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동주택등의 출입구와 위락시설등의 출입구는 서로 그 보행거리가 30미터 이상이 되도록 설치할 것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의2 (복합건축물의 피난시설 등) 1호
Check(REFB_14-2_0_1){
KS
}
KS{
Space mySpace{
Space.usage="MultiUnitHouse"
OR Space.usage="MedicalFacility"
OR Space.usage="ChildrenRelatedFacility"
OR Space.usage="WelfareFacilityForTheAged"
}
Space mySpace2{
Space.usage="AmusementFacility"
OR Space.usage="FacilityForStorageAndTreatmentOfDangerousSubstance"
OR Space.usage="Factory"
OR Space.usage="AutomobileRepairShop"
}
getSpaceDiatance(mySpace.Door, mySpace2.Door)>=30 m
}
2. 공동주택등(당해 공동주택등에 출입하는 통로를 포함한다)과 위락시설등(당해 위락시설등에 출입하는 통로를 포함한다)은 내화구조로 된 바닥 및 벽으로 구획하여 서로 차단할 것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의 2 (복합건축물의 피난시설 등) 2호
Check(REFB_14-2_0_2){
KS
}
KS{
Space mySpace{
Space.usage="MultiUnitHouse"
OR Space.usage="MedicalFacility"
OR Space.usage="ChildrenRelatedFacility"
OR Space.usage="WelfareFacilityForTheAged"
}
Space mySpace2{
Space.usage="AmusementFacility"
OR Space.usage="FacilityForStorageAndTreatmentOfDangerousSubstance"
OR Space.usage="Factory"
OR Space.usage="AutomobileRepairShop"
}
Passage myPassage{
isAccessible(Passage, mySpace)=True
OR isAccessible(Passage, mySpace2)=True
}
isFirePartition(mySpace)=True
isFirePartition(mySpace2)=True
isFirePartition(myPassage)=True
}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의2 (복합건축물의 피난시설 등) 3호
Check(REFB_14-2_0_3){
KS
}
KS{
Space mySpace{
Space.usage="MultiUnitHouse"
OR Space.usage="MedicalFacility"
OR Space.usage="ChildrenRelatedFacility"
OR Space.usage="WelfareFacilityForTheAged"
}
Space mySpace2{
Space.usage="AmusementFacility"
OR Space.usage="FacilityForStorageAndTreatmentOfDangerousSubstance"
OR Space.usage="Factory"
OR Space.usage="AutomobileRepairShop"
}
isAdjacent(mySpace, mySpace2)=False
}
5. 거실의 벽 및 반자가 실내에 면하는 부분(반자돌림대ㆍ창대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을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의 마감은 불연재료ㆍ준불연재료 또는 난연재료로 하고, 그 거실로부터 지상으로 통하는 주된 복도ㆍ계단 그밖에 통로의 벽 및 반자가 실내에 면하는 부분의 마감은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로 할 것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의2 (복합건축물의 피난시설 등) 5호
Check(REFB_14-2_0_5){
KS
}
KS{
Object myObject{
getObject(Room.wall)
getObject(Room.CeilingCovering)
}
Corridor myCorridor{
isGoThrough(Room, Corridor, Ground )=True
}
Stair myStair{
isGoThrough(Room,Stair, Ground )=True
}
Passage myPassage{
isGoThrough(Room,Passage, Ground )=True
}
Space mySpace{
Space.usage==myCorridor.usage
OR Space.usage==myStair.usage
OR Space.usage=myPassage.usage
}
Object myObject2{
getObject(mySpace.wall)
getObject(mySpace.CeilingCovering)
}
( isObjectProperty(myObject.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OR isObjectProperty(myObject.InteriorFinish.Material.quasiNonCombustibility)=True
OR isObjectProperty(myObject.InteriorFinish.Material.flameResistance)= True
)
isObjectProperty(myObject2.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OR isObjectProperty(myObject2.InteriorFinish.Material.quasiNonCombustibility)=True
}
③영 제35조제1항에 따른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은 돌음계단으로 하여서는 아니되며, 영 제40조에 따라 옥상광장을 설치하여야 하는 건축물의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은 해당 건축물의 옥상으로 통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이 경우 옥상으로 통하는 출입문은 피난방향으로 열리는 구조로서 피난시 이용에 장애가 없어야 한다. <개정 2010.4.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3항
Check(REFB_9_3) {
KS
}
KS {
Stair myStair1{
isObjectProperty(Stair.isEscape)=TRUE
OR isObjectProperty(Stair.isSpecialEscape)=TRUE
}
Space mySpace{
getObjectProperty(Space.usage) = “RooftopPlaza”
}
hasObject(Rooftop, mySpace)=TRUE
}
Stair myStair2{
hasObject(mySpace.Building,myStair1)=TRUE
}
getObjectProperty(myStair.type)!= “WindingStair”
isAccessible(myStair2,mySpace)=TRUE
isEgressDirection(mySpace.Door) = TRUE
}
제37조 (지하층과 피난층 사이의 개방공간 설치) 바닥면적의 합계가 3천 제곱미터 이상인 공연장·집회장·관람장 또는 전시장을 지하층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 실에 있는 자가 지하층 각 층에서 건축물 밖으로 피난하여 옥외 계단 또는 경사로 등을 이용하여 피난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천장이 개방된 외부 공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Check(EDBA_37){
IF (CS) THEN KS END IF
Space mySpace{
Space.Floor.area > 3000 M2;
Space.usage="PerformanceHall"
OR Space.usage="AssemblyHall"
OR Space.usage="Auditorium"
OR Space.usage="ExhibitionHall"
}
}
CS{
mySpace.Floor.number< 0
}
KS{
Stair myStair{
Stair.isOutdoor = TRUE
}
Floor myFloor{
Floor.isEscape = TRUE
}
Space mySpace{
hasObject(Space, Ceiling) != TRUE
}
(isGoThrough(mySpace, myStair, myFloor)=True
OR isGoThrough(mySpace, Ramp, myFloor)=True)
AND isExternal(mySpace)=True
}
std_area = 3000
std_area_label = '기준 바닥면적 합계'
def Check():
for building in SELECT('building'):
bldg_use = building.SELECT('building type').STRING()
sub_use = building.SELECT('prop', '세부용도').STRING()
if not (bldg_use == '문화 및 집회시설' and sub_use in ['공연장', '집회장', '관람장', '전시장']):
continue
base_storey_exist = False
under_stories = []
for storey in building.SELECT('storey'):
if storey.SELECT('prop', '기준 지상층').BOOL():
base_storey_exist = True
break
under_stories.append(storey)
if base_storey_exist == False:
building.ERROR('지상층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continue
if len(under_stories) == 0:
continue
area_sum = 0.0
ex_spaces = []
for storey in under_stories:
for space in storey.SELECT('space'):
area_sum += space.SELECT('area').UNIT('m2').NUMBER()
if space.SELECT('is external').BOOL():
ex_spaces.append(space)
if area_sum < std_area:
building.SUCCESS('지하공간 바닥면적 합: ' + str(area_sum) + ' < ' + str(std_area))
continue
if len(ex_spaces) == 0:
building.ERROR('지하에 천장이 개방된 외부 공간이 없습니다.')
continue
for space in ex_spaces:
for stair in space.SELECT('stair'):
if stair.SELECT('is direct').BOOL():
space.SUCCESS('피난층으로 대피할 수 있는 외부 공간이 존재합니다.')
return
ex_spaces[0].ERROR('피난층으로 대피할 수 없습니다.')
① 법 제50조제1항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건축물(제5호에 해당하는 건축물로서 2층 이하인 건축물은 지하층 부분만 해당한다)의 주요구조부는 내화구조로 하여야 한다. 다만, 연면적이 50제곱미터 이하인 단층의 부속건축물로서 외벽 및 처마 밑면을 방화구조로 한 것과 무대의 바닥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09.6.30>
//건축법 시행령 56조 (건축물의 내화구조) 1항
check(EDBA_56_1){
IF !CS THEN KS
}
Space mySpace{
Space.usage="StagePart"
}
Floor myFloor{
hasSpace(mySpace, Floor) = TRUE
}
CS {
getTotalFloorArea()<= 50m2
AND getBuildingStoriesCount()=1
AND getBuildingUsage()="AccessoryBuidling"
AND isFireProofStructure("OuterWall" | "eaves" | myFloor)=TRUE
}
KS {
getResult(EDBA_56_1_1 = TRUE
OR getResult(EDBA_56_1_2) = TRUE
OR getResult(EDBA_56_1_3) = TRUE
OR getResult(EDBA_56_1_4) = TRUE
OR getResult(EDBA_56_1_5) = TRUE
AND isFireProofStructure(MainStructuralPart) = TRUE
}
① 건축물의 피난층(직접 지상으로 통하는 출입구가 있는 층을 말한다. 이하 같다) 외의 층에서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경사로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을 거실의 각 부분으로부터 계단(거실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계단을 말한다)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30미터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건축물(지하층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제곱미터 이상인 공연장·집회장·관람장 및 전시장은 제외한다)의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은 그 보행거리가 50미터(층수가 16층 이상인 공동주택은 40미터) 이하가 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자동화 생산시설에 스프링클러 등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공장으로서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공장인 경우에는 그 보행거리가 75미터(무인화 공장인 경우에는 100미터) 이하가 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개정 2009.7.16>
// 건축법 시행령 34조 (직통계단의 설치) 1항
Check(EDBA_34_1){
KS
}
KS{
Floor myFloor{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Space mySpace{
getObjectProperty(Space.usage)="PerformanceHall"
OR getObjectProperty(Space.usage)="AssemblyHall"
OR getObjectProperty(Space.usage)="Auditorium"
OR getObjectProperty(Space.usage)="ExhibitionHall"
}
Door myDoor{
isDirectlyAccessible(Door, Ground)=TRUE
}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TRUE
isAccessible(Stair,myFloor)=TRUE
OR isAccessible(Stair,Ground)=TRUE
}
Ramp myRamp{
isAccessible(Ramp,myFloor)=TRUE
OR isAccessible(Ramp,Ground)=TRUE
}
Floor myFloor2{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FALSE
OR hasObject(Floor, myDoor)=FALSE
}
Zone myZone{
isDirectlyAccessible(myStair, Zone)=FALSE
}
IF
getFloorNumber(mySpace)>0
getFloorArea(mySpace)<=300 m2
isFireResistantStructure(MainStructuralPart)=TRUE
OR isObjectProperty(MainStructuralPart.Material.nonCombustibility)=TRUE
THEN IF getBuildingStoriesCount()>=16
getBuildingUsage()="MultiUnitHouse"
THEN ED= 40
ELSE THEN ED=50
END IF
ELSE IF
getBuildingUsage() = "Factory"
isExist(ExtinguishingSystem)=TRUE
isObjectProperty(ExtinguishingSystem.isAutomatic)=TRUE
getResult(REFB_8_2)=TRUE
THEN IF getBuildingUsage() = "UnmannedFactory"
THEN ED=100
ELSE THEN ED=75
END IF
ELSE THEN ED=30
END IF
(hasObject(myFloor,myStair)=TRUE
hasObject(myZone, myStair)=TRUE
getObjectDistance(Room,myStair, 1)<=ED)
OR
(hasObject(myFloor,myRamp)=TRUE
hasObject(myZone, myRamp)=TRUE
getObjectDistance(Room,myRamp, 1)<=ED)
}
max_route_length = 30
def Check():
evac_storey_exist = False
stories = SELECT('storey')
for storey in stories:
if storey.SELECT('is evacuation storey').BOOL() == True:
evac_storey_exist = True
break
if evac_storey_exist == False:
ERROR('피난층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return
for storey in stories:
if storey.SELECT('is evacuation storey').BOOL() == True:
continue
stairs = storey.SELECT('direct stair')
if stairs.COUNT() == 0:
storey.ERROR(storey.SELECT('name').STRING() + '에 직통계단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continue
for space in storey.SELECT('space'):
route_length = -1
for route in space.SELECT('escape route', stairs):
length = route.SELECT('length').UNIT('m').NUMBER()
if length > 0:
if route_length < 0:
route_length = length
else:
route_length = min([route_length, length])
if route_length < 0:
space.ERROR(space.SELECT('name').STRING() + '부터 직통계단까지 갈 수 없다.')
elif route_length > max_route_length:
space.ERROR(space.SELECT('name').STRING() + '부터 직통계단까지의 거리가 멀다 : ' + str(route_length))
else:
space.SUCCESS(space.SELECT('name').STRING() + ' : ' + str(route_length))
5.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제6호ㆍ제6호의2ㆍ제7호 및 제8호의 게임제공업ㆍ인터넷컴퓨터게임시설제공업 및 복합유통게임제공업. 다만, 게임제공업 및 인터넷컴퓨터게임시설제공업의 경우에는 영업장(내부계단으로 연결된 복층구조의 영업장은 제외한다)이 지상 1층 또는 지상과 직접 접하는 층에 설치되고 그 영업장의 주된 출입구가 건축물 외부의 지면과 직접 연결된 구조에 해당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2조 (다중이용업) 5호
Check(ERSASP_2_0_5){
KS1 AND IF CS THEN !KS2
}
KS1{
getObjectProperty(Building.business)= "GIPA_2_0_6"
OR getObjectProperty(Building.business)= "GIPA_2_0_6-2"
OR getObjectProperty(Building.business)= "GIPA_2_0_7"
OR getObjectProperty(Building.business)= "GIPA_2_0_8"
}
CS{
getObjectProperty(Building.business)= "GIPA_2_0_6"
OR getObjectProperty(Building.business)= "GIPA_2_0_7"
}
KS2{
Space mySpace{
Space.usage = "GIPA_2_0_6"
OR Space.usage = "GIPA_2_0_7"
}
Floor myFloor{
hasObject(Floor,mySpace)=TRUE
}
Door myDoor{
isObjectProperty(mySpace.Door.isEntrance)=TRUE
}
(getObjectProperty(myFloor.number)=1
OR isDirectlyAccessible(myFloor, Ground)=TRUE)
isConnectedToExternal(myDoor)=TRUE
}
1. 삭제 <2006.1.19>
2. 공원<표-EDCDAPA_*_2_T1>
(편의시설의 종류
:설치기준)
가. 장애인 등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
:공원 외부에서 내부로 이르는 출입구는 주출입구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장애인등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유효폭·형태 및 부착물 등을 고려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나. 장애인등의 통행이 가능한 보도
:공원시설(공중이 직접 이용하는 시설에 한한다)에 접근할 수 있는 공원안의 보도중 적어도 하나는 장애인등이 통행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