그 두 끝부분을 기둥·보 그 밖의 구조부재인 가로재와 잇도록 하여야 한다. <개정 2009.12.31>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25조 (가새) 3항
Check(RSSB_25_3){
KS
}
KS{
isObjectProperty( HorizontalMember.isStructuralMember) = TRUE
isConnectedTo(Brace, HorizontalMember)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41
24892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28조 1 항
①이 절의 규정은 벽돌구조·돌구조·콘크리트블록구조 그 밖의 조적식구조(보강블록구조를 제외한다. 이하 이 절에서 같다)의 건축물이나 조적식구조와 목구조 그 밖의 구조를 병용하는 건축물의 조적식구조로 된 부분에 이를 적용한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28조 (적용범위 등) 1항
Check(RSSB_28_1){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KS
}
KS{
(getObjectProperty(Building.Structure.materialType) = "Brick" OR "Stone" OR "ConcreteBlock")
OR (isObjectProperty( Building.Structure.isMansoryStructure) = TRUE
getObjectProperty(Building.Structure.materialType) != "SteelReinforcedConcreteBlock")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42
24894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28조 3 항
③구조부재가 아닌 조적식구조의 칸막이벽으로서 그 높이가 2미터 이하인 것에 대하여는 제29조·제30조·제33조 및 제35조제3항의 규정에 한하여 이를 적용한다. <개정 2009.12.31>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28조 (적용범위 등) 3항
Check(RSSB_28_3){
getResult(RSSB_28_1) = TRUE AND getResult(RSSB_3_3) = TRUE AND KS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 Wall.isStructuralMember) = FALSE
isObjectProperty( Wall.isPartitionWall) = TRUE
isObjectProperty( Wall.Structure.isMansoryStructure) = TRUE
}
getObjectHeight(myWall) <= 2m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43
24898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52조
제52조(보의 구조) 구조부재인 보는 복근(複筋)으로 배근하되, 주근(主筋)은 직경 12밀리미터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늑근(肋筋)은 직경 6밀리미터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그 배치간격은 보춤의 4분의 3이하 또는 450밀리미터 이하이어야 한다. <개정 2009.12.31>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52조 (보의 구조)
Check(RSSB_52){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 Beam.isStructuralMember)=True
}
KS{
getObjectProperty(Beam.MainReinforcement.diameter)>=12 mm
getObjectProperty(Beam."늑근".diameter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44
24900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54조
제54조(내력벽의 구조) 구조부재인 콘크리트벽체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2009.12.31>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54조 (내력벽의 구조)
Check(RSSB_54){
getResult(RSSB_3_3) = TRUE AND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 Wall.isStructuralMember)=True
getObjectProperty(Wall.material)="Concrete"
}
KS{
getResult(RSSB_54_0_1)=True
getResult(RSSB_54_0_2)=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45
19376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9조 3호
3. 높이 31미터를 넘는 층수가 4개층이하로서 당해 각층의 바닥면적의 합계 200제곱미터(벽 및 반자가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을 불연재료로 한 경우에는 500제곱미터)이내마다 방화구획으로 구획한 건축물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9조 (비상용승강기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건축물) 3호
Check(RFB_9_0_3){
KS
}
KS{
getBuildingHeight()>31 m
getBuildingStoriesCount()<=4
IF isObjectProperty( Wall.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isObjectProperty( CeilingCovering.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THEN isFirePartition(Floor, a,500)=TRUE
ELSE THEN isFirePartition(Floor, a,200)=TRUE
END IF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46
19380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0조 2호 나 목
나. 승강장은 각층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되, 그 출입구(승강로의 출입구를 제외한다)에는 갑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다만, 피난층에는 갑종방화문을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0조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2호 나목
Check(RFB_10_0_2_나){
KS1 AND IF !(CS) THEN KS2
}
Space mySpace{
hasObject(Floor,Space)=TRUE
isAccessible(Platform,Space) = TRUE
}
KS1{
isExist(mySpace)=TRUE
}
CS{
isAccessible(Platform, myFloor) = TRUE
}
KS2{
Door myDoor{
hasSpace(Platform, Door) =TRUE
hasSpace(mySpace, Door) =TRUE
Door != ElevatorShaft.Opening
}
isObjectProperty( myDoor.isStrictFireproofDoor)=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47
19381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0조 2호 다 목
다. 노대 또는 외부를 향하여 열 수 있는 창문이나 제14조제2항의 규정에 의한 배연설비를 설치할 것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0조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2호 다목
Check(RFB_10_0_2_다){
KS
}
KS{
Elevator myElevator{
isObjectProperty( Elevator.isEmergency)=TRUE
}
Window myWindow{
isObjectProperty( Window.isExternalDirection)=TRUE
}
SmokeExhaustionSystem mySmokeExhaustionSystem{
getResult(RFB_14_2) = TRUE
}
hasObject(myElevator.Platform,OpenFloorStructure) = TRUE
hasObject(myElevator.Platform, myWindow) = TRUE
isExist(mySmokeExhaustionSystem)=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48
19382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0조 2호 라 목
라. 벽 및 반자가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재료(마감을 위한 바탕을 포함한다)는 불연재료로 할 것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0조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2호 라목
Check(RFB_10_0_2_라){
KS
}
KS{
Elevator myElevator{
isObjectProperty( Elevator.isEmergency)=TRUE
}
isObjectProperty( myElevator.Platform.Wall.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isObjectProperty( myElevator.Platform.CeilingCovering.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49
19383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0조 2호 바 목
바. 승강장의 바닥면적은 비상용승강기 1대에 대하여 6제곱미터 이상으로 할 것. 다만, 옥외에 승강장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0조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2호 바목
Check(RFB_10_0_2_바){
IF !CS THEN KS
}
Elevator myElevator{
isObjectProperty( Elevator.isEmergency)=TRUE
}
CS{
isExternal(myElevator.Platform) = TRUE
}
KS{
EN = getObjectProperty(Elevator.numberOf)
getObjectProperty(myElevator.Platform.area) >= EN*6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50
19385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0조 3호 가 목
가. 승강로는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할 것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0조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3호 가목
Check(RFB_10_0_3_가){
KS
}
KS{
Elevator myElevator{
isObjectProperty( Elevator.isEmergency)=TRUE
}
isObjectProperty( myElevator.ElevatorShaft.isFirePartition)=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51
19386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0조 3호 나 목
나. 각층으로부터 피난층까지 이르는 승강로를 단일구조로 연결하여 설치할 것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0조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3호 나목
Check(RFB_10_0_3_나){
KS
}
KS{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 Floor.isEscape)=TRUE
}
ElevatorShaft myElevatorShaft1{
hasObject(Floor,ElevatorShaft)=TRUE
}
ElevatorShaft myElevatorShaft2{
hasObject(myFloor,ElevatorShaft)=TRUE
}
isConnectedTo(myElevatorShaf1t, myElevatorShaft2, SingleStructure)=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52
19388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3조 1 항 1호
1. 보일러는 거실외의 곳에 설치하되, 보일러를 설치하는 곳과 거실사이의 경계벽은 출입구를 제외하고는 내화구조의 벽으로 구획할 것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3조 (개별난방설비) 1항 1호
Check(RFB_13_1_1){
KS
}
KS{
hasSpace(Room, Boiler) = FALSE
Room myRoom{
hasSpace(Room, Boiler) = TRUE
}
Room myRoom2{
hasAdjacent(myRoom, Room) = TRUE
}
Wall myWall{
isPartitioned(myRoom, myRoom2, Wall) = TRUE
hasObject(Wall, Door.isEntrance) = FALSE
isObjectProperty( Wall.isfireResistantStructure) = TRUE
}
isExist(myWall)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53
19389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3조 1 항 2호
2. 보일러실의 윗부분에는 그 면적이 0.5제곱미터 이상인 환기창을 설치하고, 보일러실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에는 각각 지름 10센티미터 이상의 공기흡입구 및 배기구를 항상 열려있는 상태로 바깥공기에 접하도록 설치할 것. 다만, 전기보일러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3조 (개별난방설비) 1항 2호
Check(RFB_13_1_2){
IF CS THEN KS
}
CS{
isExist(Boiler) = TRUE
isObjectProperty( Boiler.isElectricBoiler) = FALSE
}
KS{
Ventilator myVentilator{
getObjectArea(Ventilator) >= 0.5cm2
}
Space mySpace{
getSpaceUsage(Space) = "BoilerRoom"
}
isInstalled(myVentilator, mySpace, a, top) = TRUE
AirInlet myAirInlet{
getObjectDiameter(AirInlet, b) >= 10cm
}
AirOutlet myAirOutlet{
getObjectDiameter(AirOutlet, b) >= 10cm
}
(isInstalled(myAirInlet, mySpace, a, top) = TRUE
OR isInstalled(myAirOutlet, mySpace, a, top) = TRUE)
(isInstalled(myAirInlet, mySpace, a, bottom) = TRUE
OR isInstalled(myAirOutlet, mySpace, a, bottom)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54
19390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3조 1 항 5호
5. 기름보일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기름저장소를 보일러실외의 다른 곳에 설치할 것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3조 (개별난방설비) 1항 5호
Check(RFB_13_1_5){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 Boiler.isOilBoiler) = FALSE
}
KS{
Space mySpace1{
getSpaceUsage(Space) = "BoilerRoom"
}
Space mySpace2{
getSpaceUsage(Space) = "OilStorageFacilities"
}
hasSpace(mySpace1, mySpace2) = FALS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55
19391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3조 1 항 6호
6. 오피스텔의 경우에는 난방구획마다 내화구조로 된 벽·바닥과 갑종방화문으로 된 출입문으로 구획할 것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3조 (개별난방설비) 1항 6호
Check(RFB_13_1_6){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 "Officetel"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 Wall.isfireResistantStructure)
}
FloorSlab myFloorSlab{
isObjectProperty( FloorSlab.isFireResistantStructure) = TRUE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 Door.isStrictFireproofDoor) = TRUE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 Zone.isHeatingSection) = TRUE
}
isPartitioned(myZone, myWall) = TRUE
OR isPartitioned(myZone, myFloorSlab) = TRUE
OR isPartitioned(myZone, myDoor)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56
19393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3조 2 항
②가스보일러에 의한 난방설비를 설치하고 가스를 중앙집중공급방식으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가스관계법령이 정하는 기준에 의하되, 오피스텔의 경우에는 난방구획마다 내화구조로 된 벽·바닥과 갑종방화문으로 된 출입문으로 구획하여야 한다. <신설 1999.5.11.>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3조 (개별난방설비) 2항
Check(RFB_13_2){
IF CS THEN KS
}
CS{
getBuildingUsage() = "Officetel"
}
KS{
Wall myWall{
isObjectProperty( Wall.isfireResistantStructure)
}
FloorSlab myFloorSlab{
isObjectProperty( FloorSlab.isFireResistantStructure) = TRUE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 Door.isStrictFireproofDoor) = TRUE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 Zone.isHeatingSection) = TRUE
}
isPartitioned(myZone, myWall) = TRUE
OR isPartitioned(myZone, myFloorSlab) = TRUE
OR isPartitioned(myZone, myDoor)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57
24916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6조
제6조(승강기의 구조) 법 제64조에 따라 건축물에 설치하는 승강기·에스컬레이터 및 비상용승강기의 구조는 「승강기시설 안전관리법」이 정하는 바에 따른다. <개정 2006.2.13, 2008.7.10, 2010.11.5>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6조 (승강기의 구조)
Check(RFB_6){
IF CS THEN KS
}
CS{
Elevator myElevator{
isObjectProperty( Elevator.isEmergency) = TRUE
}
isInstalled(Elevator) = TRUE
OR isInstalled(Escalator) = TRUE
OR isInstalled(myElevator) = TRUE
}
KS{
getResult(Unimplemented_EFSMA)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58
25133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4조 1 항
①영 제51조제2항에 따라 6층 이상의 건축물로서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의료시설, 교육연구시설 중 연구소, 노유자시설 중 아동관련시설·노인복지시설, 수련시설 중 유스호스텔, 운동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위락시설, 관광휴게시설 및 장례식장의 거실에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하게 배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피난층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1996.2.9,1999.5.11, 2002.8.31, 2009.12.31>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4조 (배연설비) 1항
Check(RFB_14_1){
IF (CS) THEN KS
}
CS {
isObjectProperty( Floor.isEscape) = FALSE
}
KS {
isExist(SmokeExhaustionSystem)=TRUE
getResult(RFB_14_1_1) = TRUE
AND getResult(RFB_14_1_2)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59
25134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4조 1 항 1호
1. 영 제46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에 방화구획이 설치된 경우에는 그 구획마다 1개소 이상의 배연창을 설치하되, 배연창의 상변과 천장 또는 반자로부터 수직거리가 0.9미터 이내일 것. 다만, 반자높이가 바닥으로부터 3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배연창의 하변이 바닥으로부터 2.1미터 이상의 위치에 놓이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4조 (배연설비) 1항 1호
Check(RFB_14_1_1){
IF (CS) THEN KS1 AND KS2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 Zone.isFirePartition) = TRUE
}
CS{
isObjectProperty( Building.isFirePartition) = TRUE
}
KS1{
hasSpace(myZone, SmokeVentilator) = TRUE
getObjectVerticalDistance(SmokeVentilator, Ceiling) < 0.9 m
OR getObjectVerticalDistance(SmokeVentilator, CeilingCovering) < 0.9 m
}
KS2{
IF{
getSpaceHeight(myZone, b) >= 3 m
}
THEN{
getObjectVerticalDistance(SmokeVentilator, FloorSlab) >= 2.1 m
}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60
25135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4조 1 항 2호
2. 배연창의 유효면적은 별표 2의 산정기준에 의하여 산정된 면적이 1제곱미터 이상으로서 그 면적의 합계가 당해 건축물의 바닥면적(영 제46조제1항 또는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방화구획이 설치된 경우에는 그 구획된 부분의 바닥면적을 말한다)의 100분의 1이상일 것. 이 경우 바닥면적의 산정에 있어서 거실바닥면적의 20분의 1 이상으로 환기창을 설치한 거실의 면적은 이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4조 (배연설비) 1항 2호
Check(RFB_14_1_2){
IF (CS) THEN (KS1 OR KS2)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 Zone.isFirePartition) = TRUE
}
Space mySpace{
getSpaceUsage(Space) = "Room"
getTotalElementArea(Ventilator) >= getFloorArea(Space)*0.05
}
Space mySpace2{
hasSpace(Space, myZone) = TRUE
getResult(EDBA_46_1) = TRUE
getREsult(EDBA_46_3) = TRUE
}
CS{
getElementArea(SmokeVentilator) >= 1 m2
getResult(RFB_*_2) = TRUE
}
KS1{
getTotalElementArea(Ventilator) >= (getBuildingArea()-getFloorArea(mySpace))*0.01
}
KS2{
getTotalElementArea(Ventilator) >= (getFloorArea(myZone)-getFloorArea(mySpace))*0.01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61
25139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4조 2 항
②특별피난계단 및 영 제90조제3항의 규정에 의한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에 설치하는 배연설비의 구조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1996.2.9, 1999.5.11>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4조 (배연설비) 2항
Check(RFB_14_2){
IF CS THEN KS
}
CS {
isObjectProperty( Stair.isSpecialEscape)=TRUE
OR isObjectProperty( Elevator.isEmergency)=TRUE
}
KS {
getResult(RFB_14_2_1) = TRUE
getResult(RFB_14_2_4)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62
25140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4조 2 항 1호
1. 배연구 및 배연풍도는 불연재료로 하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 원활하게 배연시킬 수 있는 규모로서 외기 또는 평상시에 사용하지 아니하는 굴뚝에 연결할 것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4조 (배연설비) 2항1호
Check(RFB_14_2_1){
Duct myDuct{
getObjectProperty(Duct.functionType) = "Exhaust"
}
isObjectProperty( SmokeExhaustionOpening.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isObjectProperty( myDuct.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isConnectedToExternal(SmokeExhaustionOpening) = TRUE
isConnectedToExternal(myDuct) = TRUE)
OR( isConnectedTo(SmokeExhaustionOpening,Chimney) = TRUE
isConnectedTo(myDuct,Chimney)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63
72659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0호 나 목
나. "효율”이라 함은 설비기기에 공급된 에너지에 대하여 출력된 유효에너지의 비를 말한다.
// 비상경보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 201) 4조 (비상벨설비 또는 자동식사이렌설비) 2항
Check(NFSC201_4_2){
KS
}
KS{
Floor myFloor{
hasSpace(Floor, SpecificFireFightingBuilding) = TRUE
}
AcousticSystem myAcousticSystem{
isObjectProperty( AcousticSystem.isForPublic) = TRUE
}
isInstalled(myAcousticSystem, myFloor) = TRUE
(getObjectDistance(myAcousticSystem, Wall.Structure.) <= 25m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64
72661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0호 라 목
라. "대수분할운전”이라 함은 기기를 여러 대 설치하여 부하상태에 따라 최적 운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기를 조합하여 운전하는 방식을 말한다.
// 비상경보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1) 4조 (비상벨설비 또는 자동식사이렌설비) 5항 1호
Check(NFSC201_4_5_1){
KS
}
KS{
Switch mySwitch{
isObjectProperty( Switch.ControlSwitch) = TRUE
isInstalled(Transmitter, Switch) = TRUE
}
getObjectVerticalLocation(FloorSlab, mySwitch) <= 1.5m
getObjectVerticalLocation(FloorSlab, mySwitch) >= 0.8m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65
72664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0호 사 목
사. "고효율원심식냉동기”라 함은 원심식냉동기 중 고효율인증제품 또는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가진 것을 말한다.
// 비상경보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1) 5조 (단독경보형감지기) 1호
Check(NFSC201_5_0_1){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Room myRoom{
getFloorArea(Room) <= 150m2
}
Room myRoom2{
isAdjacent(myRoom, Room) = TRUE
}
getFloorArea(myRoom2) <= 30m2
}
KS1{
Room myRoom{
getFloorArea(Room) <= 150m2
}
Room myRoom2{
isAdjacent(myRoom, Room) = TRUE
}
SelfcontainedTypeFireAlarmDevice mySelfcontainedTypeFireAlarmDevice{
hasSpace(myRoom, SelfcontainedTypeFireAlarmDevice) = TRUE
}
isExist(mySelfcontainedTypeFireAlarmDevice) = TRUE
}
CS2{
Room myRoom{
getFloorArea(Room) > 150m2
}
Room myRoom2{
isAdjacent(myRoom, Room) = TRUE
}
getFloorArea(myRoom2) <= 30m2
}
KS2{
Room myRoom{
getFloorArea(Room) > 150m2
}
Room myRoom2{
isAdjacent(myRoom, Room) = TRUE
}
Sensor mySensor{
isObjectProperty( Sensor.isSelfcontainedTypeFireAlarmDevice) = TRUE
hasSpace(myRoom, Sensor ) = TRUE
}
isInstalled(myRoom, mySelfcontainedTypeFireAlarmDevice, c, 150m2)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66
72665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0호 아 목
아. "심야전기를 이용한 축열·축냉시스템”이라 함은 심야시간에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저장하였다가 이를 난방, 온수, 냉방 등의 용도로 이용하는 설비로서 한국전력공사에서 심야전력기기로 인정한 것을 말한다.
// 비상경보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1) 5조 (단독경보형감지기) 2호
Check(NFSC201_5_0_2){
KS
}
KS{
Ceiling myCeiling{
hasSpace(Building.TopFloor.Stair.Space, Ceiling) = TRUE
}
Sensor mySensor{
isObjectProperty( Sensor.isSelfcontainedTypeFireAlarmDevice) = TRUE
}
isInstalled(myCeiling, mySensor)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67
72672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1호 나 목
나. "역률개선용콘덴서”라 함은 역률을 개선하기 위하여 변압기 또는 전동기 등에 병렬로 설치하는 콘덴서를 말한다.
//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 4조 (전원 및 콘센트 등) 5항 3호
Check(NFSC504_4_5_3){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ApartmentHouse"
}
Floor myFloor{
getFloorArea(Floor) < 1000m2
}
Floor myFloor2{
hasSpace(myBuilding, Floor) = TRUE
}
isExist(myFloor) = TRUE
OR isExist(myFloor2) = TRUE
}
KS1{
Door myDoor{
isObjectProperty( Door.isEntrance) = TRUE
}
getObjectDistance(myDoor.Stair.Space, EmergencyPowerOutlet) < 5m
OR getObjectDistance(myDoor.Stair.AncillaryRoom, EmergencyPowerOutlet) < 5m
}
CS2{
Building myBuilding{
getBuildingUsage() = "ApartmentHouse"
}
Floor myFloor{
getFloorArea(Floor) >= 1000m2
hasSpace(myBuilding, Floor) = FALSE
}
isExist(myFloor) = TRUE
}
KS2{
Door myDoor{
isObjectProperty( Door.isEntrance) = TRUE
}
getObjectDistance(myDoor.Stair.Space, EmergencyPowerOutlet) < 5m
OR getObjectDistance(myDoor.Stair.AncillaryRoom, EmergencyPowerOutlet) < 5m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68
72673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1호 다 목
다. "전압강하”라 함은 인입전압(또는 변압기 2차전압)과 부하측전압과의 차를 말하며 저항이나 인덕턴스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강하하는 전압을 말한다.
//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 4조 (전원 및 콘센트 등) 5항 3호 가목
Check(NFSC504_4_5_3_1){
IF CS THEN KS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 Door.isEntrance) = TRUE
}
Floor myFloor{
getFloorNumber(Floor) < 0
}
CS{
getFloorArea(myFloor) >= 3000m2
}
KS{
getObjectDistance(myDoor.Stair.Space, EmergencyPowerOutlet) > 25m
OR getObjectDistance(myDoor.Stair.AncillaryRoom, EmergencyPowerOutlet) > 25m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69
72686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2호 가 목
가. "신·재생에너지”라 함은「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촉진법」에서 규정하는 것을 말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2항 3호
Check(NFSC102_6_2_3){
KS
}
KS{
SprinklerSystem mySprinklerSystem{
isObjectProperty( SprinklerSystem.type) = "WetPipeSprinklerSystem"
}
(isObjectProperty( Ceiling.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OR isObjectProperty( Ceiling.Material.quasiNonCombustibility)=TRUE)
(isObjectProperty( CeilingCovering.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OR isObjectProperty( CeilingCovering.Material.quasiNonCombustibility)=TRUE)
isInstalled(mySprinklerSystem, Ceiling)=TRUE
isInstalled(mySprinklerSystem, CeilingCovering)=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70
72687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13호
13. "공공기관”이라 함은 산업통상자원부고시 「공공기관 에너지이용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에서 정한 기관을 말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2항 3호
Check(NFSC102_6_2_3){
KS
}
KS{
Pipe myPipe{
isObjectProperty( Pipe.usage) = "WaterSupplyPipe"
}
isObjectProperty( Pipe.isShared) = FALS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71
72691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5호
5. "고효율에너지기자재인증제품”(이하 "고효율인증제품”이라 한다)이라 함은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보급촉진에 관한규정」(이하 "고효율인증규정”이라 한다)에서 정한 기준을 만족하여 에너지관리공단에서 인증서를 교부받은 제품을 말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6항
Check(NFSC102_6_6){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OR (CS3 THEN KS3) OR (CS4 THEN KS4)
}
Port myPort{
Port.typeForWater = "IndoorFireHydrantDischarge"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 Pipe.isBranchLines) = TRUE
isConnectedTo(Pipe, myPort) = TRUE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 Pipe.isRiser) = TRUE
}
CS1{
getObjectProperty(myPipe.systemType) = "HoseReelHydrantSystem"
}
KS1{
getObjectProperty(myPipe.diameter) >= 25mm
}
CS2{
getObjectProperty(myPipe.systemType) != "HoseReelHydrantSystem"
}
KS2{
getObjectProperty(myPipe.diameter) >= 40mm
}
CS3{
getObjectProperty(myPipe2.systemType) = "HoseReelHydrantSystem"
}
KS3{
getObjectProperty(myPipe2.diameter) >= 32mm
}
CS4{
getObjectProperty(myPipe2.systemType) != "HoseReelHydrantSystem"
}
KS4{
getObjectProperty(myPipe2.diameter) >= 50mm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72
72692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6호
6. "완화기준”이라 함은 「건축법」,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및 「지방자치단체 조례」등에서 정하는 조경설치면적, 건축물의 용적률 및 높이제한 기준을 적용함에 있어 완화 적용할 수 있는 비율을 정한 기준을 말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7항
Check(NFSC503A_6_7){
IF CS THEN KS
}
CS{
Pipe.isShared(SimpleSprinklersystem.Pipe, 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Pipe) = TRUE
}
KS{
Pipe myPipe1{
isObjectProperty( Pipe.isRiser) = TRUE
}
Port myPort{
getObjectProperty(Port.typeForWater) = "Delivery"
Pipe myPipe2{
isConnectedTo(Pipe, myPort) = TRUE
}
isObjectProperty( myPipe1.diameter) >= 100 mm
getObjectProperty(myPipe2.diameter) >= 65 mm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73
72696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가 목
가. "거실”이라 함은 건축물 안에서 거주(단위 세대 내 욕실·화장실·현관을 포함한다)·집무·작업·집회·오락 기타 이와 유사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되는 방을 말하나, 특별히 이 기준에서는 거실이 아닌 냉·난방공간 또한 거실에 포함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9항
Check(NFSC503A_6_9){
KS
}
KS{
Valve myValve1{
isObjectProperty( Valve.isCheckValve) = TRUE
}
PP = getObjectProperty(Pump.shutoffPressure)
Valve myValve2{
isObjectProperty( Valve.isReliefVavle) = TRUE
isObjectProperty( Valve.reliefPressure) < PP
}
isInstalledInOrder(myValve1, Pipe, Pump) = TRUE
isObjectProperty( Pipe.diameter) >= 20mm
isInstalled(myValve2, Pipe)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74
72697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거 목
거. "투광부"라 함은 창, 문면적의 50% 이상이 투과체로 구성된 문, 유리블럭, 플라스틱패널 등과 같이 투과재료로 구성되며, 외기에 접하여 채광이 가능한 부위를 말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11항
Check(NFSC503A_6_11){
IF CS THEN KS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 Pipe.usage) = "WaterSupplyPipe"
}
Valve myValve1{
isObjectProperty( Valve.isShutoffValve) = TRUE
}
S{
isInstalled(myValve1,myPipe) = TRUE
isInstalled(myValve1,myPort) = FALSE
}
KS{
isObjectProperty( myValve1.isIndicatingValve) = TRUE
Valve myValve2{
isInstalled(Valve, Pump.Inlet) = TRUE
}
isObjectProperty( myValve2.isIndicatingValve) = TRUE
isObjectProperty( myValve2.isButterflyValve) = FALS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75
72699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너 목
너. "태양열취득률(SHGC)"이라 함은 입사된 태양열에 대하여 실내로 유입된 태양열취득의 비율을 말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13항 2호
Check(NFSC503A_6_13_2){
IF !CS THEN KS
}
CS{
isShared(HookingUpSprinklerSystem.Pipe, SprinklerSystem.Pipe, WaterSprayExtingushingSystem.Pipe, FoamExtinguishingSystem.Pipe) = TRUE
OR isShared(HookingUpSprinklerSystem.Pipe, FireDepartmentConnectionSystem.Pipe) = TRUE
}
KS{
Port myPort{
getObjectProperty(HookingUpSprinklerSystem.Port.typeForWater) = "FireDepartmentConnection"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 Pipe.isRiser)=TRUE
}
Vavle myValve{
isObjectProperty( Valve.isShutoffValve)= TRUE
}
isConnectedTo(myPort, Pipe) = TRUE
isConnectedTo(Pipe, myPipe) = TRUE
isInstalled(myValve, myPipe) = FALS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76
72701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더 목
더. "차양장치"라 함은 태양열의 실내 유입을 저감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하는 장치로서 설치위치에 따라 외부 차양과 내부 차양 그리고 유리간 사이 차양으로 구분된다. 가동 유무에 따라 고정식과 가변식으로 나눌 수 있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6조 (배관 등) 13항 4호
Check(NFSC503A_6_13_4){
KS{
Port myPort{
isObjectProperty( Port.typeForWater) = "FireDepartmentConnection"
}
(isObjectProperty( myPort.shapeType)="DoubleType"
isObjectProperty( myPort.diameter) = 65mm)
OR isObjectProperty( myPort.shapeType) = "SingleTyp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77
72703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러 목
러. "일사조절장치"라 함은 태양열의 실내 유입을 조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하는 장치를 말한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7조 (함 및 방수구 등) 2항 1호
Check(NFSC503A_7_2_1){
KS2 AND IF CS THEN KS1
}
KS2{
isInstalled(옥내소화전방수구, SpecificFireFightingBuilding.Floor.One) = TRUE
getElementDistance(SpecificFireFightingBuilding.Wall|SpecificFireFightingBuilding.Column, 옥내소화전방수구.One) <= 25m
}
CS{
getBuildingUsage() = "MultiUnitHouse"
}
KS2{
Door myDoor{
isObjectProperty( Door.isEntrance) = TRUE
}
Floor myFloor{
isInstalled(myDoor, Floor) = TRUE
}
Port myPort{
Port.typeForWater="IndoorFireHydrantDischarge"
}
isInstalled(myPort, myFloor.One)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78
72710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카 목
카. "방습층”이라 함은 습한 공기가 구조체에 침투하여 결로발생의 위험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투습도가 24시간당 30g/㎡ 이하 또는 투습계수 0.28g/㎡·h·㎜Hg 이하의 투습저항을 가진 층을 말한다.(시험방법은 한국산업규격 KS T 1305 방습포장재료의 투습도 시험방법 또는 KS F 2607 건축 재료의 투습성 측정 방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다만, 단열재 또는 단열재의 내측에 사용되는 마감재가 방습층으로서 요구되는 성능을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4조 (수원) 5항
Check(NFSC103_4_5){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 Tank.isWaterSource) = TRUE
(getResult(NFSC103_4_5_1) = FALSE
OR getResult(NFSC103_4_5_2) = FALSE)
}
KS{
isObjectProperty( Tank.isShared) = FALS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79
72711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타 목
타. "야간단열장치”라 함은 창의 야간 열손실을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단열셔터, 단열덧문으로서 총열관류저항(열관류율의 역수)이 0.4㎡·K/W 이상인 것을 말한다.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4조 (수원) 5항 1호
Check(NFSC103_4_5_1){
KS
}
Pump myPump{
isInstalled(Pump, SprinklerSystem) = TRUE
}
Valve myValve{
isObjectProperty( Valve.isFootValve) = TRUE
isInstalled(Valve, myPump) = TRUE
}
Valve myValve2{
isObjectProperty( Valve.isFootValve) = TRUE
Valve != myValve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 Pipe.isObsorptionPipe) = TRUE
}
Obsorption myObsorptionOpening{
isInstalled(ObsorptionOpening, myPipe) = TRUE
}
Obsorption myObsorptionOpening2{
ObsorptionOpening != myObsorptionOpening
}
KS{
getObjectVerticalLocation(myValve, myValve2) < 0
OR getObjectVerticalLocation(myObsorptionOpening, myOpsorptionOpening2) < 0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80
72712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5조 9호 파 목
파. "평균 열관류율”이라 함은 지붕(천창 등 투명 외피부위를 포함하지 않는다), 바닥, 외벽(창 및 문을 포함한다) 등의 열관류율 계산에 있어 세부 부위별로 열관류율값이 다를 경우 이를 면적으로 가중평균하여 나타낸 것을 말한다. 단, 평균열관류율은 중심선 치수를 기준으로 계산한다.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4조 (수원) 5항 2호
Check(NFSC103_4_5_2){
KS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 Pipe.isRiser) = TRUE
isInstalled(Pipe, SprinklerSystem) = TRUE
}
Tank myTank{
getObjectProperty(Tank.operationType) = "ElevatedWaterTank"
}
WaterSupplyOpening myWaterSupplyOpening{
isConnectedTo(WaterSupplyOpening, myPipe) = TRUE
}
WaterSupplyOpening myWaterSupplyOpening2{
WaterSupplyOpening != myWaterSupplyOpening
}
KS{
getObjectVerticalLocation(myWaterSupplyOpening, myWaterSupplyOpening2) < 0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81
72717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1호 가 1) 목
1) 지표면 아래 2미터를 초과하여 위치한 지하 부위(공동주택의 거실 부위는 제외)로서 이중벽의 설치 등 하계 표면결로 방지 조치를 한 경우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6조 (폐쇄형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유수검지장치) 3호
Check(NFSC103_6_0_3){
IF CS THEN KS1 ELSE KS2
}
CS{
Building myBuilding{
Building.usage = "MultiUnitHouse"
}
getObjectCount(Floor.One, SprinklerHead)<=10
OR isObjectProperty( myBuilding.isDuplexType)=True
}
KS1{
getObjectCount(SprinklerSystem.ProtectionZone.One.Floor )<=3
}
KS2{
getObjectCount(SprinklerSystem.ProtectionZone.One.Floor )<2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82
72721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1호 가 5) 목
5) 제5조제9호아목에 따른 방풍구조(외벽제외) 또는 바닥면적 150제곱미터 이하의 개별 점포의 출입문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7조 (개방형스프링클러설비의 방수구역 및 일제개방밸브) 1호
Check(NFSC103_7_0_1){
KS
}
KS{
Zone myZone{
isObjectProperty( Zone.isWaterProofingZone)=True
}
getObjectCount(myZonme.One.Floor)<2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83
72722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1호 나 목
나. 단열조치를 하여야 하는 부위의 열관류율이 위치 또는 구조상의 특성에 의하여 일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부위의 평균 열관류율값을 면적가중 계산에 의하여 구한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7조 (개방형스프링클러설비의 방수구역 및 일제개방밸브) 2호
Check(NFSC103_7_0_2){
KS
}
KS{
Zone myZone{
isObjectProperty( Zone.isWaterProofingZone)=True
}
Valve myValve{
isObjectProperty( Valve.isDelugeValve)=True
}
getObjectCount(myValve,myZone)>=1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84
72726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1호 다 3) 목
3) 구성재료의 열전도율 값으로 열관류율을 계산한 결과가 별표1의 부위별 열관류율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적합한 것으로 본다.(단, 각 재료의 열전도율 값은 한국산업규격 또는 국가공인시험기관의 KOLAS 인정마크가 표시된 시험성적서의 값을 사용하고, 표면열전달저항 및 중공층의 열저항은 이 기준 별표5 및 별표6에서 제시하는 값을 사용)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9조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1항 3호
Check(NFSC103_9_1_3){
KS
}
KS{
Zone myZone{
isObjectProperty( Zone.isProtectionZone) = TRUE
}
isInstalled(AcousticSystem, myZone) = TRUE
getElementDistance(myZone.Wall|myZone.Column, AcousticSystem.One) <= 25m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85
72729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1호 라 목
라. 별표1 건축물부위의 열관류율 산정을 위한 단열재의 열전도율 값은 한국산업규격 KS L 9016 보온재의 열전도율 측정방법에 따른 국가공인시험기관의 KOLAS 인정마크가 표시된 시험성적서에 의한 값을 사용하되 열전도율 시험을 위한 시료의 평균온도는 20±5℃로 한다.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9조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3항
Check(NFSC103_9_3){
IF CS THEN KS
}
CS{
getObjectProperty(WaterflowIndicator.type) = "PreactionWaterflowIndicator"
OR isObjectProperty( Valve.isDelugeValve) = TRUE
}
KS{
getResult(NFSC103_9_0_5)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86
72731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1호 바 목
바. 바닥난방을 하는 공간의 하부가 바닥난방을 하지 않는 공간일 경우에는 당해 바닥난방을 하는 바닥부위는 별표1의 최하층에 있는 거실의 바닥으로 보며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의 열관류율 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9조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3항 5호
Check(NFSC103_9_3_5){
IF (!CS1 AND CS2) THEN KS
}
CS1{
isInstalled(Transmitter, Building) = TRUE
isObjectProperty( Transmitter.systemType) = "자동화재탐지설비"
}
CS2{
isInstalled(Transmitter, FireDetector.Circuit) = TRUE
}
KS{
getResult(NFSC103_9_3_5_가) = TRUE
getResult(NFSC103_9_3_5_나)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87
72735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4호
4. 기밀 및 결로방지 등을 위한 조치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2항
Check(NFSC103_10_2){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Space.usage = "RackWarehouse"
isObjectProperty( Space.hasSpecialCombustible) = TRUE
}
KS1{
getObjectHeight(Rack) / 4 = RH
(RH-1) <= getObjectCount(SprinklerHead) < RH
getObjectInterval(SprinklerHead) = 4m
}
CS2{
Space.usage = "RackWarehouse"
isObjectProperty( Space.hasSpecialCombustible) != TRUE
}
KS2{
getObjectHeight(Rack) / 6 = RH
(RH-1) <= getObjectCount(SprinklerHead) < RH
getObjectInterval(SprinklerHead) = 6m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88
72737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4호 나 목
나. 방습층 및 단열재가 이어지는 부위 및 단부는 이음 및 단부를 통한 투습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조치하여야 한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3항 1호
check(NFSC103_10_3_1){
IF CS THEN KS
}
Space mySpace1{
Space.usage="StagePart"
OR isObjectProperty( Space.hasSpecialCombustible)=TRUE
}
CS{
isExist(PlenumSpace)=TRUE
}
KS{
getHorizontalDistance(Ceiling | CeilingCovering | mySpace2 | Duct | Shelf,SprinklerSystem.Head)<=1.7m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89
72738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4호 나 1) 목
1) 단열재의 이음부는 최대한 밀착하여 시공하거나, 2장을 엇갈리게 시공하여 이음부를 통한 단열성능 저하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조치할 것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3항 2호
check(NFSC103_10_3_2){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Space mySpace1{
Space.usage="RackWarehouse"
Space mySpace2{
Space.usage="RackWarehouse"
isObjectProperty( Space.hasSpecialCombustible)=TRUE
}
CS1{
isExist(mySpace1)=TRUE
}
KS1{
getHorizontalDistance(Ceiling|CeilingCovering|PlenumSpace|Duct|Shelf,SprinklerHead)<=2.5m
}
CS2{
isExist(mySpace2)=TRUE
}
KS2{
getHorizontalDistance(Ceiling|CeilingCovering|PlenumSpace|Duct|Shelf,SprinklerHead)<=1.7m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90
72752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6조 5호 나 목
나. 「건축법 시행령」별표1 제14호에 따른 연면적의 합계가 3,000제곱미터 이상인 업무시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0조 (헤드) 7항 6호
Check(NFSC103_10_7_6){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isObjectProperty( Opening.isFireSpreading)=TRUE
getObjectWidth(Opening, a) > 2.5m
}
KS2{
isInstalled(Opening, Sprinkler.Head, 2.5m) = TRUE
getElementDistance(Opening.InsideSurface, Sprinkler.Head) <= 15cm
}
CS2{
isObjectProperty( Opening.isFireSpreading)=TRUE
getObjectWidth(Opening, Sprinkler.Head, a) <= 2.5m
}
KS2{
isInstalled(Opening, Sprinkler.Head, center) = TRUE
getElementDistance(Opening.InsideSurface, Sprinkler.Head) <= 15cm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91
72759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7조 2호 나 목
나. 건축물의 체적에 대한 외피면적의 비 또는 연면적에 대한 외피면적의 비는 가능한 작게 한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1조 (송수구) 2호
Check(NFSC103_11_0_2){
IF CS THEN KS
}
CS{
Port myPort{
isObjectProperty( Port.typeForWater) = "FireDepartmentConnection"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 Pipe.isRiser)=TRUE
}
Valve myValve{
isObjectProperty( Valve.isShutoffValve)=TRUE
}
isConnectedTo(myPort,Pipe)=TRUE
isConnectedTo(Pipe,myPipe)=TRUE
isInstalled(Pipe, myValve) = TRUE
}
KS{
Space mySpace{
isObjectProperty( Space.usage) = "MachineRoom"
}
isExternal(myValve)=TRUE
OR hasSpace(mySpace,myValve)=TRUE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92
72760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7조 2호 다 목
다. 실의 용도 및 기능에 따라 수평, 수직으로 조닝계획을 한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11조 (송수구) 3호
check(NFSC103_11_0_3){
KS
}
KS{
isObjectProperty( Port.typeForWater) = "FireDepartmentConnection"
isObjectProperty( Port.shapeType)="DoubleType"
isObjectProperty( Port.diameter) = 65mm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93
72761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7조 3호
3. 단열계획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1조 (송수구) 5호
Check(NFSC103_11_0_5){
IF CS THEN KS
}
CS{
isObject(Sprinkler.Head.openAndCloseType) = "EnclosedType"
}
KS{
Port myPort{
isObjectProperty( Port.typeForWater)="FireDepartmentConnection"
}
Space mySpace{
isObjectProperty( Space.FloorSlab.area) = 3000m2
}
isInstalled(mySpace, myPort) = TRUE
getObjectCount(mySpace.One.myPort) >= 1
getObjectCount(myPort) <= 5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94
72762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7조 3호 가 목
가. 건축물 외벽, 천장 및 바닥으로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준에서 정하는 단열두께보다 두껍게 설치하여 단열부위의 열저항을 높이도록 한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1조 (송수구) 6호
Check(NFSC103_11_0_6){
KS
}
KS{
Port myPort{
isObjectProperty( Port.typeForWater) = "FireDepartmentConnection"
}
getObjectVerticalDistance(Ground, myPort, a) >= 0.5m
getObjectVerticalDistance(Ground, myPort, a) <= 1m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95
72775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7조 5호 나 목
나.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은 300㎡ 이내마다 1개소 이상의 외기와 직접 면하는 2㎡ 이상의 개폐가 가능한 천창 또는 측창을 설치하여 자연환기 및 자연채광을 유도한다. 다만, 지하2층 이하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5조 (헤드의 설치제외) 1항 5호
Check(NFSC103_15_1_5){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 Ceiling.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isObjectProperty( CeilingCovering.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
KS{
getResult(NFSC103_15_1_5_1) = TRUE
OR getResult(NFSC103_15_1_5_2)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96
72777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7조 5호 라 목
라. 창에 직접 도달하는 일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5조제9호러목에 따른 일사조절장치를 설치한다.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5조 (헤드의 설치제외) 1항 5호 나목
Check(NFSC103_15_1_5_2){
KS
}
KS{
Wall myWall{
isConnectedTo(Wall, Ceiling) = TRUE
isConnectedTo(Wall, CeilingCovering) = TRUE
}
isObjectProperty( myWall.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getObjectDistance(Ceiling, CeilingCovering) >= 2m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97
72778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7조 6호
6. 환기계획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5조 (헤드의 설치제외) 1항 6호
Check(NFSC103_15_1_6){
KS
}
KS{
(isObjectProperty( Ceiling.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isObjectProperty( CeilingCovering.Material.nonCombustibility) = FALSE)
OR (isObjectProperty( Ceiling.Material.nonCombustibility) = FALSE
isObjectProperty( CeilingCovering.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getObjectDistance(Ceiling, CeilingCovering) < 1m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98
72779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7조 6호 가 목
가. 외기에 접하는 거실의 창문은 동력설비에 의하지 않고도 충분한 환기 및 통풍이 가능하도록 일부분은 수동으로 여닫을 수 있는 개폐창을 설치하되, 환기를 위해 개폐 가능한 창부위 면적의 합계는 거실 외주부 바닥면적의 10분의 1 이상으로 한다.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5조 (헤드의 설치제외) 1항 7호
Check(NFSC103_15_1_7){
KS
}
KS{
isObjectProperty( Ceiling.Material.nonCombustibility) = FALSE
isObjectProperty( CeilingCovering.Material.nonCombustibility) = FALSE
getObjectDistance(Ceiling, CeilingCovering) < 0.5m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99
72786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8조 2호 나 목
나. 펌프는 한국산업규격(KS B 6318, 7501, 7505등) 표시인증제품 또는 KS규격에서 정해진 효율 이상의 제품을 설치하여야 한다.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5조 (헤드의 설치제외) 1항 13호 다목
Check(NFSC103_15_1_13_3){
KS
}
KS{
getBuildingUsage() = "ProcessingFactory"
isObjectProperty( Space.hasCombustible) = FALS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100
72787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8조 2호 다 목
다. 기기배관 및 덕트는 국토교통부에서 정하는 「건축기계설비공사표준시방서」의 보온두께 이상 또는 그 이상의 열저항을 갖도록 단열조치를 하여야 한다. 다만, 건축물내의 벽체 또는 바닥에 매립되는 배관 등은 그러하지 아니할 수 있다.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5조 (헤드의 설치제외) 1항 14호
Check(NFSC103_15_1_14){
KS
}
KS{
(getBuildingUsage() = "Indoor.TennisCourts"
OR getBuildingUsage() = "Indoor.게이트볼장"
OR getBuildingUsage() = "Indoor.정구장")
(getObjectProperty(Floor.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OR getObjectProperty(Floor.InteriorFinish.Material.quasiNonCombustibility) TRUE)
(getObjectProperty(Wall.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OR getObjectProperty(Wall.InteriorFinish.Material.quasiNonCombustibility) TRUE)
(getObjectProperty(Ceiling.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OR getObjectProperty(Ceiling.InteriorFinish.Material.quasiNonCombustibility) TRUE)
isObjectProperty( Space.hasCombustible) = FALSE
hasSpace(Auditorium, SportsFacility) = FALSE
getObjectProperty(Floor.number) > 0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