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주요구조부(바닥·지붕틀 및 주계단은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가 목구조인 건축물은 지붕높이 18미터 이하, 처마높이 15미터 이하 및 연면적 3,000제곱미터 이하로 하여야 한다. 다만, 스프링클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연면적을 6,000제곱미터까지 허용할 수 있다.
5. 측면 낙뢰를 방지하기 위하여 높이가 60미터를 초과하는 건축물 등에는 지면에서 건축물 높이의 5분의 4가 되는 지점부터 최상단부분까지의 측면에 수뢰부를 설치하여야 하며, 지표레벨에서 최상단부의 높이가 150미터를 초과하는 건축물은 120미터 지점부터 최상단부분까지의 측면에 수뢰부를 설치할 것. 다만, 건축물의 외벽이 금속부재(部材)로 마감되고, 금속부재 상호간에 제4호 후단에 적합한 전기적 연속성이 보장되며 피뢰시스템레벨 등급에 적합하게 설치하여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20 (피뢰설비) 5호
Check(RFB_20_0_5){
IF(CS1 THEN KS1) OR (CS2 THEN KS2)
}
CS1{
getBuildingHeight() > 60m
}
KS1{
BH1 = getBuildingHeight()
isInstalled(Terminal, Building, a, side) = TRUE
getObjectVerticalDistance(Ground, Terminal, a) >= BH1 * 4/5
getObjectVerticalDistance(Ground, Terminal, a) < BH1
}
CS2{
getBuildingHeight() > 150m
}
KS2{
BH2 = getBuildingHeight()
isInstalled(Terminal, Building, a, side) = TRUE
getObjectVerticalDistance(Ground, Terminal, a) >= 120m
getObjectVerticalDistance(Ground, Terminal, a) < BH2
}
1. 영 제46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에 방화구획이 설치된 경우에는 그 구획마다 1개소 이상의 배연창을 설치하되, 배연창의 상변과 천장 또는 반자로부터 수직거리가 0.9미터 이내일 것. 다만, 반자높이가 바닥으로부터 3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배연창의 하변이 바닥으로부터 2.1미터 이상의 위치에 놓이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14조 (배연설비) 1항 1호
Check(RFB_14_1_1){
IF (CS) THEN KS1 AND KS2
}
Zone myZone{
isObjectProperty(Zone.isFirePartition) = TRUE
}
CS{
isObjectProperty(Building.isFirePartition) = TRUE
}
KS1{
hasSpace(myZone, SmokeVentilator) = TRUE
getObjectVerticalDistance(SmokeVentilator, Ceiling) < 0.9 m
OR getObjectVerticalDistance(SmokeVentilator, CeilingCovering) < 0.9 m
}
KS2{
IF{
getSpaceHeight(myZone, b) >= 3 m
}
THEN{
getObjectVerticalDistance(SmokeVentilator, FloorSlab) >= 2.1 m
}
}
마. "최상층에 있는 거실의 반자 또는 지붕”이라 함은 최상층으로서 거실인 경우의 반자 또는 지붕을 말하며, 기타 층으로서 거실의 반자 또는 지붕 부위가 외기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면한 부위를 포함한다. 다만, 복합용도의 건축물인 경우에는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공간과 접하는 부위를 최상층에 있는 거실의 반자 또는 지붕으로 볼 수 있다.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7조 (함 및 방수구 등) 2항 2호
Check(NFSC503A_7_2_2){
KS
}
KS{
Port myPort{
Port.typeForWater="IndoorFireHydrantDischarge"
}
getObjectVerticalLocation(myPort, FloorSlab) > 0
getObjectVerticalDistance(FloorSlab, myPort) <= 1.5m
}
3) 단열부위가 만나는 모서리 부위는 방습층 및 단열재가 이어짐이 없이 시공하거나 이어질 경우 이음부를 통한 단열성능 저하가 최소화되도록 하며, 알루미늄박 또는 플라스틱계 필름 등을 사용할 경우의 모서리 이음부는 150㎜이상 중첩되게 시공하고 내습성 테이프, 접착제 등으로 기밀하게 마감할 것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10조 (헤드) 8항
check(NFSC103_10_8){
(IF !(CS1) THEN KS1) or (IF CS1 THEN KS2)
}
KS1{
Beam myBeam{
hasObject(SpecificFireFightingBuilding, Beam) = TRUE
}
getElementDistance(myBeam, SprinklerHead, 1) = TRUE
//Table
getElementDistance(SprinklerHead.Deflector, Beam, a) + getObjectWidth(SprinklerHead.Deflector)*0.5 = SBD
getObjectVerticalDistance(SprinklerHead.Deflector, Beam.BottomSurface, a) = SHD
IF SBD < 0.75 m
THEN SHD < getObjectHeight(Beam.BottomSurface)
IF 0.75 m <= SBD < 1 m
THEN SHD < 0.1 m
IF 1 m <= SBD < 1.5 m
THEN SHD < 0.15 m
IF SBD >= 1.5 m
THEN SHD < 0.3 m
}
CS1{
getObjectDistance(Ceiling.Surface, Beam.BottomSurface) > 55 cm
getObjectDistance(Beam.BottomSideSurface, SprinklerHead) = OD
OD <= getElementDistance(SprinklerHead, c)*0.5
}
KS2{
getObjectDistance(SprinklerHead, SprinklerHead.AttachingToSurface) <= 55 cm
}
1. 높이가 3미터를 넘는 계단에는 높이 3미터이내마다 너비 1.2미터 이상의 계단참을 설치할 것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5조 (계단의 설치기준) 1항1호
check(REFB_15_1_1){
IF CS THEN KS
}
CS{
getObjectHeight(Stair)>3 m
}
KS{
isExist(StairLanding )= TRUE
getPaceWidth(StairLanding>=1.2 m
getObjectCount(StairLanding)>=getObjectCount(getObjectCount(StairLanding))/3
IF getObjectCount(StairLanding)>1
THEN getObjectVerticalDistance(StairLanding ,StairLanding)>3 m
END IF
}
def Check():
for building in SELECT('building'):
for stair in building.SELECT('stair'):
st_h = stair.SELECT('height').UNIT('m')
st_h_num = height.NUMBER()
if st_h_num >= 3:
elv1 = stair.SELECT('elevation').UNIT('m').NUMBER()
elv2 = elv1
for width in stair.SELECT("clear landing width"):
elv2 = width.SELECT('elevation').UNIT('m').NUMBER()
if elv2 - elv1 > 3:
stair.ERROR('3m 이내마다 계단참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breaker = True
break
elv1 = elv2
w = width.UNIT('m').NUMBER()
if w < min_w:
width.ERROR('계단참 유효너비: ' + str(w) + ' < ' + str(min_w))
else:
width.SUCCESS('계단참 유효너비: ' + str(w) + ' >= ' + str(min_w))
다. 바닥으로부터 높이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다만, 지하층 또는 무창층의 용도가 도매시장·소매시장·여객자동차터미널·지하역사 또는 지하상가인 경우에는 복도·통로 중앙부분의 바닥에 설치하여야 한다.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nfsc 303) 6조 (통로유도등 설치기준) 1항 1호 다목
Check(NFSC303_6_1_1_다){
KS
}
KS{
Floor myFloor{
getFloorNumber()<0
OR hasObject(Floor, Window)=False
}
IF getFloorUsage(myFloor)="WholesaleMarket"
OR getFloorUsage(myFloor)="RetailMarket"
OR getFloorUsage(myFloor)="PassengerVehicleTransportTerminal"
OR getFloorUsage(myFloor)="UndergroundStation"
OR getFloorUsage(myFloor)="UndergroundShoppingCenter"
THEN // 복도·통로 중앙부분의 바닥에 설치하여야 한다.
ELSE THEN
getObjectVerticalDistance(FloorSlab, LeadingLightForCorridors )<= 1 m
}
1. 장애인등의 통행이 가능한 접근로
가. 유효폭 및 활동공간
(1) 휠체어사용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접근로의 유효폭은 1.2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휠체어사용자가 다른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과 교행할 수 있도록 50미터마다 1.5미터×1.5미터 이상의 교행구역을 설치할 수 있다.
(3) 경사진 접근로가 연속될 경우에는 휠체어사용자가 휴식할 수 있도록 30미터마다 1.5미터×1.5미터 이상의 수평면으로 된 참을 설치할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편의시설의 구조·재질등에 관한 세부기준(제2조제1항관련)
Check(ERCDAPA_2_1_*_1_4_나_1){
IF (CS1 THEN KS1) OR (CS2 THEN KS2)
ParkingUnit myParkingUnit{
isObjectProperty(ParkingUnit.isParallelParking) = TRUE
}
CS1{
isObjectProperty(ParkingUnit.isParallelParking) = TRUE
}
KS1{
getObjectWidth(ParkingLotArea.isHandicapParking, a) >= 3.3 m
getElementLength(ParkingLotArea.isHandicapParking) >= 5 m
}
CS2{
isObjectProperty(ParkingLotArea.isParallelParking) = FALSE
}
KS2{
getObjectWidth(ParkingLotArea.isHandicapParking, a) >= 2 m
getElementLength(ParkingLotArea.isHandicapParking) >= 6 m
}
}
check(ERCDAPA_2_1_*_1_4_나_2){
getObjectGradient(ParkingSpace.Floor) <= 1/50
}
check(ERCDAPA_2_1_*_1_6_가_1){
Door myDoor1{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
Door myDoor2{
isObjectProperty(Door.isEntrance) = TRUE
getObject(Door.isEntrance) != getObject(myDoor1)
}
getObjectWidth(Door.isEntrance) >= 0.8 m
isEgressDirection(myDoor1) = isEgressDirection(myDoor2)
getObjectDistance(myDoor1, myDoor2) >= 1.2 m
}
check(ERCDAPA_2_1_*_1_6_가_2){
isObjectProperty(Door.isAutomatic) = FALSE
isObjectProperty(Door.isSillFree) = TRUE
}
check(ERCDAPA_2_1_*_1_8_가_2){
getObjectVerticalDistance(FloorSurface,Door.Bottom)
}
check(ERCDAPA_2_1_*_1_8_나){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Escape) = TRUE
isObjectProperty(Stair.isOutdoor) = TRUE
}
getObjectWidth(myStair) >= 0.9 m
getObjectWidth(myStair.StairLanding) >= 0.9 m
Stair myStair2{
isObjectProperty(Stair.isEscape) = FALSE
isObjectProperty(Stair.isOutdoor) = FALSE
}
getObjectWidth(myStair2) >= 1.2 m
getObjectWidth(myStair2.StairLanding) >= 1.2 m
}
check(ERCDAPA_2_1_*_1_8_다_1){
hasObject(Stair, VerticalSurfaceStair) = TRUE
}
check(ERCDAPA_2_1_*_1_8_다_2){
getObjectWidth(Stair.threadWidth) >= 0.28 m
getObjectHeight(Stair.riserHeight) <= 0.18m
}
check(ERCDAPA_2_1_*_1_8_다_3){
getObjectGradient(Stair.riserGradient) >= 60
getObjectLength(Stair.nosingLength) < 3 c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