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72861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제 17조 1 항 2호
2. 조경면적 적용방법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8조 (배관 및 밸브) 13조 2
Check(NFSC103A_8_13_2){
IF(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Pipe myPipe1{
isObjectProperty(Pipe.isCrossMains ) = TRUE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
CS1{
getObjectInterval(myPipe2) <= 4.5m
}
KS1{
getObjectCountInInterval(Hanger, myPipe2) >= 1
isInstalled(Hanger, myPipe1) = TRUE
}
CS2{
getObjectInterval(myPipe2) > 4.5m
}
KS2{
isInstalled(Hanger, myPipe1, b, 4.5) = TRUE
getObjectCountInInterval(Hanger, myPipe2) >= 1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2
19932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5조 6 항
⑥가지배관 또는 교차배관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가지배관의 배열은 토너멘트방식이 아니어야 하며, 가지배관은 교차배관 또는 주배관에서 분기되는 지점을 기점으로 한 쪽 가지배관에 설치되는 헤드의 개수는 8개 이하로 하여야 한다.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5조 (배관 등) 6항
Check(NFSC503_5_6){
IF CS THEN KS
}
Pipe myPipe1{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CrossMains ) = TRUE
}
Pipe myPipe3{
isObjectProperty(Pipe.isRiser) = TRUE
}
CS{
isInstalled(myPipe1) = TRUE
OR isInstalled(myPipe2) = TRUE
}
KS{
Head myHead{
isInstalled(Head, myPipe1.DivergedSide.One) = TRUE
}
isObjectProperty(myPipe1.tournamentArrangement) = FALSE
getObjectCount(myHead) <= 8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3
19934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5조 9 항
⑨연결살수설비 교차배관의 위치·청소구 및 가지배관의 헤드설치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른다. <개정 2012.8.20>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5조 (배관 등) 9항
Check(NFSC503_5_9){
IF CS THEN KS
}
CS{
Pipe myPipe1{
isObjectProperty(Pipe.isCrossMains ) = TRUE
isObjectProperty(Pipe.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isObjectProperty(Pipe.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CleanOut myCleanOut{
isObjectProperty(CleanOut.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isInstalled(myPipe1) = TRUE
OR isInstalled(myPipe2.Head) = TRUE
OR (isInstalled(myCleanOut) = TRUE
}
KS{
getResult(NFSC503_5_9_1) = TRUE
getResult(NFSC503_5_9_2) = TRUE
getResult(NFSC503_5_9_3)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4
19935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5조 9 항 1호
1. 교차배관은 가지배관과 수평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가지배관 밑에 설치하고, 그 구경은 제2항에 따르되, 최소구경이 40㎜ 이상이 되도록 할 것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5조 (배관 등) 9항 1호
Check(NFSC503_5_9_1){
KS
}
KS{
Pipe myPipe1{
isObjectProperty(Pipe.isCrossMains ) = TRUE
isObjectProperty(Pipe.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isObjectProperty(Pipe.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isParallel(myPipe1, myPipe2) = TRUE
OR getObjectVerticalLocation(myPipe1, myPipe2) < 0)
getObjectDiameter(myPipe1) >= 40mm
getResult(NFSC503_5_2) = 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5
19936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5조 9 항 2호
2. 폐쇄형헤드를 사용하는 연결살수설비의 청소구는 주배관 또는 교차배관(교차배관을 설치하는 경우에 한한다) 끝에 40㎜ 이상 크기의 개폐밸브를 설치하고, 호스접결이 가능한 나사식 또는 고정배수 배관식으로 할 것. 이 경우 나사식의 개폐밸브는 옥내소화전 호스접결용의 것으로 하고, 나사보호용의 캡으로 마감하여야 한다.
//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5조 (배관 등) 9항 2호
Check(NFSC503_5_9_2){
IF CS THEN KS
}
CS{
Head myHead{
isObjectProperty(Head.openAndCloseType)="EnclosedType"
}
isObjectProperty(myHead.systemType) = "HookingUpSprinklerSystem"
}
KS{
Pipe myPipe1{
isObjectProperty(Pipe.isRiser) = TRUE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CrossMains ) = TRUE
}
Valve myValve{
isObjectProperty(Valve.isShutoffValve) = TRUE
getObjectLength(Valve) >= 40mm
}
getObjectProperty(myValve.Type) = "나사식"
getObjectProperty(myValve.usage) = "옥내소화전 호스접결용"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6
19940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제 5조 10 항 2호
2. 교차배관에는 가지배관과 가지배관사이마다 1개 이상의 행가를 설치하되, 가지배관 사이의 거리가 4.5 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4.5 m 이내마다 1개 이상 설치할 것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5조 (배관 등) 10항 2호
Check(NFSC503_5_10_2){
KS
}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CrossMains )=True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True
}
KS{
isInstalled(Hanger, myPipe, "가지배관 사이")=True
IF getObjectDistance(myPipe2)>4.5 m
THEN isInstalled(Hanger, myPipe, 4.5 m)=True
END IF
getResult(NFSC503_5_10_3)=True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
7
20109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제 4조 7 항 2호
2. 교차배관에는 가지배관과 가지배관 사이마다 1개 이상의 행가를 설치하되, 가지배관 사이의 거리가 4.5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4.5m 이내마다 1개 이상 설치할 것
//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4조 (배관) 7항 2호
Check(NFSC506_4_7_2){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getObjectInterval(Pipe) <= 4.5m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CrossMains ) = TRUE
}
isConnectedTo(myPipe, myPipe2) = TRUE
}
KS1{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getObjectInterval(Pipe) <= 4.5m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CrossMains ) = TRUE
}
Hanger myHanger{
isInstalled(Hanger, myPipe2) = TRUE
}
getObjectCountInInterval(myHanger,myPipe) >=1
}
CS2{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getObjectInterval(Pipe) > 4.5m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CrossMains ) = TRUE
}
isConnectedTo(myPipe, myPipe2) = TRUE
}
KS2{
Pipe myPipe{
isObjectProperty(Pipe.isBranchLines) = TRUE
getObjectInterval(Pipe) > 4.5m
}
Pipe myPipe2{
isObjectProperty(Pipe.isCrossMains ) = TRUE
}
Hanger myHanger{
isInstalled(Hanger, myPipe2) = TRUE
}
getObjectCountInInterval(myHanger,myPipe) >=1
getObjectInterval(myPipe) = OIP
OIP/4.5 = OIPP
(OIPP-1) <= getObjectCountInInterval(Hanger, myHead) < OIPP
getObjectInterval(Hanger) = 4.5m
}
Python Code 변환 예정
Modif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