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9 조
①영 제35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 따라 건축물의 5층 이상 또는 지하 2층 이하의 층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지하 1층인 건축물의 경우에는 5층 이상의 층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과 직접 연결된 지하 1층의 계단을 포함한다)은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해야 한다. <개정 2019.8.6> ②제1항에 따른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해야 한다. <개정 2000.6.3, 2003.1.6, 2005.7.22, 2010.4.7, 2012.1.6, 2019.8.6> ③영 제35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 따른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은 돌음계단으로 해서는 안 되며, 영 제40조에 따라 옥상광장을 설치해야 하는 건축물의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은 해당 건축물의 옥상으로 통하도록 설치해야 한다. 이 경우 옥상으로 통하는 출입문은 피난방향으로 열리는 구조로서 피난 시 이용에 장애가 없어야 한다. <개정 2010.4.7, 2019.8.6> ④영 제35조제2항에서 "갓복도식 공동주택"이라 함은 각 층의 계단실 및 승강기에서 각 세대로 통하는 복도의 한쪽 면이 외기(外氣)에 개방된 구조의 공동주택을 말한다. <신설 2006.6.29> 제9조(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①영 제35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의 5층 이상 또는 지하 2층 이하의 층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지하 1층인 건축물의 경우에는 5층 이상의 층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과 직접 연결된 지하 1층의 계단을 포함한다)은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②제1항에 따른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2000.6.3., 2003.1.6., 2005.7.22., 2010.4.7., 2012.1.6.> 가. 계단실은 창문ㆍ출입구 기타 개구부(이하 "창문등"이라 한다)를 제외한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의 벽으로 구획할 것 나. 계단실ㆍ노대 및 부속실(「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10조제2호 가목의 규정에 의하여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을 겸용하는 부속실을 포함한다)은 창문등을 제외하고는 내화구조의 벽으로 각각 구획할 것 마. 계단실ㆍ노대 또는 부속실에 설치하는 건축물의 바깥쪽에 접하는 창문등(망이 들어 있는 유리의 붙박이창으로서 그 면적이 각각 1제곱미터이하인 것을 제외한다)은 계단실ㆍ노대 또는 부속실외의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에 설치하는 창문등으로부터 2미터 이상의 거리를 두고 설치할 것 ③영 제35조제1항에 따른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은 돌음계단으로 하여서는 아니되며, 영 제40조에 따라 옥상광장을 설치하여야 하는 건축물의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은 해당 건축물의 옥상으로 통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이 경우 옥상으로 통하는 출입문은 피난방향으로 열리는 구조로서 피난시 이용에 장애가 없어야 한다. <개정 2010.4.7.> ④영 제35조제2항에서 "갓복도식 공동주택"이라 함은 각 층의 계단실 및 승강기에서 각 세대로 통하는 복도의 한쪽 면이 외기(外氣)에 개방된 구조의 공동주택을 말한다. <신설 2006.6.29.> ②제1항에 따른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2000.6.3, 2003.1.6, 2005.7.22, 2010.4.7, 2012.1.6> 가. 건축물의 내부와 계단실은 노대를 통하여 연결하거나 외부를 향하여 열 수 있는 면적 1제곱미터 이상인 창문(바닥으로부터 1미터 이상의 높이에 설치한 것에 한한다) 또는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14조의 규정에 적합한 구조의 배연설비가 있는 면적 3제곱미터 이상인 부속실을 통하여 연결할 것 자. 건축물의 내부에서 노대 또는 부속실로 통하는 출입구에는 제26조에 따른 갑종방화문을 설치하고, 노대 또는 부속실로부터 계단실로 통하는 출입구에는 제26조에 따른 갑종방화문 또는 을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이 경우 갑종방화문 또는 을종방화문은 언제나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화재로 인한 연기, 온도, 불꽃 등을 가장 신속하게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제9조(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①영 제35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의 5층 이상 또는 지하 2층 이하의 층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지하 1층인 건축물의 경우에는 5층 이상의 층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과 직접 연결된 지하 1층의 계단을 포함한다)은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②제1항에 따른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2000.6.3, 2003.1.6, 2005.7.22, 2010.4.7> 1.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하는 피난계단의 구조 가. 계단실은 창문·출입구 기타 개구부(이하 "창문등"이라 한다)를 제외한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의 벽으로 구획할 것 나. 계단실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바닥 및 반자 등 실내에 면한 모든 부분을 말한다)의 마감(마감을 위한 바탕을 포함한다)은 불연재료로 할 것 다. 계단실에는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를 할 것 라. 계단실의 바깥쪽과 접하는 창문등(망이 들어 있는 유리의 붙박이창으로서 그 면적이 각각 1제곱미터 이하인 것을 제외한다)은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에 설치하는 창문등으로부터 2미터 이상의 거리를 두고 설치할 것 마. 건축물의 내부와 접하는 계단실의 창문등(출입구를 제외한다)은 망이 들어 있는 유리의 붙박이창으로서 그 면적을 각각 1제곱미터 이하로 할 것 바. 건축물의 내부에서 계단실로 통하는 출입구의 유효너비는 0.9미터 이상으로 하고, 그 출입구에는 피난의 방향으로 열 수 있는 것으로서 언제나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화재로 인한 연기, 온도, 불꽃 등을 가장 신속하게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로 된 제26조에 따른 갑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사. 계단은 내화구조로 하고 피난층 또는 지상까지 직접 연결되도록 할 것 2. 건축물의 바깥쪽에 설치하는 피난계단의 구조 가. 계단은 그 계단으로 통하는 출입구외의 창문등(망이 들어 있는 유리의 붙박이창으로서 그 면적이 각각 1제곱미터 이하인 것을 제외한다)으로부터 2미터 이상의 거리를 두고 설치할 것 나. 건축물의 내부에서 계단으로 통하는 출입구에는 제26조에 따른 갑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다. 계단의 유효너비는 0.9미터 이상으로 할 것 라. 계단은 내화구조로 하고 지상까지 직접 연결되도록 할 것 3.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가. 건축물의 내부와 계단실은 노대를 통하여 연결하거나 외부를 향하여 열 수 있는 면적 1제곱미터 이상인 창문(바닥으로부터 1미터 이상의 높이에 설치한 것에 한한다) 또는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14조의 규정에 적합한 구조의 배연설비가 있는 부속실을 통하여 연결할 것 나. 계단실·노대 및 부속실(「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10조제2호 가목의 규정에 의하여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을 겸용하는 부속실을 포함한다)은 창문등을 제외하고는 내화구조의 벽으로 각각 구획할 것 다. 계단실 및 부속실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바닥 및 반자 등 실내에 면한 모든 부분을 말한다)의 마감(마감을 위한 바탕을 포함한다)은 불연재료로 할 것 라. 계단실에는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를 할 것 마. 계단실·노대 또는 부속실에 설치하는 건축물의 바깥쪽에 접하는 창문등(망이 들어 있는 유리의 붙박이창으로서 그 면적이 각각 1제곱미터이하인 것을 제외한다)은 계단실·노대 또는 부속실외의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에 설치하는 창문등으로부터 2미터 이상의 거리를 두고 설치할 것 바. 계단실에는 노대 또는 부속실에 접하는 부분외에는 건축물의 내부와 접하는 창문등을 설치하지 아니할 것 사. 계단실의 노대 또는 부속실에 접하는 창문등(출입구를 제외한다)은 망이 들어 있는 유리의 붙박이창으로서 그 면적을 각각 1제곱미터 이하로 할 것 아. 노대 및 부속실에는 계단실외의 건축물의 내부와 접하는 창문등(출입구를 제외한다)을 설치하지 아니할 것 자. 건축물의 내부에서 노대 또는 부속실로 통하는 출입구에는 제26조에 따른 갑종방화문을 설치하고, 노대 또는 부속실로부터 계단실로 통하는 출입구에는 제26조의 규정에 의한 갑종방화문 또는 을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차. 계단은 내화구조로 하되, 피난층 또는 지상까지 직접 연결되도록 할 것 카. 출입구의 유효너비는 0.9미터 이상으로 하고 피난의 방향으로 열 수 있을 것 ③영 제35조제1항에 따른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은 돌음계단으로 하여서는 아니되며, 영 제40조에 따라 옥상광장을 설치하여야 하는 건축물의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은 해당 건축물의 옥상으로 통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이 경우 옥상으로 통하는 출입문은 피난방향으로 열리는 구조로서 피난시 이용에 장애가 없어야 한다. <개정 2010.4.7> ④영 제35조제2항에서 "갓복도식 공동주택"이라 함은 각 층의 계단실 및 승강기에서 각 세대로 통하는 복도의 한쪽 면이 외기(外氣)에 개방된 구조의 공동주택을 말한다. <신설 2006.6.29>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1항
Check(REFB_9_1){
IF (CS1) THEN KS1 ELSE IF (CS2) THEN KS2
CS1{
Floor myFloor1 {
Floor.number > 5
OR Floor.number <= -2
}
Stair myStair1 {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
Floor myFloor2 {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TRUE
}
isGoThrough(myFloor1, myStair1, myFloor2)= TRUE
OR isGoThrough(myFloor1, myStair1, Ground) = TRUE
}
CS2{
Floor myFloor3 {
Floor.number >= 5
}
Stair myStair3 {
isObjectProperty(Stair.isDirect) = TRUE
(isGoThrough(myFloor3, myFloor2, Stair) = TRUE
OR isGoThrough(myFloor3, Ground, Stair) = TRUE)
}
Stair myStair2 {
Stair.Floor.number = -1
}
isDirectlyAccessible(myStair2, myStair3)=TRUE
KS1 {
(isObjectProperty(myStair1.isEscape) = TRUE
OR isObjectProperty(myStair1.isSpecialEscape) = TRUE)
}
KS2{
(isObjectProperty(myStair2.isEscape) = TRUE
OR isObjectProperty(myStair2.isSpecialEscape) = TRUE)
(isObjectProperty(myStair3.isEscape) = TRUE
OR isObjectProperty(myStair3.isSpecialEscape) = TRU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1호 check(REFB_9_2_1){ KS } KS{ getResult(REFB_9_2_1_1) = TRUE getResult(REFB_9_2_1_2) = TRUE getResult(REFB_9_2_1_4) = TRUE getResult(REFB_9_2_1_5) = TRUE getResult(REFB_9_2_1_6) = TRUE getResult(REFB_9_2_1_7) = TRU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1호 가목 check(REFB_9_2_1_1){ KS } KS{ Wall myWall{ hasElement(Stair.Space, Wall) = TRUE hasElement(Wall, Window) = FALSE hasElement(Wall, Door) = FALSE hasElement(Wall, Opening) = FALSE } Stair myStair{ isObjectProperty(Stair.isEscape)= TRUE }
isFireResistantStructure(myWall)= TRUE isPartitioned (myStair, 0, myWall) = TRU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1호 나목
check(REFB_9_2_1_2){
KS
}
KS{
isObjectProperty(Stair.Space.InteriorFinish.Material.nonCombustibility) = TRU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1호 라목
check(REFB_9_2_1_4){
IF (CS1 AND CS2) THEN KS
}
CS1 {
Opening myOpening1{
isConnectedTo(Stair.Space, Opening) = TRUE
getObjectProperty(Opening.material)= “WireContainedGlass”
getObjectProperty(Window.panelOperationType)= “FixedSashWindow”
getObjectProperty(Opening.area)=< 1㎡
}
CS2 {
Opening myOpening2{
getObject(Opening) != myOpening1
}
KS{
getElementDistance(myOpening1, myOpening2, a)>=2m;
}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1호 마목 check(REFB_9_2_1_5){ KS } KS{
Opening myOpening3{ getObject(Opening)!= Door isConnectedToExternal(Opening) = FALSE hasElement(Stair.Space, Opening) = TRUE }
getObjectProperty(myOpening3.material)= “WireContainedGlass” getObjectProperty(myOpening3.type)= “FixedSashWindow” getObjectProperty(myOpening3.area)=< 1㎡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1호 바목
Check(REFB_9_2_1_6){
KS
}
KS {
Door myDoor{
isConnectedToExternal(Opening) = FALSE
}
Space mySpace{
isExternal(Space)=FALSE
}
isGoThrough(mySpace,myDoor,Stair.Space.) = TRUE
isObjectProperty(Door.effectiveWidth) >= 0.9m
isEgressDirection(Door) = TRU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1호 사목 Check(REFB_9_2_1_7){ KS } KS { Floor myFloor {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 TRUE }
isFireResistantStructure(Stair) = TRUE (isDirectlyAccessible(Stair,myFloor)= TRUE OR isDirectlyAccessible(Stair,Ground) = TRU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2호
Check(REFB_9_2_2){
IF (CS) THEN KS
}
CS{
isExternal(Stair) = TRUE
isObjectProperty(Stair.isEscape) = TRUE
}
KS{
getResult(REFB_9_2_2_1)=TRUE
getResult(REFB_9_2_2_2)=TRUE
getResult(REFB_9_2_2_3)=TRUE
getResult(REFB_9_2_2_4)=TRU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2호 가목
check(REFB_9_2_2_1){
IF (CS) THEN KS
}
CS {
Opening myOpening1{ getObjectProperty(Opening.material)= “WireContainedGlass”
getObjectProperty(Window.panelOperationType)= “FixedSashWindow”
getObjectProperty(Opening.area)=< 1㎡
}
Door myDoor {
isAccessible(Stair, Door)=TRUE
}
Opening myOpening2{
getObject(Opening) != myOpening1
getObject(Opening) != myDoor
}
isExist(myOpening2) = TRUE
}
KS{
getElementDistance(Stair, myOpening2, a)>=2m;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2호 나목 check(REFB_9_2_2_2){ IF (CS) THEN KS } CS { Space mySpace{ isExternal(Space)=FALSE } Door myDoor{ isGoThrough(mySpace,Door,Stair) = TRUE } isExist(myDoor) = TRUE }
KS { isObjectProperty(myDoor.strictFireproofDoor) = TRU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2호 다목 check(REFB_9_2_3){ KS } KS { getObjectProperty(Stair.effectiveWidth)>= 0.9m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2호 라목
check(REFB_9_2_2_4){
KS
}
KS {
isObjectProperty(Stair.isFireResistantStructure) = TRUE
isAccessible(Stair, Ground)= TRU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3호 check (REFB_9_2_3){ IF (CS) THEN KS } CS{ isObjectProperty(Stair.isSpecialEscape) = TRUE } KS{ getResult(REFB_9_2_3_1)=TRUE getResult(REFB_9_2_3_2)=TRUE getResult(REFB_9_2_3_3)=TRUE getResult(REFB_9_2_3_5)=TRUE getResult(REFB_9_2_3_6)=TRUE getResult(REFB_9_2_3_7)=TRUE getResult(REFB_9_2_3_8)=TRUE getResult(REFB_9_2_3_9)=TRUE getResult(REFB_9_2_3_10)=TRUE getResult(REFB_9_2_3_11)=TRU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3호 나목 check (REFB_9_2_3_2){ IF (CS) TEHN KS }
CS{ Space mySpace { getSpace(Stair.Space) getSpace(“Balcony”) getSpace(“AncillaryRoom”) } isExist(mySpace)=TRUE }
KS{ Wall myWall { getObjectProperty(Wall.isFireResistantStructure = TRUE } isPartitioned(mySpace, 0, myWall)= TRU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3호 다목 check (REFB_9_2_3_3){ CS TEHN KS }
CS{ Space mySpace { getSpace(Stair.Space) getSpace(“AncillaryRoom”) } isExist(mySpace)=TRUE }
KS{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3호 마목
check (REFB_9_2_3_5){
CS TEHN KS
}
CS{
Space mySpace {
getSpace(Stair.Space)
getSpace(“Balcony”)
getSpace(“AncillaryRoom”)
}
Opening myOpening1 {
hasElement(mySpace,Opening)=TRUE
isConnectedToExternal(Opening) = TRUE
Opening myOpening2 {
getObjectProperty(Opening.material)= “WireContainedGlass”
getObjectProperty(Window.panelOperationType)= “FixedSashWindow”
getObjectProperty(Opening.area)=< 1㎡
}
Opening myOpening3{
getObject(myOpening1)-getObject(myOpening2)
}
isExist(myOpening3)=TRUE
KS{
Opening myOpening4{
getObject(Opening)-getObject(myOpening3)
}
getElementDistance(myOpening3, myOpening4, a)>=2m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3호 바목
check (REFB_9_2_3_6){
CS TEHN KS
}
CS{
isExist(Stair.Space)=TRUE
KS{
Space mySpace1{
getSpace(“Balcony”)
getSpace(“AncillaryRoom”)
hasObject(Stair.Space, Space)=TRUE
}
Space mySpace2{
isExternal(Space)=FALSE
}
Opening myOpening {
getObject(Stair.Space.Opening) + getObject(mySpace2.Opening) + getObject(mySpace1.Opening)
}
hasSpace(Stair.Space, myOpening) = TRUE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3호 사목
check (REFB_9_2_3_7){
CS TEHN KS
}
CS{
Space mySpace {
getSpace(“Balcony”)
getSpace(“AncillaryRoom”)
hasObject(Stair.Space,Space)=TRUE
}
Opening myOpening {
getObject(mySpace.Opening)
}
isExist(myOpening)=TRUE
}
KS{
getObjectProperty(myOpening.material)= “WireContainedGlass”
getObjectProperty(Window.panelOperationType)= “FixedSashWindow”
getObjectProperty(myOpening.area)=< 1㎡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3호 아목
check (REFB_9_2_3_8){
IF (CS) TEHN KS
}
CS{
Space mySpace1 {
getSpace(“Balcony”)
getSpace(“AncillaryRoom”)
}
isExist(mySpace1)=TRUE
}
KS{
Space mySpace2{
isExternal(Space)=FALSE
}
Opening myOpening {
getObject(mySpace2.Opening)
getObject(Stair.Space.Opening)
}
hasSpace(mySpace1,myOpening)= FALS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3호 차목
check (REFB_9_2_3_10){
KS
}
KS{
Floor myFloor {
isObjectProperty(Floor.isEscape) =TRUE
isObjectProperty(Stair.isFireResistantStructure) = TRUE
isAccessible(Stair,myFloor)=TRUE
OR isAccessible(Stair,Ground)=TRU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3호 카목
check (REFB_9_2_3_카){ KS }
KS{ getObjectProperty(Door.effectiveWidth) >= 0.9m isObjectProperty(Door.isEscapeDirection)=TRU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3항
Check(REFB_9_3) {
KS
}
KS {
Stair myStair1{
isObjectProperty(Stair.isEscape)=TRUE
OR isObjectProperty(Stair.isSpecialEscape)=TRUE
}
Space mySpace{
getObjectProperty(Space.usage) = “RooftopPlaza”
}
hasObject(Rooftop, mySpace)=TRUE
}
Stair myStair2{
hasObject(mySpace.Building,myStair1)=TRUE
}
getObjectProperty(myStair.type)!= “WindingStair”
isAccessible(myStair2,mySpace)=TRUE
isEgressDirection(mySpace.Door) = TRU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4항 Check(REFB_9_4) { KS } Building myBuilding{ Building.usage = “SideCorridorTypeMultiUnitHouse” }
Space mySpace = getSpace(“Corridor”) isConnectedToExternal(mySpace)=TRUE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check (REFB_9_2){ getResult(REFB_9_2_1) = TRUE getResult(REFB_9_2_2) = TRUE getResult(REFB_9_2_3) = TRUE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3호 가목
check (REFB_9_2_3_1){
CS THEN KS
}
CS {
isExist(Stair.Space) = TRUE
}
KS {
Window myWindow {
getObjectProperty(Window.area)>= 1 m2
isObjectProperty(Window.isExternalDirection) = TRUE
getElementDistance(Window, FloorSlab, a)>=1m
}
SmokeExhaustionSystem mySmokeExhaustionSystem {
getElement(SmokeExhaustionSystem)
getResult(RFB_14)=TRUE
}
Space mySpace1{
getSpace(“Balcony”)
}
Space mySpace2{
isExternal(Space)=FALSE
}
Space mySpace3{
getSpace(“AncillaryRoom”)
getFloorArea(Space.Floor, ) >= 3㎡
hasElement(Space,mySmokeExhaustionSystem) = TRUE
hasElement(Space,myWindow) = TRUE
}
isGoThrough(mySpace2,Stair.Space, ,mySpace1)
OR isGoThrough(mySpace2,Stair.Space, ,mySpace3)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9조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항 3호 자목
check (REFB_9_2_3_9){
IF(CS1) THEN KS1 OR (CS2) TEHN KS2
}
Space mySpace1 {
isExternal(Space)=FALSE
}
Space mySpace2 = getSpace(“Balcony”) + getSpace(“AncillaryRoom”)
CS1{
isGoThrough(mySpace1,Door,mySpace2) = TRUE
}
KS1 {
isObjectProperty(Door.isStrictFireproofDoor)= TRUE
}
CS2{
isGoThrough(mySpace2,Door,Stair.Space) = TRUE
}
KS2{
isObjectProperty(Door.isFireproofDoor)= TRUE
}
|
|